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Chapter 4 유아 다문화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4월20일 구미대학교 이 명 숙.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Chapter 4 유아 다문화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4월20일 구미대학교 이 명 숙."— Presentation transcript:

1 Chapter 4 유아 다문화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4월20일 구미대학교 이 명 숙

2 목 차 유아 중심 다문화교육 1) 유아 다문화 교육의 현실 2) 유아 다문화교육의 목표 2. 다문화교육 접근방법 및 교수-학습방법 1) 문화와 학습 스타일 2) 다문화 교육 접근방법에 따른 교수- 학습방법 3) 다문화 교육에서의 유아 교사의 역할 3. 유아 교실의 다문화교육 환경

3 1. 유아 중심 다문화교육 유아 다문화 교육의 현실 (1) 이주 유아.아동의 인구통계학적 현실 - 결혼가정의 자녀 현황

4 1. 유아 중심 다문화교육 유아 다문화 교육의 현실

5 1. 유아 중심 다문화교육 유아 다문화 교육의 현실

6 - 결혼이민자 출신국별 현황 NO 구분 전체 남성 여성 비고 1 출신국전체 305,446 51,655 253,791 2
중국(한국계) 98,037 24,974 73,063 3 중국 81,010 12,684 68,326 4 베트남 58,761 711 58,050 5 필리핀 17,353 520 16,833 6 일본 13,239 1,425 11,814 7 캄보디아 6,468 29 6,439 8 몽골 3,305 177 3,128 9 태국 3,208 106 3,102 10 미국 3,473 2,564 909 11 러시아 1,898 212 1,686 12 대만 3,170 1,156 2,014 13 기타 15,524 7,097 8,427

7 - 결혼이민자 지역별 현황 NO 구분 전체 남성 여성 비고 총계 305,446 51,655 253,791 1 서울 74,629
19,791 54,838 2 부산 11,720 1,368 10,352 3 대구 7,827 871 6,956 4 인천 19,397 3,554 15,843 5 광주 5,540 447 5,093 6 대전 5,750 644 5,106 7 울산 709 5,041 8 세종 741 74 667 9 경기 89,877 17,999 71,878 10 강원 6,697 421 6,276 11 충북 8,736 808 7,928 12 충남 14,019 1,373 12,646 13 전북 10,291 517 9,774 14 전남 11,316 401 10,915 15 경북 13,045 867 12,178 16 경남 16,836 1,405 15,431 17 제주 3,275 406 2,869

8 - 결혼이민자 지역별 현황 NO 구분 전체 남성 여성 비고 총계 305,446 51,655 253,791 1 서울 74,629
19,791 54,838 2 부산 11,720 1,368 10,352 3 대구 7,827 871 6,956 4 인천 19,397 3,554 15,843 5 광주 5,540 447 5,093 6 대전 5,750 644 5,106 7 울산 709 5,041 8 세종 741 74 667 9 경기 89,877 17,999 71,878 10 강원 6,697 421 6,276 11 충북 8,736 808 7,928 12 충남 14019 1,373 12,646 13 전북 10,291 517 9,774 14 전남 11,316 401 10,915 15 경북 13,045 867 12,178 16 경남 16,836 1,405 15,431 17 제주 3,275 406 2,869

9 - 다문화가족 자녀 현황

10 - 다문화가족 자녀 현황

11 - 외국인과의 혼인추이

12 - 외국인과의 혼인추이

13 - 외국인과의 혼인추이

14 - 국내 이혼율

15 - 국제결혼부부의 이혼율

16 - 국제결혼부부 국적별 이혼율

17 - 국제결혼부부 국적별 이혼율

18 - 새터민 가정의 자녀 - 단위 명 구분 10 11 12 13 14 15 16(3) 합계 남 591 795 404 369
305 251 77 2,792 1,811 1,911 1,098 1,145 1,092 1,025 265 8,347 2,402 2,706 1,502 1,514 1,397 1,276 342 11,139 여성비율 75% 71% 73% 76% 78% 80% 77% 연령대별 입국현황(‘16.3월말) (단위 : 명) 연령대별 유형표 구분 0-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이상 613 1,542 2,334 1,989 1,245 464 320 8,507 615 1,874 5,794 6,471 3,543 1,080 902 20,279 합계(명) 1,228 3,416 8,128 8,460 4,788 1,544 1,222 28,786 ※ 입국당시 연령 기준이며, 최근 입국하여 보호시설 등에 수용 중인 일부인원은 제외된 수치

