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한국농업 ·농촌의 현실과 새로운 활로 - 급변하는 세계농업과 한국농업의 전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원 장 이 정 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원 장 이 정 환
2
Ⅰ. 한국농업·농촌의 위기 한국농업·농촌의 위기는 밖으로부터 다가오는 ‘세계농업의 위기’ , 안으로부터 밀려오는 ‘신뢰의 위기’ 에서 비롯
3
Ⅰ. 한국농업·농촌의 위기 (계속) 세계농업의 위기 – 밖으로부터의 위기 < 만성적 공급과잉 >
20세기 기술발전과 증산 농산물 가격하락 보호 농정으로 농가소득 방어 보호농정의 한계 세계농업개혁(교역자유화, 보조금 철폐)에 합의 UR 협정과 WTO 출범 UR 이후 가격하락 가속 농가소득 하락과 직불규모 팽창 농업개혁 가속 요구 증대
4
Ⅰ. 한국농업·농촌의 위기 (계속) 세계농업의 위기 – 밖으로부터의 위기 (계속) < 지역주의의 팽창 >
유럽의 EC, 북미의 NAFTA 성공과 세력 경쟁 FTA 경쟁적 확산 동북아지역 고립 동북아지역 중심국가 전략 부상 농산물시장 완전자유화 압박
5
Ⅰ. 한국농업·농촌의 위기 (계속) 신뢰의 위기 - 안으로부터의 위기
농업인의 불신 – 정부의 정직성에 의문 (무책임한 현실 호도) 예산당국의 불신 – 농업투자의 효율성에 의문 (시장논리가 무시된 정책) 비농업계의 불신 – 농업계의 도덕성에 의문 (정치논리로 집단이기주의 관철) 농정당국의 불신 – 비농업계의 이해수준에 의문 (농업에 대한 무지로 현실 외면)
6
Ⅰ. 한국농업·농촌의 위기 (계속) 신뢰회복으로 새로운 패러다임과 농정의 틀에 합의 해야 밖으로부터의 위기 극복 가능
신뢰회복으로 새로운 패러다임과 농정의 틀에 합의 해야 밖으로부터의 위기 극복 가능 국내외 여건과 농업·농촌 현실에 대한 인식 공유 - 검증되지 않은 신화, 속설, 상식을 깨어야 포기하여야 할 것과 새로이 도입해야 할 것에 대한 대타협
7
Ⅱ. 한국농업·농촌문제의 진실 1. 농가는 가난한가? 2001년 호당소득, 도시근로자의 76%로 악화 소득의 계층격차 확대
< `96 ~ `01 사이 소득변화 > - 0.5ha 이하 농가 : -14.0%, 0.5~1.0ha 농가 : -0.8% - 3~5ha 이하 농가 : 11.1%, 5ha 이상 농가 : 41.1% - 최하위 20% 계층 : -24.5%, 도시 최하위계층의 51%
8
Ⅱ. 한국농업·농촌문제의 진실 (계속) 1. 농가는 가난한가? (계속)
최하위 / 최고위 소득 비율 : 농가 1/7.1, 도시 1/4.2 – 상위 40% 계층의 농가소득은 도시 근로자 가구 중간 수준 상회 영세 소농계층에 소득문제가 집중 목표계층에 집중하는 정책 필요
9
Ⅱ. 한국농업·농촌문제의 진실 (계속) 2. `농업투융자는 낭비되었나?
