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창비 교과서 국어 문법 수업 자료 음운의 변동 독서와 문법 수업 자료 수업자료 전체 9594
2
[한글 맞춤법의 총칙 제1항]은 ‘한글 맞춤법은 ①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②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는 규정이다.
음운의 변동_소리대로 어법에 맞도록 소리대로 어법에 맞도록 모순된 내용일까? [한글 맞춤법의 총칙 제1항]은 ‘한글 맞춤법은 ①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②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는 규정이다. ①은 쓰기에 편하고, ②는 읽기에 편하다 독해 9594
3
글자는 쓰는 것뿐만 아니라 읽기 위한 것이기도 하므로 장점이 더 많다.
음운의 변동_소리대로 어법에 맞도록 이에 따라 우리는 ‘착한 학생’이라는 말이 [차칸 학쌩]이라고 소리가 나더라도 쓸 때는 ‘착한 학생’이라고 쓴다. 이 규정은 받아쓰기를 어렵게 하지만, 단점 글자는 쓰는 것뿐만 아니라 읽기 위한 것이기도 하므로 장점이 더 많다. 9594
4
음운의 변동_소리대로 어법에 맞도록 예를 들어 ‘[꼳], [꼬치], [꼳또], [꼰만]’ 등 여러 가지로 소리가 나는 것을 ‘꽃, 꽃이, 꽃도, 꽃만’과 같이 ‘꽃’으로 통일해서 적으면 읽을 때 그 뜻을 파악하기가 훨씬 쉽다. 장점 한글 맞춤법의 핵심 원리 9594
5
이러한 표기는 우리가 어떤 단어를 머릿속에 하나의 말소리로 기억하고 있다는 것과 꽃
음운의 변동_소리대로 어법에 맞도록 꽃이 꽃을 꽃에 > 꽃 꽃만 꽃나무 꽃놀이 > 꼰 꽃 꽃도 꽃밭 > 꼳 이러한 표기는 우리가 어떤 단어를 머릿속에 하나의 말소리로 기억하고 있다는 것과 꽃 9594
6
이것이 입 밖으로 나올 때 소리가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꽃 꼰 꼳
음운의 변동_소리대로 어법에 맞도록 이것이 입 밖으로 나올 때 소리가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꽃 꼰 꼳 이는 ‘어법에 맞도록’이란 규정과 일맥상통한다. 이 규정은 국어의 역사적 변화와 말할 때의 발음 변화를 고려하여 하나의 기본적인 표기를 정해서 써야 한다는 규정이다. 9594
7
음운의 변동_소리대로 어법에 맞도록 따라서 [말소리의 변화를 잘 이해하는 것]은 맞춤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우리말을 정확하게 발음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음운 변동 현상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 말소리의 변화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9594
8
음운의 변동-음운 변동의 유형 음운 변동의 유형 말소리가 달라지는 예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면 이해하기가 더 쉬워진다. 일반적으로 [국어의 음운 변동]은 ‘교체’, ‘탈락’, ‘첨가’, ‘축약’, 이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9594
9
음운의 변동-음운 변동의 유형 ①(교체(交替))는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으로서 ‘국민’이 [궁민]으로 소리 나는 것이나 ‘국가’가 [국까]로 소리 나는 것 등이 그 예이다. ㄱ > ㅇ 비음화 ㄱ > ㄲ 된소리 되기 9594
10
음운의 변동-음운 변동의 유형 ②탈락(脫落)은 있었던 음운이 사라지는 것으로서 ‘좋아’가 [조아]로 소리 나는 것이나 ‘쓰- + -어’가 [써]로 소리 나는 것이 그 예이다. ㅎ > ㅇ ㅎ 탈락 ㅡ > ㅡ 탈락 9594
11
그리고 ③첨가(添加)는 없었던 음운이 새로 보태지는 것으로서 ‘담요’가 [담뇨]로 소리 나는 것이 그 예이며,
음운의 변동-음운 변동의 유형 그리고 ③첨가(添加)는 없었던 음운이 새로 보태지는 것으로서 ‘담요’가 [담뇨]로 소리 나는 것이 그 예이며, ㅇ > ㄴ ㄴ 첨가 9594
12
④축약(縮約)은 두 음운이 합쳐져 새로운 음운이 되는 것으로서 ‘입학’이 [이팍]으로 소리 나는 것이 그 예이다.
