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резентация загружается. Пожалуйста, подождите

Презентация загружается. Пожалуйста, подождите

북한 주민의 생활 국민윤리교육과 2005015014 박 해 미.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북한 주민의 생활 국민윤리교육과 2005015014 박 해 미."— Presentation transcript:

1 북한 주민의 생활 국민윤리교육과 박 해 미

2 목 차 북한 주민의 의식주 생활 1. 식생활 2. 의생활 3. 주생활 북한 주민의 문화 생활
목 차 북한 주민의 의식주 생활 1. 식생활 2. 의생활 3. 주생활 북한 주민의 문화 생활 1. 명절과 풍습 2. 여가 3. 종교 북한 주민의 사회 복지 제도 1. 사회보장 2. 의료보장

3 북한의 의식주 생활 1. 북한의 식생활 1980년대 중반부터 ‘식의주’라고 표현 북한의 식량 구입 방법
북한의 의식주 생활 1. 북한의 식생활 ‘의식주’라는 전통적 관용적 어구를 → 1980년대 중반부터 ‘식의주’라고 표현 북한의 식량 구입 방법 ① 국가의 배급에 의한 방법 (전통적 식량구입 방법) ② 스스로 시장에서 구입하는 방법

4 식생활 – 2(북한의 배급체계) 급수별 1일 식량공급량 급수 공급량 대상자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9급
900g 800g 700g 600g 500g 400g 300g 200g 100g 유해직종 종사자, 중노동자 탄광. 광산 운반공, 중장비 운전자 일반노동자 대학생, 연로보장 공로자, 환자 중학생 소학생 연로보장자, 가두녀성, 유치원생 2~4세 어린이, 죄수 1세 이하의 유아

5 식생활 -3 (배급방법) 공장 . 기업소에 근무하는 일반노동자 → 배급표와 배급카드를 기준으로 식량배급 받음
연로보장을 받는 노부모와 직장에 배치되기 전의 자녀들, 세대주의 부양을 받는 가두녀성 → 세대주의 직장에서 나눠줌 협동농장의 농민 → 1년에 한 번 ‘결산분배’를 통해 배급

6 식생활 – 4 (1990년대 중반 이후) 배급 체계가 와해됨 → 주민들은 스스로 식량을 구입할 수 밖에 없게 됨
→ 농촌지역에서는 산에서 나물을 채취하거나 농장에서 식량을 훔치는 사람들도 많이 늘어남 ‘장마당’이 생김 → 도시주민들이 식량을 구입하는 곳 → 대부분의 생필품은 장마당에서 거래 장마당이 상당수 묵인 -> ‘암시장’ 생김 → 물자는 다양하고 풍족하지만 값이 비싸기 때문에 쉽게 구입할 수 없음

7 2. 북한주민의 의생활 공급체계가 원활하게 돌아가던 시절
→ 공급카드를 발급 받은 후 각자 상점에 가서 공급카드를 제시하고 자신에게 돌아올 옷감과 의복을 국정가격으로 구매 배급방법 : 식량과 마찬가지로 급수에 따라 차등적 배분 1990년대 → 경제난을 겪으면서 의복의 공급이 사실상 중단 → 예전에는 2년에 한 벌씩 무상으로 공급 , 현재는 국정가격으로 공급 → 국정가격 : 장마당 보다 싸기 때문에 학부모들이 선호 → 공급량이 모자라 학생복 구입도 대체로 장마당에서 이루어짐

8 의생활-2 (시대적 흐름) 1970 년대 → ‘ 천리마시대와 사회주의 생활양식’ 이라는 명목으로 획일화 (남성 : 인민복에 레닌모, 여성 : 흰저고리에 검정 통치마) 1970년대 후반 → 블라우스와 점퍼 . 스커트 등 양장이 등장 1980 년대 → 1989년 평양에서 개최된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 이후 옷차림이 눈에 띄게 활달하고 화려해짐 1990년대 → 당국에서 ‘김일성 민족’ 다운 옷차림과 ‘민족전통’을 강조하면서 전통복장을 강조 오늘날 북한 여성의 옷차림 → 스웨터. 인민복. 작업복이 일반적 → 젊은 여자 : 세트기로 머리 손질, 가벼운 화장 일반적 → 나이든 여성 : 머리에 신경 쓰지 않음

9 북한주민의 의복 모습

10 북한주민의 의복 모습

11 3. 북한의 주생활 주택은 국가로부터 배정받아 매달 사용료를 내는 ‘임대형식’으로 거주함
주택배정 : 직장과 거리를 감안해서 이루어짐 주택 보급률 → 당. 정. 기업소 간부들 : 거의 100% → 일반주민 : 50~60% 수준 주택의 종류 → 아파트와 2~3세대용 연립주택, 독립가옥 등

12 주생활 -2 (오늘날 실태) 주택의 배정을 받기가 어려움
→ 주택을 신청하고 입사증을 받기 까지 4~5년이 걸림. 최근에는 10년을 기다려도 주택을 배정 받기 어려움 주택의 음성적인 거래 묵인 → 북한주민들을 소유권은 없지만 돈만 있으면 좋은 집으로 옮겨가 살 수 있음 최근에는 주택에 대한 소유권 인정

13 주생활 – 3 하모니카주택 : 원래 명칭은 화랑식 아파트, 층마다 후면으로 단일복도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복도를 따라 방 한 칸, 부엌 한 칸이 달려 있기 때문에 속칭 하모니카 주택이라고 부른다. 입사증 : 특정 주택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를 명시한 증명서 5장6기 : 5장은 이불장 . 옷장. 책장. 신발장. 그리고 천장이며, 6기는 TV수상기. 냉동기. 세탁기. 재봉기. 선풍기. 그리고 사진기나 녹음기를 말함

