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KCR4판과 통합서지용 KORMARC -연속간행물을 중심으로-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KCR4판과 통합서지용 KORMARC -연속간행물을 중심으로-"— Presentation transcript:

1 KCR4판과 통합서지용 KORMARC -연속간행물을 중심으로-
김현자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수서정리과 TEL: 02) 인사(서울대 중앙도서관 수서정리과에서 근무하는 김현자 입니다.) 시작하기 전에 표준화에 대해서 강조할 수밖에 없는데요 현재 목록부서는 많은 변화를 겪었고 겪고 있지요 일단 목록 인원도 조정되었고, 잦은 인사 이동으로 경력자들도 그리 많지 않으며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던 내규도 와해되었지요. 좀 더 많은 도서를 정리해야 하는 부담도 또한 안고 있습니다. 신규 직원에 대한 교육도 해야 하고요. 표준화가 좀 더 확대 된다면 일정정도 업무 부담이 줄어들겠지요.. 그렇지만 표준화는 굉장히 어려운것 같습니다. 미국같은 경우는 목록 전문가들이 모여서 각 매체별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지요.. 회의도 많이 하구요.. 그런데 한국 상황은 좀 다름니다. 솔직이 제가 교육을 하러 여기 섰지만 이게 정답은 아닐수 있습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인터넷의 발달과 미디어의 발달로 여러 매체의 자료들이 출간되고 있으면서 자료 유형에 대한 논란이 많습니다. KCR 같은 경우는 11개의 유형인데 중복해서 표현되는 유형이 많지요.. 예를 들면 전자저널인데 문자자료이면서 전자자료이고 연속간행물 입니다. 또한 지도자료인데 CD 형태로 연속적으로 출간되는 자료의 유형은 어떻게 할것인지.. 이런 고민들이 RDA에 표현되어 보입니다. 오늘 살펴볼것은 인쇄자료 중심의 연속간행물 입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2 목차 서지자료의 범주 목록규칙의 변화 기술의 원칙 통합서지용 KORMARC 적용 유형별 예제

3

4 서지자료의 범주 연속간행물의 정의 (국제표준서지기술법ISBD 정의)
정기간행물(Periodicals) : 보통 개별적인 논문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연간보다는 더 자주 정기적인 간격으로 발행되는 연속간행물의 일종 연속간행물(Serials) : 종간예정이 없이 연속적인 낱낱의 호나 부분으로 간행되며, 대체로 권호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계속자료(인쇄 연속간행물, CD-ROM 연속간행물, e-journal) 계속간행물(Continuing Resource) : 종간예정없이 지속적으로 발행되는 서지자료 ( 연속간행물 + 계속적인 통합자료) 통합자료(Integrating Resource) : 낱개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전체로 통합된 형태를 유지하면서, 갱신의 형태로 추가되거나 변경되는 서지자료(종결통합자료, 계속 통합자료) ISBD(CR)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입니다. 통합자료: 대한민국 현행 법령집, 일본공업규격집 -> 단행본으로 정리 (가제식)

5 목록규칙의 변화 영미목록규칙 Panizzi 1841 (Periodical Publication)
Cutter 1876 (Periodicals, Serials, Continuations) ALA (Serials) ISBD(S) : Serials 1977, 1988 ISBD(CR) : Continuing Resources 2002 AACR 2002 : Continuing resources

6 서지자료의 범주 계속자료 Continuing resources 종결자료 Finite resources 단행자료
Monographs 연속간행물 Serials 갱신통합자료 Integrating resources 다권자료 Multi-parts AACR2R 2002 개정판의 발간을 앞두고 ALA 연속간행물 위원회의 2002년 연차세미나에서 Hirons에 의해 제시된 모델은 (그림 1)와 같다. (그림 1)에서는 목록의 대상이 되는 모든 서지적 자료를 종결자료와 계속자료로 구분한 다음, 종결자료는 다시 단행자료와 종결통합자료로, 계속자료는 연속간행물과 계속통합자료로 구분하고 있다. 여기서 단행자료는 제 2장에서 제 11장까지 규정되어 있는 모든 자료가 해당되며, 단행자료를 제외한 자료는 모두(종결 통합자료, 연속간행물, 계속통합자료) 제 12장에 해당된다. 이 구분모델에 따라 구체적인 자료의 예이다. 이러한 토대로 AACR 2002 판이나 ISBD(CR) 로 계속자료로 목록규칙을 발간하게 됩니다. 구성부분이 별개로 존재 Parts remain discrete 갱신부분이 통합됨 Updates do not remain discrete

7 목록규칙의 변화 ISBD 2007 통합판 자료유형(Type of resources) 범주( 0.1.1 Scope)
Printed texts Cartographic resources Electronic resources Moving images Multimedia resources Notated music resources Sound recordings Still images 특별한 형태의 자료 (0.2.1 Specific types of resources) For older monographic resources For continuing resources (serials integrating resources) For electronic resources

8 목록규칙의 변화 RDA (Resource Description Resource) 2009년
2.1 Basis for identification of the Resource Resource Issued as a Single Unit Resource Issued in More Than One Part Integrating Resource Content type, Carrier type, Media Type 3가지로 나누어 각각의 자료유형에 특징을 나타내게 됩니다.

9 목록규칙의 변화 한국목록규칙 KCR 1판-3판 : 단행본 기술규칙
한국문헌자동화목록기술규칙(KORMARC) –연속간행물-,1995. KCR4판: 연속간행물을 포함한 11개 유형의 통합목록규칙, 2002.

10 ISBD(CR) 과 KCR의 비교 구분 ISBD(CR) KCR 4판 유형 계속자료 연속간행물 기술의 대상
계속자료는 종간 예정없이 계속적으로 발행되는 자료. 계속자료에는 연속간행물과 계속적인 통합자료가 포함된다. 기록매체의 종류와 관계 없이 종간을 예정하지 않고 간행되는 모든 유형의 자료 기술의 정보원 연속간행물 : 창간호 계속통합자료: 최신호 창간호를 기준 새로운 저록의 작성 0.12 표제의 변경이 현저한 경우 0.13 표제의 변경이 경미한 경우 ) 본표제, 판표시가 변경된 경우에는 표제아래 독립된 저록을 작성한다.

11 1. 여러 개의 자료로 발행 2. 숫자 또는 연대순 권호 정보 3. 종간을 예정하지 않고 계속 발행
서지자료의 범주 :자료의 구분 1. 여러 개의 자료로 발행 연속간행자료는 서로 구분되는 여러 개의 자료로 발행되고 숫자 또는 연대순 권호 정보가 있으며, 종간을 예정하지 않고 계속 발행되는 자료. 연속간행물의 세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다음 자료는 연속간행자료로 구분한다. 정기간행물 및 대중잡지 연차보고서 및 정기보고서 주소록, 연감 및 유사 참고자료 통계자료 신문 법 자료 및 정부간행물 2. 숫자 또는 연대순 권호 정보 3. 종간을 예정하지 않고 계속 발행

12 서지자료의 범주 : 자료의 구분 갱신자료(Integrating resource)는 갱신부분이 각각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로 통합되는 자료이다. 일반적으로 다음자료는 갱신자료로 구분한다. 갱신되는 가제식자료(Updating loose-leafs) 갱신되는 데이터베이스(Updating database) 갱신되는 웹사이트(Updating Web sites)