음운의 변동-음운 변동의 유형 ④축약(縮約)은 두 음운이 합쳐져 새로운 음운이 되는 것으로서 ‘입학’이 [이팍]으로 소리 나는 것이 그 예이다. ㅂ + ㅎ > ㅍ 싫+어 > 시러 ㅎ탈락 싫고 > 실코 ㅎ+ㄱ > ㅋ 축약 음운 변동의 유형 9594
13
음운의 변동의 유형_교체 교체 음운 변동의 네 가지 유형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은 교체이다. 교체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ㅣ’ 모음 역행 동화 등 그 예가 매우 다양하다. 9594
14
음운의 변동의 유형_교체-음절 끝소리 규칙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음절 끝에서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이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일곱 개뿐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교체 현상이다. 잎 > 입 ㅍ > ㅂ 끝 > 끋, 꽃 > 꼳 ㅅ ㅈ ㅊ ㅌ > ㄷ 부엌 > 부억 ㅋ ㄲ > ㄱ 9594
15
[된소리되기]는 ①파열음 뒤에서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뀌거나 파열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음운의 변동의 유형_교체_된소리 되기 [된소리되기]는 ①파열음 뒤에서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뀌거나 파열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예사소리 ㅂ ㄷ ㄱ (ㅅ ㅈ) 된소리 ㅃ ㄸ ㄲ (ㅆ ㅉ) 거센소리 ㅍ ㅌ ㅋ (ㅊ) 국법 > 국뻡 9594
16
②한자어, 용언의 활용, 관형사형 어미 ‘ㄹ’ 뒤 등에서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이다. 발전 > 발쩐 한자어
음운의 변동의 유형_교체_된소리 되기 ②한자어, 용언의 활용, 관형사형 어미 ‘ㄹ’ 뒤 등에서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이다. 발전 > 발쩐 한자어 감고 > 감꼬 용언의 활용 할 수 > 할 쑤 관형사형 어미 ㄹ 뒤 9594
17
[비음화(鼻音化)]는 비음 앞의 ‘ㅂ, ㄷ, ㄱ’이 각각 같은 조음 위치의 비음 [ㅁ], [ㄴ], [ㅇ]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음운의 변동의 유형_교체_비음화 [비음화(鼻音化)]는 비음 앞의 ‘ㅂ, ㄷ, ㄱ’이 각각 같은 조음 위치의 비음 [ㅁ], [ㄴ], [ㅇ]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밥물 > 밤물 걷는다 > 건는다 국물 > 궁물 잡는다 > 잠는다 9594
18
[유음화(流音化)]는 유음인 ‘ㄹ’ 앞의 ‘ㄴ’이 [ㄹ]로 소리가 바뀌거나 신라 > 실라 난로 > 날로
음운의 변동의 유형_교체_유음화 [유음화(流音化)]는 유음인 ‘ㄹ’ 앞의 ‘ㄴ’이 [ㄹ]로 소리가 바뀌거나 신라 > 실라 난로 > 날로 ‘ㄹ’ 뒤의 ‘ㄴ’이 [ㄹ]로 소리가 바뀌는 현상이다. 칼날 > 칼랄 설날 > 설랄 9594
19
[구개음화(口蓋音化)]는 단모음 ‘ㅣ’나 반모음 ‘j’ 앞에서 ‘ㄷ, ㅌ’이 각각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음운의 변동의 유형_교체_구개음화 [구개음화(口蓋音化)]는 단모음 ‘ㅣ’나 반모음 ‘j’ 앞에서 ‘ㄷ, ㅌ’이 각각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굳이 > 구지, 밭이 > 바치 ㄷ ㅈ ㅌ ㅊ 텬>천, 둏다>좋다(반모음 j) ㅌ ㅊ ㄷ ㅈ 9594
20
[‘ㅣ’ 모음 역행 동화]는 ‘ㅣ’ 앞에서 ‘ㅏ’, ‘ㅓ’ 등의 후설 모음이 전설 모음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음운의 변동의 유형_교체_구개음화 [‘ㅣ’ 모음 역행 동화]는 ‘ㅣ’ 앞에서 ‘ㅏ’, ‘ㅓ’ 등의 후설 모음이 전설 모음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 ㅣ ㅟ ㅡ ㅜ ㅔ ㅚ ㅓ ㅗ ㅐ ㅏ 멋장이 > 멋쟁이 풋나기 > 푼내기 9594
21
음운의 변동_탈락 축약 첨가 탈락, 첨가, 축약 탈락, 첨가, 축약은 교체에 비해 그리 흔한 현상은 아니다. 음운의 변동 중에서 탈락은 크게 자음 탈락과 모음 탈락으로 나뉜다. 9594
22
음운의 변동_자음 탈락 [자음 탈락]은 여러 가지 이유로 나타날 수 있다. ‘몫’을 발음할 때에 음절 끝에는 하나의 자음밖에 오지 못한다는 제약 때문에 음운 하나가 탈락되고, 앎>암, 닭>닥, 9594
23
‘짧고’를 발음할 때에는 모음 사이에 최대 두 개의 자음만 올 수 있다는 제약 때문에 음운 ‘ㅂ’이 탈락된다.
