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절 국제표준과 표준화활동 표준화강좌.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1절 국제표준과 표준화활동 표준화강좌."— Presentation transcript:

0 Ⅱ장 국제표준화 표준화강좌

1 1절 국제표준과 표준화활동 표준화강좌

2 국제표준의 정립 국제 표준은 국제 표준화 기구에 의하여 제정되어진 표준이며, 세계에서 쓰이는 보편적인 기준으로 합당한 것을 나타낸다. 국제 표준은 국가간의 교류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그 영향력과 파급효과는 한 나라의 경제력과 기업들의 경쟁력에 직결될 수 있다. 국제 표준을 개발하는 대표적인 표준화 기구들은 다음과 같다.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3 국제표준의 정의 국제 표준의 개념 정립 본격적인 국제표준화의 시작
1830년에 시작된 산업혁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던 19세기 중엽 이후, 여러 나라 간의 지식, 물자, 인력 등의 빠르고 손쉬운 교류를 위한 표준화 노력이 시작됨. 본격적인 국제표준화의 시작 국제도량형국(BIPM, Bureau Internationale des Poids et Measures) 미터 시스템을 통한 도량형의 통일 주도. 1884년 그리니치 천문대를 통과하는 자오선을 경도 0도로 승인. 1921년에 표준화의 대상을 확대, 전기단위를 세계적으로 통일. 국제표준화기구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46년 설립. 1947년 약 15만 가지의 국가표준을 국제화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사업 시작. 초기의 국제표준은 제도총칙/오차/단위 및 심볼과 같은 기계공학의 기본적인 추상적 기준이나, 나사/볼트/너트 등의 기계 공학 주요 요소 부분에 대한 표준에 치중 됨. 1950년대 후반 이후, ISO의 활동은 화학공학, 데이터 처리, 원자력 분야 등과 같은 새로운 첨단 분야의 표준을 정립.

4 국제표준의 변화 국제 표준화 분야의 성장 1990년대 이후 국제표준화 동향 국제적 무역교류가 각 국간 국제표준화에 기여
1960년대부터 육상, 해상, 항공 교통수단의 발전 국제적 무역교류가 각 국간 국제표준화에 기여 국제 표준화 분야의 성장 요인 국가표준의 차이로 인해 활동에 지장을 받아온 다국적기업의 발전 국제적/기술적으로 조화된 표준개발이 필요하다는 회원국 정부의 인식변화 개발도상국에서의 표준화 단체 설립을 위한 활발한 활동 상이한 분야에 대한 참여확대로 인한 ISO 규격제정 대상범위 확대 기술적 문제에 대한 국제적 규칙 제정의 필요성에 대한 타 국제기구의 인식제고 1990년대 이후 국제표준화 동향 1980년대까지의 표준은 선진 각국에 의해 시장수요 확대 및 원가 절감의 수단으로 활용 선진기업들은 규격의 단순화, 통일화로 기계화, 자동화를 촉진하여 산업시대를 주도 1990년대 이후의 표준은 선진기업들이 세계시장을 장악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새로운 수단으로 자리매김 됨

5 국제표준의 전망 국가간에 서로 상이한 표준 및 적합성 평가제도 등 불필요한 무역상 기술장벽의 철폐 및 국제적인 단일 표준 사용의 요청이 확대 됨 종래의 표준은 주로 제품의 구조, 성능, 시험방법 및 용어만을 규정하였으나, 1990년 이후에는 품질경영시스템, 환경경영시스템 등 모든 업종에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표준이 등장하기 시작 이러한 시스템표준은 작업장 안전보건시스템, 요원관리 등 각종 인증과 관련된 표준으로 발전하여 인증산업을 새로운 산업으로 등장시키게 됨. 2000년에는 ISO에 재무관리분야 기술위원회(TC: Technical Committee)가 신설되는 등 표준화의 대상이 2차산업 중심에서 3차산업인 서비스 분야로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됨. 서비스 표준화는 교통, 숙박업, 픽토그램 등 전 분야에 걸쳐 급속히 확대될 전망임.