13 연속간행물 관련용어 식별표제(distinctive title): 매권 또는 매호마다 나타나는 고유표제 이외의 특별한 표제로, 주로 연속간행물이나 연감 또는 특별한 주제와 관련된 회의록에서 볼 수 있다. 국제표준연속간행물번호(國際標準連續刊行物番號, ISSN): 연속간행물을 개별화하기 위해 국제연속간행물데이터시스템(ISDS)이 부여한 국제표준번호 국제연속간행물 데이터시스템(International Serials Data System): 모든 분야의 연속간행물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교환하기 위해 유네스코 가맹국의 국제적인 망. 세계과학정보시스템(UNISIST) 계획의 일환으로 1972년에 설치되었다. 국제표준연속간행물번호와 등록표제는 이 시스템에서 부여하고 있다. 권차(卷次): 총서나 연속간행물을 구성하는 개개의 자료에 번호 등으로 순서를 부여하는 것. 이 번호의 앞뒤에 이를 수식하는 어구가 첨부되는 경우도 있다. 등록표제(登錄標題, key title): 연속간행물의 개별화를 위해 ISDS에서 부여한 표제. 대개 ISSN과 등록표제는 동시에 부여된다. 복제물(複製物): 인쇄나 사진, 복사, 녹음, 녹화, 기타의 방법으로 원자료를 복원하거나 또는 복원할 수 있도록 다시 제작한 것. 원본의 점역도서, 미술품의 복제화.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매체로 복제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14 연속간행물 관련용어 연월차(年月次): 연속간행물의 순서를 연월일로 표시한 것
영인본(影印本, facsimile reprint): 책 알몸(main text) 전체가 전판(前版) 그대로 복제된 출판물 총서(叢書, series): 동일한 편자나 출판사에 의해 동일한 체제로 공통의 종합표제아래 일정 기간에 걸쳐 계속적으로 발행되는 다수의 독립된 저작물 전체를 말한다. 총서는 전체로서 종기(終期)를 예정하지 않고, 계속 간행된다는 점에서는 연속간행물이지만 개개의 자료가 고유한 표제를 가지며 출판물로서 독립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단행본의 집합이다. 개개의 자료에는 순서를 나타내기 위해 총서번호가 부여되는 것이 보통이다. 축약표제(abbreviated title): 국제연속간행물데이터시스템(ISDS)이나 한국문헌번호센터에 등록된 연속간행물의 간략 표제 휴간(休刊): 연속간행물의 간행이 일시 정지되는 것. 폐간(廢刊)이나 종간(終刊)과는 다르다. 휴간 상태가 종료되어 간행 상태로 돌아오는 것을 복간(復刊)이라고 한다. 떼뜨베슈 : 본문이 서로 반대로 전개되는 즉, 하나의 저작내용은 전면에서 시작되고, 다른 저작의 내용은 후면에서 시작되는 제본형식

15 기술의 정보원과 우선순위 기술의 정보원 정보원의 우선순위
창간호(본표제가 변경된 경우는 변경된 첫호)를 기술의 정보원으로 삼는다. 창간호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입수된 첫 호의 정보원에 의한다. 창간호 이외의 정보원에서 필요한 사항을 채기한 경우에는 준거로 한 권호와 연월차를 주기사항에 기술한다. 정보원의 우선순위 연감류 : 표제면, 판권기, 표지, 해당 연속간행물의 기타 부분 잡지, 학술지 : 표지, 표제면, 판권기, 책등, 해당 연속간행물의 기타부분 신문 : 제자란, 발행인란, 해당 연속간행물의 기타 부분, 해당 연속간행물 이외의 정보원

16 기술의 정보원과 우선순위 연속간행자료 기술사항별 정보원 표제와 책임표시사항 판사항: 1)과 동일
표지나 표제면이 있는 경우: 표지, 표제면, 책등, 판권면 표지나 표제면이 없는 경우: 제자란, 발행인란 판사항: 1)과 동일 권호차, 연월차사항: 해당 연속간행물 자체에서 발행사항: 1)과 동일 형태사항: 해당 연속간행물 자체에서 총서사항: 해당 연속간행물 자체에서 주기사항: 해당 연속간행물 자체, 또는 그 밖의 정보원 표준번호 및 입수조건사항: 해당 연속간행물 자체, 또는 그 밖의 정보원

17 기술의 정보원과 우선순위 갱신자료 갱신자료는 최근 자료의 기술의 근거로 삼는다.
갱신자료의 경우 기술의 근거로 삼은 자료를 항상 주기한다 기술사항별 으뜸 정보원은 연속간행자료에 준한다.

18 기술의 원칙: 새로운 서지레코드 작성 연속간행자료 개별권호에 다음과 같은 차이(변경)가 있을 경우 새로운 서지레코드를 작성한다
표제의 차이(변경) 검색에 영향을 미치는 표제변경 및 내용의 변화를 수반한 표제 차이(변경) 판사항의 차이(변경) 내용, 날짜, 판차, 지역, 언어와 관련된 판 사항의 차이(변경) 매체의 차이(변경) 자료의 구현형(물리적 매체)의 차이(변경)

19 기술의 원칙 : 새로운 서지레코드 작성 갱신자료 갱신자료의 새로운 서지 레코드 작성에 관하여는 다음을 참고로 판단한다.
표제의 차이(변경) 갱신자료는 발행 중 표제의 차이(변경)가 있을 경우라도 새로운 서지 레코드를 작성하지 않으며, 최신 정보를 반영하여 서지레코드를 수정하고 변경전 정보는 주기한다. 판사항의 차이(변경) 갱신자료에 내용, 날짜, 판차, 지역, 언어와 관련된 판사항의 차이(변경)가 있을 경우 새로운 서지레코드를 작성한다. 매체의 차이(변경) 자료의 구현형(물리적매체)에 차이(변경)가 있다면 새로운 서지 레코드를 작성한다.

20 기술의 원칙:새로운 서지레코드 작성 ISBD(CR) 참고 본 표제의 변경이 현저한 연속간행물
표제의 처음 다섯 단어 가운데 어떤 단어가 추가, 삭제, 변경 또는 재배열이 있는 경우 예) Energy policy and conservation biennial report -> Energy policy and conservation report 표제의 처음 다섯 단어 다음에 어떤 단어의 추가, 삭제 변경이 있어 표제의 의미가 바뀌거나 다른 주제를 나타내는 경우 예) The best bed & breakfasts in the world -> The best bed & breakfasts in england, scotland & wales. 표제에 명명되는 단체명이 변경된 경우 예) The register of the Kentucky State Historical Society -> The register of the Kentucky Historical Society

21 기술의 원칙 : 새로운 서지레코드의 작성 ISBD(CR) 참고 연속간행물에 있어서 기타 현저한 변경
본표제가 일반적인 명칭이며, 발행기관이 그 이름을 변경하거나 다른 기관에 의해 발행되는 경우 예) Symposium series / Society for Applied Bacteriology -> Symposium series /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2) 판표시가 변경되고 연속간행물의 범위에 중요한 변경이 나타나는 경우 예) Transportation directory. New England edition -> Transportation directory. Eastern edition 3) 물리적 매체가 변경된 경우

22 기술의 원칙 새로운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 변경[ISBD] Universal GLOBE
표제의 변경이 경미한 연속간행물 철자, 약어, 숫자표현 등 이때 변경된 표제는 일반적으로 주기사항에 기재한다. 통합자료의 경미한 변경 새로운 기술을 하지 않으며, 대신 새로운 정보를 반영하여 기술내용을 변경한다. Universal GLOBE -> National Geographic Society universal GLOBE