14 북한 주택의 모습 평양 만경대구역 살림집들 북한 양강도 개량 주택

15 북한의 문화와 생활 1. 명절과 풍습 북한의 명절 → 국가적 명절, 경축기념일, 국제 경축일, 민속명절
북한의 문화와 생활 1. 명절과 풍습 북한의 명절 → 국가적 명절, 경축기념일, 국제 경축일, 민속명절 김일성 생일 4월15일, 김정일 생일 2월16일 → 민족최대의 명절로 규정 → 김일성 사망 후 김일성 생일 – ‘태양절’로 정함 경축기념일( 사회적 혹은 경제적으로 기념하는 날) → 6. 6절, 교육절, 광부절 등 국제 기념일 → 국제노동자절(5월1일), 국제부녀자절(3월8일) 민속명절 → 설, 정월대보름, 추석 등

16 김일성 생일의 북한의 모습 김일성 생일날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진행된 청소년들의 야회 김일성 생일을 맞은 평양거리의 모습

17 북한의 풍습 장례 → 통상 3 일장으로 치루어 짐 → 운구시 곡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음
→ 매장은 해당군 소재의 지정 공동묘지에 이루어 짐 제사 → ‘사회주의적 제사’라는 제사방식을 강조 성묘 → 대개 한식과 추석 등 봄, 가을에 한 차례씩 함 → 제사나 성묘 때 하는 큰절과 지방, 축문 등은 사졌고 대신 일어선채 묵념을 하는 관행이 보편화 되어 있음

18 북한의 성묘 모습 추석을 맞아 성묘를 하고 있는 북한 주민들

19 북한의 종교 북한당국의 종교에 대한 견해 → 지배계급에 의해 억압과 착취의 도구로 이용 되어 왔으며 제국주의자들의 침략도구로 사용되어 왔다는 판단 아래 정권 수립 초기부터 종교말살정책 추진 1972년 개정된 헌법 – ‘반종교선전의 자유’를 명기 → 사실상 종교의 자유를 전면 부정하는 법적 근거 마련 → 남북 대화가 시작되면서 오늘날 북한의 대표적인 종교단체인 ‘조선그리스도교연맹’, ‘조선불교도연맹’, ‘조선천도교중앙지도회’ 등이 조직됨 최근 종교에 대한 북한 당국의 관점은 조금씩 변화를 보이고 있음 → 1992년 개정된 헌법 : 이전의 ‘반종교선전의 자유’란 문구를 빼고 그 대신 ‘종교건물을 짓거나 종교 의식 같은 것을 허용’한다는 내용을 넣어 종교활동의 자유를 형식적으로 인정하는 조취를 취함

20 북한의 종교 – 2 북한이 종교활동에 전향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이유
① 북한에 종교가 없다는 주장이 결코 자랑이 될 수 없으며 국제사회의 조롱 및 비난의 대상이 될 뿐이라는 점을 자각했기 때문 ② 종교를 대남교류와 관련하여 정치경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라고 볼 수 있음 → 1990년대 이후 식량난을 계기로 남한과 외국의 종교단체들이 인도적인 지원활동을 하면서 북한 종교단체의 활동도 보다 활성화 되었음 ③ 종교활동이 더 이상 북한의 체제 안전에 위협요인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수 있음

21 북한 주민의 사회복지 제도 1. 사회 보장 사회보장제도의 형태 – 소득보장, 사회복지서비스 소득보장
→ 연금과 같은 국가보장형태와 일시적 보조금, 장례 보조금, 산전산후 보조금 등 사회보험 형태 사회복지 서비스 → 아동들의 탁아소, 유치원시설과 노일들에 대한 복지 서비스가 해당 → 특수 사회복지시설 : 육아원, 양로원, 양생원 등을 운영하고 있음

22 사회보장 – 2 추가적 사회혜택 → 무료교육, 무상치료, 식량 및 연료의 저가공급, 유급휴가제, 주택공급 등이 포함
→ 산재사망시 국가가 현금 및 현물지원, 국가사회 보장시설(영예군인보양소, 양로원, 육아원) 지원 등이 포함 북한이 1인당 사회보장수혜액은 1988년부터 남한보다 뒤지고 있으며 1992년의 경우 남한의 약 30% 에 해당

23 2. 의료보장 1980년 제정된 『인민보건법』에 따라 → 의료보장제도 : 무상치료제, 예방의학제, 동. 양의학결합 등 세 가지 원칙으로 추진 예방 의학제 : 치료보다는 예방을 위주로 하자는 목적을 갖 고 있음 의사담당구역제 : 전문의가 주민의 건강상태, 보건 위생 상태등을 고려하여 일정한 주민지역을 담당, 그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책임지고 돌보는 제도 동,양의학결합원칙 : 서양의학적 치료방법 이외에 한방치료와 민간요법 등 소위 북한의 ‘고려의학’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치료에 활용하도록 하는 것

24 의료보장 – 2 병원시설 – 일반병원과 특수병원으로 구분 위생과 방역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위생방역소가 있음 오늘날 실태
→ 인구 1인당 병.의원 수나 의.약사 수는 남한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이 사실이나 전반적인 의료. 보건상태는 낙후되어 있음 1994년 이후 → 식량난으로 영양실조와 각종 질병에 시달려 취약계층 주민들의 보건상태가 크게 약화 → 의약품 부족과 치료시설 낙후 등으로 인해 질병감염에 의한 사망이 늘고 있음

25 참고 문헌 북한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북한이해의 길잡이 – 전환기의 북한사회 – (박영사)

26 THE END \^▼^/


Download ppt "북한 주민의 생활 국민윤리교육과 2005015014 박 해 미."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