6 표준화의 필수 요소 표준의 선점은 곧 새로운 시장의 창출 또는 기존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자사의 기술을 개발하여 표준으로 책정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그러나 표준으로 채택되고, 세상에서 널리 쓰이는 유용한 기술이나 서비스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간과 자원이라는 필수 불가결한 두 가지 요소가 존재함. 일례로, MP3의 경우 1988년 시작되어 1992년에 최종 국제표준으로 완성되었으나, 5년에 걸쳐 완성된 이 표준은 인터넷이 상용화 되기 전에는 효용성이 없었음. 1990년대 후반부터 카세트 테잎과 CD로 대표되는 오디오 시장 변화시키는 중추적인 역할로 부상. 개발된 표준을 실제 상용화 하는데 약 10년의 시간이 소요됨.

7 표준의 분류 (1) 공적표준 국제적인 표준화 단체를 통하여 정식으로 표준을 만들고, 그것을 시장에서 사용하도록 만든 표준. 대체로 공적표준은 시장에서 사용되는 시장표준으로 자리를 잡는다. 시장표준 PC의 운영체제처럼 국제 표준 단체를 통한 표준이 아니라 시장을 장악하여 실질적인 표준의 지위에 오른 제품의 비표준 기술. 단체표준 공적인 기구가 아니라 표준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들이 모여서 만든 임의적인 단체나 포럼, 콘소시움을 통해 만들어진 표준

8 표준의 분류 (2) 공적 표준에 비해, 사적 단체의 표준은 공적 표준을 만들기 위해 필수적으로 통과해야 하는 많은 단계들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음. 상당부분에서 자유로운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공적표준화 단체들에 비해 더 많은 표준을 더 빠른 시간 안에 내 놓을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표준화의 시간이 길지 않다는 것은 일부분 해당 표준을 검증하고 검토할 시간이 충분하지 못할 수도 있음을 의미. 성숙하지 못한 표준이 시장에서 상용화 되었을 경우, 시장에서의 혼란이 해당 표준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표준화에 대한 참여기관의 수가 적으면, 해당 표준이 널리 지지되지 않게 됨 더 넓게, 더 많이 쓰이는 표준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참여기관들이 함께하는 표준을 만들어야 범용성을 지님. 공적/사적의 구분 없이 자국과 자사의 기술권리를 확보하고 시장에서 사용되는 표준으로 채택시키기 위한 노력들은 분야와 범위에 상관없이 끊임없이 추구되고 있음.

9 2절 주요 국제 표준화 단체 표준화강좌

10 주요 국제 표준화 단체 표준 개발 기구 (Standard Development Organization, SDO)
국제전기기술위원회 (IEC) 국제표준화기구 (ISO) 국제전기통신연합 (ITU) 기타 공적 표준화 단체 세계보건기구 (WHO)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IEEE) 지역 표준화 기구 태평양지역표준회의 (PASC)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표준적합소위원회 (APEC/SCSC) 유럽의 지역표준화 활동 기타 지역표준화 활동 사적 표준화 단체 IETF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W3C)

11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개요 IEC는 1906년에 공식적으로 발족하여 100년의 역사를 가진 대표적인 국제 표준화 단체 중 하나 전기통신 분야의 규격을 통일하기 위한 국제기구로 1930년에는 Hz로 불리는 주파수의 단위 등을 제정하였으며 이러한 기술 규격은 뒷날 ISO와 함께 도량형 규격의 통일로 이어짐 2007년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한 63개 회원국이 활동 IEC의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소재 IEC의 목적은 모든 전기공학적 표준화 문제와 기타 관련 문제에 대해 국제적 협력을 증진하고 세계 시장의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 IEC는 모든 전기 전자 또는 기술 관련 국제 표준을 준비하고 발간 IEC에서 다루고 있는 분야는 전자공학, 자기학, 전자자기학, 전기음향학, 원격통신, 에너지 생산과 분배 등 모든 전기공학 문제와 전문 용어, 상징, 안전성, 환경 등의 문제를 포함 회원국이든 비회원국이든 상관없이 IEC 표준을 채택 가능

