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소아의 영양 Feedings of Infants and Children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소아의 영양 Feedings of Infants and Children"— Presentation transcript:

1 소아의 영양 Feedings of Infants and Children

2

3 영유아 영양의 기본 목표 ① 적절한 성장과 발달을 유지 ② 각 영양소 부족을 예방 ③ 바람직한 식사습관과 식생활의 확립

4 영양 필요량 1. 열량 (1) 소아는 성장과 발육을 계속하므로 성인에 비하여
비례적으로 더 많은 칼로리가 필요 kcal/일(그림 4-1) (2) 기초대사: 50%, 성장: 12%, 육체활동 25% 대변을 통한 소실 8%, 음식물의 발열효과 5% (3) 생후 1년 : 110(80~120) kcal/kg/일 (4) 균형 잡힌 식사(well-balanced diet)     단백질 : 9~15%(10%) ,  지 방 : 35~45%(40%)     탄수화물 : 45~55%(50%)

5 단백질(Protein) 탄소(C), 수소(H), 산소(O), 질소(N) 구성되며
황(S)을 함유하기도 한다. 세포성분 중에서 물 다음으로 많은 양을 차지한다. 2. 몸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화학반응, 생리기능을 조절한다 세포막 등의 세포기관을 구성하며 효소, 호르몬 등의 성분으로 생체 내 각종 화학반응, 생리기능 조절, 근육, 헤모글로빈 및 항체를 구성. 3. 탄수화물과 지방이 부족할 경우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에너지원으로써 1g당 4kcal의 열량을 낸다.

6 아미노산 아미노산은 단백질구성의 기본성분 중심 탄소 1개, 수소(-H) 염기로 작용하는 아미노기(-NH2)
산으로 작용하는 카르복시기(-COOH) 탄소와 수소를 구성원소로 하는 원자단인 R부분으로 구성. R의 구성에 따라 약 20여종의 아미노산으로 분류

7 펩티드 결합 단백질: 아미노산의 폴리펩티드 결합체
단백질: 아미노산의 폴리펩티드 결합체 아미노산과 아미노산이 결합할 때, 한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의 –OH와 다른 아미노산의 –H가 H2O로 되어 떨어져 나가면서 결합 이러한 결합(-CO-NH-)을 펩티드결합이라고 한다.

8 아미노산의 종류

9

10 단백질의 구조 1차, 2차, 3차, 4차의 네 단계의 구조가 있다.

11 탄수화물의 정의 C.H.O로 이루어진 유기물 식물의 엽록소에서 합성: 6H2O + 6CO2 C6H12O6 + 6O2 빛
주요한 에너지 급원: 4Cal/1g

12 포도당의 구조 포도당은 선상 쇄와 환의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는데, 환상구조가 99% 이상을 차지한다.
환상구조에는 α와 β의 두 가지 포도당이 있는데, 이 둘은 1번 탄소에서의 -H와 -OH의 놓인 상태가 다를 뿐이다. 둘은 상호 전환되며 물에 녹으면 평형상태로 존재한다. α와 β포도당의 구조

13 탄수화물의 분류 단당류(Monosaccharides) 이당류(Disaccharides)
올리고당(Oligosaccharides) 다당류(Polysaccharides) 1) 단순다당류(Simple Polysaccharides) 2) 복합다당류(Complex Polysaccharides)

14 탄수화물의 분류 1) 단당류-단순 당류이며, 큰 당류를 이루는 단량체 ex)포도당, 갈락토오스, 과당
2) 이당류-두 개의 당류로 이루어짐 ex)설탕, 엿당, 젖당 3) 올리고당류-3~15개의 단당류로 이루어짐 ex)프락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etc 4) 다당류-수십만 개의 단당류로 구성된 큰 중합체 ex)녹말, 글리코겐, 셀룰로오스

15 단당류 3탄당-3개의 탄소를 가진 당류 ex)글리세르알데히드 5탄당-5개의 탄소를 가진 당류 ex) 리보오스, 데옥시리보오스
6탄당-6개의 탄소를 가진 당류 ex)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16 올리고당류 여러 부위에서 글리코시드 연결을 통하여 연결된 몇 개의 단당류를 포함하는 당류
올리고당류는 당류로 하여금 특수한 성질을 갖게 해 주는 추가적인 기능기를 갖는다. 올리고당류는 흔히 세포의 외부 표면에서 단백질, 지질 등과 공유결합을 이루어 세포 인식 신호의 역할을 한하며, 또한 ABO식 혈액형을 결정

17 다당류 글리코시드 연결을 통하여 연결된 단당류의 거대한 사슬 이러한 다당류의 종류에는 녹말, 셀룰로오스, 글리코겐 등이 있다.