음운의 변동_자음 탈락 ‘짧고’를 발음할 때에는 모음 사이에 최대 두 개의 자음만 올 수 있다는 제약 때문에 음운 ‘ㅂ’이 탈락된다. 짧고>짤꼬, 늙지>늑찌, 읊다>읍따, 핥다>할따, 읽고>일꼬 9594
24
‘좋다’와 ‘날다’의 활용형 ‘좋은’과 ‘나는’을 발음할 때에도 각각 ‘ㅎ’과 ‘ㄹ’이 탈락된다.
음운의 변동_자음 탈락 ‘좋다’와 ‘날다’의 활용형 ‘좋은’과 ‘나는’을 발음할 때에도 각각 ‘ㅎ’과 ‘ㄹ’이 탈락된다. 좋은>조은, 넣+어 > 너어, 싫+어 > 시러 ㅎ 탈락 날는>나는, 살+느냐 > 사느냐, 살+ㅂ시다>삽시다, 알+오>아오 ㄹ 탈락 9594
25
[모음 탈락]은 용언이 활용될 때 어간이나 어미의 모음에서 나타난다. 쓰+어라 > 써라, 자+아라 > 자라,
음운의 변동_모음 탈락 [모음 탈락]은 용언이 활용될 때 어간이나 어미의 모음에서 나타난다. 쓰+어라 > 써라, 자+아라 > 자라, 서+어라 > 서라, 끄+어라>꺼라, 가+아라>가라 ‘병이 낳은 후’와 같이 잘못된 표기가 많은 이유는 ‘병이 나은’ ‘아기를 낳은’이지만 발음이 모두 나은이기 때문 9594
26
[첨가]의 예로는 ㄴ 첨가가 있는데 ①합성어나 파생어 등에서 뒷말이 모음 ‘ㅣ’나 반모음 ‘j’로 시작될 때 나타난다.
음운의 변동_첨가_ㄴ 첨가 [첨가]의 예로는 ㄴ 첨가가 있는데 ①합성어나 파생어 등에서 뒷말이 모음 ‘ㅣ’나 반모음 ‘j’로 시작될 때 나타난다. 담요>담뇨, 솜이불>솜니불, 한여름>한녀름, 맨입>맨닙, 눈요기>눈뇨기, 콩엿>콩녇, 꽃잎>꼰닙, 막일>망닐 9594
27
②두 단어의 사이에 새 소리가 끼어들기 때문에 ㄴ 첨가는 사잇소리 현상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음운의 변동_첨가_ㄴ 첨가 ②두 단어의 사이에 새 소리가 끼어들기 때문에 ㄴ 첨가는 사잇소리 현상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사잇소리 합성명사의 사이에서 덧생기는 소리 9594
28
[축약]의 예로는 거센소리되기가 있는데 이는 ‘ㅎ’의 앞뒤에 예사소리가 놓일 경우 둘이 합쳐져 거센소리가 되는 것이다.
음운의 변동_축약_거센 소리 되기 [축약]의 예로는 거센소리되기가 있는데 이는 ‘ㅎ’의 앞뒤에 예사소리가 놓일 경우 둘이 합쳐져 거센소리가 되는 것이다. 입학>이팍, 좋다>조타, 옳지>올치, 많다>만타, 놓고 >노코, 각하>가카 9594
29
닭이를 [달기]로 발음하지 않고, [다기]로 잘못 발음하는 이유는 닭은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 앞에서는 ㄹ과 ㄱ 모두 발음
음운의 변동_축약_거센 소리 되기 닭이를 [달기]로 발음하지 않고, [다기]로 잘못 발음하는 이유는 닭은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 앞에서는 ㄹ과 ㄱ 모두 발음 단독으로 발음할 때는 [닥]으로 발음하기 때문에 9594
30
음운의 변동_바른 표기와 올바른 발음 바른 표기와 정확한 발음 국어는 음운의 변동이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변동의 규칙과 예를 잘 알아야 맞춤법에 맞게 표기하고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다. '밥그릇’, ‘신문’을 각각 [박끄륻], [심문]으로 발음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밥끄륻, 신문 9594
31
음운의 변동_바른 표기와 올바른 발음 그리고 ‘아기’를 [애기]라고 발음하는 것도 규정에 어긋난다. 또한 ‘가시’를 [까시]와 같이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도 역시 올바른 발음이 아니다. 잘못된 발음의 예 9594
32