12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조직 회원에는 정회원과 준회원이 있는데, 정회원은 국제 표준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하는 단체로 투표권이 있으며, 준회원은 제한된 활동을 하며 투표권이 없음 회원이 되면 각국 위원회는 모든 전기공학적 문제를 공개해야 함 IEC는 총회, 총회상임위원회, 집행위원회, 이사회, 중앙사무국 및 각 기술위원회, 적합성평가위원회 등으로 구성 표준제정 업무는 Technical committee(TC)와 Subcommittee(SC)를 통해서 수행되며, TC 업무의 일부를 SC에 위임 가능 정회원 국가위원회는 TC와 SC의 모든 활동에 참여할 권리가 있음 각 TC에는 정회원 국가위원회 대표 중에서 이사회가 임명한 위원장과 간사가 있어야 하며 TC 및 SC의 주요 임무는 국제표준의 개발 및 체계적 검토임 이사회는 ISO/IEC Directive에 따라 제안된 경우나 정회원 국가위원회의 2/3 이상이 승인한 경우 등에 신규 TC를 설치해야 함

13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표준화 작업 IEC의 표준화 작업은 ISO와 공동으로 제정한 ISO/IEC Directive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ISO의 표준화 작업절차와 대동소이함 다만 질의 단계 문서를 ISO에서는 국제표준안(DIS : Draft International Standard)라 부르는 반면 IEC는 투표용 위원회안(CDV : Committee Draft for Vote)라 칭함 기타 특이 사항은 IEC Directive내의 부속서에 설명되어 있음

14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주요 표준 소개 표준번호 표준 내용
전자통신과 전자에 사용되는 단위와 양, 제어기술에 관한 표준 규약 IEC 60038 일반적인 100V 이상의 50~60Hz의 표준 주파수를 가지는 전기 장비에서 전송 및 배분에 관한 표준 규약 IEC 60094 사운드 녹음과 재생을 위한 자기 테이프의 표준 규약을 담고 있으며 여기에는 일반적인 조건과 요구사항, 자기테이프의 기술적인 특성이 포함된다. IEC 모든 카세트 레코더와 호환이 가능함을 보장하는 기술적 요구사항 및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치수에 대한 표준 규약 IEC 60096 RF 케이블을 위한 관련 케이블 규정 및 일반 요구사항, 케이블 배분 시스템에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의 측정 및 테스트 방법에 관한 표준 규약 IEC 60098 아날로그 오디오 디스크의 녹음과 재생을 위한 장치 규정과 녹음 및 재생 장치의 호환성을 충족 시킬 수 있는 표준 규약 IEC 60309 가정용 및 이와 유사 용도 기기용 코드셋과 상호 연결 코드셋의 요구 사항을 규정 및 국가별 플러그와 소켓의 핀 배열과 호환성에 대한 표준 규약 IEC 60774 VHS테이프 중 12.65mm 자기테이프를 사용하는 나선-주사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시스템, FM 오디오 녹음, S-VHS, D-VSH 에 관한 표준 규약 IEC 60908 광학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의 디스크와 재생장치간 호환성에 적용되는 인자들에 관한 표준 규약 IEC 62196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플러그와 소켓에 관한 표준 규약