23 【Leader】리더 리더/06 (레코드 유형) : a (문자로 된 인쇄자료) 리더/07 (서지수준 ) : s (연속간행물)
i(갱신자료) 리더/18 (목록기술형식) : c (KCR3판 이상)

24 【007】 형태기술필드 인쇄자료 : ‘ta’ (문자자료 일반인쇄자료) ‘td’ (문자자료 가제식인쇄자료)
마이크로자료: ‘hd’ (마이크로자료 마이프로필름 릴) 전자자료: ‘cr’ ( 전자자료, 원격DB) 007 필드가 통합서지용 KORMARC에서는 재량으로 변경되었으나 자료 유형에 따른 통계 등에 활용 되므로 앞에서 두 자리는 입력하는 것을 권장

25 【008】부호화 정보필드 위치 데이터요소 입력규정 관련필드 06 발행년 유형 260 ▾c c 계속 간행되고 있는 자료 d
종간된 간행물 u 간행상태를 알수 없음 07-10 11-14 발행년유형 1 발행년 유형 2 창간년도 페간년도 (계속인 경우 9999) ※260필드와 362필드의 연도기술이 다를 경우 362태그의 연도로 기술 362 ▾a 18 간행빈도 a 연간, b 격월간, m 월간, q 계간 등 310 ▾a 19 정규성 n 불규칙성, r 정기, u 간행빈도 불명, x 완전부정기 등 21 계속자료의 유형 d 갱신DB, I 갱신가제식, n 신문류, p 정기간행물 등 23 자료의 형태 a 마이크로필름 34 표제,기본표목변경시 레코드 생성방식 0 신규레코드, 1 기존레코드수정, 2갱신자료

26 【008】부호화 정보필드 008/06 발행년 유형 : 연속간행물, 갱신자료 c,d
008/07-14 발행년 : 2개연도를 포괄하는 자료는 나중연도 입력 008/06 c 008/ 008/ 362 0 ▼a1966/67- 008 발행년에는 발행연도보다 연월차연도가 우선 008/ 260 ▼c1980- 3620 ▼a1978/79 008의 발행년과 260의 발행년이 반드시 일치하는것은 아니다. 008/06 d 008/ uuu 008/ 260 ▼aNewYork :▼b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c -1959 3620 ▼a -1958

27 【008/18】간행빈도 008/18 간행빈도 자료의 간행빈도 입력방법 연2회 -> f(반년간)
# 부정기간 a 연간 b 격월간 c 주2회간 f 반년간 k 계속갱신(매일 1회 이상) m 월간 q 계간 w 주간 자료의 간행빈도 입력방법 연2회 -> f(반년간) 연4회 -> q(계간) 연5회 -> q(계간) 연6회 -> b(격월간) 연7회 -> b(격월간) 연8회 -> b(격월간) 연9회 -> m(월간) 연10회 -> m(월간) 연11회 -> m(월간) 연12회 -> m(월간)

28 【008/19】정규성 008/19 정규성 n: 예측가능한 정기성 r: 간행간격이 일정 u: 간행빈도를 알수 없는 경우
x 완전한 부정기 008/21 계속자료의 유형 # 연감, 연차보고서 등 기타 l 갱신되는 가제식 자료 n 신문 p 연 2회 이상 발간자료 n: 예측가능한 정기성 r: 간행간격이 일정 u: 간행빈도를 알수 없는 경우 x: 간행간격이 일정하지 않음 연속간행물은 #,n,p 가제식 자료는 l

29 【008/21】계속자료의 유형 008/21 계속자료의 유형 # -열거된 부호를 적용할 수 없음 d – 갱신되는 데이터베이스 l – 갱신되는 가제식자료 m – 단행자료의 총서 n – 신문류 p – 정기간행물 w – 갱신되는 웹사이트 #: 연속간행물 유형이 열거된 부호 중 적합한 부호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예)연감이나 연차보고서등 p: 월간, 계간 등 연간보다 더 자주 발행되는 간행물 연속간행물은 #,n,p 가제식 자료는 l

30 【008】자료의 형태,내용형식 008/23 자료의 형태 008/24-25 내용형식 # -기타 # - 해당없음
a – 마이크로 필름 b – 마이크로 피시 c – 마이크로오패크 d – 큰활자인쇄자료 f – 점자자료 r – 복제자료 s - 전자자료 008/24-25 내용형식 # - 해당없음 a – 초록 b – 서지 c – 목록 d – 사전 ….

31 【008】언어, 표제변경시 레코드생성 자료표제의 언어 연속간행물은 ‘0’ 가제식 자료는 ‘2’ 008/33 표제의 언어
# ISDS에 참가하지 않은 경우 a 기본 로마자어 k 한국어 008/34 표제..변경시 레코드생성 0 신규레코드 생성 1 기존레코드 수정 2 갱신자료 레코드 자료표제의 언어 연속간행물은 ‘0’ 가제식 자료는 ‘2’

32 【008】ISSN센터부호,내용형식 -> 미정의
기존 KORMARC 008/20 ISSN 센터부호 #-ISDS센터가 부여되지 않은 경우 0-국제센터 1-미국 8-한국 z-기타 ISSN 센터 008/24-25 내용형식 ‘y’ - 연감 통합KORMARC 008/20 미정의 008/24-25 ‘y’ - 미정의

33 【022/030】ISSN, 코덴부호 022 국제표준연속간행물 번호 030 코덴부호 # 세분하지 않음 0 국제수준의 계속자료,
1 국제수준의 계속자료가 아님 추가 한국문헌번호센터 참고 ISSN-L 030 코덴부호 (CODEN Designation) ISSN은 붙임표(-)를 포함하여 ‘ISSN’이라는 선행어구 없이 기술한다. 필드 022에는 필드 245(표제와 책임표시사항)에 기술된 자료의 ISSN을 기술하며 총서의 ISSN은 4XX 필드에 기술한다 Printed version: 022  $a $l Online version: 022  $a $l 과학과 기술분야의 특정 연속간행물을 식별할수 있는 6자리의 문자 부호 예) [030][ ]$aJACSAT

34 【130/240】통일표제 130,240 통일표제 참고사항(CCM5)
연속간행물에서 통일표제는 관련저록의 집중(Collection)이 아니라 서로 다른 저록의 구별(Distingush)기능이 중요 서명 주기입레코드에서 서로 다른 연속간행물이 표제가 동일한 경우(130 필드 사용) (예) 레코드1: 130 #0$a논문집 레코드2: 130 #0$a논문집 (고려대학교) 단체명 주기입레코드에서 서로 다른 연속간행물이 단체명과 표제가 동일한 경우(240 필드 사용) 판(edition)이 다른 경우 물리적 형태를 달리하여 발행하는 경우

35 【210/222】축약표제, 등록표제 210 축약표제 색인작성이나 식별을 목적으로 축약된 해당자료의 표제를 기술, 등록표제에 기초하여 ISSN센터가 부여하는 축약표제 222 등록표제 등록표제는 022필드에 기록된 국제연속간행물 번호(ISSN)과 관련되어 연속간행물에 부여되는 표제

36 【245】표제와 책임표시사항 표제에 포함된 간행빈도 [KCR4 11.1.1.2 3)]
[245][20]▾a(계간)사상 /▾d사회과학원 개별화가 곤란한 어구[KCR )] [245][00]▾a論文集 /▾d韓國精神文化硏究院 大學院. [246][13]▾a韓國精神文化硏究院 大學院 論文集 편자가 개인인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책임표시에 기술하지 않고 주기함. [KCR )] 발행처가 간행물에 대한 책임을 가진 경우 이를 책임표시로 기술하고 역할어는 각괄호로 묶어 기술함 [KCR )] 호마다 변경되는 회차(연월차) [245][00]▾a방송 (표제에 ‘방송98’ ‘방송99’등과 같이 연도가 붙어 나타남) [245][00]▾a韓國放送通信大學 ... 遠隔敎育學術會議主題論文集 자료유형표시[▾h]는 적용하지 않음.[KCR ] 기타 형태의 자료유형은 해당 자료의 매체규정에 따름

