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2. 문학의 활동의 방법 [1] 문학의 수용 02 청산별곡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2. 문학의 활동의 방법 [1] 문학의 수용 02 청산별곡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Presentation transcript:

1 2. 문학의 활동의 방법 [1] 문학의 수용 02 청산별곡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고려가요 갈래 정리

3 일반적으로 고려 시대 귀족층에서 향유한 경기체 가에 대하여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를 말함.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고려가요의 개념 일반적으로 고려 시대 귀족층에서 향유한 경기체 가에 대하여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를 말함. 향가계 여요 또한 고려가요에 포함시켜 이해하 는 것이 일반적임.

4 고대로부터 내려온 민요에서 형성된 것으로 구전되어 오다가 훈민정음 제정 이후 조선 성종대에 이르러 문자로 정착되기 시작함.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고려가요의 형성 과정 고대로부터 내려온 민요에서 형성된 것으로 구전되어 오다가 훈민정음 제정 이후 조선 성종대에 이르러 문자로 정착되기 시작함.

5 고려가요의 형식 대부분 분절식(3-3-2 또는 3-4-4)으로 구성 분연체(분절체, 연장체) 후렴구와 조흥구 발달 후렴구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고려가요의 형식 대부분 분절식(3-3-2 또는 3-4-4)으로 구성 분연체(분절체, 연장체) 후렴구와 조흥구 발달 후렴구 흥을 돋움, 노래를 길게, 운율에 기여, 주제 형상 반복구 주제 강조, 운율 조흥구 흥을 돋움, 운율

6 현세적, 향락적, 퇴폐적, 주로 남녀간의 사랑, 자 연에 대한 예찬, 이별의 아쉬움 등 평민들의 숨김 없는 인간성을 나타냄.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고려가요의 내용 현세적, 향락적, 퇴폐적, 주로 남녀간의 사랑, 자 연에 대한 예찬, 이별의 아쉬움 등 평민들의 숨김 없는 인간성을 나타냄. 소박하고 풍부한 감정과 정서를 진솔하게 표현함. 대부분 작자 연대와 작가가 알려지지 않았는데, 문자를 가지지 못한 평민 계급을 작자층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함.

7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문학 활동의 방법 [1] 문학의 수용 02 청산별곡 작품 정리

8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학습 목표 ‘청산별곡’은 뛰어난 음악성과 상징적인 시어 가 돋보이는 고려 가요이다. 고려 시대 사람들 이 염원했던 ‘청산’과 ‘바다’의 상징적인 의미 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9 작품 연구 갈래 : 고려 가요, 서정시 성격 : 현실 도피적, 애상적, 낙천적 형식 : 전 8연의 분연체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작품 연구 갈래 : 고려 가요, 서정시 성격 : 현실 도피적, 애상적, 낙천적 형식 : 전 8연의 분연체 운율 : 3 · 3 · 2조, 3음보 제재 : 청산, 바다 주제 : 삶의 고뇌와 비애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욕구

10 ‘ㄹ’음과 ‘ㅇ’음을 반복하여 후렴구의 음악성을 드러냄.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작품 연구 특징 ‘a - a - b - a' 형태의 반복 표현이 사용됨. ‘ㄹ’음과 ‘ㅇ’음을 반복하여 후렴구의 음악성을 드러냄. 감정 이입, 반복, 상징, 의인, 비교 등 다양한 수사법을 구사함. 고도의 상징적 시어를 통해 삶의 고뇌와 애환 을 진솔하게 노래함.