18 글리코겐(Glycogen): 포도당의 복잡한 가지 친 모양, 동물의 간.근육에 분포
1) 단순다당류: 1종류 단당으로 구성 전분(Starch): Amylose + Amylopectin 식물의 주요 에너지 급원 덱스트린(Dextrin): 산.효소에 의해 전분 이 맥아당으로 분해 시 생기는 중간물질 섬유소(Cellulose): 포도당의 베타1,4 결 합, 사람은 소화 못 시킴 글리코겐(Glycogen): 포도당의 복잡한 가지 친 모양, 동물의 간.근육에 분포

19 2) 복합다당류: 2종 이상 단당으로 구성 펙틴: 과일에 분포, 쨈.젤리(>1% 펙틴)
키틴질: 갑각류(껍질)에 분포, 건강식품 점질다당류: 결합조직에서 면역력 증진 Mannan: 곤약의 성분, 저 열량 식품 한천: 홍조류에 분포, 젤라틴의 성분 알긴산: 갈조류에 분포, 점성 부여 검류: 식물에 분포, 식품에 유동성 부여 이눌린: 돼지감자, 우엉의 성분 페놀계 다당류: 케일.녹즙 성분, 암예방

20 LIPID 지방의 정의 Fat: 상온에서 고체 Oil: 상온에서 액체 카르복실기(-COOH)가 탄화수소에 붙어있는 유기물
에너지 급원: 9Cal/1g

21 지질의 성분 탄소, 수소, 산소의 3원소로 구성된 유기화합물
물에 녹지 않고 ether, acetone,alcohol, benzene, chloroform 등의 유기용매에 녹는다. 동식물성 식품에 광범위하게 분포, 특히 동물의 근육, 피하조직, 식물의 종자 상온에서 액체상태로 있는 것을 유=기름(oil), 고체상태로 있는 것을 굳기름 혹은 지=지방(fat) 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쇠기름, 돼지기름, 야자유)은 일반적으로 고체, 보통 식물성 기름은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액체

22 지방의 기능 에너지 공급원: 9Cal/1g 필수지방산의 공급 지용성비타민 흡수: 비타민 A, D, E, K 흡수
장기의 보호: 심장, 신장, 폐 등 장기 보호 체온의 유지: 온도 급강 시 체온 발산 막음 .리놀레닌산 .아라키돈산 .리놀레인산

23 지방의 분류 단순지방(Simple Lipids) 복합지방(Compound Lipids) 유도지방(Derived Lipids)
1)지방산(Fatty Acids) 2)탄화수소(Hydrocarbons)

24 단순지방(Simple Lipids) 식물외피 보호 중성지방(Triglyceride) 고급알콜+지방산 왁스 글리세롤+지방산
지방의 95-99% 글리세롤+지방산 식물외피 보호 중성지방(Triglyceride) 왁스 (Wax)

25 지질의 분류와 구분 단순지질 (simple lipid)
지방산과 각종 알코올로 이루어진 에스테르의 총칭으로서 중성지질, 왁스로 나눌 수 있다. 식품이나 체내 지방산의 95% 는 중성지질의 형태로 존재 중성지질 중성지질(glyceride); 글리세롤의 수산기(-OH)에 지방산의 카르복실기(-COOH)가 에스테르 결합하면서 물이 빠져나온 것, 지방산이 1분자 결합한 모노글리세리드(monoglyceride), 2분자 결합한 디글리세리드(diglyceride), 3분자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26 지질의 분류와 특징 지질 특징 단순지질 *중성지질 *왁스 지방산과 각종 알코올의 에스테르 *지방산과 글리세롤의 에스테르
*지방산과 고급1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복합지질 *인지질 *당지지질의 분류와 특징 *지단백질 단순지질에 인산, 당, 단백질 등이 결합되어 있는 물질 *지방산과 인산을 함유하는 것 *당을 함유하는 것 *단백질과 결합한 것 유도지질 *지방산 *고급알코올, 탄화수소, 스테롤, 지용성비타민 단순, 복합지질의 가수분해생성물, 유기용매에 녹는 탄화수소 등

27

28 지방산의 분류 분자 내에 이중결합이 없는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과 이중결합을 가지는 불포화 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로 구분 탄소수: 4~6개 짧은 사슬지방산, 8~12개 중간 사슬지방산, 14~20개 긴 사슬지방산, 22개 이상 매우 긴 사슬지방산 영양적: 필수지방산과 불필수지방산

29 ω-6 지방산: 식물성기름 예) 리놀레인산(C18:2),
지방산(Fatty Acids) 포화지방산: 동물성지방 예) 팔미틴산(C16), 스테아린산(C18) 단일불포화지방산: 1개 이중결합 예)올리브기름(C18:1) 다가불포화지방산: ω-6 지방산: 식물성기름 예) 리놀레인산(C18:2), 아라키돈산(C20:4), ω-3 지방산: 생선기름, 리놀렌산(C18:3) 예) EPA(C20:5, Eicosapentaenoic Acid) DHA(C22:6, Docosahexaenoic Acid)

30 필수지방산 (Essential Fatty Acid ; EPA)
불포화지방산중에서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은 동물의 정상적인 성장과 건강유지를 위하여 꼭 필요하지만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합성되는 양이 적어서 식사를 통하여 섭취해야 하므로 필수지방산으로 불린다. 리놀레산, 리놀렌산은 동물의 체내에서 합성될 수 없으며, 아라키돈사은 프로글란딘의 전구체로 중요하다.