37 【245】표제와 책임표시사항 간행물의 정보원에 기재된 표제가 각각 다른 경우에는 정보원의 우선순위에 따라 본표제에 채기하고 상이한 형식의 표제는 해당 정보원과 함께 주기사항에 기술 본표제가 축약형으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 축약형을 본표제로 채기. 함께 기재된 경우 활자의 크기나 기재순서에 따라 더 분명하게 기재된 표제를 본표제로 기술 醫史學 : 大韓醫史學會誌 IEEE computational science & engineering. 하나의 연속간행물이 부나 편, 계로 나뉘어 간행되고 그 부, 편, 계에 따른 순차와 표제가 있는경우 이를 편차와 편제로 기술한다. 편차와 편제는 공통되는 표제에 연이어 기술한다. 편차가 아라비아 숫자 이외의 수를 의미하는 로마숫자, 한자, 한글어구 등으로 쓰여진 경우 그에 상응하는 아라비아 숫자로 기술 [245][00]▾aJournal of polymer science.▾nPart C,▾pPolymer letters.

38 【245】표제와 책임표시사항 표제가 변경된 경우 대등표제 등 본표제 이외의 표제가 변경된 경우 연속간행물은 새 레코드를 작성
갱신자료는 표제를 새 표제로 수정하고 변경전 표제를 247(변경전 표제)필드에 기술 대등표제 등 본표제 이외의 표제가 변경된 경우 연속간행물은 새 대등표제를 주기 갱신자료는 대등표제를 새 대등표제로 수정하고 변경전 대등표제는 주기 24500▼a경영사례연구 =▼x(The) practice of management 2461 ▼i대등표제변경:▼aJournal of management case research,▼f제7집-

39 【246】여러형태의 표제 - 대등표제- [246][11] ▼a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 식별표제- [245][00] ▼a문학과 논리 [246][12] ▼a한국전후문학의 형성과 전개,▼f제3호 식별표제는 주로 연속간행물에서 사용하며, 부록의 형태가 아닌 해당 권호 자체가 기념호나 특별호로 발행된 경우에 식별표제로 기술한다 -기타표제- [245][00] ▼ a論文集 / ▼ d韓國精神文化硏究院 大學院. [246][13] ▼ a韓國精神文化硏究院 大學院 論文集 -판권기표제- [245][00] ▼a보건환경 [246][1 ] ▼i판권기표제: ▼a충남보건환경연구원보 제2지시기호 # 표출어를 생성하지 않음 0 부분표제 1 대등표제 2 식별표제 3 기타표제 4 표지표제 5 부표제지표제 6 권두표제 7 난외표제 8 책등표제 9 원표제 정보원에 서로 다르게 나타난 표제나 주 기술부에 채기되지 않은 표제가 있는 경우 주기 대등표제 [246][11] ▼a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식별표제 [245][00] ▼a또하나의 문화 [246][12] ▼a주부, 그 막힘과 트임, ▼f제6호 식별표제는 주로 연속간행물에서 사용하며, 부록의 형태가 아닌 해당 권호 자체가 기념호나 특별호로 발행된 경우에 식별표제로 기술한다 기타표제 [245][00] ▼ a論文集 / ▼ d韓國精神文化硏究院 大學院. [246][13] ▼ a韓國精神文化硏究院 大學院 論文集 판권기표제 [245][00] ▼a보건환경 [246][1 ] ▼i판권기표제: ▼a충남보건환경연구원보

40 【247】변경전 표제 KORMARC 247 정의와 범위 008/34 ‘1’ 통합기술방식 계속 자료로 목록 하는 경우 사용한다.
이전 목록규칙(ALA)에서는 최근의 표제아래 간행물을 최근의 표제 아래 목록하고 변경전 표제는 표제변경 주기(247,547)로 나타내었다. 근래의 목록규칙은 간행물의 표제가 변경되면 008/34 ‘0’표기하고 780/785로 연계시키는 방식을 채택한다. 연속간행물에 대한 KCR 의 5)항에는 “본 표제가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표제 아래 독립된 저록을 작성한다”고 규정되어 있으므로, 연속간행물의 표제 변경 시에는 필드 008/34 ‘1’은 적용하지 않으며, 필드 247, 필드 547(변경 전 표제설명주기)도 적용하지 않는다. 갱신자료의 경우에는 필드 008/34에 부호 2(갱신자료 레코드)를 적용하며, 필드 245에는 현재의 본표제를 기술하고, 필드 247과 필드 547을 적용하여 변경전 표제를 기술한다.

41 표제의 경미한 변경 247 의 사용 246 의 사용 갱신자료의 경우에 사용
[245][00] ▼a학술대회 논문집 /▼d한국정밀공학회 [편] [246][1 ] ▼i변경표제: ▼a학술대회 논문요약집▼f [246][13] ▼a한국정밀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42 【250】 판사항 판사항이 변경되는 경우 새 레코드 작성
간행중 판표시가 변경되는 경우 새로운 저록을 작성하고, 변경전후의 판표시는 각각 주기사항에 기술한다. 하나의 연속간행물이 다양한 여러판으로 간행되는 경우는 이를 독립저록한다.

43 【260】발행,배포,간사사항 제1지시기호 식별기호 (발행사항의 순차) 통합KORMARC 신규 # 적용불가/최초발행처
2 중간발행처 3 현행/최근 발행처 식별기호 a 발행지 b 발행처 c 발행년 $3 자료범위지정 통합서지용 KORMARC에서는 반복가능하도록 변경 일정 시간 후에 발행처의 명칭이 변경된 경우나 발행처 자체가 변경된 경우에 적용 260 반복 사용하는 경우 기관에 따라 OPAC의 간략화면에 하나의 발행사항만을 표시해야 한다면 최근의 발행사항이 표시될수 있도록 시스템 조정 동시에 여러군데의 발행처에서 발행되는 경우 필드 반복이 아니라 $b를 반복하여야 함. 관련필드 550 발행처 주기 예제 [260][ ]▾a대전 :▾b한국에너지연구소,▾c1975- [260][3 ]▾31990-▾a대전 :▾b한국원자력연구소 통합KORMARC 신규

44 【260】발행,배포,간사사항 [260][ ]▾a서울 :▾b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c1995-2003
발행년은 서력기년을 아라비아 숫자로 통일하여 기술한다. 당해 출판물에 표기된 기년이 서력기년이 아닌 경우는 표기된 그대로 기술하고, 서력기년으로 환산하여 각괄호[ ]에 묶어 부기한다. 서기년도 산정  (中華)民國 ,  明治 ,  大正 ,  昭和 ,      平成 ,  단기 ,  불기 ,  융희 ,  천도교 ,       원불교 ,  (대종교)개천 ,  重光 휴간과 복간이 거듭되는 간행물의 휴간년도와 복간년도는 생략하고 창간발행년과 종간발행년만을 기술한다.

