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아랍세계 입문 : 모로코 20101031 김정준 20101058 최현제.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아랍세계 입문 : 모로코 20101031 김정준 20101058 최현제."— Presentation transcript:

1 아랍세계 입문 : 모로코 김정준 최현제

2 모로코 개관 국명 : 모로코 왕국 (المملكة المغربية) 수도 : 라바트 (الرباط)
면적 : 710,850Km2 인구 : 약 3,128만 명 ( ) - 아랍-베르베르인 99.1% , 기타 0.9% 언어 : 아랍어, 베르베르어, 프랑스어 종교 : 이슬람교(수니파) 98.7 % 기독교 1.1%, 유대교 0.2%

3 모로코의 역사 B.C 1100 A.D 24 A.D 680 - ㅇ BC 1100년경부터 페니키아인들이 해안지대에 이주 시작,
내륙지방의 거주민인 베르베르족과 접촉 시작 ㅇ 한편, 튀니지 일대를 지배하던 카르타고인들이 아프리카 북부 해안선을 따라 탕제 등지의 식민 항구도시 건설 ㅇ BC 196년 로마에 의한 카르타고 멸망 이후 카르타고 난민들이 동 식민 항구도시로 유입. B.C 1100 A.D 24 ㅇ AD 24년경 베르베르족에 의한 모리타니아 왕국 출현 ㅇ AD 42년 로마 황제 칼리귤라가 모리타니아 왕국에 대한 직접 통치 시작 ㅇ 뒤이어, 비잔틴 제국이 반달족을 격퇴하고,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의 키프르스, 아르메니아, 그루지아 등 동부 제국 수립. A.D 680 - ㅇ 680년 세우타 점령을 시작으로 이슬람교도들의 모로코 침입 시작 ㅇ 711년경에 무어족에 의한 모로코 지배 확립 ㅇ 732년까지 이슬람으로 개종한 베르베르족을 중심으로 모로코의 이슬람화

4 모로코의 역사 이드리스 왕조 (الدولة الإدريسية) 모라비드 왕조 (دولة المرابطين)
ㅇ 787년 이슬람교의 시아파 일부가 수니파의 박해를 피해 모로코로 피난하여 세운 모로코의 아랍왕조 ㅇ 이 시대에 건설된 페즈(Fes)가 스페인과 아프리카 북부를 잇는 중요한 교역지로 발달 ㅇ 이슬람 3대 중요 대학중의 하나인 까라위인 대학을 설립 모라비드 왕조 (دولة المرابطين) ㅇ 남부지방의 베르베르족이 이드리스 왕조가 유목민들의 침입으로 멸망한 공백기를 틈타 마라케쉬를 수도로 하는 왕조 수립 ㅇ 모라비드 왕조는 기독교들에게 빼앗겼던 발렌시아 등 스페인 남부지역을 재탈환하고 세네갈, 알제리, 모리타니, 튀니지, 리비아를 포함하는 대 제국 수립 (모라비드 제국 영토가 1950년대 말 모로코 민족주의자들에 의한 "대 모로코" 건설의 기본 개념이 됨. ㅇ 모라비드 왕조의 종교․사회 개혁 운동에 의해 모로코 이슬람의 순니화

5 모로코의 역사 모하드 왕조 (الدولة الموحدية)
ㅇ 아틀라스 지방의 베르베르족이 모라비드 왕조를 멸망시키고 라바트(Rabat)를 수도로 하는 모하드 왕조를 수립 ㅇ 1212년 스페인의 톨로사 전투의 패배로 그라나다를 제외한 스페인 영토의 대부분을 상실 - 1492년 이슬람의 마지막 거점인 그라나다가 항복하며, 스페인에 의해 무혈 함락 메레니드 왕조 (الدولة المرينية) & 와타시드 왕조 (الدولة الوطاسية) ㅇ 모로코 지역 거주 부족 중 하나인 메린족이 모하드 왕조 쇠퇴에 따른 혼란기에 페즈를 수도로 하는 왕조를 수립. ㅇ 1465년 와타시드 족이 쿠테타를 통해 왕위를 찬탈 그러나, 계속된 혼란으로 중앙정부의 권위가 미치는 지역이 매우 제한됨. ㅇ ‘페즈의 전성기’, 그러나 정치적 혼란은 계속되었음.

6 모로코의 역사 사아드 왕조 (الدولة السعدية) 알라위트 왕조 (الدولة العلوية)
ㅇ 혼란이 계속되는 중에 이드리스 왕조이래 두 번째 아랍왕조인 사아드 왕조가 수립 되고, 포르투갈로부터 대서양 연안의 일부 항구도시를 탈환 ㅇ 사아드 왕조의 알-만수르는 이전의 모로코 통치자들과는 달리 유럽 북부의 신교도들과 연합하여 스페인의 구교도들을 정치, 군사적으로 압박하고 네덜란드 및 영국과의 통상을 장려 ㅇ 알-만수르 사망 이후 3인의 왕자들 간에 내전이 발발하고 왕국은 마라케쉬, 메크네스, 라바트 등 3개 지역으로 분열 알라위트 왕조 (الدولة العلوية) ㅇ 알라위트 왕조는 사아드 왕조와 마찬가지로 종교적 지도력 확립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 ㅇ 유럽의 나폴레옹 전쟁후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은 열강의 아프리카 진출 교두보로서 모로코 침공개시 ㅇ 스페인은 영국, 이태리, 독일과의 협정 아래 1907년부터 모로코 분할 강점 시작