31 포화지방산의 탄화수소 일부

32 불포화지방산의 탄화수소 일부 (이중결합2개)

33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구조

34 포화지방산 버터, 쇠기름, 돼지기름, 난유등 동물성 식품의 유지에 많이 함유
버터, 쇠기름, 돼지기름, 난유등 동물성 식품의 유지에 많이 함유 대부분은 탄소수 16개의 팔미트산(palmitic acid)과 18개의 스테아르산(stearic acid)이 많이 존재 야자유와 버터는 저급 지방산을 많이 가지며 탄소수가 26개 이상은 주로 왁스성분을 이룬다. 보통 탄소수 4개 이상일 때 탄소 사슬이 길수록 물에 녹기 어렵고 녹는점(융점)도 높아진다.

35 Stearic Acid Stearic acid is 18 carbons long, and each atom meets the rules of chemical bonding described in Chapter 4. A fatty acid like stearic acid that contains only single bonds between its carbon atoms is a saturated fatty acid.

36 Oleic Acid Two carbons form a double bond to create oleic acid, an 18-carbon monounsaturated fatty acid

37 불포화 지방산 이중결합의 수에 의해 모노, 디, 트리 등의 지방산으로 구분.
콩기름, 미강유, 옥수수유, 채종유 등 식물성 기름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상온에서 굳어지지 않는다. 탄소수18개로 이중결합 1개의 올레산과 2개의 리놀레산이 많다. 어유와 고래기름은 아이코사펜타에노산(EPA)과 도코헥사에노산(DHA)등 이중결합이 좀더 많은 지방산을 함유. 이들은 다가 불포화 지방산으로 부른다. 리놀레산과 같은 구조의 것은 n-6계 지방산이며 리놀레산, 아이코사펜타에노산(EPA), 도코헥사에노산(DHA) 등은 n-3 계 지방산이다. 불포화 지방산은 같은 탄소수의 포화지방산과 비교하여 융점은 현저히 낮고 상온에서 액상이며 반응선이 풍부하다. 이중결합이 많을수록 산화하기 쉽고 불안정

38 단일불포화 지방산(MUFA) SFA를 MUFA로 대체 섭취 시: 혈청 총 콜레스테롤, LDL-C, TG 수준 감소
이러한 효과는 MUFA의 섭취량이 적당한 수준에서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 MUFA의 섭취량이 더 많아져도 같은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는데 그침

39 Omega-3 and Omega-6 Fatty Acids
The omega number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first double bond in a fatty acid, counting from the methyl (CH3) end. Thus an omega-3 fatty acid’s first double bond occurs three carbons from the methyl end, and an omega-6 fatty acid’s first double bond occurs six carbons from the methyl end. The members of a given family may have different lengths and different numbers of double bonds, but the first double bond occurs at the same point in all of them.

40 n-3 지방산 혈청 중성지방 수준 감소 EPA, DHA : 총 콜레스테롤, VLDL-C, HDL-C, TG 수준 감소
혈전 형성 방해, 관상심장병 발병 예방 고혈압 환자에게서 혈압 강하 어떤 종류의 암 발생 억제 항 염증 기능 α-linolenic acid 결핍 시: 뇌세포의 DHA 함량 감소, 인지기능과 학습능력 장애 초래

41 영양 필요량 2. 수분 (1) 정상영아: 125~150 ml/kg/day, 불감수분 소실 40-50%, 소변 40-50%
대변으로 배출 3-10% (2) 영아: 수분이 체중의 75-80%(성인 55-60%) (3) 하루에 필요한 수분량: 건강한 소아는 체중의 10-15%, 성인은 2-4% 3. 단백질: 성인 체중 20%을 차지 (1) 영아 : 2~2.5 g/kg/day      소아 : 1.5~2 g/kg/day (2) 영아 필수 아미노산 : threo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lysine, tryptophan, phenylalanine, methionine, histidine ▶ arginine, cystine, taurine : 저체중 출생아에서 필수 아미노산 ▶ Negative nitrogen valance

42 영양 필요량 4. 탄수화물: 체중의 1%, 체내에 저장하고 있는 량이 적다 (glycogen)
5. 지 방: 95% 트리글리세리드(중성지방) 6. 칼슘 (1) 모유 영양아 : 40 mg/kg/day 우유 영양아 : 70 mg/kg/day (2) 유아 : 0.5 g/day (3) 10세 : 1300 mg/day 필요

43 영양 필요량 7. 철 (1) 0~6개월 : 6 mg/day , 6~12개월 : 10 mg/day
(2) 공급원 : 간, 고기, 난황, 녹색식물, 건포도, 곡물, 견과 (3) 모유의 철은 49%, 우유의 철은 5-10% 흡수 8. 플루오르 (Fluoride) 뼈와 치아의 hardness와 관계가 있다. (충치를 예방하는데 도움) 치아 법랑질(enamel) 형성되는 시기에 0.7 ppm 정도의 불소사용이 추천.

