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ART01 디지털 영상과 편집 1. 디지털 영상 이해 디지털 영상 편집.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PART01 디지털 영상과 편집 1. 디지털 영상 이해 디지털 영상 편집."— Presentation transcript:

1 PART01 디지털 영상과 편집 1. 디지털 영상 이해 디지털 영상 편집

2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의 개념 영상 매체 특정 기술에 따라서 표출된 객관적 대상
영상은 형태가 있는 사물을 가리키는 라틴어 “Imago”에서 유래한 단어 “Image”를 번역한 용어 인간들간의 만남을 창조해내는 공간 인간 내부의 지각상이자 심적상의 대리자로서 역할\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함께 지칭, 시각적 요소와 사운드를 포함하는 개념 영상 ① 광선의 굴절이나 반사에 따라 비추어지는 물체의 모습 ② 영화나 텔레비전의 화상 ③ 머릿속에 떠오르는 사물의 모습이나 이미지 매체 ① 어떤 작용을 다른 곳으로 전하는 구실을 하는 물체 ② 어떤 일을 전달하는 데 매개가 되는 것 디지털 영상 편집

3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매체 광선의 굴절이나 반사를 이용하여 물체의 상을 나타나도록 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 하드웨어 : 모든 전기적·기계적 기자재 소프트웨어 : 프로그램, 자료, 정보, 기술 영상매체의 종류 TV를 통해 방영되는 공중파 방송 및 유선방송 영화 및 비디오테이프에 수록되어 재생되는 영화나 뮤직비디오 컴퓨터를 이용해서 보는 CD나 디스켓에 수록되어 재생되거나 PC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게임, 사진, 영상음악 등의 전자 영상물 디지털 영상 편집

4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의 역사 벽화에서 회화로 원시 동굴벽화
인간 최초의 외적 표현물, 문자보다 먼저 사용된 이미지 표현 수단 ① 원시 동굴벽화의 주술적 효과 ② 종교적, 문화적 교육을 담당한 회화 : 이집트 벽화와 부조, 그리스 신전의 부조 ③ 건축물과 회화의 분리 디지털 영상 편집

5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의 역사 원근법의 발견 원근법의 정의 원근법 발명 이전 회화의 공간 표현 원근법의 공간 표현
단 하나의 시점에서 본 세계상을 그려내는 기하학적기술 3차원적인 현실을 2차원적인 평면 위에 묘사하는 표현 기법 원근법 발명 이전 회화의 공간 표현 화가와 대상 사이의 공간의 원칙에 따라 묘사된 것이 아니라 인물들의 중요성에 따라 실제보다 더욱 크거나 작게 묘사 원근법의 공간 표현 천정과 벽이 형성하는 공간의 깊이는 한 명의 관람자 시점과 하나의 배경 뒤의 한 점에 고정된 소실점을 중심으로 형성 디지털 영상 편집

6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의 역사 카메라 옵스큐라 영상 등장 이후
관찰자 시점과 소실점을 기점으로 논리정연하게 펼쳐진 원근법의 공간을 기계적으로 옮겨놓은 것 회화 → 캔버스 → 원근법으로 서서히 발명 델라 포르타(16세기) <자연의 마술>이란 책 예술가들이 카메라 옵스큐라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 영상 등장 이후 사진의 발명 니옙스 - 개량된 감광재료로 최초의 현대 영상 사진을 만듦 디지털 영상 편집

7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의 역사 영상 등장 이후 사진과 19세기 영화의 발명 텔레비전의 등장
신흥 부르주아들은 회화를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소유한 부를 과시 소유의식의 지평을 전 세계로 확대시킨 19세기 서구 제국주의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 과학적 목적으로도 사용 영화의 발명 영화 탄생의 계기 에드워드 마이브리지 : 달리는 24장의 말 사진 에티엔 쥘 마레 : 사진총 영상기 “키네토스코프” 년 토머스 앨바 에디슨(영화의 아버지, 과학적인 측면으로 발명) 1895년 뤼미에르 시네마 토그라프 텔레비전의 등장 TV, DVD, 영화 - 실존 대상 존재 컴퓨터 합성 - 실존 대상 없이 영상 보존 디지털 영상 편집