19 - 새터민 가정의 자녀 지역별 거주 현황(‘16.3월말 거주자 기준) 재북 직업별 현황(‘16.3월말)
(단위 : 명) 재북 직업별 유형표 구분 관리직 군인 노동자 무직부양 봉사분야 예술체육 전문직 비대상 (아동 등) 기타 368 639 3,682 3,082 70 73 207 385 1 8,507 110 92 7,281 10,726 1,038 173 445 413 20,279 합계(명) 478 731 10,963 13,808 1,108 246 652 798 2 28,786 ※ 최근 입국하여 보호시설 등에 수용 중인 일부인원은 제외된 수치 재북 학력별 현황('16.3월말) 재북 학력별 입국현황표 취학전 아동 유치원 인민학교 (소학교) 중학교 전문대 대학 이상 무학(북) (고등중) (불상 등) 397 128 736 5,167 720 954 351 54 390 170 1,183 14,824 2,070 1,041 474 127 787 298 1,919 19,991 2,790 1,995 825 181 ※ 최근 입국하여 보호시설 등에 수용 중인 일부인원은 제외된 수치, 해당 학력별 중퇴자 포함 지역별 거주 현황(‘16.3월말 거주자 기준) (단위 : 명) 지역별 거주현황표 지역 서울 경기 인천 부산 경북 경남 대구 충북 충남·세종 2,307 2,013 713 278 240 253 159 196 271 4,568 5,823 1,793 706 780 761 544 825 931 합계 6,875 7,836 2,506 984 1,020 1,014 703 1,021 1,202 광주 강원 대전 전남 전북 울산 제주 141 174 134 156 116 163 58 7,372 433 501 396 451 400 373 176 19,461 574 675 530 607 516 536 234 26,833 ※ 사망, 말소, 이민, 주소불명, 보호시설 수용자 제외

20 (2) 이주자 가정 자녀를 위한 정책적 현실 - 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
(2) 이주자 가정 자녀를 위한 정책적 현실 - 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 다문화가족지원법 법률 제14061호 일부개정 - 새터민 가정의 자녀 (새터민의 보호 및 정착 지원에 관한 법률)

21 (2) 이주자 가정 자녀를 위한 정책적 현실 2009년 1월 개정안 (북한이탈 청소년 지원 강화내용 신설)
북한이탈주민 청소년 보호 지원을 위한 법률적 강화 무연고 청소년을 위해 주거여건과 보호를 제공하는 주거시설 지원 규정 신설 북한이탈주민 대상 초.중등교육 실시 학교 지원 규정 항목 신설 북한이탈주민후원회의 사업으로 장학 사업 명시규정 신설

22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23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자료출처 : 남북 하나재단

24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자료출처 : 남북 하나재단

25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2016 북한이탈주민 자녀 방과후 공부방 : 전국 22개소 운영 중 -자료출처 : 남북 하나재단

26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자료출처 : 남북 하나재단

27 -이주자 유아 아동을 위한 교육 실천적 현실 * 다문화교육의 구분 : 철학적 시각 및 강조점에 따라 분류 - 다문화교육 (multi cultural education) - 세계화 교육 (global education) - 반 편견교육 (anti bias education) - 다민족교육 (multi ethnic education) - 국제이해교육 * 우리나라 유아 교육의 현실 (오채선 2008) - 관광식 교육 - 반 편견 교육 (문화적 다양성 인정) - 다인종, 소수민족 교육 (다문화교육은 모두를 위한 교육이라는 개념(Banks 2006) 적용)

28 2) 유아 다문화 교육의 목표 -Nieto(2004)의 정의
반인종주의 교육, 모든 학생에게 중요한 기본교육, 광범위한 교육인 동시 사회정의를 위한 비판의 교육 -Banks(2006)의 다문화교육의 목적 1. 개인들로 하여금 다른 문화의 관점을 통해 자신의 문화를 바라봄으로써 자기이해 증진 2. 학생들에게 문화적, 민족적, 언어적 대안들을 교육 3. 모든 학생이 자문화, 주류문화, 타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지식과 기능, 태도를 습득 하게함

29 4. 소수민족집단이 그들의 인종적, 문화적, 신체적 특성 때문에 겪는 고통과 차별을 감소시킴 5
4. 소수민족집단이 그들의 인종적, 문화적, 신체적 특성 때문에 겪는 고통과 차별을 감소시킴 5. 다양한 인종, 문화, 언어, 종교집단의 학생들이 자신이 속한 모든 공동체에서 기능하는데 필요한 지식, 태도, 기능을 습득하도록 도움 -Ramsey(2004)의 다문화교육의 목적 1. 정체성을 발달 2. 유대감을 발달 3. 비판적 사고자가 되도록 4.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지속적인 문제 해결자 5. 우리 사회의 다양성을 다루는 힘에 접근할 수 있는 학습기술을 획득할 수 있는 사람 6. 희망적인 미래를 어린이 들이 꿈꿀 수 있도록.