11 구성 - 5연과 6연이 뒤바뀌지 않은 것으로 볼 때 1연 청산에서 살고 싶다는 소망 2~5연 청산에 갔을 때 겪게 될 갈등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작품 연구 구성 - 5연과 6연이 뒤바뀌지 않은 것으로 볼 때 1연 청산에서 살고 싶다는 소망 2~5연 청산에 갔을 때 겪게 될 갈등 6연 바다에서 살고 싶다는 소망 7~8연 술을 통해 고통을 잊으려 함

12 구성 - 5연과 6연이 뒤바뀐 것으로 볼 때 청산에서의 삶 바다에서의 삶 1연: 청산에 대한 동경(청산)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작품 연구 구성 - 5연과 6연이 뒤바뀐 것으로 볼 때 청산에서의 삶 바다에서의 삶 1연: 청산에 대한 동경(청산) 6연: 바다에 대한 동경(바다) 2연: 삶의 비애와 고독(새) 5연: 운명적 고독과 번뇌(돌) 3연: 속세에 대한 미련(새) 7연: 기적을 소망하는 마음(사슴) 4연: 고독과 외로움(밤) 8연: 고뇌의 해소(술) 대칭 구조

13 핵심 강의 시어의 상징성 1연 청산 괴로운 현실을 벗어날 수 있는 공간, 도피처 2연 새 시름과 설움을 공감하고 토로하는 존재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시어의 상징성 1연 청산 괴로운 현실을 벗어날 수 있는 공간, 도피처 2연 시름과 설움을 공감하고 토로하는 존재 3연 버려야 하는 기존의 삶에 대한 아쉬움 4연 극대화된 고독

14 현실적 괴로움으로부터 도피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5연 가혹한 운명, 피할 수 없는 운명 6연 바다 괴로운 현실을 벗어날 수 있는 공간, 도피처 7연 사슴 현실을 뛰어넘는 어떤 기적에 대한 소망 8연 강술 현실적 괴로움으로부터 도피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

15 작품에 대한 다양한 해석 시적 화자 주제 및 성격 유랑민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작품에 대한 다양한 해석 시적 화자 주제 및 성격 유랑민 몽골의 침략, 무신 집권기의 수탈 등 내우외환 속에서 삶이 뿌리 채 손상되어 결국 살던 터전을 버리고 유랑민으로 전락하게 된 민중의 애환을 그린 민요

16 혼탁한 사회에서 자신의 뜻을 제대로 펼 수 없어 속세의 번뇌를 버리고 자연에 깃들고자 하는 지식인의 술 노래(창작 시가)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시적 화자 주제 및 성격 지식인 혼탁한 사회에서 자신의 뜻을 제대로 펼 수 없어 속세의 번뇌를 버리고 자연에 깃들고자 하는 지식인의 술 노래(창작 시가) 실연한 여인 실연의 슬픔을 잊고자 자연으로 도피하고자 하는 사람의 노래

17 악기의 의성어로, 흥을 돕고 노래의 리듬에 맞추 기 위한 것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후렴구의 기능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악률을 맞추기 위한 수단 악기의 의성어로, 흥을 돕고 노래의 리듬에 맞추 기 위한 것 ‘ㄹ’음과 ‘ㅇ’음의 연속으로 매끄러운 음악적 효 과를 가지며 낙천적이고 명랑한 느낌을 줌.(음악 적 흥취)

18 우는구나 우는구나, 새여. 자고 일어나 우는구나 새여.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현대어 풀이 살으리 살으리로다. 청산에서 살으리로다. 머루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서 살으리로다. 1연 우는구나 우는구나, 새여. 자고 일어나 우는구나 새여. 너보다 근심이 많은 나도 자고 일어나 울며 지내노라. 2연

19 가던 새 가던 새 보았느냐? 평원 지대로 가던 새를 보았느냐?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가던 새 가던 새 보았느냐? 평원 지대로 가던 새를 보았느냐? 이끼 묻은 연장을 가지고 평원 지대로 가던 새를 보았느냐? 3연 이럭저럭하여 낮은 지내왔으나 올 사람도 갈 사람도 없는 밤은 또 어찌하리오. 4연

20 미워할 사람도 사랑할 사람도 없이 (돌에) 맞아서 울고 있노라. 5연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어디에 던지던 돌인가? 누구를 맞히려던 돌인가? 미워할 사람도 사랑할 사람도 없이 (돌에) 맞아서 울고 있노라. 5연 살으리 살으리로다. 바다에서 살으리로다. 해초랑 굴 조개를 먹고 바다에서 살으리로다. 6연