8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의 특징 영상은 움직임이 있는 그림이다 영상의 연결성을 발생시킨다 연결되지 않는 영상을 연결하는 소리
컷이 쌓여가면서 작품이 된다 영상 다이나미즘을 구성하는 요소 움직이지 않는 컷이라도 길이가 있다 토메그림(정지 화면)을 영상적으로 하기 위한 기법 좌우의 상하 상하의 감각을 말하면 위에 보이는 것은 크고 상위의 것으로 느낄 수도 있다. 디지털 영상 편집

9 디지털 영상의 개요 아날로그 영상신호란? Component 영상신호 RGB 4:4:4
흑백신호의 3배의 주파수 대역을 가져 전송 기록에 막대한 대역폭이 소요 카메라, 스위처, VTR, 주조정실, 송신소를 경유하여 가정에 TV프로그램 전송 시 3채널의 전송로를 필요로 함 RGB 세 개의 케이블은 75암페어의 동축케이블로 반드시 동일한 길이여야 함 주로 방송용 비디오 카메라의 조정, 크로마키 합성, 모니터링 등 일부 영역을 제외하면 실용성, 경제성이 떨어짐 디지털 영상 편집

10 Y/R-Y/B-Y 4:2:2 색차 컴포넌트 신호(color difference component signal), YUV 신호라고도 함 RGB 신호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 사람의 눈이 색상보다는 밝기에 민감하다는 사실에 착안한 방식 색을 휘도(Luminance)인 Y 성분과 색차 성분인 B-Y와 R-Y 성분으로 구분 전형적인 Y/R-Y/B-Y의 비율은 4:2:2 Y=0.3R+0.59G+0.11B : 휘도 신호 B-Y : 청색-휘도 신호 R-Y : 적색-휘도 신호 RGB 신호보다 전송,기록의 효율과 경제성이 높고 화질열화도 적음 고화질을 요하는 VTR시스템에 적합 디지털 영상 편집

11 디지털 영상의 개요 아날로그 영상신호란? Component 영상신호 RGB와 YUV
영상신호 송출 측의 촬상회로 입사감도와 수신 측의 수상관 발광량에 특성 차가 생겨 원래의 영상을 정확히 재생하지 못함 감마보정(Gamma Correction)의 과정을 필요로 하며 영상기기에서 사용하는 영상신호는 감마보정된 값임 RGB와 YUV 신호는 고화질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크로마키, 특수 영상 처리, 컴포넌트 VTR 등의 높은 영상 품질을 요구하는 일부 영역에서만 사용 됨 디지털 영상 편집

12 디지털 영상의 개요 디지털 영상 물체에 반사되는 빛을 디지털 신호를 표현한 것
영상 정보를 렌즈에 들어오는 빛의 데이터를 샘플링, 양자화, 부호화 과정을 거쳐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한 데이터 영구성과 수시로 모습을 바꿀수 있고, 언제든지 복사와 재생을 할 수 있는 유연성을 지님 컴퓨터를 활용하여 합성,수정,편집이 쉬움 디지털 영상의 장점 아날로그 영상보다 화질이 우수(디지털 데이터의 값이 명확)하다.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영상 처리 기술도 발전하였다.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다양한 영상 처리 기술을 활용 가능하다. 디지털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을 응용한 분야에서도 디지털 영상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예: IPTV) 디지털 영상 편집

13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미학 개념정의 영상미학의 특징
단순히 아름다움이나 미학에 치중하기보다는 빛, 공간, 시간, 동작, 음향과 같은 여러 가지 미학적 요소들과 이에 대한 인간의 지각적 반응을 다루는 것 영상미학을 다루는 미디어(영화나 TV)는 단순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만이 아니라 미학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매체가 되었다 각종 영상물을 분석하는 기준을 제시하며, 미학적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종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다 영상의 미학적 5가지 구성요소 빛과 색상(light and color) 2차원 공간(two-dimensional field) 3차원 공간(three-dimensional field) 시간과 동작(time-motion) 음향(sound) 디지털 영상 편집