45 【300】형태사항 [300][]▾a 책 ;▾c24 cm. [300][]▾a v. ;▾c26-29 cm. (책 크기가 변했을 경우, 크기가 작은것에서 큰 것으로) 간행 중이거나 종간된 간행물의 전체수량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종간되거나 수량이 확인되었을 때 기재할 수 있도록 공란을 두고 단위명칭만 기재한다. 인쇄형태 이외의 자료는 창간호부터 종간호까지의 전체 수량을 아라비아 숫자로 기술하되 해당 특정자료종별표시를 함께 기술한다. 예) 마이크로 필름 릴 2개

46 【310/321】간행빈도 008/18(간행빈도) 및 008/19(정규성)에 있는 부호화된 데이터와 관련을 갖음
[310][ ]▾a월간 [310][ ]▾aBimonthly (monthly June-July) 310 필드에 표시된 간행빈도 이전의 간행빈도 기술, 간행빈도 변경시 현재, 이전 간행빈도 시행일자 기술 [310][ ]▾a월간,▾b [321][ ]▾a계간,▾b 간행빈도가 3회 이상 변경된 경우 [310] [ ] ▾a월간, ▾b [321] [ ] ▾a간행빈도 다양$b ]

47 【310/321】간행빈도 통합서지용 KORMARC은 간행빈도가 변경된 경우, 식별기호 $b에 현재 간행빈도 시작연월을 ‘연.월’의 형식으로 기술하는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KCR (간행빈도에 관한 주기)에는 간행빈도가 변경된 경우 해당 간행빈도의 권호차 연월차를 기술한다고 설명하고 있고, 많은 도서관에서 이와같은 방식으로 기술하고 있으므로 ‘연.월’의 형식은 권호차 연월차의 형식으로 기술하는 것을 권장. 예제 [310][ ]$a계간, $b1980여름(1980년 6월)- [321][ ]$a월간,$b통권제1호(1970년 8월)-통권 제131호(1980년 5월)

48 【362】권연차,연월차사항 권호 순서 부여 형식과 창간호, 종간호의 발행 일자를 기술
제1지시기호 0은 창간호(종간호)를 직접보고 입력하는 경우 사용(정형화된 형식) 제1지시기호 1은 창간호(종간호)를 소장하지 않아 다른 정보원에서 권호차 사항을 채기한 경우 사용(주기형식) 예제 3620#$a제1권 제1호 (1981년 1월)- 3621#$a1976년 창간$z한국잡지총람 참조 기술요목과 순서 : 권호차 표시, 연월차 표시 창간호에 권호차나 연월차표시가 없이 ‘창간호’라고만 되어있는 경우 창간권호차로 기술 창간호 (1993년 10월)- 권호차나 연월차가 언어나 문자를 달리해서 두 종 이상 있는 경우에는 본표제의 언어나 문자와 일치하는 권호차 연월차 기술 권호차는 원칙적으로 아라비아 숫자로 기술한다. 제일권 제일호 -> 제1권 제1호- 90-I -> 90-1(1990년 4월)- 제1권제1호, 1989년 봄호 -> 제1권 제1호(1989년 봄)- 권호차가 통권호로만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자료에 표시된 대로 기술 통권 제1호(1986년 1월)

49 【362】권연차,연월차사항 연월차는 서력기년을 아라비아 숫자로 기술, 서력기년 이외의 연도로 기재된 경우 서력기년으로 환산하여 기술 단기 4290년 10월 -> 1957년 10월 간행물의 간기에 따라 연간의 경우는 연까지, 월간 이상은 월까지, 월간 미만은 일까지 기술한다. 교육연감. – 1권(1980)- 월간중앙. – 제1권 제1호(1965년 3월)- 영인본은 원본에 나타나 있는 권호차, 연월차를 362에 기술하고 영인본의 권연차, 연월차는 500(일반주기)에 기술한다. [500][ ]$a영인본의 권호차.연월차: 통권1호-통권70호 260의 발행년 연도와 362의 연도가 다를 경우에는 362의 연도를 008/07-14에 기술한다. 008/06 d 008/ uuu 008/ 260 $aNewYork :$b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c -1959 3620 $a -1958

50 【4XX】 총서사항 총서사항이 변경된 경우 연속간행물은 변경 내용을 주기한다.
갱신자료는 총서사항을 새 총서사항으로 수정하고 변경전 정보를 주기한다.

51 【500】 일반주기 500 일반주기 [R/O] 기술근거 주기 본표제 채택 정보원 주기 참조한 최근호 정보주기
(예) 500##$a제2권 제1호를 기술근거로 함 본표제 채택 정보원 주기 (예) 500##$a난외표제임 참조한 최근호 정보주기 (예) 500##$a제5권 제4호까지 참조

52 【515】특수한 권차표시 특정호나 권이 합병되어 간행된 경우에는 해당 권호차나 연월차와 함께 합병사실을 주기한다. [KCR ] [515][ ]▾a53권과 54권이 합병되어 간행 [515][ ]▾a1988년 통권38호부터 새로운 권호로 간행 특수한 권차표시에 관한 주기가 아닌 권호차와 연월차에 대한 주기는 500에 기술한다. 영인본은 원본의 권호차와 연월차를 필드 362(권호차, 연월차사항)데 기술하고 영인본의 권호차와 연월차는 필드500에 기술한다. [500][ ]$a권호차.연월차:통권초도 기재되어 있음. [500][ ]$a영인본의 권호차.연월차: 통권1호-통권70호

53 【525】부록주기 별도의 레코드로 목록을 작성하지 않는 부록이나 특별호에 관한 사항 기술한다.
KCR4: (11-12) ※ 위의 규칙 중 별도로 레코드를 작성하지 않는 경우에 한함 [525][ ] ▾a딸림자료: 1991년 7월호. 지도(1매 : 천연색) [500][ ] ▾a슬라이드가 포켓에 들어 있음 부록의 형태가 아닌 해당 권호 자체가 기념호나 특별호로 발행된 경우는 필드 246(여러형태의 표제)에서 제2지시기호 2(식별표제)를 적용하여 기술한다. 연속간행물에서 딸림자료의 소재에 관한 주기는 필드 500 딸림자료의 발행에 관한 주기는 필드 525(부록주기)에 기술한다.

54 주기사항 530 이용가능한 다른 형태자료 주기 533 복제주기 534 원본주기 547 변경전 표제 설명 주기 관련필드 776
[530][ ]$a마이크로필름으로도 이용가능 533 복제주기 [533][ ]$a마이크로필름.$b서울 :$c국립중앙도서관,$d1998.$e마이크로필름 릴 25개 ; 35mm 534 원본주기 [500][ ]$a축소영인본임 [534][ ]$p대본의 발행사항:$c京城 : 朝鮮語學硏究會, 昭和10[1935] 547 변경전 표제 설명 주기 연속간행물에는 사용하지 않고 갱신자료에만 사용

55 550 발행처 주기 편집이나 편찬등을 행한 발행처를 권호차나 연월차와 함께 주기한다.
☞ 목록규칙 AACR2R: 11.7B7.2 KCR4: (2), [260][ ]▾a대전 :▾b한국에너지연구소,▾c1975- [550][ ]▾a발행처: 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710][ ]▾a한국원자력연구소 ※부출여부 결정 목록규칙 AACR2R: 21.29 ※상업적인 출판사가 아닌 주제성을 띠는 단체 (예: 연구소, 학회등)인 경우 책임표시에 기술되지 않더라도 부출 ※상업적인 출판사의 편집부인 경우 책임표시에 기술되더라도 부출은 생략 ※회의자료인 경우 주최(주관)자, 후원자가 주제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부출

