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보건학개론 소개 담당교수 양봉민.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보건학개론 소개 담당교수 양봉민."— Presentation transcript:

1 보건학개론 소개 담당교수 양봉민

2 강의 내용 보건학개론 강좌 진행 방법 건강과 보건의 개념 보건학적 원리 보건학의 이념 보건학의 학문영역과 정책

3 보건학개론 강좌 진행 방법

4 보건학개론의 강좌 진행방법 보건학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한 개론 수준의 과목 블록형 강좌 강의시간 매주 월요일
보건학석사의 필수과목 블록형 강좌 매주 다른 교수가 강의 한번 80분 강좌 두개 강의시간 매주 월요일 1부: 1:00-3:50 2부: 6:30-9:20 강의실: 221동 113호 강의실

5 평가방법: 강의교재: 출석: 반영비율 20% 평가: 출석 및 중간, 기말고사 기말고사 : 강좌당 10점 배점
강의용 ppt 파일은 홈페이지에 게시함.

6 강좌소개 및 보건학의 이념과 원리 (주간: 양봉민 / 야간: 조영태)
일 자 1교시: 주제(담당교수) 2교시: 주제(담당교수) 강의시간 (월요일) 주간: 13:00-14:20 주간: 14:30-15:50 야간: 18:30-19:50 야간: 20:00-21:20 3/4 (1주) 강좌소개 및 보건학의 이념과 원리 (주간: 양봉민 / 야간: 조영태) 질병관리의 역학적 원리 (조성일) 3/11 (2주) 보건의료체계 (김창엽) 건강증진 (유승현) 3/18 (3주) 보건사회 (조병희) 의료보장과 건강보험 (이태진) 3/25 (4주) 보건의료 재원조달 (양봉민) 보건미생물학 (고광표) 4/1 (5주) 보건정치경제학 (권순만) 보건의료조직 (유명순) 4/8 (6주) 보건인구학 (조영태) 유전체 역학 (성주헌) 4/15 (7주) 중간고사*

7 Bioaerosol and Public Health (Naomichi Yamamoto)
일 자 1교시: 주제(담당교수) 2교시: 주제(담당교수) 강의시간 (월요일) 주간: 13:00-14:20 주간: 14:30-15:50 야간: 18:30-19:50 야간: 20:00-21:20 4/22 (8주) 보건서비스와 노인보건 (김홍수) 실내환경 시스템 (이기영) 4/29 (9주) 보건영양 (정효지)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이승묵) 5/6 (10주) 산업의학 (백도명) 산업위생 (윤충식) 5/13 (11주) 방사선의 건강위해 (정해원) 바이오모니터링 (김성균) 5/20 (12주) 윤리적 연구와 통계학적 방법 (김호) 수질폐기물관리 (조경덕) 5/27 (13주) 보건통계시스템 (이승욱) 환경독성학 (최경호) 6/3 (14주) Bioaerosol and Public Health (Naomichi Yamamoto) 연구윤리교육 (박미영) 6/10 (15주) 기말고사*

8 건강과 보건학 공중보건학이란 무엇인가

9 Winslow 정의 C.E.A. Winslow, one of the leading figures in the history of public health, characterized public health practice as the science and art of disease prevention, prolonging life, and promoting health and well-being through organized community effort for the sanitation of the environment, the control of communicable infections, the organization of medical and nursing services for the early diagnosis and prevention of disease, the education of the individual in personal health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machinery to assure everyone a standard of living adequate for the maintenance or improvement of health.(1920)

10 Winslow 의 정의 Public health is the science and art of preventing disease, prolonging life, and promoting health through organized efforts and informed choice of society, organizations, public and private, communities and individuals.” (C.E.A. Winslow, 1920). Population health 에 관련(집단, 지역사회, 국가, 지구..)

