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알렉산더와 정교문화의 고향, MACEDONIA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알렉산더와 정교문화의 고향, MACEDONIA"— Presentation transcript:

1 알렉산더와 정교문화의 고향, MACEDONIA
장영진 최우건

2 1. 국가 개요 정식 국명 : 구 유고슬라비아의 마케도니아 공화국 수 도 : 스코프예(Skopje)
언 어 : 마케도니아 어(키릴), 알바니아어, 터키어, 세르비아 어. 공 휴 일 : 정교 크리스마스(1/6-7), 정교 신년(1/14), 여성의 날(3/8), 키릴과 메토디우스의 날(5/24) 화 폐 : 마케도니아 디나르

3 1.1 인종 과 종교 분포 * 인 종 분 포 * * 종 교 분 포 *

4 1.2 마케도니아의 국기

5 2. 마케도니아의 역사

6 2.1 고대 - 중세 연 합 부 족 필립2세 시기(BC 382-336)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부족단결화.
연 합 부 족 필립2세 시기(BC )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부족단결화. 발칸반도 남부 대부분 차지.

7 2.2 고대 - 중세 알 렉 산 더 대왕(BC 356∼BC 323) 유럽 x 아시아 x 아프리카 => 광활한 제국 건설!

8 2.3 고대 - 중세 알렉산더 대왕 사망▶BC 146년 이후 로마에게 지배당함
또, 동.서 로마 분리 후 비잔틴 제국의 지배 하

9 2.4 고대 - 중세 #904년 : 제1불가리아 제국의 지배 #1014년: 클 레 이 돈 전투 비잔틴 제국
#904년 : 제1불가리아 제국의 지배 #1014년: 클 레 이 돈 전투 비잔틴 제국 제 1 불가리아 제국 중세 마케도니아 중세 마케도니아 # 마케도니아, 비잔틴제국 하로 복속

10 2.5 고대 - 중세 # 세르비아 중세왕국시기 두샨황제 스코프예 ☞ 오흐리드 천도 , 영토 확장
# 마리짜 강 전투에서 오스만 터키군에게 패배 ☞ 오스만 터키 제국 지배

11 2.6 근 대, 민족주의 시대 대대적인 폭동 # 친 불가리아파 (SCLM)
# 마케도니아 자치 국가파(마케도니아혁명 위원회, IMRO) 대대적인 폭동 #산 스테파노 조약과 베를린 조 약에 따라 그리스, 세르비아, 불 가리아가 오스만터키로부터 독 립.

12 2.7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연방하의 마케도니아 # 제1차 세계대전 종결 후 들어선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왕국 마케도니아인들 정체성 상실의 위기 # 제2차 세계대전 후 티토의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구성 공화국으로 재등장. 티토가 마케도니아의 정체성 유지를 지원.

13 2.8 독립 마케도니아 # 1980/5 티토사망 후 연방 붕괴. 1991/9 국민투표를 통해 독립선포.
# 그리스의 반대. (역사적 당위성, 정통성 문제) # 1995/9 UN의 중재안을 받아들여 양국 간 관계 정상화. # 미국의 정책과 NATO군에 적극 협조하여 미국의 우산 속으로 들어가게 됨.

14 3. 정 치 # 의원 내각제가 가미된 대통령제 # 의회 ☞ 다당제, 단원제 # 행정부, 대통령에게 권한 집중
# 의회 ☞ 다당제, 단원제 # 행정부, 대통령에게 권한 집중 # 재선까지 가능, 4년 임기.