15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EC 60309 표준 (국가별 플러그와 소켓의 핀 배열) [A 형] [B 형] [C 형]
[D 형] 브라질, 캐나다, 일본 태국, 베트남, 미국 일본, 필리핀, 미국 콜롬비아 등 독일, 네덜란드, 스위스 이집트, 인도, 파라과이 인도, 홍콩, 스리랑카 요르단, 그리스 등 [E 형] [F 형] [G 형] [H 형] 폴란드, 체코, 프랑스, 인도네시아, 라오스 등 한국, 오스트리아, 독일  프랑스, 그리스, 터키 등 중국, 홍콩, 쿠웨이트, 싱가폴, 영국, 베트남 등 이스라엘 등 [I 형] [J 형] [K 형] [L 형] 호주, 뉴질랜드, 파나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엘살바도르, 이디오피아 스위스 등 방글라데시, 덴마크 그린란드 등 칠레, 쿠바, 엘살바도르 이디오피아, 이탈리아 등

16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EC 60774 (VHS/S-VHS video tape cassette)
IEC (Compact Disk)

17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EC 활동 현황 국제표준기구 제정분야 국제규격수 국내대응여부 IEC TC 47 반도체소자
54 (34) TC/SC의 국제간사(2명) WG컨비너(1명)의 업무 주도로 멤스 및 반도체센서 등 22개 WG에 대응 10명의 국내전문가참여조직 구축 SC 47A 집적회로 41 (10) SC 47D 기구적표준화 26 (26) SC 47E 개별반도체소자 34 ( 7) ※ ( )는 현재 IEC 제정진행중인 규격(총 77개)

18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우리기술이 반영된 IEC 규격 현황 반도체 분야 IEC 규격의 KS 규격화 현황 분 야
분  야 규격 또는 기술명 제안년도 현재단계 개별반도체 반도체센서의 일반 및 분류 1997 IS 반도체 열식 유량센서 2001 NP제안 반도체소자 멤스의 용어 및 정의 2002 의견반영 CD 멤스의 품목규격 2004 NP준비 PN접합형 온도센서 CMOS 이미지센서 규격분류 제정분야 국가규격수 KS 반도체소자 29 집적회로 25 기구적표준화 10 개별반도체소자 20

19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EC 인증제도
IEC 전자부품 품질인증제도 (IECQ-CECC : IEC Approval and Certification Programme for Electronic Components) 방폭전기기기 국제인증제도 (IECEx : IEC scheme for the Certification to standards for the Electrical Equipment for explosive atmospheres) 국제전기기기인증제도 (IECEE : IEC System for Conformity Testing and Certification of Electrical Equipment)

20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s)
1947년에 설립 표준화 단체 중 가장 광범위한 국제적인 표준화를 수행해 온 단체 그리스어 iso~ 는‘동등함’을 뜻하는 단어 국제표준화에 참여하는 100여개 이상의 회원국 대표자들로 구성 표준화를 제정하는 비정부 기구

21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s)
탄생배경 기계 공학 분야에서 국제 표준화 단체로 가장 먼저 설립된 IEC의 영향을 받아 표준화를 위한 국제적 협력 가능성이 모색되기 시작 1926년에 세계의 주요 표준화 추진 국가(20여 개국)들이 뉴욕에서 회의를 개최 국가표준협회국제연맹 (ISA: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National Standardizing Association)을 창설 ISA: 2차 세계대전 당시, 공식 활동 중지 1946년 10월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25개국 64명의 대표가 공업표준화의 국제적인 협력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새로운 국제표준화기구를 창설하기 위해 런던에서 ISO를 설립하기로 결정

22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s)
표준 및 관련 활동의 세계적인 조화 촉진 국제표준의 개발, 발간, 그리고 널리 보급 회원기관 및 기술위원회의 작업에 관한 정보 교환 주선 표준관련 사안에 관한 다른 국제기구와의 협력 운영 재원은 회원기관의 분담금 및 기여금과 간행물 판매로 충당