21 가다가 가다가 듣노라. 외딴 부엌을 지나다가 듣노라.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가다가 가다가 듣노라. 외딴 부엌을 지나다가 듣노라. 사슴(사슴으로 분장한 광대)이 장대에 올라가서 해금 켜는 것을 듣노라. 7연 가더니 불룩한 독에 독한 술을 빚는구나. 조롱박꽃 같은 누룩이 매워 (나를) 붙잡으니, 낸들 어찌하리. 8연

22 (1) 이 작품에서 리듬감을 느끼게 하는 요소는 무엇 인지 찾아보자.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1] 문학의 수용 ‘청산별곡’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이 작품에서 리듬감을 느끼게 하는 요소는 무엇 인지 찾아보자. 예시 답| • 3 · 3 · 2조의 음수율을 바탕으로 한 3음보의 율격 • ‘a(살어리) – a(살어리랏다) – b(청산애) – a(살어리랏다)’와 같은 형식의 반복 구조 • ‘ㄹ’음과 ’ㅇ’음의 반복으로 경쾌한 느낌을 주는 후렴구

23 (2) 이 작품에서 시적 화자가 현재 처한 상황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시어들을 찾아보자.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이 작품에서 시적 화자가 현재 처한 상황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시어들을 찾아보자. 예시 답| • ‘시름’ – 슬픔 • ‘밤’ – 외로움, 쓸쓸함 • ‘돌’ – 가혹한 운명

24 (3) 이 작품에서 시적 화자가 갈망하는 공간을 상징하는 시어를 모두 찾아보고, 그 뜻을 말해 보자.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3) 이 작품에서 시적 화자가 갈망하는 공간을 상징하는 시어를 모두 찾아보고, 그 뜻을 말해 보자. 예시 답| ‘쳥산’, ‘바’ – ‘쳥산’은 침입과 수탈과 혹정으로부터의 탈출, 이상을 펼칠 수 없는 사회로부터의 칩거, 실연의 아픔으로부터의 도피를 원하는 이가 찾는 탈출구 등 가혹한 현실로부터의 도피처를, ‘바’은 ‘쳥산’에서도 평안을 찾을 수 없었던 화자가 달리 찾는 또 하나의 도피처를 상징한다. 즉, ‘쳥산’이나 ‘바’은 모두 내우외환에 시달려 자신의 근거지를 버리고 자연 속에 깃들어 외롭게라도 살아가려는 민중들의 도피처를 상징한다.

25 (4) 이 작품의 화자는 현실 공간 속에서 자신의 괴로움을 무엇을 통해 해소하고 있는지 찾아보자.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4) 이 작품의 화자는 현실 공간 속에서 자신의 괴로움을 무엇을 통해 해소하고 있는지 찾아보자. 예시 답| 화자는 현실에서의 괴로움을 술(‘설진 강술’)을 통해 체념 또는 초극하고자 하고 있다.

26 ‘청산별곡’의 고려 가요로서의 특징과 관련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청산별곡’의 고려 가요로서의 특징과 관련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다음 설명을 참고하여 이 작품의 갈래적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지적해 보자. 예시 답| 이 작품은 3 · 3 · 2조, 3음보의 분연체로, 매 연마다 후렴구가 반복되고 있으며, 민중들의 삶의 애환을 고도의 상징적 시어를 통해 진솔하게 노래하고 있다.