15 4.그리스 & 마케도니아 # 그리스가 고대 마케도니아 제국에 대한 역사적 당위성과 정통성을 주장, 마케도니아 독립에 반대
# 그리스의 압력에도 불구,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상징을 사용. # 그리스, 데살로니카 항구 수출입 봉쇄 # 1995/9 양국 외무장관 합의

16 5. 경 제 마케도니아의 경제 산업구조가  2006년 조사 당시 국내총생산 규모면에서 농업 9%, 공업 29%, 서비스업 62%의 분포를 보이지만 산업 노동력면에서 농업 21.7%, 공업 32.6%, 서비스업 45.7%를 보여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토지 이용면에서는 전 국토의 약 39%인 7991만㎢가 산림이고, 목장과 목초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농경지가 24%이다.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붕괴 이후 다른 국가들처럼 중앙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 체제로 바뀌는 동안 어려움을 겪었으나 IMF(국제통화기금)와 IBRD(국제부흥개발은행)의 관리 아래 1993년부터 경제가 점차 안정되었다. 환율 = 1달러 국가 수출 : 136,300만불(2003년 기준) (식료품, 담배, 기계류, 수송기계) 국가 수입 : 216,340만불(2003년 기준) (기계, 장비류, 화학제품, 연료)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에 대한 UN(국제연합)의 무역제재가 풀려 교역이 재개되면서 1996년 이후 국내총생산 성장률이 플러스로 변했다. 인플레이션율은 1992년 1,780%에서 1993년 248%, 1994년 55%로 낮아졌고 1995년에는 18%, 2006년에는 3%로 낮아졌다. 절대빈곤층의 비율이 30%에 달한다.

17 5-1. 산업구조 <출처- >

18 < 출처- http://blog.naver.com/carnival1227 >
2차생산품

19 6. 문 화 탐부라 타판 가이다 주르나 카발

20 테스코토(Teskoto)

21 케프테데스 타브체 그라브체 시금치 부레크 파스트르 마이일리야

22 주요지역 : 스코프예

23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주요 교차로의 역할 518년 대규모 지진으로 인한 바실리카 교회 내 여러 유적물 중 상당수가 파괴 스코프예 다시 부흥 ㅡ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 ㅡ 비잔틴 제국의 주요 정치,상업 도시로 성장 년 터키의 지배 시절 여행자들에게 숙박을 제공할 목적 ㅡ 쿠르슈밀 안 5. 역사적 유적 – 칼레 요새 대지진 당시 80% 파괴 하지만 완전히 무너지지 않아 그 견고성을 입증, 상당 부분 복원되어 찬사를 받음 6. 마더 테레사 수녀의 출생 장소에는 노벨 평화상 수상(1979)을 기념하기 위한 교회와 기념관이 2009년 이후 설립. 7. 역사적 아픔을 간직한 터키식 석교 술탄 메흐메드 2세의 지시에 따라 지어진 것 중세 문화의 역사적 기념비. 이유 – 민란이나 혁명이 일어날 경우 이 석교 위에서 참여자들을 처형 ㅡ> 고기밥으로 만들어버린 장소. 8. 오늘날 국립 미술관으로 활용 - 다우트 파샤 목욕탕 9. 마케도니아 박물관은 쿠르슈밀 안 의 뒤에 위치해 있다

24 다우트 파샤 목욕탕(현재 국립미술관으로 활용)
바르다르 강물 보드노 산의 십자가 알렉산더 대왕 동방시장 터키식 석교 테레사 수녀 동상

25 주요지역-프리레프 마르코왕 성채 밑의 도시 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음. 마키도니아인들의 영웅
2. 오래 전인 고대 이후 때부터 발전, 인근에는 그 흔적으로 대규모 로마시대 때 무덤들이 아직도 보존 3. 로마의 주요 광역도시, 오늘날 6만 7천명의 주민이 거주 4. 구시가지에는 전통 수공예품 시장들과 ‘고대 슬라브 문화 연구소’가 자리 근교에는 12세기에 세워지고, 14~15세기의 다양한 프레스코 벽화들을 보유하고 있는 트레스카베쯔 수도원 12~14세기의 프레스코 벽화들이 있는 ‘성 미카엘 수도원‘ 14세기에 건축된 ‘즈르제 수도원‘ 마케도니아 최초 현대적 극작가이자 연극계의 신화로 추앙 – 보이단 쩨르노드린스키 가 이곳에서 출생 최대 규모의 극장 페스티발을 개최 5. 담배, 피혁, 식품, 목재가공 등이 이루어지고있는데 특히 담배작물은 세계적으로 품질의 우수함이 인정

