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조 기 교 육 스 트 레 으로 인한 6조 이봉기, 김보람, 김태은, 한혜숙.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조 기 교 육 스 트 레 으로 인한 6조 이봉기, 김보람, 김태은, 한혜숙."— Presentation transcript:

1 으로 인한 6조 이봉기, 김보람, 김태은, 한혜숙

2 목차(Contents) 서론 본론 결론 및 제언 조기교육의 정의 조기교육의 인식 조기교육의 실태에 대한 도표
조기교육으로 인해 스트레스 받는 아이들의 사례 동영상자료 기사자료 조기교육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조기교육의 원인 조기교육의 장단점 결론 및 제언

3 조기교육의 정의 조기교육(早期敎育) :학령(學齡)에 도달하지 않은 아동에게 일정한 커리큘럼에 따라 실시하는 교육.
서론 조기교육의 정의 조기교육(早期敎育) :학령(學齡)에 도달하지 않은 아동에게 일정한 커리큘럼에 따라 실시하는 교육.

4 서론 조기교육의 인식 서구 -> 교육을 받지 못하는 유아에게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여 사회의 일원으로 잘 적응하도록 하는 교육 한국 -> 수학, 언어, 예능 등 특정한 교육 프로그램을 일반적인 연령 기준보다 빨리 실시하는 교육

5 본론

6 본론

7 본론

8 본론 인원 : 명

9 본론 61.6% 증가 108,306명 67,065명

10

11

12 본론 조기교육으로 인해 스트레스 받는 아이들의 몇 가지 사례
노원구에 사는 28개월 된 아이 정주(가명). 돌부터 엄마가 틀어주는 영어 비디오만을 보아온 정주는 아직 우리말을 제대로 못한다. 정주가 할 수 있는 말은 고작 20여 개의 단어 정도. 비디오가 끝나가면 불안해 하는 정주. 정주는 어떤 질문을 하여도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했던 질문을 똑같이 따라 하는 감정교류의 문제를 보였다. 소아정신과에 정주의 검진을 의뢰한 결과 정주는 애착장애 및 초기 자폐증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주의 언어구사능력은 14개월 된 아이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13 본론 조기교육으로 인해 스트레스 받는 아이들의 몇 가지 사례
탤런트가 되는 것이 꿈인 초등학교 5학년 정희(가명)는 여름에도 모자를 쓰고 다닌다. 4살 때부터 시작된 탈모 때문. 정희의 엄마는 어렸을 때부터 정희에게 학습지를 시켰고 정희가 문제를 틀리거나 지겨워할 때면 심하게 혼을 내곤 했다. 그때 정희 나이 4살. 공부에 대한 부담감을 이겨내지 못한 4살 정희의 머리는 조금씩 빠지기 시작했고 어느덧 눈썹까지 다 빠져버리는 전신탈모 증세까지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 후 정희는 사람들 앞에서 한 번도 모자를 벗지 않았다.

14 본론 조기교육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유아의 두뇌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학습동기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수상돌기가 위축되거나 해마 부위에서의 신경세포 발생이 억제되고 인지학습 기능이 저하 유아의 학습동기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암기위주, 형식적인 공부만 하다보면 어렸을 때 개발되어야 할 창의력 또한 발달이 미약하고 틀에 박힌 편협한 생각을 자주 하게 된다.

15 본론 조기교육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현재 조기교육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들은 감정을 교환하는 상호작용보다 간접적인 지적 자극들만이 주로 교류되고, 따라서 자기중심적이며 타인의 감정에 대한 공감능력을 발달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게 되어 유아들의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유아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불안증, 우울증, 강박증 등의 정서장애, 공격적이고 반항적인 아이로 성장 과잉학습장애 -> 난폭한 행동을 보이거나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하지 않으려는 자폐증세, 책이란 책은 무조건 거부하는 학습거부증, 친구들과 어울려 놀지 못하는 등의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

16 본론 유아의 신체발달에 미치는 영향

17 본론 조기교육이 유아에게 미치는 여러 가지 증상 반응성 애착장애 학습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의사소통장애 틱 장애
품행장애 정신 분열증 불안장애 정신지체 장애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출처 : 네이버 만화 생활의 참견

33 본론 조기교육 열풍의 원인 조기교육을 지지하는 학자들의 주장 부모들 간의 경쟁 의식
인간의 지능은 유전에 의한 것이 아니라 환경에 의한 것. 아이가 어린 나이일 때 많은 교육을 시키는 것이 아이의 지능을 높여줄 수 있는 방법이라 제안. 특히 언어교육에서 나이가 어릴수록 아무런 힘도 들이지 않고 익히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 부모들 간의 경쟁 의식 조기교육 실시하는 주변의 ‘성공담’이 유아교육에 소신을 가지고 있는 부모들 조차도 불안해하고 조급해지게 함.

34 본론 조기교육 열풍의 원인 맞벌이 부부의 증가 교육의 상품화
맞벌이부부가 급증, 아이 맡길 곳이 없는 부부들이 학원을 조기교육장으로 활용. 교육의 상품화 우리 사회에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키즈 킹공, 한국몬테소리]등의 유아대상 관련업체나 [펠트(PELT), 토익 브리지(TOEIC Bridge), 제트(JET)]등의 여러 인증 시험이 늘어남으로써 조기 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과도한 교육열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35 본론 조기교육의 장점 언어학적 접근 생리학적 접근 사회심리학적 접근 인간은 경험에 의하여 언어를 배우고,
주위의 여러 사람들이 쓰는 언어를 모방 생리학적 접근 지식을 습득하는 데 있어 결정적 시기가 있음(Lenneberg, 1967) 사회심리학적 접근 사춘기 이후에는 사회적, 심리적인 성숙의 변화가 학습을 더욱 어렵게 한다.(Hamayan,1977)

36 본론 조기교육의 단점 부모의 입장에서 이루어지는 조기교육
교육이 유아에게 스트레스로 전환되어 인권의 문제로까지 확장(우울증, 원형탈모증, 유사자폐증) 체계화된 시설과 연구 필요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함.

37 결론 및 제언 조기교육에 대한 제언 아이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이 되어야 함 조기교육보다는 적기교육이 필요 -0~3세
전뇌발달, 오감교육 -3~6세 전두엽(사고·인성), 예절·도덕교육 -6~12세 측두엽(언어·외국어), 두정엽(수학·물리) 정부차원적인 방안마련과 언론매체를 통한 조기교육 과대광고 억제

38 참고문헌 김재헌, 사랑한다면 강하게 키워라, 올림출판사, 2008 신의진, 느림보 학습법, 중앙M&B, 2001
이규련, 유아 조기교육의 실태 및 어머니의 인식

39 참고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SBS 뉴스추적 384회, 조기교육의 실태 조기교육 열풍, 기저귀 차고 학원행
( 조기영어교육, 창의력 개발에 장애 ( 억지로 English~ 아이는 '영어 거부증‘, 한국일보( ) ( “엄마 학원 관두면 안돼요?”, 노컷뉴스( ) ( 태교부터 영재까지 조기교육 열풍, 효과는 ‘꽝’? (

40


Download ppt "조 기 교 육 스 트 레 으로 인한 6조 이봉기, 김보람, 김태은, 한혜숙."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