27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고려 시대는 무신 정권의 집권, 외적의 침입으로 인한 전란, 변방 수비를 위한 백성들의 강제 이주 등 내우외환(內憂外患)의 상황으로 민중들의 삶은 괴로울 수밖에없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이 작품에 나타난 생활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자. 예시 답| 이 작품에는 당시 고려 민중들이 현실에서 겪는 고통에 대한 하소연이 매우 진솔하고 절실하게 표현되어 있다. 작품 속에서 그들은 현실의 외로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차라리 권력자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자연 속으로 숨어들어 살

28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고자 한다. 그러나 그들은 산에서도 바다에서도 평안과 행복을 찾았다기보다는 올 사람도 갈 사람도 없는 외로움과 싸우고 술을 통해 괴로운 현실을 잊고 달래려 하는 모습에 머무르고 있다.

29 • 살어리랏다 : ①청산에 살고 싶다는 소망의 의 지적 표출 ②일찌감치 청산에 들어가 살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이 작품의 다음 구절들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각각의 견해에 따를 때, 작품의 전체적인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이야기해 보자. • 살어리랏다 : ①청산에 살고 싶다는 소망의 의 지적 표출 ②일찌감치 청산에 들어가 살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 • 가던 새 : ①화자의 슬픔을 위로해 주던 유일한 벗 ②평화롭게 농사를 짓던 옛날을 그리워하는 심정

30 • 사미 ~ 드로라 : ①흥겨운 놀이판을 바라보 는 고독감 ②불가능한 일에 대한 소망, 세상에 대한 조롱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 믈 아래 : ①새가 날아가는 방향, 물에 비친 새 의 모습 ②옛 생활에 대한 아쉬움과 미련 • 사미 ~ 드로라 : ①흥겨운 놀이판을 바라보 는 고독감 ②불가능한 일에 대한 소망, 세상에 대한 조롱

31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다음은 박두진의 시 ‘청산도(靑山道)’의 일부이다. 이 시에 나타난 ‘청산’과 ‘청산별곡’에 나타난 ‘청산’은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 보자. 예시 답| ‘청산별곡’에 나타난 ‘청산’은 가혹한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이들이 찾는, 일종의 도피처지만, ‘청산도’에 나온 ‘청산’은 생명력이 넘치는 공간으로, 아름답고 순수한 미래의 도래를 약속하는 곳이다.

32 ‘청산별곡’의 마지막 연에 나타난 화자의 문제 해결 방식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러한 해결 방식이 타당한지 토론해 보자.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청산별곡’의 마지막 연에 나타난 화자의 문제 해결 방식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러한 해결 방식이 타당한지 토론해 보자. 예시 답| 술로 삶의 고단함을 달래려 한다. 토론 주제 : • 술은 고통의 해소에 도움이 된다 / 안 된다. • 술에 의존하는 것은 옳다 / 그르다.

33 ‘청산별곡’에 나오는 ‘청산’의 의미를 생각하며, 다음 방법에 따라 이 작품을 패러디해 보자. |방법|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청산별곡’에 나오는 ‘청산’의 의미를 생각하며, 다음 방법에 따라 이 작품을 패러디해 보자. |방법| •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향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내용을 구성한다. • ‘청산별곡’과 유사한 통사 구조를 활용한다. • 리듬감을 살려 후렴구를 새로 만들어 본다.

34 살어리 살어리랏다 시험없는 세상에 살어리랏다. 지필도 수행도 없는 무시험 세상에 살어리랏다. 딩동 딩동 딩동 딩동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살어리 살어리랏다 무인도에 살어리랏다. 돌도끼랑 부싯돌 들고 무인도에 살어리랏다. 처얼썩 꾸르릉 처얼썩 쏴아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석골에 살어리랏다. 꺽정이랑 오주랑 데리고 청석골에 살어리랏다. 삘리리 삘리리 삘리리 삐 살어리 살어리랏다 동막골에 살어리랏다. 강냉이랑 감자랑 먹고 동막골에 살어리랏다. 오르랑 도르랑 하루랑 다루랑 살어리 살어리랏다 시험없는 세상에 살어리랏다. 지필도 수행도 없는 무시험 세상에 살어리랏다. 딩동 딩동 딩동 딩동 – 학생 작품


Download ppt "2. 문학의 활동의 방법 [1] 문학의 수용 02 청산별곡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