14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미학 개념정의 영상의 단위 shot → scene → sequence → movie 샷(shot)
영상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 카메라가 한 번 돌기 시작해서 멈출 때까지 촬영된 하나의 화면 카메라의 녹화 시작 버튼이 기능한 후부터 종료 버튼이 작동할 때까지의 화면 씬(scene) 영상의 의미 전달 단위 보통 몇 개의 샷이 모여 하나의 의미를 만드는 씬을 구성 대체적으로 동일한 시간과 동일한 장소에서 일어나는 액션이나 대사를 말함 시퀀스(sequence) 샷에 의해 구성된 씬이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모여 하나의 에피소드를 엮어 나가게 되는데 이와 같은 하나의 에피소드를 시퀀스(sequence)라고 함 이야기가 시작되고 끝나는 독립적이고 내용적 구성단위 무비(Movie) 몇 개의 시퀀스들이 합쳐져 하나의 영화나 비디오 작품이 됨 보통 한 편의 영화나 비디오 작품은 대개 6~7개의 에피소드로 구성 디지털 영상 편집

15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미학 샷의 구성요소 카메라 앵글의 종류 카메라 앵글 카메라 렌즈와 피사체가 이루는 각도
수평 앵글(eye level) 인물을 촬영할 경우 인물의 눈높이로 렌즈 높이가 수평이 되게 설치 풍경을 촬영할 경우 인물의 높이에 카메라를 설치 방송프로 그램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앵글 안정감이 있는 화면 디지털 영상 편집

16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미학 샷의 구성요소 카메라 앵글의 종류 하이 앵글(high angle) : 부감 샷
카메라 위치가 높은 곳에서 피사체를 내려다보는 앵글 상황 판단, 설명, 객관성을 가진 묘사에 사용 피사체의 중요성을 감소시켜 가벼움, 왜소함, 패배감 등의 느낌 법정에서 피고를 내려다보는 판사의 시각이나 야단치는 선생의 시각에서 학생을 내려다보는 경우에 사용 로우 앵글(low angle): 앙각 샷 낮은 위치에서 카메라가 피사체를 올려다보는 앵글 공포감, 위압감, 권위, 우위, 존경심 등의 의미를 부여 디지털 영상 편집

17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미학 샷의 구성요소 화면의 크기 FS(Full shot) 피사체의 전체를 보여주는 샷
인물의 주변 전경과 다른 출연자 등이 화면에 나타남 출연자의 배경과 성격을 설명해 주는 사이즈 인물들의 움직임과 세트와의 위치 파악, 방향 감각을 알 수 있음 KS(Knee shot) 인물의 무릎부터 머리 윗부분까지 보여주는 샷 상반신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데 적절 일기예보 차트를 설명할 때 사용 디지털 영상 편집

18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미학 샷의 구성요소 화면의 크기 WS(Waist shot) 인물의 허리 위 상반신을 보여주는 샷
머리 위의 헤드룸을 살리고 프레임의 하단이 인물의 허리 부분을 지나도록 화면을 구성 드라마나 스튜디오 프로그램 등에서 투 샷이나 쓰리 샷에 많이 사용 바스트 샷 다음으로 많이 사용 BS(Bust shot)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적인 샷 삼각형 구도가 형성되는 사이즈 머리 위에 적절한 헤드룸을 주고 프레임의 하단이 인물의 가슴 부분을 지나도록 화면 구성 디지털 영상 편집

19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미학 샷의 구성요소 화면의 크기 CU(Close up) 인물의 얼굴만 크게 촬영한 샷
출연자의 표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어 감정 표현을 하는 데 효과적인 사이즈 ECU(Extreme close up) 눈, 코, 입, 귀 등과 같이 신체의 특정 부위나 피사체의 일부분을 매우 자세히 보여주는 샷 출연자의 감정이 강렬하게 전달되어 시청자에게 충격적인 인상을 줄 수 있음 디지털 영상 편집