42조원 구조개선 사업 15조 농특세 사업 도농소득 격차 확대, 국내외 가격차 확대 고정자본스톡 증가속도 가속(연평균 9%) 농업성장 속도 가속 `86-`90 : 0.9% `90-`94 : 2.3% `94 -`97 : 5.7% `98-`01 : 3.6% 농업생산성 향상으로 공급증가, 실질가격하락(`95-`01) 채 소 : -16.1%, 과일 : –51.2%, 축산물 : -4.3%, 쌀 : %, 전체농산물 : -8.0%
10
Ⅱ. 한국농업·농촌문제의 진실 (계속) 2. 농업투융자는 낭비되었나? (계속)
농업은 성장, 가격은 하락 성장과 소득의 괴리 소비자 이득 증가
11
Ⅰ. 한국농업·농촌문제의 진실 (계속) 2. 농업투융자는 낭비되었나? (계속) ‘생산성 향상 가격하락 경쟁력향상’ 은
농업발전의 필연적 과정 모든 선진국이 걸어온 길 - 가격의 급격한 하락과 소득 불안을 억제하는 안정 대책 필요 `90년대 채소, 과일, 축산물 가격하락은 DDA 이후에 대비한 연착륙 과정 - 이제 쌀이 연착륙 과정에 진입할 단계
12
Ⅱ. 한국농업·농촌문제의 진실 (계속) 3. 쌀정책은 완전히 실패했나? - 쌀가격이 농가소득 감소에 버팀목 역할
`90년대 후반 재고는 1,000만석으로 증가, 시장가격은 명목으로 41% 상승 국내외 가격차 확대, 생산증가 쌀가격이 `95년 수준에 동결되었다면, 도농소득 격차 %로 확대 - 쌀가격이 농가소득 감소에 버팀목 역할 정책수단의 효과성 문제 - 소득정책의 목표계층 부재 영세농 소득문제에 비효과적 목표계층 중심의 직접지불정책 필요
13
Ⅱ. 한국농업·농촌문제의 진실 (계속) 4. 쌀수매가를 인상하면 농가소득이 증가하나? 시장가격은 수매가격과 관계없이 결정
- 2001년 수매가 6,400원 인상, 시가 6,700원 하락 - 2002년 수매가 동결, 시가 7,400원 상승 수매가격 상승 만큼 수매량이 감소하여 농가소득 효과는 없음 - 수매가 3%인상 수매량 3.2% 감소 소득증가 420억 - 수확기 시가 0.3% 하락 소득감소 210억
14
Ⅲ. 농산물 시장개방 문제의 진실 1. WTO/DDA 농산물협상의 현실 WTO의 존재이유와 DDA의 원칙
수입국이 불리한 게임
15
Ⅲ. 농산물 시장개방 문제의 진실 (계속) 2. DDA 파급영향 얼마나 될까? 15.0 15.4 12.5 1.7 1.2 0.6
농업소득 감소 품목별 보조액 증액 불가능 새로운 품목 보조 곤란 단위: 조원 2002 2010 개도국 선진국 농업총소득 (명목,조원) 15.0 15.4 12.5 농업총보조 1.7 1.2 0.6 소득보전직불소요 0.5
16
Ⅲ. 농산물 시장개방 문제의 진실 (계속) 3. DDA 어떻게 될까?
수출입국의 대립이 첨예하여 모델리티 3월 합의는 불가능 할 듯, 9월 각료회의에서 정치적 타결 전망 수출입국 모두 의장초안에 불만이므로 어느 한편에 유리한 조정은 어려울 것 의장초안의 큰 폭 수정은 없을 듯 미국과 EU가 수출보조와 국내보조 감축을 축소하는 대신 관세 감축폭은 확대하는데 합의할 가능성
17
Ⅲ. 농산물 시장개방 문제의 진실 (계속) 4. 개도국 유지는 불가능한가?
개도국 혜택 대폭 확대 개도국 지위 유지 매우 중요, 그만큼 곤란 개도국 유지는 C/S 제출과 검증과정에서 결정 양자간 협상이 중요 논리와 대가의 문제 선진국 농업구조조정 년 소요, 한국 30년 경과 농업구조조정에 시간 소요 UR 당시 OECD 국가 중 멕시코, 터키도 개도국 지위 미국, 중국, 호주 등 수출국에 줄 대가를 준비해야
18
Ⅲ. 농산물 시장개방 문제의 진실 (계속) 5. 쌀시장개방협상의 진실 UR협상은 무엇을 규정하고 있나?
- 2004년까지 쌀 관세화 유예하되, 2004년 중에 연장 협상 - 연장하는 경우 “추가적이고 수락가능한 양허(additional and acceptable concession) 제공해야 - 2004년 중에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관세화 해야 할 의무 발생 - 관세율은 년 평균 국내외 가격차 반영하되 협상 여지 인정
19
Ⅲ. 농산물 시장개방 문제의 진실 (계속) 5. 쌀시장개방협상의 진실 (계속)
관세화유예한 일본은 1999년, 이스라엘은 2000년, 대만은 2003년에 유예협상없이 관세화 - 관세화유예를 연장하려면 상당한 MMA 증량 등 추가 양허 필요 관세화유예는 가능할까? - 미국과 호주, 태국 등에 일정량의 수입보장으로 합의가능 할 수도 - 중국의 동의가 어려울 듯
20
중국의 입장 전망 - 예외없는 관세화, 높은 관세 감축율, 높은 TRQ 수용 WTO 가입시 농산물시장 대폭 개방
대부분 곡물수입 급증, 도농간의 소득격차 급속히 악화 전망 쌀, 채소, 과일, 닭고기 등 수출증대로 농업 소득기회 보전 전략 - 일본, 한국의 채소에 관한 SG에 초강력 대응
21
Ⅲ. 농산물 시장개방 문제의 진실 (계속) 6. 관세화와 관세화유예 어느 것이 유리한가? 관세화와 MMA의 관계 (2010년)
- UR의 TRQ 5 ~ 8% + [ DDA의 TRQ 증량폭(3%) ] + 유예대가(3%) = 8 ~ 14% ?