44 영양 필요량 9. 아연 (Zinc): 미량 원소로서 인체에서 결핍증을 일으키기 쉽다. (1) 결핍 원인: 장기간의 정맥영양,
흡수 장애, 신부전, 모유 내 아연 부족 (2) 증상: 간비종대, 빈혈, 심한 설사, 성장장애(성 성숙지연),  탈모증, 각막 혼탁

45 영양 필요량 ▶ Acrodermatitis enteropathica (창자병증말단피부염)
      ① autosomal recessive disorder abnormalities in zinc aborption       ② 증상 : diarrhea, alopecia, muscle wasting, depression, irritability, rash (extremities, face, perineum에 주로 생기 며 vesicular & pustular crusting with scaling & erythroma가 특징적)      ▶ 심한 설사와 간비종대가 있을 때 아연의 결핍을 의심. 10. 구리 결핍 : 빈혈, 호중구 감소증, 골간단이상 11. 크롬 결핍 : 내당력 장애, 성장 및 체중 감소, 고지질혈증

46 영아의 영양 Feeding of Infants

47 모유 영양 Breast Feeding

48 모유 영양의 장점(1) 1. 영아에게 유리한 점 ① 사람에게 가장 잘맞은 영양물, 우유제품 보다 우수,
1. 영아에게 유리한 점    ① 사람에게 가장 잘맞은 영양물, 우유제품 보다 우수, 영아 초기(4~6개월간)에는 충분한 영양이 된다.    ② 신선하고 무균적이며 적당한 온도 유지, 편리    ③ 비타민과 미네랄 흡수가 더욱 효과적이다 (양은 적으나 흡수는 효과적)    ④ 모유에 함유된 방어인자      - secretory IgA, 대식 세포, 백혈구, lactoferrin (철 결합 단백 , 대장균 등의 성장 억제)       - lysozyme,fibronectin,nucleotide → 위장관 감염 및 호흡기 감염에 덜 걸림

49 모유 영양의 장점(2) - 장점막발달촉진 ⑥ 우유알레르기나 불내증에 의한 증세(젖을 넘기는 것, colic,
⑤ 호르몬(cortisol, isnsulin, 갑상선 호르몬), 성장인자 함유 - 장점막발달촉진    ⑥ 우유알레르기나 불내증에 의한 증세(젖을 넘기는 것, colic, 설사, 장출혈, 아토피성 습진 등)가 적다. ⑦ DHA, arachidonic acid & linoleic acid 등 필수지방산과 불포 화 지방산이 많다. ⑧ 어머니와 어린이 양측에게 심리적으로 만족스러운 관계

50

51 모유 영양의 장점(3) : 설사, 호흡기 질환, 중이염, 균혈증, 세균성 수막염, 요로감염, botulism, 괴사성 장염
⑨ 다음과 같은 질환의 빈도가 적거나 증상이 가볍다.       : 설사, 호흡기 질환, 중이염, 균혈증, 세균성 수막염, 요로감염, botulism, 괴사성 장염 ⑩ 질환에 대하여 방어적인 영향을 가지고 있다.       : 영아 돌연사 증후군,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Crohn병, 궤양성 대장염, 림프종, 알레르기 질환, 만성 소화기 질환   ⑪ 인지능력 발달에 도움

52 모유 영양의 장점(4) 2. 산모에게 유리한 점 ① Oxytocin을 증가시켜 산후 출혈을 적게 한다.
   ② 수유에 의한 무월경으로 출산 후 월경에 의한 실혈을 적게 한다.    ③ 수유모는 임신 전 체중으로 빨리 회복된다.    ④ 배란을 늦게 오게 함으로써 다음 임신을 늦춘다.    ⑤ 산후 뼈의 재골화를 촉진시킨다.    ⑥ 난소암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⑦ 갱년기 전 유방암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3. 사회적 경제적 이득    ① 양육비 감소, 보건 의료비 감소

53 초유 (colostrum) 2. 짙은 레몬빛 노란색 하루 10~40 ml 분비
1. 임신 후반기부터 출산 후 2~4일까지 2. 짙은 레몬빛 노란색 하루 10~40 ml 분비 3. 성숙모유에 비해 단백질, 칼슘, 무기물 많이 함유 , 탄수화물, 지방 적게 함유       면역학적 요소 다수 함유 (IgA, lactoferrin, 백혈구 많이 포함) 성숙유에 비해 칼로리가 낮다.    자연적으로 설사작용

54

55 모유영양을 할 때 유의사항 (1) 월경 재개나 임신을 하여도 산모에게 충분히 영양 공급하면서 모유 수유를 계속한다.
모유영양을 할 때 유의사항 (1) 월경 재개나 임신을 하여도 산모에게 충분히 영양 공급하면서 모유 수유를 계속한다. (2) 미숙아 영양    ① 2000g 이상 미숙아 : 모유수유로 충분    ② 심한 미숙아 : 모유 영양 강화식 추가 공급                     빠는 힘이 약하거나 쉽게 피로해지면 경관 수유   ③  저장된 비타민 E가 부족하여 미숙아 용혈성 빈혈이 잘 온다.    ④ 칼슘과 인의 저장량이 낮다.    ⑤ 미숙아는 만삭아에 비해 체중당 더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한다.