56 출판사/발행처 변경: 예제 [245][00] ▼aFuzzy sets and systems.▲
[245][00] ▼a임업경제동향 =▼xQuarterly report on forestry economy /▼d임업연구원 [편]▲ [260][3 ] ▼ ▼a서울 :▼b국립산림과학원▲ [260][ ] ▼a서울 :▼b임업연구원,▼c ▲ [550][ ] ▼a발행자변경: 국립산림과학원, 2004-▲ [710][ ] ▼a임업연구원.▲ [710][ ] ▼a국립산림과학원.▲ [245][00] ▼aFuzzy sets and systems.▲ [260][3 ] ▼32005-▼aAmsterdam :▼bElsevier▲ [260][ ] ▼aAmsterdam :▼bNorth-Holland,▼cc ▲ [550][ ] ▼aOfficial publication of: International Fuzzy Systems Association, <v. 40, no. 1-v. 49, no. 2>.▲ [710][2 ] ▼aInternational Fuzzy Systems Association.▲

57 【76X-78X】 연관저록 연관저록 필드는 목록대상자료와 연관자료의 서지적 관계를 보여준다.
연관저록 필드는 연관자료에 대한 주기와 링크를 제공한다. 연관저록 필드는 부출필드가 아니므로 부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부출필드를 사용한다.( 필드) 서지사항이 관사로 시작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첫머리 관사를 제거하고 입력한다.(관사가 의미있는 경우에는 관사 포함

58 【780/785】선행저록,후속저록 제2지시자 [780] 선행저록 0 –개제 1- 일부개제 2- 대체 3-일부대체 4 – 합병 5- 흡수 6-부분흡수 7 분리 [785] 후속저록 2 – 대체 3- 일부대체 4- 흡수 5 – 부분흡수 6 분리 7 – 합병 8-소급변경 예제 [580][ ] ▼a한국체육학회지. 인문·사회과학편과 한국체육학회지. 자연과학편으로 분리.▲ [785][16] ▼t한국체육학회지. 인문·사회과학편▼g제45권 제1호 (2006년 1월)-▼x X▼w(SNUL) ▲ [780][17] ▼a한국체육학회지▼w(SNUL)3818▲

59 연관저록[기타] 보유판 및 특별호 저록 [770] 이판저록[775] 기타형태저록[776]
[245][00] ▼a국토개발종합계획보고 [770][0 ] ▼t국토개발 참여기업 명감 ▼z 이판저록[775] [245][00] ▼a오늘의 한국 [775][0 ] ▼tKorea ▼x ▼eeng 기타형태저록[776] [245][00] ▼사망원인통계보고서 [530][] ▼aCD-ROM으로도 이용가능 [776][0 ] ▼t사망원인통계 ▼x ▼w(SNUL)45634

60 통합MARC변경 리더/07 i 갱신자료 008/20 ISSN 센터부호(8) -> 미정의
008/24-25 내용형식 -> ‘y’ 연감 삭제 022 제1지시기호추가 (0,1) 246 지시기호 추가 및 식별기호(i,n,p) 추가 260 제1지시기호신설, $3 자료범위지정추가(반복가능) 533, 534 식별기호 추가 등

61 서지데이터 수정보완 변경후 표제 신규 서지 작성과 같은 방법으로 서지를 작성한다. 780 입력 - ▾t이전 서명
표제의 변경(부분표제 변경 포함)이나 기본표목 변경시 새로운 레코드로 목록작성, 변경전․후 표제는 연관기입필드(780, 785)에 기술 변경전 표제 008 수정 : 008/06 (연도유형) d, 008/11-14 (발행연도) 자리에 서명 변경 연도 입력 260 수정 : ▾c 창간연도에 연결하여 종간 연도 입력 300 수정 : ▾a 발간된 책수 입력 362 수정 : ▾a 창간 권호차에 연결하여 종간 권호차 입력 785 입력 : ▾t변경된 서명▾g변경된 서명하에 시작되는 권호사항▾xISSN 변경후 표제 신규 서지 작성과 같은 방법으로 서지를 작성한다. 780 입력 - ▾t이전 서명 ※ 유의사항 지시기호는 주기 표시 여부(제1지시기호)와 선행저록과의 관계(제2지시기호)를 나타내는 값이다. 580 연관저록설명주기에 기술 했을 경우 제1지시기호는 항상 1이고, 이 주기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는 0이다 제2지시기호 선행저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값에 따라 달라진다.

62 서지데이터 수정 표제변경이 경미한 경우 필요하면 표제부출만 내 줌 폐간된 자료 간행빈도 변경 ISSN 수정
008 수정 - 008/06 (연도유형) d, 008/11-14 (발행연도) 자리에 폐간된 연도입력 260 수정 - ▾c 창간연도에 연결하여 폐간된 연도 300 수정 - ▾a 발간된 책수 입력 362 수정 - ▾a 창간 권호에 연결하여 폐간 권호 입력 간행빈도 변경 008 수정 - 현재 발행빈도 입력 310 입력 - ▾a현재 간행빈도,▾b현재 간행빈도 시행 연/월표시- 321 입력 - ▾a이전 간행빈도,▾b이전 간행빈도 연/월표시 ISSN 수정 ISSN이 새로운 것으로 변경되었을 경우 022 ▾a사용중인 ISSN▾z취소/사용하지 않는 ISSN 부정확한 ISSN이 있을 경우 022 ▾a사용중인 ISSN▾y부정확한 ISSN

63 일반적 기술 ○ 객석 ○ 대등서명: auditorium ○ 발행처: 객석사 ○ 서울시 ○ ISSN : 1228-4041
○ 천연색 삽화 있음, 28 cm ○ 간행빈도 : 월간 ○ 제1권 제1호 : 월 ○ 기술의 정보원: 제1권 제3호(1984년5월21일) 63

64 ○ 통권225호(2002년11월)부터 “통권”으로 출간함 ○ 발행자 변경: 돌꽃컴퍼니, 제17권1호(2000년 1월) –
발행처 변경 / 특수한권차기호 ○ 통권225호(2002년11월)부터 “통권”으로 출간함 ○ 발행자 변경: 돌꽃컴퍼니, 제17권1호(2000년 1월) – 64

65 발행처 변경/간행빈도 변경 ○ 간행빈도 격주간 (1987-2002 ) 월간(2003.2-) ○ 발행처변경
한국출판금고 대한출판문화협회 ( ) ○ 권호차 년월차 사항 : 창간호 통권제1호(1987.7) ○ cm 삽화 ○ ISSN 65

66 발행연도와 권호연도 / 기타형태 자료 ○ 발행년도 1988- ○ 권호차 년월차 사항: 1987- ○ 간행빈도 : 연간
○ 27 cm 삽화 ○ 2000년부터 CD-ROM으로도 이용가능 ○ 기타형태저록: 기상연감

67 특정 권호의 식별표제 비확적형 권연차사항 ○ 敎育論叢 ○ 長彦孝 敎授 停年記念 特號 ○ ISSN : 1225-181X
○ 발행년도 1981- ○ 권호차 년월차 사항: 1981년 창간(한국연구총람 참고) ○ 간행빈도 : 연간 ○ 27 cm 삽화 ○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67

68 분리되어 편차와 편제로 나뉘어 간행된 경우 ○ 한국 체육 학회지([19--]-2005)
- 격월간 : 제41권1호(2002년3월)- - 이전간행빈도: 계간( ) - 대등서명: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 기술의 정보원은 제11권(1975)임 - ISSN - 권연차 연월차: -제44권6호(2005) - 한국체육학회 ○ 한국체육학회지는 2006년부터 인문사회과학편과 자연과학편으로 분리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간행빈도 :격월간 - 제45권제1호(2006년1월)-