11 Public Health의 용어 Public 의 개념 Public health 국가(공공)나 개인과는 다른 차원
A group of people; 공중 지역사회 참여, 소통에 근거 Public health 개인 수준을 넘는 공중의 보건문제 국가보건, 공공병원, 공공의학과는 다른 차원 사회를 구성하는 각 주체들의 공동의 노력으로 달성해야 하는 보건의 문제

12 Definition of Health (WHO)
Health i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Public health: community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웰빙의 문제

13 공중보건학(Public Health Science)
공사(公私)의 보건기관 및 단체 등의 조직적 활동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의 유지·증진을 꾀하여 생명연장을 위해서 필요한 과학적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 또 그것을 실제로 응용하는 기술. 대상집단 : 지역사회·학교·직장 내용 : 환경위생, 전염병 등 질병예방, 위생교육·학교보건·산업위생·보건행정·사회보장 등 보건학, 공중위생학과 동의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14 의학과 보건학의 차이 의학: 개인을 대상으로 질병 치료 및 예방 보건학: 집단을 대상으로 질병 예방 및 건강유지 개인 섭생관리
금연 및 절주 조기진단 유도 등등 보건학: 집단을 대상으로 질병 예방 및 건강유지 보건교육 (건강행위의 개선) 보건의료체계 개발 (건강보험, 의료시설 및 인력관리) 환경개선 등등

15 보건학적 접근방법의 변화 고전적 보건학: public health 신공중보건학: new public health 전염성 질환
Agent-host-environment 방역, 예방접종, 선별검사, 개인위생 신공중보건학: new public health 만성질환 위험인자로서의 개인 행동[음주, 흡연, 영양불균형 & 과잉, 운동부족] 행동감시, 행동개선, 환경개선

16 보건학적 원리

17 개인건강과 집단건강 사회환경 자연환경의 영향 증대 보건학은 개인보다는 population health에 관심을 갖는다.
과잉경쟁적 사회구조, 정서적 지지를 못하는 가족, 낮은 사회적 신뢰 환경호르몬, 공해, 기후변화 사회적 복잡성의 증대…원인규명의 어려움…나비효과 보건학은 개인보다는 population health에 관심을 갖는다.

18 고위험 소수, 저위험 다수 건강위험: 누구에게 초점을 둘 것인가? 의학과 보건학: 방법 선택의 차이
높은 위험에 노출된 사람은 소수이다. 다수의 사람은 낮은 위험에 노출된다. 의학과 보건학: 방법 선택의 차이 의학: 고위험군, 질환군에 관심집중; 이득이 특정개인에게 돌아감 보건학: 국민다수의 보편적 위험에 관심; 국민다수가 이득을 보지만 특정개인에게 이득이 돌아가지 않을 수 있음

19 생태학적 건강모형 건강위험 인자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생물학적 요인 개인행태 요인
사회구조, 제도적 요인 정책적 요인 자연환경 요인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전통 보건학과 달리 최근 보건학은 사회적 요인에 의한 건강 결정에 주목한다.

20

21

22

23 전문가와 주민참여 대중의 주체적 참여를 강조하는 경향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생태학적 건강모형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Place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사유와 해방 emancipation 상호교감과 문제의식 형성 Empowerment Social development and community building

24 보건학의 이념

25 건강권과 개인의 자유 건강할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개인책임론: 사회책임론: 왜 건강하지 못한가?
너무 많은 자유 때문에 불건강 해진다. 과음, 과속, 과잉 섭취 개인 자유(행동)에 대한 규제 필요 사회책임론: 사회구조적 원인에 의한 건강악화 Social causation of disease(건강불평등) Politics of diversion (victim blaming)의 위험성 제도환경의 개선추구: 의료서비스 접근 기회 확대

26 의료화와 탈의료화 건강을 목적으로 하면 공중보건학적 실천은 정당화되는가?
수도물 불소화 찬반 논쟁 대기업의 종업원 강제금연 몸에 대한 주체적 통제를 주장하는 관점에서 보면 과잉개입일 수 있다.

