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정보처리의 방향 가방 가방 가방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정보처리의 방향 가방 가방 가방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Presentation transcript:

0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 담당교수: 남 윤 주

1 정보처리의 방향 가방 가방 가방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정보의 흐름이 감각 정보로부터 장기 기억으로 진행되는 과정 자극에 대한 기본적인 요소나 특징과 같은 세부 단위를 분석한 후 더 큰 단위로 구성하는 처리 과정 가방 시각정보처리 재인 Recognition 어휘의미로의 접근 Lexical access 망막에 상이 맺힘 가방 가방 HOW??

2 정보처리의 방향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형판이론(template theory)
망막에 떨어진 영상이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형판과 비교되고, 이 과정에서 입력된 영상과 동일한 형판이 발견되는 경우 그 형판에 해당하는 대상으로 인식됨. 하나의 대상이 전체적인 하나의 단위로 인식

3 A A A A A 정보처리의 방향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형판이론(template theory)
입력되는 영상의 위치, 크기, 방위가 다른 경우 재인 실패 무한한 형판? A A A A A

4 정보처리의 방향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형판이론(template theory)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가 적고 그 영상의 변형이 제한적인 실용분야에는 효율적으로 적용됨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형판 맞추기의 예

5 ㄹ ㄹ ㄹ, 曰 ㄹ, 曰 정보처리의 방향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대상입력 세부특징분석 관계분석
세부특징이론(feature theory) 사물의 세부 특징이나 형태소에 근거하여 사물을 인식하고 해석 대상입력 세부특징분석 관계분석 재인 수직선, 수평선, 곡선 등과 같은 기하학적 세부특징 분석 세부특징들 간의 관계 파악 제일 위에 있는 수평선과 가운데 수평선의 오른쪽 꼭짓점: 수직선으로 연결 가운데 수평선과 아래에 있는 수평선의 왼쪽 꼭짓점: 수직선으로 연결 수평선: 3개 수직선: 2개 ㄹ, 曰 ㄹ, 曰

6 정보처리의 방향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세부특징이론(feature theory)
영어 낱자의 세부 특징들의 예 유사 특징 낱자들: 혼동 가능성 커짐

7 정보처리의 방향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세부특징이론(feature theory)
Gibson, Schapiro & Yonas (1968): 낱자 판단 실험 임의로 선정 된 두 낱자가 동일한 것인지 다른 것인지를 판단하도록 한 후 각 쌍에 대한 판단 시간 측정 G & W : 458ms / P & R : 571ms 세부특징이 유사할 수록 판단시간이 길어짐 Kinney, Marsetta & Showman (1966): 낱자 보고 실험 순간노출기(Tachistoscope)를 이용하여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자극 제시 C 제시 → G나 O로 잘못 반응하는 경우는 많이 있었지만 A나 D로 반응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음

8 정보처리의 방향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ODUGQR QCDUGO CQOGRD QUGCDR
세부특징이론(feature theory) Neisser (1963): 시각탐색과제 (a) (b) ODUGQR QCDUGO CQOGRD QUGCDR URDCQO GRUQDO DUZGRO UCGROD DQRCGU QDOCGU IVMXEW EWVMIX EXWMVI IXEMWV VXWEMI MXVEWI XVWZEI MWXVIE VIMEXW EXVWIM

9 정보처리의 방향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세부특징이론(feature theory)
실제 세계에 존재하는 많은 복잡한 대상들의 재인 과정 모두를 잘 설명하지 못함 수많은 세부 특징과 복잡하게 구성된 공간적 배열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개별 특징들을 모두 찾아내어 비교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걸림

10 정보처리의 방향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원형대조이론(prototype matching theory) 원형이론: 대상의 원형이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음 Cf) 형판맞추기 모형: 대상의 정확한 전체 형태가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음 원형: 대상의 전형적/이상적인 형태 (예: 컵) 입력된 대상과 원형의 대조를 통해 형태가 재인됨 입력된 대상과 원형: 정확히 일치할 필요가 없음 (대략적 일치) 각 대상에 대한 적은 수의 표상만 저장하고 있어도 됨

11 정보처리의 방향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원형대조이론(prototype matching theory) 원형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Posner & Keele (1968): 사람들이 아주 빠르게 원형을 형성할 수 있음 Low Distortions High Distortions Random Patterns Prototype

12 정보처리의 방향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원형대조이론(prototype matching theory) 원형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Posner & Keele (1968): 사람들이 아주 빠르게 원형을 형성할 수 있음

13 정보처리의 방향 하향식 처리: 위에서 아래로(Top-down) 접근
상향식 처리의 한계: 맥락효과(context effect)를 설명 못함 음소복원효과 McGurk effect 단어우월효과 등 개인의 선 지식이나 기대, 자극이 제시된 맥락에 따라 정보의 흐름이 장기 기억으로부터 감각 방향으로 진행 배움과 학습이 중요 외부세계가 지각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우리의 경험이 우리의 지각을 형성 지각할 때 우리는 이전 경험을 고려

14 정보처리의 방향 하향식 처리: 위에서 아래로(Top-down) 접근 음소복원 효과 McGurk Effect
음소의 음향적 신호가 백색 소음이나 기침 같은 다른 소리로 불분명해져도 단어 내에서는 음소를 지각하는 현상. “The state governors met with their respective legislatures convening in the capital city.” (by Warren(1970)) McGurk Effect

15 정보처리의 방향 하향식 처리: 위에서 아래로(Top-down) 접근 → TAE CAT → THE CHT 단어우월 효과
동일한 문자라도 단어 속에 나타나면 비단어 속에 나타날 대 보다 더 정확하게 인지됨 문자 정보의 인지 과정에서 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문자 자질에 대한 정확한 지각보다 단어 전체의 지각이 우선시 됨 → TAE CAT → THE CHT 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에 따르면, 한 단어 안에서 글자가 어떤 순서로 배되열어 있는가 하는것은 중하요지 않고, 첫 번째와 마지막 글자가 올바른 위치에 있것는이 중요하다고 한다. 나머지 글자들은 완전이 엉진창망의 순서로 되어 있지을라도 당신은 아무런 문제없이 이것을 읽을 수 있다. 왜냐하면 인간의 두뇌는 모든 글자를 하나하나 읽것는이 아니라 단어 하나를 전체로 인하식기 때문이다.

16 정보처리의 방향 동일한 자극에 대한 상향처리와 하향처리 → 상향처리 → 하향처리 Q) 왼 쪽의 그림이 무엇인지 파악해 보시오
달마시안 개 한 마리를 찾아보시오. → 하향처리

17 정보처리의 방향 두 접근의 종합 보완적 접근 상향처리로만 지각: 개인의 이전 경험이나 지식의 영향을 허용할 수 없음
하향처리로만 지각: 감각적으로 지각되는 정보의 중요함을 과소평가하게 됨 Bottom-up(데이터 중심)과 top-down(지식 중심)처리가 상호작용 Bottom-up Processing 감각 모듈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일으켜진 인지처리 요구될 때 선택적으로 활동 가능 Top-down Processing 지식(장기기억)에 의해 추진 지식의 선택된 부분이 활동하는 인식적 처리가 정보 모듈에 산출물을 제공


Download ppt "정보처리의 방향 가방 가방 가방 상향식 처리: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