56 모유영양 시에 유의사항 (3) 비타민 K 모유에는 비타민 K 함량이 낮으므로 신생아 출혈성 질환이 생
길 수 있다. 모든 신생아, 특히 모유영양아는 출생시 비타민 K1을 투여 (4) 출산 후 되도록 빨리 (30~1시간) 모유 수유 시작하도록 한다. 제왕절개로 분만한 경우에도 아기와 산모의 상태가 정상이면 분만실이나 회복실에서 바로 수유를 하고 마취로 분만했을 때 에도 산모가 마취에서 완전히 깨어난 후에 곧바로 수유를 한다.

57 모유영양 시에 유의사항 (8) 1주일 동안은 젖이 충분히 나오지 않는다는 것을 미리 알려 준다 젖을 계속 빨리면 모유의 양이 차츰 늘고, 아기도 차츰 (즉, 생후 2-3일간 모유분비가 없어도 젖을 물린다). (9) 젖을 빠는 시간은 한번에 20분이면 충분하다. 대다수의 아기는 처음 4분 동안에 약 80%를 빤다. 모유를 빨린 후에 연달아 우유를 먹이는 것을 피해야 한다. (10) 모유 짜기와 보관: 전기식 유축기로 짜는 것이 효과적 모유보관용기: 매번 사용 후 뜨거운 비눗물로 세척 건조 유리 및 플라스틱, 최대 6개월 까지 냉동보관, 따뜻한 물에 해동 한다. 전자레인이지 사용은 금기 녹인 후 24시간 내에 먹인다.

58 모유 수유시의 문제점 (1) 유두 동통 (sore nipple) (2) 유방 울혈 : 주로 분만 2-7일후에 주로 발생한다.
      : 자주 수유를 시키고, 손 기계를 이용하여 젖을 짜준다. (3) 유선염 : 젖을 자주 물리고 완전히 잘 비우고 항생제 (4) 모유 황달 : 심한 경우에는 1-2일 수유를 중단하였다가 다시 먹이기 시작한다.

59 모유 수유 (Breast feeding)의 금기
(1) 산모측   ① 임산부의 활동성 결핵, HIV HTLV, 심한 만성 질환(암 기타) 영양 실조시에 는 금한다. 결핵은 2주간 약물투여를 하면 금기가 아니다. ② 분만과 관련된 합병증 : 심한 출혈, 패혈증, 자간 ③ 모유를 통한 전달이 가능한 약물 중독        * 어머니가 결핵에 대한 치료를 받고 있을 때에는 수유를 해도 됨 (치료기간이 2주일 이상인 경우)

60 모유 수유 (Breast feeding)의 금기
* 출생 직후 HBIG와 HBV vaccine을 주사하면 모유영양 을 해도 좋다 (어머니의 B형 간염은 금기가 아니다) * 임산부 C 형 간염:모유수유가 금기가 아니다. * 임산부 수두 바이러스 감염: 활동성 병변에 접촉하지 않게 한다. ④ 매독은 분만 직전에 새로 감염된 경우를 제외하고서는 모유 영양의 금기가 되는 일은 드물다. ⑤ 임산부의 흡연 , mastitis는 금기가 아니다. 알코올 섭취는 하루 0.5g/kg 미만: 맺 2캔 와인 2잔 (2) 아기측 : 심한 미숙아 (< 2000g) → 모유영양 강화식 추가            galactosemia, PKU 등  

61 인공 영양

62

63 모유와 우유의 성분 비교 성분(L당) 모유 우유 에너지(kcal) 단백질(g) % 유청/카세인 지방(g) % MCT/LCT
  % 유청/카세인 지방(g)   % MCT/LCT 탄수화물(g)   % lactose 칼슘(mg) 인(mg) 마그네슘(mg) 나트륨(mg) 680 10 72/28 39 2/98 72 100 280 140 35 180 33 18/82 8/92 47 1200 920 120 480

64 모유와 우유의 성분 비교 성분(L당) 모유 우유 칼륨(mg) 염소(mg) 아연(㎍) 구리(㎍) 철분(㎍) 비타민 A(IU)
비타민 D(IU) 비타민 E(IU) 비타민 K(㎍) 525 420 1200 250 300 2230 22 2.3 2.1 1570 1020 3500 100 460 1000 24 0.9 4.9 ※ 모유 → 단:지:탄=1:4:7,   우유 → 단:지:탄=3:3:5

65 모유와 우유의 성분 비교 성분(L당) 모유 우유 티아민 (비타민 B1) (㎍) 리보플라빈 (비타민 B2) (㎍)
니아신(mg) 비오틴(㎍) 판토테닌산(mg) 엽산(㎍) 비타민 B12(㎍) 아스코르빈산(mg) 210 350 93 1.5 4 1.8 85 1 40 300 1750 470 0.8 35 3.5 50 17

66 ■ Hypocalcemic convulsion
■ 모유와 우유의 비교 둘 다 양이 같은 것 : 수분, 칼로리 모유에 양이 많은 것 : 불포화지방과 당(sugar) 우유에 양이 많은 것 : 단백질, mineral, casein, 포화지방                                            (그러나 흡수는 모유가 더 많이 된다) ■ Hypocalcemic convulsion 우유는 모유에 비해 Ca/P 비가 맞기 때문에 hypocalcemic convulsion을 야기하기 쉽다.