음운의 변동_바른 표기와 올바른 발음 이 밖에도 표준 발음법을 보면 ‘찌- + -어 → 쪄[쩌]’와 같이 발음한다는 규정이나 ‘계시다, 개폐’ 등에서 ‘ㅖ’를 [ㅔ]로도 발음할 수 있다는 규정도 있다. 또한 ‘주의’, ‘우리의’와 같은 경우처럼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할 수 있다는 규정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도 잘 익혀 정확하게 발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중 모음의 올바른 발음 9594
33
활동> 다음의 단어들을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찾아 음운의 변동을 설명해 보자
늘리다, 검정, 먹는다, 발굴, 북극점, 꽃밭, 아기, 짝사랑, 밟는다, 하늘 먹는다, 북극점, 꽃밭, 짝사랑, 밟는다 먹는다>멍는다 비음화 북극점>북극쩜>북끅쩜 된소리되기 된소리 9594
34
꽃밭>꼳받>꼳빧 음절끝소리규칙 된소리 짝사랑>짝싸랑 된소리되기 밟는다>밥는다>밤는다 ㄹ탈락 비음화
음운의 변동 꽃밭>꼳받>꼳빧 음절끝소리규칙 된소리 짝사랑>짝싸랑 된소리되기 밟는다>밥는다>밤는다 ㄹ탈락 비음화 9594
35
활동> 다음에 제시된 음운현상을 설명해 보자 교체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첨가
음운의 변동 활동> 다음에 제시된 음운현상을 설명해 보자 교체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첨가 없었던 음운이 새로 보태지는 현상 축약 두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로 합쳐지는 현상 탈락 있었던 음운이 사라지는 현상 9594
36
해돋이>해도지 ㄷ>( ) ( )모음 앞에서 ㅈ ㅣ
음운의 변동 활동> 다음의 빈 칸을 채워 보자 유음화 예 내용 조건 난로>날로 ㄴ>ㄹ ㄹ앞에서 구개음화 해돋이>해도지 ㄷ>( ) ( )모음 앞에서 ㅈ ㅣ 9594
37
국물>( ) ( )>ㅇ ( )앞에서 궁물 ㄱ ㅁ ( )>임는 ㅂ>( ) ( )앞에서 입는 ㅁ ㄴ
음운의 변동 비음화 국물>( ) ( )>ㅇ ( )앞에서 궁물 ㄱ ㅁ ( )>임는 ㅂ>( ) ( )앞에서 입는 ㅁ ㄴ 듣는>( ) ( )>ㄴ ( )앞에서 든는 ㄷ ㄴ 9594
38
부엌>( ) ㅋ>( ) 7개의 소리만 난다 부억 ㄱ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잎>( ) ㅍ>( ) 입 ㅂ
음운의 변동 음절끝소리 규칙 부엌>( ) ㅋ>( ) 7개의 소리만 난다 부억 ㄱ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잎>( ) ㅍ>( ) 입 ㅂ 옷>( ) ( )>ㄷ 옫 ㅅ 9594
39
~~~~~~~~~~~~~~~~~~~~ [보기]
음운의 변동 활동> [보기]의 어문 규정에 나온 단어들 중에서 ‘꽃다발’과 ‘넓죽하다’는 다음과 같은 음은 변동을 겪는다. 빈칸에 발음과 음운 현상을 써 보자 ~~~~~~~~~~~~~~~~~~~~ [보기]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9594
40
~~~~~~~~~~~~~~~~~~~~
음운의 변동 국밥[국빱] 칡범[칙뻠] 옷고름[옫꼬름] 있던[읻떤] 꽂고[꼳꼬] 꽃다발[꼳따발] 낯설다[낟썰다] 넓죽하다[넙쭈카다] 읊조리다[읍쪼리다] -‘표준어 규정’ 제6장 제23항 ~~~~~~~~~~~~~~~~~~~~ 9594
41
음운의 변동 꽃다발 > 꼳다발 > 꼳따발 ㅊ ㄷ 음절끝소리 규칙 ㄷ ㄸ 된소리 되기 9594
42
넓죽하다 > 넙죽하다 >넙쭉하다>넙쭈카다 ㄼ >ㅂ 자음 탈락 ㅈ > ㅉ 된소리 되기
음운의 변동 넓죽하다 > 넙죽하다 >넙쭉하다>넙쭈카다 ㄼ >ㅂ 자음 탈락 ㅈ > ㅉ 된소리 되기 ㄱ+ㅎ> ㅋ (축약) ㄼ>ㅂ은 자음 탈락, ㅈ>ㅉ은 된소리 되기, ㄱ+ㅎ> ㅋ은 자음 축약에 해당한다. 9594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