22
Ⅲ. 농산물 시장개방 문제의 진실 (계속) 6. 관세화와 관세화유예 어느 것이 유리한가? (계속) 관세화 되면?
~ 88 평균 국내외 가격차 추정 440% - 2005년 관세율 추정 400% ~ 360% - 수입도매쌀 가격 13.5 ~ 14.7만원/80kg - 2010년 관세화가격은 DDA의 결과에 따름 • 개도국이면 관세 380%, 수입쌀 도매가격13 ~ 14만원 • 선진국이면 관세 220%, 수입쌀 도매가격 10 ~ 11만원
23
Ⅲ. 한국 농업 · 농촌의 새로운 진실 (계속) 7. 새로운 협상전략의 길 - 올바른 전략은 엄격한 사실인식이 전제
사실관계의 냉철한 인식 - 올바른 전략은 엄격한 사실인식이 전제 의장초안 거부의 모순 이해 - 개도국 대우 충분, 거부는 선진국 입장 의미 - 유연한 대응 필요 NTC 그룹 집착의 한계 인식 - EU 우리 입장과 상반 - 사안별 공조로 전환 필요 협상의 속성 인정 - 타결은 중간 어느 점, 현실적 목표와 전략적 제안 이해 - 협상은 주고 받는 교환, 준 것을 아까워 말아야
24
Ⅳ. 한국 농업 · 농촌의 새로운 활로 새로운 패러다임 • 모든 기회는 소비자와 도시민에게서 나온다 – 농업인
• 농업농촌은 도시민을 위해 존재한다 - 도시민 소비자 만족 도시민 만족 식품의 상품성과 안전성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 도농교류 납세용의 농업소득 농외소득 직접지불 농산물 수요 농촌 자연환경 수요 농산물에 대한 신뢰
25
Ⅳ. 한국 농업 · 농촌의 새로운 활로 (계속) 1. 식품비 지출은 증가할 수 있다 – 신수요창출과 고부가가치화
1. 식품비 지출은 증가할 수 있다 – 신수요창출과 고부가가치화 식품비 지출의 25%만이 농업소득으로 귀착 - 가공산업과의 파트너쉽 발전, 공동계산제 발전으로 용도별 차등가격제 가공용, 수출용 저가 공급 신수요 창출 식품의 사치품화, 문화상품화 추세 고급화, 기능성 제고, 문화 연계 고부가가치화
26
Ⅳ. 한국 농업 · 농촌의 새로운 활로 (계속) 2. 중국농산물과 경쟁할 수 있다 – 소비자 신뢰와 마케팅능력 향상
2. 중국농산물과 경쟁할 수 있다 – 소비자 신뢰와 마케팅능력 향상 대형 소매점 위주 유통 필요한 때, 필요한 장소, 필요한 양, 필요한 종류 공급이 경쟁력 좌우 대량 공급 체계 필요 작목반 공동선별, 공동계산 작목반 브랜드 주변농가, 작목반 흡수 협동조합 브랜드 주변농가, 협동조합 흡수 광역브랜드 경쟁력 향상 - 캘리포니아 오렌지( 썬키스트), 화란, 덴마크의 낙농제품
27
Ⅳ. 한국 농업 · 농촌의 새로운 활로 (계속) 3. 규모확대로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다 – 가격하락에 의한 소득감소 보전
쌀가격이 높은 것은 소규모 농가의 소득보전수단, 생산비가 높은 것은 고지대 기인 - 쌀 생산비 : 8만3천원( 지대 4만원), 경영비 : 4만4천원 - 쌀 가격 : 16만원, 수입쌀 가격(추정) : 3만원 농산물가격 하락 농지공급 증가, 지가/지대 하락 생산비용은 감소 가격하락 만큼 규모 확대되면 소득유지 가능(비용 절감효과 + 조수입 증대 효과)
28
Ⅳ. 한국 농업 · 농촌의 새로운 활로 (계속) 4. 규모확대는 이루어진다 – 가격하락에 의한 소득감소 보전
호당 평균규모 0.79ha(`90) 0.93ha(2000) 2ha 이상 농가비중 4.7%(`90) 8.4%(2000) 평균경작규모 1.4ha(`90) 2.1ha(2000) 2ha 이상 면적비중 16.8%(`90) 33.6%(2000) 농산물가격 하락 농지유동 급증 규모확대 가속
29
Ⅳ. 한국 농업 · 농촌의 새로운 활로 (계속) 5. 영세농이 농업발전의 걸림돌이 아니다 – 최저생활 보호