7 모로코의 역사 : 식민지 이후 ㅇ 프랑스의 식민지 경영 정책에 따라 아틀라스 산악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확고한 통치권 확보.
프랑스인들의 대규모 이민 및 프랑스 식민 정부의 유화정책에 따라 프랑스 문화 보급 확대 ㅇ 1930년 라바트와 페즈에 거주하는 프랑스 교육을 받은 모로코 엘리트를 중심으로 이슬람을 배경으로 한 민족주의 운동이 태동 ㅇ 1927년 즉위한 국왕 무함마드 5세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민족주의자들과 함께 모로코의 독립 추구하였으나, 1953년 프랑스 식민 당국에 의해 강제 망명 ㅇ 국왕 무함마드 5세는 해외 망명지에서 모로코의 일방적인 독립을 선언하였고, 1956년 프랑스와 스페인은 모로코의 독립인정 모로코의 유엔가입

8 모로코의 정치 ⊙ 정치 형태 : 입헌군주제. * 미국과 같은 양원제 채택 ⊙ 국왕이 행정, 사법, 입법 3권에서 거의 절대적인
⊙ 정치 형태 : 입헌군주제. * 미국과 같은 양원제 채택 ⊙ 국왕이 행정, 사법, 입법 3권에서 거의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고 있음. = 군림할 수도 , 직접 통치 할 수도 있는 존재 국왕은 종교최고지도자,국가 원수, 국가 통일의 상징, 국가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이슬람과 국헌의 수호자임 - (헌법 제19조) ⊙ 최근 국무총리와 의회의 권한을 키우는 헌법 개정안에 국왕이 동의 ▷ 모로코의 국장 ▷ 현재 모로코 국왕 ; 무함마드 6세

9 모로코의 정치 사법부 상원 - 교육ㆍ사회ㆍ문화 위원회 외무ㆍ국경ㆍ점령지ㆍ국방 위원회 내무ㆍ지방자치 위원회
상원 - 교육ㆍ사회ㆍ문화 위원회 외무ㆍ국경ㆍ점령지ㆍ국방 위원회 내무ㆍ지방자치 위원회 재정ㆍ설비ㆍ계획ㆍ지역개발 위원회 사법ㆍ인권 위원회 농업ㆍ경제 위원회 입법부 (의회) 하원 - 외무ㆍ국방ㆍ이슬람 위원회 사법․법제․인권위원회 내무ㆍ분권화ㆍ인프라위원회 재경ㆍ경제개발위원회 산업분과위원회 사회분과위원회 입법부

10 모로코의 문화 - 언론 o 모로코의 출판 문화는 19세기에 시작 그 이전에는 …
왕명을 실은 베카, 종교 순례자로 소식을 전하는 베라가 소식을 전함. o 모로코의 언론은 정부에 대한 자율성이 상당히 낮은 수준 - 국왕에 대한 비판 보도는 허용되지 않음. 라디오 방송국 : 2개 - S.N.R.T, Medi I T.V. 방송 : 2개 – SNRT, 2M 주요일간지 - Le Matin du Sahara et du Maghreb, L'Opinion الصباح , المساء ,العالم

11 모로코의 문화 - 교육 o 주요 교육 시책 : 일반화, 지역간 격차 축소, 모로코화 및 아랍화 o 정부 교육 정책 :
- 정부 총예산의 26.3 %를 교육에 투입 - 지역간 격차 축소 및 교육 기회 확대 정책 추진 1963년부터 7세 - 13세 남․녀 아동에 대한 기초 의무교육 실시 o 교육제도는 우리나라 제도와 비슷함. ( 제도) 초등학교(Ecole Primaire) ->중학교 (Collège) -> 고등학교(Lycée) -> 대학교(Université, Ecole Special) ->대학원 (3eme Cycle) 및 박사과정(Doctorat) 우리나라와의 차이점 고등학교 때부터 전공을 선택함 공립교육에 드는 교육비는 국가가 지원

12 모로코의 문화 - 종교 o 이슬람교(수니파) 98.7 %, 기독교 1.1%, 유대교 0.2%
이슬람교가 국교이며, 국왕이 종교수반을 겸하고 있음. 헌법에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어 있고, 주로 외국인을 위하여 전국에 가톨릭 성당 10개, 기독교회 5개, 유대교회10개 등이 있음 모로코인에 대한 타 종교의 포교 행위는 법으로 금지되어 있음.

13 모로코의 경제 o 석유 부존 자원이 없음 – 1인당 GDP 2900$ (2009.)
그러나 아프리카의 제 4위의 수입규모를 차지 o 총 GDP의 20% , 노동 인구의 절반이 농업 농업 부분의 성과가 전체적인 경제에 영향을 미침 o 제조업 등 비농업 분야의 완만한 성장세 경제 개방과 외국인 투자 유치 노력의 결과로 보여짐. o 주요 수입품 : 중간재, 자본재, 식료품, 농·산업 기계 o 주요 수출품 : 중간재, 소비재, 섬유, 전기부품

14 모로코의 경제 <대표적인 경제도시> 사피 – 근처 평지에서 캐낸 인산염을 수출하는
주요 항구 중 하나이자 산업 중심지 2. 베니멜랄 – 대규모 농업지대인 타들라 평원에 위치 경공업과 대학을 유치하는 진보적인 발전 또한 있음 3. 카사블랑카 – 아프리카 북서부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모로코 공업의 대부분과 수출입 무역의 ¾가 통과하는 공업도시 4. 탕헤르 – 항구의 일부가 자유무역 지구이며 어업을 비롯한 조선 ·섬유 ·타이어 공업이 발달.


Download ppt "아랍세계 입문 : 모로코 20101031 김정준 20101058 최현제."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