67 인공 영양때 기법 및 주의점 (1) 아기가 만족할 만큼 먹고 나서 젖을 먹지 않을 때에는 그대로 두면
된다. 우유가 남아 있다고 해서 그 양을 다 먹이기 위하여 강제로 먹여서는 안된다. (2) 하루 먹이는 우유 총량은 1000ml이하,1회 먹이 최대량은 240ml이다. (3) 하루에 필요한 수분량을 전부 우유로 줄 필요는 없다. (4) 영아용 조제 우유 대신에 생우유는 12개월 후에 추천한다. (5) 아기가 12~18개월이 되면 대개 우유병으로 먹는 것보다는 컵으 로 마시는 것을 좋아하게 된다.

68 비타민과 무기질의 보충 (1) 철분 : 만삭아는 4~6개월, 미숙아는 2개월이면 모체로부터 받은
철분이 고갈되므로 보충해 주어야 한다. (2) 플루오르 : 생후 6개월 동안은 모유 영양아든 인공 영양아든간에 주지 않는다. 6개월~3세 사이에서는 먹는 물에 불소량이 아주 부족 할 때만 보충해 준다.

69 비타민과 무기질의 보충 (3) 비타민 D 추천량: 400IU/일 (4) 비타민 A 추천량; 1,500-2,000 IU/일
(5) 비타민 C 추천량; mg /일 : 오렌지 쥬스가 가장 좋고, 파인애플이나 토마토도 좋 다. 물에 희석하여 생후 2주부터 먹이기 시작하여 차차 증량 나중에는 희석하지 않은 것을 먹인다.

70 이유식 (Weaning diet)

71 이유식(weaning) 이란? 모유나 분유 수유를 하는 영아에게 반고형식을 주기 시작하여 점차 고형식을 먹이는 것
분유를 빠는 것으로부터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 삼키는 것으로 발달해 가는 과정 일시에 모유와 분유를 끊는 것이 아니므로 이유기의 보충식(complementary Feeding)

72 이유식의 목적 영양밀도가 높은 고형식으로 영양 보충 고체 음식을 삼키는 연습 → 두뇌에 자극을 주어 지능 발달
바른 식사 습관 습득 자립심의 발달

73 이유식의 기본원칙(1) 매일 일정한 시간,장소에서 준다. (오전 10시경 수유 전, 돌 전후에는 어른의 식사시간)
초기에는 여러 가지 재료를 섞지 말고 한가지 음식을 준다. 양은 ¼ 티스푼에서 시작하여 점차 증가한다.

74 이유식의 기본원칙(2) 한번에 한가지씩 첨가 하고 2-3일 간격 으로 양을 증가. 새로운 음식은 1-2주 마다 첨가.
소시지, 당근, 땅콩 종류는 사래가 들기 쉽고 기도로 흡입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위생적으로 조리 및 보관해야 한다. 설탕, 소금, 조미료는 첨가하지 않고 참기름, 마가린은 이유 후기에 첨가한다.

75 이유초기(생후 4~6개월)의 진행방법

76 이유식 (Weaning diet)의 잇점 ① 식사습관이 좋아지며 맛에 대한 감각 발달 ② 칼로리 섭취가 늘어 성장이 빠르다.
 ① 식사습관이 좋아지며 맛에 대한 감각 발달  ② 칼로리 섭취가 늘어 성장이 빠르다.  ③ 부족되기 쉬운 영양소가 보충, 철분공급  ④ 밤에 적게 울고 덜 깨어 수면 습관이 좋아진다.  ⑤ 언어 발달 빨라진다.

77 이유식의 시작시기(1) 생후 4-6개월 모유 수유아 : 6개월, 분유 수유아 : 4개월 전후
모유 수유아 : 6개월, 분유 수유아 : 4개월 전후 미숙아, 우유단백 알레르기1-2개월 늦게 시작 출생시 체중의 약 2배, 6-7kg Development : 1. 머리를 가눌 수 있고 앉기 시작하는 시기 2. 수저를 유심히 바라보고 어른이 먹는 것을 보면서 입을 오물거 릴 때 3. 무엇이든 입으로 가져가는 시기 4. Tongue-Pushing reflex가 소실되는 시기(3-4개월)

78 이유시작 시기에 따른 문제점 이유 시기 문제점 너무 빠른 경우 1. 모유 분비량의 감소 2. 대사기능의 미숙에 의한 설사
3. 장벽의 미숙에 의한 식품알레르기 질환의 발생 4. 삼킴 운동 미숙과 위식도 역류로 호흡기 증상의 발생 5. 영아비만의 위험성이 증가 너무 늦은 경우 1. 식사습관형성 장애, 새로운 음식 먹는 것을 거부 2. 성장부진 3. 열량과 단백질 부족으로 인한 면역 기능 저하 4. 영양결핍(미량 영양소의 부족) 5. 편식

79 이유식의 단계(1) 이유초기(4-6개월) 충분한 영양공급보다는 수저로 먹는 것을 익히는 시기
미음, 삶아서 으깬 야채나 과일, 과즙 -- 반 유동식, 1회/일 이유 중기(7-9개월) 턱의 상하 움직임이 시작되어 음식을 어느 정도 굴릴 수 있게 된다. 혀나 잇몸으로 부시는 부드러운 고형식(암죽), 2회/일