69 다양한표제와 간행빈도 변경 ○ 소성가공 = Transcations of materials processing
○ 판권기표제: 한국소성가공학회지 ○ 간행빈도 : 연9회간 (제24권제1호(2005년1월)- 간행빈도 다양 (제1권 제1호(1992년9월)- 제23권(2004년 12월) ○ 권호차사항 : 제 1권 제 1호- ○ ISSN : X ○ 한국소성가공학회 69

70 독립적인 성격의 딸림자료 ○ 해당 연속간행물이 독립서지로 작성할 만한 보유판, 별책부록, 특별호가 있는 경우 그 사항을 기술한다. ○ 모체서지: 연합연감 간행빈도 : 연간 권호차 : 1981- 출판년도: 1981- 연합뉴스 편 ○ 독립된 부록 서지 : 북한연감=North Korea yearbook 연합연감별책부록으로 발간됨 ISSN : 권호차 : 1999- 출판년도: 1999- 70

71 발행자 변경, 특수한권차기호 ○ 도시문제 / 한국도시행정협회 ○ 대등서명: Urban affairs ○ 서울, 1966-
○ 21 cm ○ 월간 ○ 제1권 제1호(1966.9) –제 24호(1989.9) ; 제27권278호(1992.1)- ○발행자 변경: 대한지방행정공제회 (1992.1)- ○ 휴간: 71

72 새로운 기술의 예: 표제의 변경 표제의 변경 : 새로운 레코드를 생성하고 연관 필드로 연결 - 780(이전서명)
[022][ ] ▼a ▲ [245][00] ▼a한국경제학보 /▼d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60][ ] ▼a서울 :▼b연세대학교경제연구소,▼c2004-▲ [300][ ] ▼a책 ;▼c26 cm.▲ [310][ ] ▼a반년간▲ [362][0 ] ▼a제11권 제1호(2004년 봄)-▲ [710][ ] ▼a연세대학교.▼b경제연구소▲ [780][00] ▼t연세경제연구▲ 표제의 변경 : 새로운 레코드를 생성하고 연관 필드로 연결 - 780(이전서명) - 785(이후서명) [022][ ] ▼a ▲ [245][00] ▼a연세경제연구 /▼d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60][ ] ▼a서울 :▼b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c ▲ [300][ ] ▼a10 책 :▼b삽도 ;▼c26 cm.▲ [310][ ] ▼a반년간▲ [362][0 ] ▼a창간호(1994년 가을)-제10권 제2호(2003년 가을)▲ [710][ ] ▼a연세대학교.▼b경제연구소.▲ [785][00] ▼t한국경제학보,▼g제11권 제1호-▲

73 새로운 기술의 예: 통합자료 표제 변경의 경우: 새로운 레코드를 작성하지 않음 247 에 변경 전 서명
245 에 새로운 서명 입력 [245][10] ▼aMembership directory of the Association of Amerian Economics▼h[electronic resource] [500][ ] ▼aTitle from HTML header(viewed on June 16, 1998) [245][00] ▼aAssociation of American Economics online directory of members▼h[electronic resource] [247][10] ▼aMembership directory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Economics ▼f<june 16,1998> [500][ ] ▼aTitle from HTML header(viewed on Aug.30,2000) 판이 변경되는 경우: 새로운 레코드를 작성 775 이판저록으로 연결 [245][00]▼aWebElements periodic table▼h[electronic resource] [250][ ]▼aStudent ed. [775][0 ]▼aWebElements periodic table▼bProfessional ed. [245][00]▼aWebElements periodic table▼h[electronic resource] [250][ ]▼aProfessional ed. [775][0 ]▼aWebElements periodic table.▼bStudent ed.

74 복제자료의 기술 KCR4는 원자료가 아닌 복제자료를 기술의 정보원으로 채택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미국 국회도서관(LC)와 OCLC는 복사본, 마이크로 복제, 전자복제의 경우 원자료를 정보원으로 채택하도록 하고 있다.

75 복제본의 기술(복제자료) 11.0 총칙 11.0.33 복제본의 정보원 11.3.0.2 권호차, 연월차사항
원본은 연속간행물이지만 그 복제물(마이크로 포함)이 일시에 간행되었거나 혹은 종간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는 연속간행물로 취급할 필요가 있으면 이 복제물도 기술의 대상으로 할수 있다. 복제본의 정보원 복제본은 대본인 원래의 연속간행물이 아니라, 기술대상자료 전체를 정보원으로 하여 기술한다. 다마, 일부 서지사항(권호차, 연월차사항과 간행빈도와 이전간행빈도)에 대해서는 원본의 연속간행물에서 채기한다. 권호차, 연월차사항 복제물의 경우는 대본인 연속간행물의 권호차와 연월차를 기술한다. 복제물에는 별도의 권호차나 연월차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주기한다. 발행사항-복제물 복제물의 경우에는 복제물 자체의 발행사항을 기술하고, 그 대본의 발행사항은 주기에 기술한다. 자료유형기술방법-복제본 복제본의 경우, 해당 복제물의 자료유형을 기재한다.

76 복제본의 기술(복제자료중심) 리더/07 “s” 연속간행물로 기술 008/06, 7-14 원본 중심으로 기술
008/15-17, 18 복제본 중심으로 기술 008/23 “r(복제자료)” 복제본중심 ‘a’ 마이크로필름 등 250, 362, 580 태그 원본 중심으로 기술 260, 300, 4xx 복제본 중심으로 기술 주기사항에 영인본임을 나타냄, 534 원본주기 청구기호상의 권호사항은 원본의 권호를 따름

77 복제본의 기술(복제자료중심) 레코드상태 n 레코드형태 a 서지수준 s 입력수준 기술형식 c 연관레코드 발행년유형 창간년도
2004 폐간년도 9999 발행국명 ulk 간행빈도 d 정규성 r 수정레코드 계속자료유형 원자료발간 e 자료의형태 내용형식 대학부호 정부기관 회의간행물 목록전거 표제의 언어 k 기술방식 언어부호 kor 007 hd 022 ▼a 040 ▼a211032▼bkor▼c211032 082 04 ▼a500▼222 245 00 ▼a서울신문▼h[마이크로자료] =▼xSeoul Shinmun /▼d서울신문사 260 ▼a서울 :▼b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c2006- 300 ▼a마이크로필름 릴 ;▼c35 mm 310 ▼a일간 362 ▼a2004년 1월 1일 - 500 ▼a신문형태로도 이용가능 534 ▼p원본출판사항 :▼c서울 : 서울신문사, 2004- 710 ▼a서울신문사 776 1 ▼a서울신문▼w(211032) 53212 780 ▼a대한매일,▼g1998년 11월 11일 년 12월 31일▼w(211032) 3245

78 복제본의 기술(원본중심) 레코드상태 n 레코드형태 a 서지수준 s 입력수준 기술형식 c 연관레코드 발행년유형 창간년도 2004
폐간년도 9999 발행국명 ulk 간행빈도 d 정규성 r 수정레코드 계속자료유형 원자료발간 자료의형태 내용형식 대학부호 정부기관 회의간행물 목록전거 표제의 언어 k 기술방식 언어부호 kor 007 hd 022 ▼a 040 ▼a211032▼bkor▼c211032 082 04 ▼a500▼222 245 00 ▼a서울신문▼h[마이크로자료] =▼xSeoul Shinmun /▼d서울신문사 260 ▼a서울 :▼b서울신문사,▼c2004- 300 ▼a 책 ;▼c42×30 cm 310 ▼a일간 362 ▼a2004년 1월 1일 - 500 ▼a신문형태로도 이용가능 533 ▼a마이크로필름.▼b서울 :▼c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d ▼e마이크로필름 릴 ; 35 mm 710 ▼a서울신문사 776 1 ▼a서울신문▼w(211032) 53212 780 ▼a대한매일,▼g1998년 11월 11일 년 12월 31일▼w(211032) 3245