23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s)
조직 ISO는 회원(member body)에 의해 조직되고 운영 됨 한 국가에서 오직 하나의 기관만이 회원자격을 획득 가능 (One Nation, One National Body) ISO의 조직은 총회, 이사회, 중앙사무국, 정책개발위원회, 이사회상임위원회, 특별자문그룹, 기술관리부 및 실제 표준제정 작업을 담당하는 다수의 기술위원회와 산하의 분과위원회 및 작업반으로 구성

24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s)
ISO/IEC JTC1 정보처리시스템에 대한 국제표준화 활동과 정보기기에 대한 국제표준화 활동을 통합하여 구성된 정보기술 분야의 국제표준화 활동을 위한 공동기술위원회 ISO와 IEC 간에 정보 기술 분야의 상호 협력적인 국제 표준화 추진을 목적으로 설립 IT 시스템과 툴의 설계 및 개발, IT 시스템의 정보 보안, IT에 관련된 어휘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등 IT에 관련된 전반적인 기술들의 표준을 개발

25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s)
표준화 작업 ISO의 기본 목적은 국제표준을 만드는 것 ISO의 각각 표준 문서들은 고유의 번호가 부여됨. DMB 표준인 MPEG-4 advanced video coding(AVC)은 ISO 표준으로 ISO/IEC :2005 로 표기됨 ISO/IEC :2005 표준 기구 이름 MPEG-4의 고유 번호 10번째 PART : AVC 를 의미 2005년에 국제 표준으로 출판

26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s)
표준 제정 현황 1951년에 최초 규격이 발간된 이후로 2006년까지 15000종 이상의 표준 규격이 제정

27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s)
표준 제정 단계 프로젝트 단계 관 련 문 서 명 칭 약 호 0 예비단계 예비 작업항목 (Preliminary Work Item) PWI 1 제안단계 신규 작업항목 제안 (New work item Proposal) NP 2 준비단계 작업 초안 (Working Draft(s)) WD 3 위원회단계 위원회 초안 (Committee Draft(s)) CD 4 질의단계 질의안 (Enquiry Draft) 국제규격안 (Draft International Standard)(ISO) 투표용 위원회안 (Committee Draft for Vote)(IEC) DIS 5 승인단계 최종 국제규격안 (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FDIS 6 발행단계 국제규격 (International Standard) IS

28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s)
표준 영역 가장 많은 표준이 제정되고 있는 분야 일반, 사회기반, 과학 건강, 안전, 환경 공학기술 전자, IT, 통신 교통 및 운송 농경 및 식품 기술 재료 기술 건설 특수 기술

29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s)
표준 사례 ISO 16 – 표준 튜닝 주파수 음악회 음정이라고 불리어지는 이 표준은 음을 조율할 때 사용 440Hz의 소리를 내는 '라' (A음)이다. ISO 216 – A4 용지 표준 ISO 2108 – 국제 표준 도서 번호(ISBN)에 관한 표준 ISO 2281 – 시계의 방수 정도를 나타내는 표준 ISO 4217 – 각 국가의 화폐의 이름, 코드에 관한 표준 우리 나라 화폐의 공식 코드명은 KRW 북한 화폐도 원을 사용하지만 코드명은 KPW

30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s)
표준 사례 ISO 7810 – 신용 카드의 규격을 제정한 표준 ISO 8601 – 날짜와 시간을 표현하는 표준 ISO에 따른 우리나라의 광복절은 ISO 9000 과 ISO 9001 은 품질 경영 표준 ISO 과 ISO 은 환경 경영 표준으로서 기업활동, 제품 및 서비스의 환경영향 감소와 같은 Performance의 개선을 실시하는 메커니즘을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 요구사항을 규정 MPEG, JPEG, PDF 들도 모두 ISO 표준으로 제정. ISO/IEC 는 ISO와 IEC가 공동으로 개발한 표준 규격을 말하고 있으며 주로 IT 관련 표준에 많다.