27 Ideology of prevention
Prevention에 대한 강조: why? Autonomy of science: 근거중심 보건학의 결과: 예방이 치료보다 저렴 Logic of capitalism to turn health needs into commodity 건강검진도 이윤추구의 상품

28 무엇을 기준으로 자원을 배분할 것인가? 보건자원 평등/보편적권리 국가: 최고수준의료 의료전문직: 효율성, 상품 시장:

29 보건학의 학문 영역과 정책

30 Classical Areas in Public Health
Biostatistics Epidemiology Social and Health Behavior Health Services Management Environmental Health Population Health Maternal and Child Health

31 New Areas in Public Health
Public Health Informatics Genomics Health Communication Cultural Competency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 Global Health Policy and Law Ethics

32 Community Health Service Plan
A community-wide assessment of issues, needs, strengths, and resources; Prioritization of public health problems; A plan for addressing specific problems; Identification of community resources; Description of collaborative activities, grants, and various ongoing activities; Evaluation of previous efforts.

33 Healthy People in Healthy Community A Systematic Approach to Health Improvement

34 건강을 증진시키는 전략 개인단위에서 건강증진 지역사회단위 각종 건강증진 작업 환경의 개선을 통하여 건강증진
의료자원의 적정활용을 통하여 보건의료체계를 확보하여 보건상태의 모니터링을 통해서 관리 보건자료의 관리를 통한 실태파악 및 목표설정

35 보건학 연구의 궁극적 목표 지역사회 주민들을 보건학 연구의 목적 : 4가지의 성취를 위한 방법론의 연구와 그 실행
오래 살게 한다. (longetivity) 건강하게 살게 한다. (healthy) 적정한 의료를 모든 사람이 받도록 (equality of health provision) 전반적인 삶의 질 (quality) 보건학 연구의 목적 : 4가지의 성취를 위한 방법론의 연구와 그 실행

36 보건대학원석사의 역할 학자 보건관리자 독립된 연구자로서의 자질 독립된 교육자로서의 자질
보건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지도자적 능력 사업을 창출해 내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

37 우리나라 보건학 교육의 변천과정 보건대학원의 설립 (1959) ⇒ 현대적 보건학교육의 시작
1950년대 : 위생사업 (방역, 환경위생) 1960년대 : 가족계획사업 1970년대 : 사회개발과 연계한 보건과제 인구문제 의료확대 및 무의촌해소문제 환경위생문제

38 보건학의 변화내용 (계속) 1970년대에는 산업화의 절정기 보건의료전달체계의 개선 의료보험제도의 도입 (1977)
무의촌 해소 (의사의 반이 해외로) 의료기관의 확충 ⇒ 낙후된 의료시설의 확충과 환경개선사업 (화장실, 식수문제 등)

39 보건학의 변화내용 (계속) 1980년대 이후의 변화 의료보험의 정비(전국민의료보험제도) 사회보장체계의 개선 (국민연금등)
산업장에서의 근로자의 보건문제 환경문제의 강화 (보사부에서 환경청, 환경부등) 질병패턴의 변화 (감염병 ⇒ 비감염성 및 퇴행성 질환)

40 보건학의 변화내용 (계속) 1990년대 이후 소득분배개념의 확산 사회불평등의 개선요구 건강증진사업의 시작 환경오염의 심화
의료기술의 발달

41 보건학의 변화내용 (계속) 2000년대 이후 각종 사회보장 및 안전체계의 확대 여가생활과 건강, 웰빙 추세
저출산, 소가족 문제의 발생 질병패턴의 변화 (순환기 및 악성종양의 증가와 신종전염병의 발생)

42 Public Health Challenge for 21st Century
Globalization Advances in Scientific and Medical Technologies Demographic Transformations

43 That’s all, folks !


Download ppt "보건학개론 소개 담당교수 양봉민."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