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5. 전통을 찾아서 (1) 청산별곡.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5. 전통을 찾아서 (1) 청산별곡."— Presentation transcript:

1 5. 전통을 찾아서 (1) 청산별곡

2 학습목표 1. 고려가요란 무엇인지 안다. 2. 작품에 나타난 화자의 상황과 정서를 이해할 수 있다.

3 고려 가요 개념 : 고려 시대의 평민(서민)의 노래 특징 : 3.3.2조 3음보의 분절체(분연체)임 연의 끝에 후렴구가 발달함
특징 : 3.3.2조 3음보의 분절체(분연체)임 연의 끝에 후렴구가 발달함 기록 문자 - 구전되었다가 조선시대 한글로 기록됨 내용 - 남녀의 사랑, 자연예찬, 현실적

4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자연, 속세에 대비되는 개념 화자가 지향하는 공간 멀위랑 다래랑 먹고 소박한 음식
자연, 속세에 대비되는 개념 화자가 지향하는 공간 멀위랑 다래랑 먹고 소박한 음식 청산애 살어리랏다. 1. 청산

5 머루와 다래

6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반복되는 후렴구 유성음(ㄹ, ㅇ) – 밝고 경쾌한 느낌 1. 청산

7 2. 새의 울음 울어라 울어라 새여 자고 일어나 울어라 새여 너보다 시름 많은 나도 자고 일어나 우는구나 우러라 우러라 새여
감정이입, 동병상련(同病相憐)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너보다 널라와 시름 한 나도 많은 자고 니러 우니로라 2. 새의 울음 울어라 울어라 새여 자고 일어나 울어라 새여 너보다 시름 많은 나도 자고 일어나 우는구나

8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속세, 현실 세계 ‘청산’과 의미상 대조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3. 날아가는 새 날아가던 새 날아가던 새 본다 물 아래 날아 가던 새 본다 이끼 묻은 쟁기를 가지고

9 이리공 뎌리공 ㅎ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낮은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또 엇디 호리라. 밤은 4. 낮과 밤의 상황 대비
이리공 뎌리공 ㅎ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낮은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또 엇디 호리라. 밤은 4. 낮과 밤의 상황 대비 이럭저럭 하여 낮은 지내 왔지만 올 사람도 갈 사람도 없는 밤은 또 어찌할 것인가

10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미치던 돌코 피할 수 없는 괴로운 운명 5. 우연히 날아온 돌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어디에다 던지던 돌인가 누구를 마치던 돌인가 미워할 사람도 사랑할 사람도 없이 맞아서 울고 있노라

11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ㄹ래 살어리랏다. 자연을 표상 속세에 대비되는 개념 화자가 지향하는 공간 나마자기 구조개랑 먹고
자연을 표상 속세에 대비되는 개념 화자가 지향하는 공간 나마자기 구조개랑 먹고 소박한 음식 6. 바다

12 나문재와 조롱박꽃

13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스미 짐대예 올아셔 사슴 해금을 혀거를 드로라. 7. 사슴의 해금 연주
가다가 가다가 듣노라 외딴 부엌 가다가 듣노라 사슴이 장대에 올라셔서 해금을 켜는 것을 듣노라

14 사슴이 장대에 오른 모습

15 가다니 ㅂ브른 도긔 현실의 고통을 잊게 하는 존재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매와 잡ㅅ와니 내 엇디ㅎ리잇고 – 체념
8. 술 가다보니 배부른 독에 독한 술을 빚는구나 조롱꽃같은 누룩이 매워 붙잡으니 내 어찌 하리이까.

16 기 승 전 결 청산 자연에 대한 동경 새의 울음 삶의 비애와 고통(감정이입) 날아가는 새 속세에 대한 미련 낮과 밤
절망적인 고독과 비탄 날아온 돌 운명에 대한 체념 바다 자연에 대한 동경 (1연 정서의 반복 및 강조) 사슴의 해금 삶의 고뇌를 잊기 위해 유희에 탐닉 술에 탐닉해 고뇌를 해소하려 하나 절박한 고독감을 어찌할 수 없음

17 청산 우니노라 우니로라 바다 가던 새 가다가 엇디호리라 엇디하리잇고
5,6연 교체설 5/6 위치를 바꾸면 1-4연(청산)과 5-8연(바다)가 대칭을 이룸

18 A A a a b a B A A A a a a b B A 살어리 살어리랏다 靑山애 살어리랏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ㄷ래랑 먹고 靑山애 살어리랏다 가시리 가시리잇고 ㅂ리고 가시리잇고 날러는 엇디 살라 ㅎ고 ㅂ리고 가시리잇고 B A A A a a a b B A