31 ITU (국제전기통신연합) 개요 1865년 유럽 20개국 : 파리에서 유선전신에 관한 국제전신협약에 서명  국제전신연합(ITU) 1906년에 해양국가 20개국국제무선전신연합(IRU)I 1934년 유․무선 통합ITU와 IRU를 통합, 현재의 ITU 설립 현재 본부는 제네바 소재 (UN 산하 전문기구) 주요 업무 전기통신 관련 국가 간 이해조정 국제 전기통신 규칙/표준의 제,개정 국가간 국제전화의 연결을 위한 조정 각국 무선국간 주파수 조정 기타 전기통신에 관한 연구, 결의, 권고,정보제공 등 3131

32 ITU (국제전기통신연합) 산하기구 ITU 권고안 (Recommendation)
통신 사무국 (Telecommunications Bureau, ITU-T) CCITT(Consultative Committee on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y)로 창설되어 1992년 ITU-T로 바뀜 라디오 사무국 (Radiocommunications Bureau, ITU-R) CCIR(Consultative Committee on International Radio)로 창설되어 1992년 ITU-R로 바뀜 개발국 (Development Bureau, ITU-D) ITU 권고안 (Recommendation) 매 4년마다 책자로 발간되는 ITU 표준 규격서이자, ITU가 제정한 표준 기술들의 통칭 매년 550여 개의 개별 권고안들이 수정되고 있음 ITU 산하에서 현재 7개의 ITU-R 연구 그룹, 13개의 ITU-T 연구 그룹, 2개의 ITU-D 연구 그룹이 활동하며 기술 개발 및 권고안 수정에 참여 중 3232

33 ITU (국제전기통신연합) ITU의 주요 권고안 H.264 (MPEG-4 AVC) V series G.711
1972년 제정, 전화상의 음성 압신(companding)규격 H.264 (MPEG-4 AVC) ITU의 VCEG이 ISO산하의 MPEG과 연계하여 개발한 차세대 영상 압축 표준 규격 높은 압축 성능 현재 DMB에서 영상 전송 표준으로 채택. V series V.1~V.44에서 전화선 모뎀 통신에 대한 규격을 정의 3333

34 WHO (국제보건기구) WHO WHO의 근본 정신 WHO의 주된 업무 1948년 4월 7일에 설립된 UN의 전문 기구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국제 공중 위생/보건 분야의 국제협력을 관장 WHO의 근본 정신 세계 모든 사람들이 가능한 한 최고의 건강상태에 이르는 것 WHO의 주된 업무 질병을 없애고, 유행성 질병의 감염 방지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위생/보건 분야의 연구 활동 및 규정 제정 SARS나 말라리아, 에이즈와 같은 감염성 질병의 발발을 주시하는 국제적인 노력을 담당

35 WHO (국제보건기구) WHO의 표준화 활동
백신을 개발하거나 배포를 위한 활동 및 건강에 관련된 사회 활동에 적극적인 관리와 지원 후천성 면역 결핍증(HIV/AIDS) 치료 장비의 인증과 국제 표준화 추진 향정신성 물질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는 역할과 임무 수행 생물학적, 제약학적, 그리고 유사 물질들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 정립 및 진단기법의 표준화 추진 질병, 사망 원인, 공중보건 등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용어 제정. 식품이나 생물학적, 제약학적 유사 물질 등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 제정.

36 IEEE IEEE IEEE의 표준 세계 175개국 36만 명 이상의 기술 전문가들이 포함되어 있고 비영리로 운영
1963년 미국전기학회(AIEE: Americ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와 무선학회(IRE: Institute of Radio Engineers)가 합병되어 현재 세계 최대의 전기/전자/전기통신/컴퓨터 분야의 전문가 단체 임. 국제 표준화 기구를 선도하는 단체로서 IEEE-SA(IEEE Standards Association)를 통해 표준을 만들고 기능을 유지 IEEE의 표준 전력, 유기화학과 보건, 정보통신, 교통, 반도체, 정보보안 등 광범위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2005년 기준으로 900 개에 달하는 표준을 제정하였고 현재 500개가 넘는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음 잘 알려진 IEEE의 표준 중 하나는 IEEE 이더넷 표준과 IEEE 무선 네트워크 표준을 포함하고 있는 IEEE 802 근거리/중거리 통신망 표준이 있음.