0.5ha 이하 영세농의 호수 비중 42.2%, 면적비중은 13.3%, 생산비중은 10% - 영세농 경지 총면적 13만ha, 나머지 농가 0.21ha 증가 가능 영세농의 퇴출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필요한 것도 아님 영세농이 다수이고 소득문제가 집중적으로 나타남 - 정치사회적 문제로 부각, 농업정책 수립의 걸림돌 사회정책적 차원의 생활안정 대책 선행 필수 “ 영세농은 농정대상에서 제외될 수 없다 ”
30
Ⅳ. 한국 농업 · 농촌의 새로운 활로 (계속) 6. 선진국은 시장에 개입한다 – 급격한 가격하락에 대한 안정장치
미국 1980년대 중반부터 융자단가 및 목표가격 인하, 1996년 목표가격 폐지, 2002년 목표가격 부활 EU 1980년대 중반부터 개입가격 인하 – CAP 1992, 아젠다 2000, MTR 2002 미국 : 융자단가 = 최저가격, 목표가격 = 최저소득, EU : 개입가격 = 최저가격, 보상직불 = 최저소득 보장 정부개입의 계획적, 단계적 축소 필요
31
Ⅳ. 한국 농업 · 농촌의 새로운 활로 (계속) 7. 새로운 농외소득 기회의 길이 있다 – 도시민의 여가수요 충족
문화, 여가 수요의 양적증대와 질적 변화 농촌지역의 환경, 자연, 문화 보전 아름답고 문화있는 공간 도시민의 휴양, 휴식, 여가의 공간 (자연 + 지역문화) + (지역농산물과 가공품) (휴양서비스)
32
Ⅴ. 핵심 정책 1. 정책 기조 - 설계주의, 획일주의 배격 - 환경보전, 경관 · 문화보전, 농촌지역 유지
시장지배체제의 확립으로 경쟁 촉진 - 설계주의, 획일주의 배격 - 농가간, 농협간, 지역간, 품목간 경쟁 - 소득보전직불 등 직불제도의 활용으로 시장기능 보완 다원적기능을 중시한 규제와 지원 - 환경보전, 경관 · 문화보전, 농촌지역 유지 - 환경오염, 식품오염, 토지이용 규제 농가의 자율적 선택을 통한 구조조정 - 은퇴 · 이탈농 Track과 경쟁력 향상 Track - 정부주도의 선택 배격, 농가의 선택 보장
33
Ⅴ. 핵심 정책 (계속) 2. 농가의 선택 폭을 확대하는 지원 경영안정 프로그램 – 재해, 가격급락에 따른 경영위험 구제
농가경영회생 프로그램 – 일시적 경영 곤란 농가 구제 농가파산 프로그램 – 부채상환 불능 농가 퇴출 은퇴 프로그램 – 고령농가의 은퇴 후 생활 안정
34
Ⅴ. 핵심 정책 (계속) 3. 과감한 직접지불제도 도입
소득보전직불제 – 가격의 급격한 하락에 대한 완충장치 – 가격하락에 의한 소득감소의 일부분 보전 친환경 농업직불 – 친환경농법 지원, 환경규제에 대한 보상 도서 · 오지 지역직불 – 오지지역 정주 조건 개선, 도시민의 접근성 유지 경영이양직불 – 고령농가의 생활안정과 구조개선
35
Ⅴ. 핵심 정책 (계속) 4. 농업시스템 개혁 비농업인 농지투자제도 도입, 농지은행 혹은 농지신탁제도 도입, 농업자산관리 기구 설치 유동화 촉진 정책자금의 창구 다변화와 종합자금제로 일원화 민간자금유입 촉진, 서비스개선 효율화 농협중앙회 사업 분리와 지역조합 금융사업의 연합 경쟁력 향상, 서비스 향상 식품관리체계의 일원화 “농장에서 식탁까지” 관리
36
Ⅴ. 핵심 정책 (계속) 5. 농촌환경 보전을 위한 규제와 지원 지역순환 시스템 구축 지원
- 경종농업과 축산업의 연계, 친환경농업직불, 가축 두수 할당, 오염세 부담 “농산물은 수입할 수 있어도 환경은 수입할 수 없다” 농지이용 및 전용 질서 확립 - 농지소유와 전용 자유화하되 이용질서 확립 “계획없이 전용없다”
37
Ⅴ. 핵심 정책 (계속) 6. 농촌지역에 대한 지원 중심지 소도읍과 성장성이 높은 마을 중점 지원 개발 농촌지역의 정주거점으로 육성 농촌지역 소규모 학교 유지를 위한 지원 농촌마을의 보건진료소 지원 방문간호, 응급처치, 병의원 서비스 연결 오지, 도서 주민에 대한 기초생활보장제, 건강·연금보험료 혜택 확대
38
E-mail : belmont@krei.re.kr
감사합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 정 환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