30 -De Gaetano, Williams&Volk(1998)의 다문화교육의 목적 1

31 2. 다문화교육 접근방법 및 교수-학습방법 1) 문화와 학습 스타일 (1) 개인적 학습스타일 -Gardner(1991) : 문제를 해결, 상황 판단, 새로운 정보의 학습, 과업수행에 있어 다양한 지능의 각각을 활용하는 능력이 사람마다 다양 - 교사는 아동에게 가장 강력한 능력 또는 지능을 중심으로 학습을 돕는 것이 효율적 (Kendall,1999)

32 2. 다문화교육 접근방법 및 교수-학습방법 1) 문화와 학습 스타일 (1) 개인적 학습스타일 - Gardner(1991) : 문제를 해결, 상황 판단, 새로운 정보의 학습, 과업수행에 있어 다양한 지능의 각각을 활용하는 능력이 사람마다 다양 - 교사는 아동에게 가장 강력한 능력 또는 지능을 중심으로 학습을 돕는 것이 효율적 (Kendall,1999) (2)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학습 스타일 - 학습방법에 있어 문화가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 미국 선주민(인디언) 수학을 어려워함 (직관능력으로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데 익숙함) - 부모들의 기대가 다름 (아시아/ 유럽, 아메리칸)

33 (3) 유아의 개인적, 문화적 학습 스타일을 파악하기 위한 교수전략 어린이 개인적 학습 스타일을 파악하기 위한 교수전략 - 어린이의 학습환경과 다양한 상호작용 방식 관찰 - 유아의 패턴 확인, 문화와 관련성 파악, 개인적 특성과 관련성 판단 (교실분위기, 정보의 관련성, 자료의 적절성 등에 유아들의 반응 관찰) - 행동적 패턴 6가지 관찰 (활동 참여, 집중도, 정보처리 방식, 생각나눔, 질문태도, 질문종류)

34 문화, 종족적 유산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활용하는 방법적 전략
-어린이의 가족과 부모로부터 정보수집 - 수집한 정보를 특별한 사람들에 대한 실마리로 사용 - 교사 자신의 학습 및 교수스타일 분석 * 다문화교육에서 교사들은 자신의 학습 스타일의 특성과 교수 스타일의 특성을 비교 분석, 유아들의 개별적 특성에 맞게 조정 가능한지 연구, 실천해야 함

35 다문화교육 접근 방법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 (1)Banks의 다문화 교육접근법
- 다문화교육 : 남녀학생, 다양한 인종과 배경을 가진 학생, 특수한 학습자들 모두에게 평등한 교육의 기회를 보장한다는 것에 있다. (2006) * Banks(2008)가 제시한 다문화교육과정 개혁을 위한 접근법들 제4수준 사회적 행동접근법 학생들이 중요한 사회문제들과 관련하여 결정을 내리고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취함 제3수준 변혁적 접근법 학생들이 다양한 민족집단 및 문화집단의 관점에서 개념, 이슈, 사건, 주제를 바라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구조를 변화시킨다. 제2수준 부가적 접근법 교육과정의 구조는 변화시키지 않은 채 내용 개념, 주제, 관점을 교육과정에 더한다. 영웅, 공휴일, 개별적인 문화적 요소에 초점을 맞춘다. 제1수준 기여적 접근법

36 유아 교육적 적용과 교수전략 - 제1수준 : 기여적 접근법 기존 교육 과정에 축제, 영웅, 민족적 음식, 춤등 민족 문화집단의 주제 첨가 - 제2수준 : 부가적 접근법 기존 교육 과정에 다문화적 내용, 주제, 개념, 관점을 부가하는 접근 (149P 그림 4-2) - 제3수준 : 변혁적 접근법 유아의 흥미와 발달 수준을 고려한 학생들이 다양한 시각으로 이슈를 탐색할 수 있도록 고려. (151P 표 4-1/152P 그림 4-3) - 제4수준 : 사회적 행동 접근법 변혁적 접근의 모든 요소에 아이들이 학습한 단원의 주제, 이수, 문제들과 관련 의사결정과 실천포함