37 IEEE IEEE의 표준화 활동 보통 18개월에 걸쳐서 표준화가 정해지는 7개의 과정이 존재 스폰서 구성 프로젝트 승인 요청
스폰서 단체는 그 표준의 시작부터 완성에 이르기까지 조정과 감사를 수행 프로젝트 승인 요청 프로젝트 승인 요청 제출, 승인 검토 후 제안서 작성 작업 그룹 구성 프로젝트 승인 요청 통과 이후 표준화 진행을 위한 작업 그룹 구성 표준화 초안 작성 표준화 작업 그룹에서 제안된 표준의 초안 준비 투표 제안된 표준안에 대하여 적어도 75% 이상의 투표 참석이 이루어지고 투표결과 75%의 동의를 얻어야 승인 됨. 동의를 얻지 못한 표준안은 다시 초안 작성 단계로 되돌아 가게 됨 위원회 검토 IEEE-SA 표준화 이사회 내규와 규정에 따라 제안된 표준화 초안 검토 마지막 전체 투표 제출된 표준화 문서에 대해 최종 투표 실시 표준화를 위한 최종 승인이 이루어지는 이사회의 중요한 투표 과정

38 아시아 지역 표준화 PASC (태평양지역표준회의) 1972년 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결의로 창설 주요 참여 국가 (총 23개국)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남아프리카 공화국이나 러시아 등 비 태평양 권 국가도 일부 참여중 활동내용 회원국 상호간 표준화 관련 의견 및 정보의 교환 국제무역 및 통상의 촉진을 위한 국제 표준화 활동의 조정 ISO/IEC 등 국제표준화 기구에 대한 건의문 작성 및 이들 기구들과의 업무 협력 3838

39 아시아 지역 표준화 APEC/SCSC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표준적합성소위원회) 1994년 APEC 총회에서 설립 승인
주요 참여 국가 한국, 일본, 미국, 호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21개국 (APEC 회원국) 활동내용 APEC내 국가들의 무역자유화를 위한 국가 표준과 국제 표준의 일치를 강제하고 있음 (선진국: ~2010 / 개도국: ~2020) 국가간 표준 적합성 (Conformance) 검증 3939

40 유럽 지역 표준화 유럽 지역의 역내 표준화는 EU의 전신인 EC로부터 시작
1972년부터 상품의 종류 별로 만족해야 할 요구 조건을 담은 기술적 규정을 지침서 (directive) 로 정의 구접근법: 각 기술의 요건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 신접근법: 제품의 필수 보건, 안전요소들만 기술 (1985~) 유럽 국가들은 자국 내에서 생산된 제품에 대해 유럽 규격에 적합함을 확인하여 적합성 마크를 부여함 CE 마크: 유럽 적합성 인증마크 (Communauté Européenne) 1993년 시행 제조업체나 제3의 인증기관이 부착 4040

41 유럽 지역 표준화 유럽 지역 표준화 기구 CEN: 전기 및 통신 분야를 제외한 모든 분야의 유럽 규격을 개발
CENELEC: 전기 분야에서의 유럽 규격을 개발 ETSI: 통신 분야에서 유럽규격을 개발 EU의 표준 지정 방식 Regulations(조정서) Directives(지침서) Decisions(결의서) Recommendations(권고서) 4141