79 계속통합자료 갱신자료 리더/06(레코드유형) : 자료의 물리적형태가 아니라 내용에 근거하여 입력
리더/07 (서지수준) : i (갱신자료)로 입력한다 007(형태기술필드) : 자료의 물리적 형태를 반영하여 입력한다. 모든 레코드에 2자리 이상을 필수적으로 입력한다. 008/06(발행년유형) : ‘c’ ‘d’ 008/07-14: 발행년도 입력 008/21(계속자료의 유형) : d(갱신되는 데이터베이스), l(갱신되는 가제식자료), w(갱신되는 웹사이트) 중 하나를 입력 008/34 (표제변경시 레코드 기술방식) : ‘2’(갱신자료레코드) 245 $a $d : 최근자료를 근거로 입력 247 (변경전표제) : 발행중 본표제가 변경된경우 변경전표제를 247 에 부출 250 (판사항) : 최근자료를 근거로 입력 260 $c(발행년) : 창간호와 최근자료를 근거로 입력

80 통합계속자료 레코드상태 c 레코드형태 a 서지수준 i 입력수준 기술형식 연관레코드 발행년유형 창간년도 1989 폐간년도
9999 발행국명 ulk 간행빈도 정규성 n 수정레코드 계속자료유형 l 원자료발간 자료의형태 내용형식 대학부호 정부기관 회의간행물 목록전거 표제의 언어 k 기술방식 2 언어부호 kor 007 ta 040 ▼a245011▼bkor▼c245011 082 04 ▼a ▼220 245 00 ▼a(大韓民國) 現行法令集 /▼d法制處 編 260 ▼a서울 :▼b法制處,▼c1989- 300 ▼a책 (가제식) :▼b삽도 ;▼c26 cm 310 ▼a부정기간 500 ▼a기술의 근거: 2007년 12월 10일 505 ▼a第1卷. 憲法 ; 國會 -- 第2卷. 選擧.政黨 -- 第3卷. 行政一般 -- 第4卷. 國家公務員 -- 第5卷. 法院 -- 第6卷. 法務 -- 第7∼8卷. 民事法 1∼2 -- 第9卷. 刑事法 -- 第10∼11卷. 地方制度 1∼2 -- 第12卷. 警察 -- 第13卷. 民防衛·消防 -- 第14卷 1∼2. 軍事 1∼2 -- 第15卷. 兵務 ; 國家報勳 -- 第16∼17卷. 敎育·學術 1∼2 -- 第18卷. 文化·公報 -- 第19卷. 科學·技術 -- 第20∼21卷. 財政.經濟一般 1∼2 -- 第22卷 1∼2. 內國稅 1∼ 卷. 內國稅 3 -- 第24卷. 關稅 ; 담배·人參 -- 第25卷 1∼2. 通貨·國債·金融 -- 第26∼27卷. 農業 1∼2 -- 第28卷. 畜産 ; 山林 -- 第29卷. 水産 -- 第30(1-2)卷. 商業·貿易·工業 -- 第31卷 1, 工業規格·計量 -- 第31卷 2-3. 産業財産權 -- 第32卷. 에너지利用·鑛業 -- 第33卷. 電氣·가스 -- 第34卷. 國土開發·都市 -- 第35卷. 住宅·建築·道路 -- 第36卷 1∼2. 水資源·土地·建設業 1∼2 -- 第37卷 1∼2. 保健·醫事 -- 第38卷 1. 藥事 ; 社會福祉 1 -- 第38卷 2. 社會福祉 2 -- 第39卷 1∼2. 環境 1∼2 -- 第40∼41卷. 勞動 1∼2 -- 第42∼43卷. 陸運·航空·觀光 1∼2 -- 第44∼45卷. 海運 1∼2 -- 第46卷. 情報通信 -- 第47卷. 外務 ; 條約 1 -- 第48∼49卷. 條約 2∼3 -- 第50卷. 索引 710 ▼a한국.▼법제처

81 RDA serials Cataloging
GMD 표기가 336, 337, 338 필드로 대체 AACR2 24500▼aRegional database.▼pCentral Asia▼h[electronic resource] RDA 00▼aRegional database.▼pCentral Asia 336 ▼atext▼2rdacontent 337 ▼acomputer▼2rdamedia 338 ▼aonline resource▼2rdacarrier GMD 336 필드

82 RDA serials Cataloging
362 필드 (권호차, 연월차) AACR2 [362][0 ]▼aVol. 10, no.1- [362][0 ]▼aVol.1, no.1- [362][0 ]▼aJan.2010- [362][0 ]▼a –n.s,v.5. RDA [362][1 ]▼aBegan with volume X, number1. [362][1 ]▼aBegan with Vol.1, No. 1 [362][1 ]▼aBegan with: Volume 1(January 2010) [362][1 ]▼aCeased with: new series, volume 5.

83 RDA serials Cataloging
588 필드(기술의 정보원) 필수필드 Description based on: julio 2004; title from t.p. Description based on: January/February 1988 issue; title from caption Description base on: 1976; title from cover Latest issue consulted: Vol.17, no.6(Sept.1954) Latest issue consulted: 1976

84 RDA serials Cataloging
복제자료(reproductions) AACR2 ▼aFederal orrery▼h[microform] 260▼a[Boston]Mass :▼bWeld&Greenough,▼c 362▼aVol.1,no.1(Oct.20,1794)-v.5,no.4(Oct.31, 1796) RDA 245▼aFederal orrery 260▼aNew Cannan,Ct.:▼bReadex,▼c1983 776▼iReporduction of original print version: ▼tFederal orrery▼d[Boston] Massachusetts : Weld&Greenough, ▼h5 volumes ; 43-47

85 Full RDA Serial Record Type a Elvl I Srce d Gpub Ctrl Lang eng BLvl s Form Conf | Freq | Mrec Ctry miu S/L Orig EntW Regl | Alph Desc i SrTp Cont DtSt c Dates 2009, CGU ǂb eng ǂc CGU ǂe rda PN6727.D33G Davis, Guy, ǂd ǂe author Guy Davis artworks / ǂc Guy Davis [Michigan?] : ǂb [publisher not identified], ǂc [2009]- , © ǂb chiefly illustrations (some color) ; ǂc 28 cm still image ǂ2 rdacontent text ǂ2 rdacontent unmediated ǂ2 rdamedia volume ǂ2 rdacarrier Began with #1 (OCT 2009) Description based on: #1 (OCT 2009); title from masthead Latest issue consulted: #1 (OCT 2009) Davis, Guy, ǂd Cartoonists Comic books, strips, etc ǂu

86 참고자료 KCR4/ AACR2 / MARC21 / LCRI CONSER 목록지침 RDA Full Draft of RDA
International standard bibliographic description (ISBD) Preliminary consolidated ed, 2007 Renette Davis, Changes from AACR2 to RDA for Cataloging Serials, 2010 Tom Delsey, AACR2 versus RDA, 2009

87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KCR4판과 통합서지용 KORMARC -연속간행물을 중심으로-"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