26 주요지역-비톨라 비톨라 시계탑 - 19세기에 지워졌을꺼라 예상

27 마케도니아 제 2도시이자 최남단 도시 해발 높이가 615m에 있는 드라고르 강둑 고원지대에 자리 대표하는 산 – 해발 2,601m 높이의 펠리스테르 봉우리를 지닌 바바산으로 대규모 식물군과 야생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는 국립공원이자, 마케도니아의 대표적인 스키 리조트로도 잘 알려져 있음 아드리아 해 남쪽과 에게해 그리고 중부유럽을 잇는 중요한 교차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바르다르 계곡 고대부터 근대까지 중요한 전략적 통로로서 오래 동안 활용외어 왔다. 마케도니아 혁명 운동의 주요 본거지로서 마케도니아인들의 근대 민족정신 성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곳으로 성장 일린덴 – 성 엘리야의 날 즉, 공화국의 날로 지정 마케도니아 인민 해방을 위한 바파시스트 위원회가 열리기도 한 날 영화 ‘피스메이커’의 오프닝 장면에 등장해 그 교회 내부의 아름다움에 대한 세계의 관심을 끌어 모음

28 터키의 점령 이후 건설된 이슬람 모스크(16세기)

29 주요지역-오흐리드 1, 마케도니아의 남서쪽 끝에 있는 자연구조호, 수심이 290m로 유럽에서 가장 깊고,
세계서 가장 오래된 호수 가운데 하나 2. 전체 450평방km의 3분의1은 알바니아에 속한다. 해발 695m의 산으로 에워싸인 아늑한 호수 는 더욱 아름답고 해변과 언덕으로부터 전망이 뛰어남 마케도니아 여행의 중심지 이곳의 30여 군데의 ‘문화유적지’는 여행객들을 바쁘게 한다. 오늘날 볼 수 있는 유적지 가운 데 가장 오래된 것들은 로마시대 유적일 것이다. 오흐리드의 다른 이름 – 리흐니도스(Lihnidos) 비잔틴제국이 지배할 때 오흐리드는 마케도니아의 감독제(주교) 교회제도(episcopal centre)의 중심지 893년 최초의 슬라브대학이 성 키릴과 메토디우스의 제자였던 오흐리드의 주교 클리멘트에 의해 이곳에 설립, 10세기부터 1767년까지 동방교의 총주교가 큰 영향력을 행사 1958년 오흐리드 대주교제도의 부활과 1967년 세르비아정교회로부터의 독립은 근대자주독립국가의 지위를 향한 중요한 과정

30 성 소피아 성당 복도 성소피아 성당 성소피아 성당 벽화 성존스 교회와 오흐리드 호수 스베티나움 교회-오늘날 호텔로 바뀜 성소피아 성당 안뜰 성존스 교회

31 잘 알려지지 않은 장소 스트루가(Struga) 트라브니(Travnik)
북서보스니아에 있는 브르바스(Vrbas) 강가의 주요한 교차로에 있는 이 곳은 오늘날 스르프스카공화국(Republika Srpska)의 수도로 알려져 있다. 관광객은 많지 않으며, 1993년 이 지역 세르비아주민들은 도시의 16군데 이슬람사원을 절대 폭파시키지 않겠다고 확인했다. 볼만한 가치가있는 유일한 곳은 아마도 브르바스강을 따라있는 16세기 요새와 그 안의 잡초가 무성한 원형극장이다. 원형극장의 벤치는 전쟁 중 연료로 써버렸다고 한다. 시내중심가의 대통령궁은 1998년 1월부터 보스니아-세르비아 정부가 차지하고 있다. 트라브니(Travnik) 오흐리드호수 북쪽 끝에 있는 이 소도시는 알바니아의 슈코드라(Shkodra) 근처의 아드리아해로 호수물을 흐르게 하는 치미드림(Crni Drim) 강에 의해 나뉘어져있다. 토요일이면 스트루가(Struga)에 대형 시장이 서고, 해마다 8월말이면 국제시 축제를 위해 이 곳으로 시인들이 몰려온다.

32 HVALA LEPO


Download ppt "알렉산더와 정교문화의 고향, MACEDONIA"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