80 이유식의 단계(2) 이유후기(10-12개월) 고형식을 도입 및 Self-Feeding에 중점
수유의 횟수를 줄여 성인식으로 전환하는 단계 -- 죽,밥 등 고형식, 3회/일 과자나 빵 등을 직접 손으로 집어 먹게 한다. 수저 사용법을 익히도록 하며 혼자 컵을 사용해 먹도록 한다. 이유 완료기(12개월 이후) 성인용 식사를 이용 잘게 자르거나 부드럽게 삶아 준다. 일일 분유(또는 생우유) 섭취량 ml정도를 권장 하루에 세 번, 일반식을 섭취한다.

81

82 이유식 할 때 유의사항 건강 상태가 좋을 때 시작한다. 수유 전에 주는 것이 새로운 음식을 받아들이기 좋다.
배가 지나치게 고플 때 주면 짜증내고 실패하기 쉽다. 앉은 자세에서 준다 : 목에 걸리고 사래 드는 것 방지

83 이유식 할때 유의사항 지방 제한은 바람직하지 않다. (열량, 필수지방산, 지용성 비타민, 콜레스테롤이 부족하여 두뇌 및 신경
발달의 장애 초래) 과도한 식이섬유를 섭취하지 않는다. (열량 부족, 다른 식품의 섭취 및 무기질의 흡수가 제한) 성인보다 철, 아연, 칼슘이 단위 체중 당 3-5배 필요.

84 이유표 월 령 4~6개월 7~9개월 10~12개월 횟 수 모유나 우유 4회 3회 2회 이 유 식 1회 시 간
월 령 4~6개월 7~9개월 10~12개월 모유나 우유 4회 3회 2회 이 유 식 1회 6,14,18,22시 6,14,22시 11,16시 10시 10,18시 8,13,18시 곡 류 미음류 죽 류 죽, 밥류 아 채 류 거른것 으깬것 잘게 자른것 계 란 완숙노른자1/4개 완숙2/3개 완숙 1개 생선, 고기류 - 잘게 다진것 과 일 류 과 즙 굵은것

85 이유식 (Weaning diet) 1. 이유식 초기에는 이유식을 시도한 후 부족한 양은 모유나 분유로 보충한다.
2. 유지류(버터, 마가린)는 이유식 중기부터 적당량을 포함시킨다. 3. 소금, 설탕 등의 조미료는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다. 4. 알레르기가 있는 아기는 계란 흰자를 이유식 후기에 시작한다. 5. 이유식 후기에는 5가지 기본 식품이 골고루 포함되어야 한다. 6. 생우유는 이유 후기 말, 1세경에 시작한다.

86 이유식을 시작하는 연령 연령(개월) 농촌 (No.(%) 도시 No.(%) 합계 < 3 193(21.6) 115(19.0)
308(20.6) 4 – 6 498(55.7) 342(56.6) 840(56.1) 7 – 9 142(15.9) 99(16.4) 241(16.1) 10 – 12 43( 4.8) 32( 5.3) 75( 5.0) > 12 18( 2.0) 16( 2.7) 34( 2.3) 소아과 37; ,1994

87 이유식을 먹이는 방법 1. 숟가락 사용: 원칙 8-10개월에 손에 쥐어 준다. 플라스틱으로 된 색깔이 아름다운 것
15-18개월이 되면 숟가락을 사용하여 먹을 수 있다. 2. 6-7개월부터 컵을 사용한다.(8-9개월) 돌이 되면 우유병을 끊고 모든 액체는 컵으로 먹인다. 가볍고 약간 작은 플라스틱 컵 빨대 달린 아름다운 컵

88 장기간 우윳병 사용시의 부작용 ① 치아가 잘 썩는다. (milk bottle caries) ② 부정교합이 잘 생긴다.
③ 편식 및 식욕부진 ④ 고집이 세지고 버릇이 나빠진다. ⑤ 변비 ⑥ 빈혈 ⑦ 성장과 발달 지연

89 이유식을 처음 시작할 때의 방법 농촌 No.(%) 도시 합계 숟가락 419(55.9) 295(58.8) 714(57.0)
우유병 331(44.1) 207(41.2) 538(43.0) 고형식만 분유와 섞어 93(28.0) 238(72.0) 59(28.3) 148(71.7) 151(28.1) 387(71.9) 소아과 37; ,1994

90 이유 완료 시기 소아과 37;1643-56,1994 연령(개월) 농촌 No.(%) 도시 합계 < 12 288(40.1)
168(39.3) 456(39.8) 13 – 18 200(28.0) 136(31.8) 336(29.4) 19 – 24 168(23.5) 96(22.4) 264(23.1) >24 60( 8.4) 28( 6.5) 88( 7.7)