37 생각해 볼 문제 (2) Sleeter&Grant(1994)의 접근법 접근 1: 특수학생과 문화적으로 다른 학생들에 대한 교수 접근 2 : 대인관계 접근 3 : 단일집단 연구 접근 4 : 다문화교육 접근 5 : 다문화 사회정의 교육 유아 교육적 적용과 교수-학습방법 (149P 표 4-3) 생각해 볼 문제 가. 주제 개발을 위한 안내 나. 집단 탐구 전략

38 (3) De Gaetano, Williams&Volk의 만화경 접근법 만화경 접근 방법의 9가지 차원 1. 목적 정의하기 2

39 (3) De Gaetano, Williams&Volk의 만화경 접근법 유아 교육적 적용과 교수- 학습방법 유치원 교실 수준에서 실행할 수 있는 4가지 주제활동 시나리오 생일 그래프, 지역사회탐방, 코코넛 막대 아이스바 만들기, 벽 허물기 생각해볼 문제 3) 다문화교육에서의 유아교사의 역할 (1) 다문화교육에서 교사의 역할과 책임 (Gay 2000) - 다양한 민족집단 아이들의 문화적 가치, 학습스타일, 역사적 유산, 기여와 성취에 대한 지식 - 실패에 비난 않고 기존 교육 시스템 문제점을 수용하는 용기

40 - 교육적 규범에 직면 교수-학습의 중립성과 문화적 보편성등 기존의 가정을 다시 생각해 보는 의지 -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지식, 민감함, 교육적 실천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기술 - 학업 성취가 낮은 아이들을 잘 조직된 교육실천을 수행하려는 끈기 * 문화적 조직자로서의 교사 * 문화적 조정자로서 교사 * 학습을 위한 사회적 맥락의 교향악자로서 교사 (2) 유아교사의 역할 (Kendall, 1996) - 유아의 모델 - 고유의 가치를 발달시킬 수 있는 경험 제공

41 - 유아가 끈기 있게 질문하고 탐색하고 주도하는 능동적 학습자가 되도록 촉진, 격려 - 유아의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 - 자신의 가치와 태도를 의도적, 비의도적으로 유아에게 전수 (자신의 태도와 가치를 늘 예리하게 인식하는 일이 매우 중요) * 교사는 문화적 감수성과 지식이 있어야 함 * 교사는 비판적인 사고력도 있어야 함

42 3. 유아 교실이 다문화 교육 환경 - 문학 : 다양한 말과 글은 다문화의 중요한 요소 - 사회학습 (사회영역) : 사회학습 그 자체로 강력한 다문화교육 - 블록 : 변형적인 자료로 스타일의 다양성, 협동놀이, 상호의존적 관계를 자극 - 역할놀이: 잠재력을 가진 중요한 영역 - 음악과 게임: 다른 사람들이 삶을 경험 - 요리(음식) : 자신에게 익숙하지 않은 다른 음식 경험, 문화에 따라 음식준비, 요리, 먹는 방법, 절차가 다른 것을 이해 *Melendze&Beck(2009) : 다문화교실 환경 관찰 평가표 제시 (180P표 4-5)

43 * 참고자료 - 지능에 대한 가드너의 정의 a. 지능을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것을 창조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정보를 처리하는 생물심리학적 잠재력’이라고 정의. b. 지능을 지적활동의 산물이자 과정이고 동시에 내용이며 형태로서 이 모두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c. 지능과 재능을 같은 용어로 간주하며 보다 포괄적이고 다양한 능력을 지능의 개념에 포함시켰다.   - 다중지능의 정의 다중지능은 서로 연합하여 하나의 목표활동을 이루게 되며 또한 어떤 지능이 각 사람에게 어떤 표현 행위로 나타나는 지는 사람마다 다르다고 본다.

44 *다중이론의 핵심내용   - 모든 개개인은 여덟 가지 지능(언어적논리-수학적음악공간신체-운동내성대인자연탐구 지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 이론은 어떤 사람에게 맞는 한 가지 지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시된 이론은 아니다. 하나의 인지적 기능에 관한 이론으로서 모든 개개인이 정도의 차이가 나겠지만 이 여덟 가지 지능을 모두 갖고 있다고 보며, 여덟 가지 지능이 합해져서 독특한 방식을 가진 한 사람을 형성한다는 것 이다.

45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Chapter 4 유아 다문화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4월20일 구미대학교 이 명 숙."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