19 A A B A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 보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노오란 네 꽃잎이 피려고/ 간밤에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 보다. A A B A

20 1.화자의 위치에 따른 다양한 해석 청산 밖 – 살고 싶구나, 살았으면 좋았을 것을 청산을 동경, 청산으로 가고 싶은 소망 표현 or 청산으로 가지 못한 아쉬움을 표현 – 이상향의 공간 청산 안 – 살아야만 하는구나, 살리라 현실 상황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청산에 살아야 한다는 한탄, 계속 살리라는 의지 - 현실도피의 공간

21 갈래 고려가요 (속요) 성격 애상적, 체념적, 현실 도피적 운율 3음보(3.3.2조), 후렴구 반복 주제 삶의 고뇌와 비애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구 실연의 슬픔과 괴로움 삶의 터전을 잃은 슬픔 특징 a-a-b-a구조를 통해 의미를 강조하고 운율감을 획득함 5연과 6연이 바뀌면 대칭적 2단 구성 함축성이 강한 시어를 통해 정서표출 고도의 음악성 상징성으로 고려가요의 백미로 평가

22 청산별곡의 시대적 배경 청산별곡의 창작 시기는 고려후기 무신의 집권과 몽골의 침입으로 인하여 고려 전체가 내우외환(內憂外患)으로 시달리던 시기이다. 이 시기는 무신들의 횡포와 원에 기댄 권문세족들의 수탈이 막심하여 많은 백성들이 농토를 버리고 떠나 사방으로 유랑하였다. 또한 양심적 지식인들도 제 뜻을 펼칠 수 없는 현실에서 많은 좌절을 겪어 세속을 떠나 은둔하기도 하였다.

23 시의 아름다움을 실현하는 요소 음악성 형상성 함축성 시어의 운율적 요소 이미지, 비유, 상징, 역설 등을 사용
경험적, 감각적으로 구체화

24 ‘청산별곡’의 아름다움 음악성 형상성 함축성 3.3.2조의 3음보율 a-a-b-a구조 반복 ㄹ,ㅇ음의 반복
청산, 새, 돌, 사슴, 바다 등의 의미 해석 청산, 바다의 구체적 장소로 표현

25 청산별곡 vs 꿍따리 샤바라 마음이/ 울적하고/ 답답할땐// 산으로올라가/ 소릴한번/ 질러봐 나처럼/ 이렇게/ 가슴을 펴고// 꿍따리/ 샤바라/ 빠빠빠빠 누구나/ 세상을/ 살다보면은// 마음먹은대로/ 되지 않을/ 때가 있어 그럴땐/ 나처럼/ 노랠 불러봐// 꿍따리/ 샤바라/ 빠빠빠빠 기쁨과/ 슬픔이/ 엇갈리고// 좌절과/ 용기가/ 교차되고 만남과/ 이별을/ 나누면서// 그렇게/ 우리는/ 살아가고 뜻대로/ 되지 않을/ 때도 있고// 마음먹은대로/ 될 때도/ 있어 다/ 그런거야/ 누구나// 세상은/ 그렇게/ 돌아가니까 다/ 그렇게/ 사는 거야// 희비가/ 엇갈리는/ 세상속에서 내일이/ 다시 찾아/ 오기에// 우리는/ 희망을 안고/ 사는거야 마음대로/ 일이 되지/ 않을 땐// 하던 일을/ 멈추고/ 여행을 떠나봐 바다를/ 찾아가/ 소릴 질러봐// 꿍따리/ 샤바라/ 빠빠빠빠 꿍따리/ 샤바라/ 빠빠빠// 빠빠빠/ 빠빠/ 빠빠빠 꿍따리/ 샤바라/ 빠빠빠// 빠빠빠/ 빠빠/ 빠빠빠

26 패러디 시 짓기 살어리 살어리랏다 겜방에 살어리랏다 찰떡파이랑 피쵸랑 먹고 이야호 야야호 얄라리 얄라 너랑 나랑 편먹고
살어리 살어리랏다 겜방에 살어리랏다 찰떡파이랑 피쵸랑 먹고 이야호 야야호 얄라리 얄라 너랑 나랑 편먹고 베넷 한판 뛰어보세 한 판 하고 또 한 판 하니 어느새 네 시간째라 이야호 야야호 얄라리 얄라


Download ppt "5. 전통을 찾아서 (1) 청산별곡."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