91 처음 시작하는 나이 쌀죽 : 4-6개월 두부 : 5-6개월 과즙 : 4-6개월 소고기 : 6개월
오렌지,귤 : 6개월 이후(9개월) 야채 : 4-6개월 계란 : 6-12개월 : 노른자(완숙) 12개월 이후 : 흰자 흰살 생선 : 6-12개월 두부 : 5-6개월 소고기 : 6개월 닭고기 : 6개월 옥수수 : 6개월 이후 요쿠르트 : 8개월, 제라틴,푸딩,치즈,스파게티 밀가루 : 6-8개월 생우유 : 돌

92 이유식(과일) 과일 주스의 량 : 6개월 : 50ml/1일 12개월 : 120ml/1일~240ml/일 컵으로 먹인다.
양이 많으면 설사, 복통, 기저귀 발진을 일으킬 수 있다. 이유 초기에는 익혀준다. (생후 6-8개월까지 퓨레 형식으로 부드러워 질 때까지) 바나나 : 완전히 익은 것을 준다. 자두 : 변비 환아에 좋다. isatine (natural laxative) 섬유질 : 다른 과일 3-6배 정도 함유, Sorbitol 함유 너무 단 과일은 좋지 못하다.(배)

93 시판 이유식 우유류, 과일류, 어육류, 당류, 유지류 등 여러 식품이 혼합된 가루 형태 단점
재료 우유류, 과일류, 어육류, 당류, 유지류 등 여러 식품이 혼합된 가루 형태 단점 여러 가지 섞여 있어 다양한 맛에 길들여지지 않아 앞으로의 이유식이 어렵고 우유병을 장기간 사용하게 된다.

94 아기 선식 성분 품 명 1단계(3-6개월) 2단계(7-12단계) 3단계(13-3세) 찹쌀 현미 보리 검정콩 검정깨 밤가루 잣
호도 멸치분 당근분 다시다분 새우분 시금치분 감자분 300 100 20 15 10 5 500 200 30 40

95 사용하는 이유식의 종류 농촌 No.(%) 도시 Total 가정식 302(36.9) 211(38.6) 513(37.6) 상품화식
298(36.4) 178(32.6) 476(35.0) Both 219(26.7) 157(28.8) 376(27.4) 소아과 37; ,1994

96 Finger Food 6-7개월 경에 가능하다. 8-10개월 쯤 능숙해진다. 손에 쥐어주고 나중에 손으로 집어 먹게 한다.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식탁에 놓는다. (감자, 고구마, 과일, 크래커, 쿠키)

97 영유아기에 주의해야 할 식품 1 생우유: 돌 이전에는 먹이지 않는다. 저지방이나 탈지유: 생후 2년
요구르트(plain yogurt): 8개월 이후 라면: 소금과 첨가물이 많아 이유식으로 부적합 밀가루 식품 (국수, 빵) : 알레르기를 잘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유후기 잡곡, 현미밥: 식이 섬유가 많아 소화가 안 되고 무기물 흡수를 방해

98 영유아기에 주의해야 할 식품 2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쉬운 식품: 생후 12개월 이후 메밀, 돼지고기,
붉은 살생선(고등어), 갑각류 (조개, 새우),토마토, 복숭아, 계란흰자, 초콜릿, 딸기, 오렌지나 감귤류 땅콩 등 견과류: 영유아기에는 금기 일단 알레르기 형성되면 심하고 장기간 지속 되므로 가족 중 특정 식품에 알레르기가 있으면 생후 1년 내에는 금기 꿀: 생후 1년 이전에는 금기, 보툴리눔독소증 식중독 질식위험이 높은 음식: 돌 이전에는 금기(4세까지 주의). 사탕, 캐러멜, 초콜릿, 땅콩, 버터 덩어리, 떡, 어묵, 핫도그, 포도, 당근 덩어리, 팝콘, 콩, 샐러리 덩어리

99 우유 알레르기 환아의 이유식 이유식을 6개월 시작한다.
우유가 들어가는 치즈, 버터, 마가린, 유산음료, 인스턴트 카레, 스프, 아이스크림, 카스텔라, 비스켓, 캐러멜,피자 등도 금기. 쇠고기,두부나 콩 종류로 바꾸어 섭취한다.

100 이유식 (Weaning diet) ① 이유의 개시 : 받아 삼키는 능력이 준비된 생후 4~6개월(6-7kg)
 ① 이유의 개시 : 받아 삼키는 능력이 준비된 생후 4~6개월(6-7kg) ② 처음 줄 수 있는 식품 : 철분이 함유된 곡류 ③ 이유의 완료 :만 1세 때 ④ 이유초기 : 시작 후 1~2개월 동안 (생후 4~6개월), 반유동식(1회/day)      이유중기 : 생후 7~9개월, 반고형식(2회/day)       이유후기 : 생후 10~12개월, 고형식(3회/day)

101

102 질병시의 영양문제 (1) 기초 대사량을 살펴보면 장골 골절시 20%, 패혈증시 50%, 심한 화상시 80-100%가 상승한다.
(2) 질병시 칼로리는 기초 요구량의 150% 정도를 투여하는 것이 좋으나 감염된 경우에는 당 불내성이 생기므로, 다량의 칼로 리를 공급해야 하는 경우에는 투여하는 칼로리의 반을 지방으 로 공급해야 한다.

103


Download ppt "소아의 영양 Feedings of Infants and Children"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