42 유럽 지역 표준화 EU의 강제인증제도 현황 분 야 명 주 요 내 용 비 고 New Approach 지침
공산품의 안전 관련 규정 (1997년 3월 현재 18개 분야) CE 마크 제도 자 동 차 정면/측면충돌, 안전벨트 등 형식승인 관련 규정 (1997년 3월 현재 53개 분야) - 트랙터 및 농업기계 형식 승인 규정 식 품 첨가제, 색소, 방부제, 라벨링 등 규정 의 약 품 일반 요건, 유전자 변조 미생물의 사용, GLP 등 화학 제품 위험물질의 유통 및 사용, 분류 등 건 설 크레인의 소음, 호텔의 방화 요건, 건설제품 등 기 타 소음(가전, 잔디 깎기, 건설 현장 등), GLP, 화장품 라벨링, 폐기물(유해 물질, 포장재 등) 4242

43 기타 지역 표준화 기구 아시아권 ACCSQ: ASEM/SCA: AIDMO:
동남아시아국가연대 (ASEAN)의 기술표준 적합성 담당 기구. APEC/SCSC와 유사 ASEM/SCA: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사무국 산하에 위치한 표준 및 기술적합성 담당 기구 ASEM 관련국들 간의 제품 적합성 평가와 기술 표준화 정보 교류 담당 전체적인 역할이나 구성 방식은 APEC/SCSC나 PASC 등과 유사 AIDMO: 아랍, 중동권 산업 협력기구.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UAE, 팔레스타인, 이라크 등 중동, 북아프리카권 21개 국가가 참여. 4343

44 기타 지역 표준화 기구 유럽권 EASC 동유럽의 구 소련 국가들을 중심, CIS (독립국가연합) 소속 국가들이 1992년 결성. 러시아는 물론 벨로루시,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 12개 CIS 국가들이 소속 4444

45 기타 지역 표준화 기구 미주권 COPANT: 멕시코를 축으로 한 민간기구. 미주지역 27개 회원국이 가입중. AMN: 남미권 4개국의 비정부적 지역 표준화 기구. 1991년 결성.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CROSQ: 중미 캐리비안 해 연안 국가들 간의 표준화 조정 기구. 제품유통 및 교역에 있어서 지역 표준을 제정. WTO 대응 업무 진행. 4545

46 기타 지역 표준화 기구 아프리카권 ARSO: SADCSTAN: 범 아프리카권 지역 표준화 기구.
‘지속 가능한 개발’ 중심의 경제 협력. SADCSTAN: 남아프리카 방면의 13개 국가로 구성된 지역표준기구. 4646

47 사적 표준화 단체 IETF(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오늘날 IETF(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는 IESG(Internet Engineering Steering Group)와 함께 인터넷에 대한 새로운 TCP/IP 표준 개발이 주요한 활동 영역으로 IAB의 기술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단체 IAB는 ISOC(Internet Society :1992년 1월 결성)의 자문기구로 인터넷과 프로토콜의 설계와 인터넷 표준화를 RFC 형태로 제공 이 기구는 개방형 표준 기구이기 때문에 어떤 형식적인 멤버 구성이나 멤버 조건 등이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지원자들은 표준 활동에 참여가 가능

48 사적 표준화 단체 W3C (World Wide Web Consortium)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World Wide Web Consortium, W3C)은 특수한 포멧의 문서(HTML)로 지원되는 인터넷 서버 시스템인 월드 와이드 웹 (WWW, W3)을 위한 주요 국제 표준 기구 대표적인 표준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 범용적으로 쓰일 수 있는 Markup Language에 대한 표준 CSS (Cascading Style Sheet) : Markup Language로 쓰여진 문서의 표현을 기술할 때 쓰는 스타일 쉬트 언어 표준 HTML (Hyper Text Markup Lanugage) : 웹페이지를 위한 Markup Language의 표준 XLST (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s) : XML 문서를 변환하기 위해 쓰이는 XML 기반의 언어 표준 CGI (Common Gateway Interface) : 외부 소프트웨어를 위해 웹서버 등을 사용할 때 사용되는 표준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 XML 기반의 메시지들을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할 때 사용되는 표준


Download ppt "1절 국제표준과 표준화활동 표준화강좌."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