20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미학 샷의 구성요소 피사체의 상대적 크기에 따른 구분 ELS(Extreme Long Shot)
흔히 설정 샷, 파노라마 샷이라고도 함 전체적인 상황이나 배경을 더 중점적으로 보여줄 때 사용 자동차 경주나 출퇴근 시간 도심의 거리 및 인파를 최대한 보여주고자 할 때 많이 사용 LS(Long Shot) 피사체를 멀리서 촬영한 원경 샷 사물의 구체적인 설명이나 피사체끼리의 관계, 시간, 장소, 위치 등 전체와의 연관성을 전달할 때 사용 MS(Medium Shot) 인물의 상반신을 촬영한 샷 몸짓, 표정,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투 샷을 잡을 때 적합한 사이즈 디지털 영상 편집

21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 편집 미학 편집의 목적과 방법 편집
촬영한 영상과 음향을 이용하여 정해진 내용에 따라 필요없는 부분을 삭제하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 순서를 바꾸기도 하면서 새로운 영상물을 만들어 나가는 작업 편집의 기본 목적 샷과 샷을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연결하여 관객이 편집의 흔적을 눈치채지 못하게 함으로써 영화적 환상을 제공하는 것 편집 방법 촬영한 장면들을 검토 → 촬영 → 전체 프로그램의 각 장면들을 어떻게 배치해야 할 것인가를 이해하고 장면들의 순서를 정함 → 최종적인 편집 단계에서 사용할 샷들을 선택하고 결정 → 편집 콘티를 작성 → 각 장면들이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연기자의 움직임과 흐름을 분석하고 의미 있는 샷들로 장면의 연결을 구축 디지털 영상 편집

22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 편집 미학 편집의 기능 결합(combine)
적절한 순서에 따라 여러 개의 비디오테이프로 녹화한 것을 장면별로 연결함 프로그램의 부분들을 결합 손질(trim)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고 말끔히 정리 제작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내용과는 별로 관련이 없는 자료들을 제거하기 위해 삭제 수정(correct) 대부분의 편집에서는 잘못 촬영한 것이나 별로 마음에 들지 않는 장면을 잘된 것으로 대체함 원하는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작업 구성(build) 이미 촬영 완료된 수많은 화면들을 이용해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듦 제작의 창의적인 중요한 부분을 이루며 화면전환과 음향 부분도 이때 고려해야 함 디지털 영상 편집

23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 편집 미학 편집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 샷의 내용 샷의 길이 샷의 배열
화면 속에 어떤 내용이 담겨 있는가? 샷의 길이 영상의 템포를 결정하는 요소 샷의 길이가 길면 평화롭고 한가한 분위기를 나타내고, 짧으면 긴장감을 조성하게 됨 샷의 배열 선택된 샷들이 어떠한 순서로 배열되느냐에 따라 전달되는 의미가 크게 달라질 수도 있다는데 편집의 묘미가 있음 디지털 영상 편집

24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 편집 미학 편집 기법 편집의 일반 원칙 음향과 영상은 경쟁 관계가 아니라 동반 관계다.
새로운 샷 연결에는 반드시 새로운 정보가 담겨 있어야 한다. 모든 편집에는 합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피사체가 움직이는 라인을 점검한다. 적절한 화면전환의 편집 형태를 선택한다. 편집은 창조 작업이다. 장면이나 샷이 바뀌어도 영상과 음향에 통일성을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출연자의 위치나 방향이 일관되도록 편집하고 색의 통일과 대화 및 현장음의 연속적인 조화에도 신경써야 한다. 편집 시 각 장면이나 샷이 진실을 왜곡시키지 않도록 연관된 화면과 음향을 연결 한다. 사건의 진실이 왜곡되지 않도록 객관적이고 균형 있게 편집하는 윤리성이 필요하다. 디지털 영상 편집

25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 편집 미학 편집 기법 편집 시 지켜야 할 규칙 180도 법칙
영화적 공간의 방향성을 인식하도록 만들어 주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 카메라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대화하는 두 인물 사이에 하나의 일직선을 가상으로 설정하고, 그 선을 중심으로 한쪽 방향에서만 촬영 등장인물의 위치, 시선, 방향 등을 일관되게 유지함으로써, 관객들이 영화적 공간의 방향성을 혼동 없이 받아들이게 함 디지털 영상 편집

26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 편집 미학 편집 기법 편집 시 지켜야 할 규칙 시선의 일치
영화 속의 등장인물이 어느 한 곳을 바라보고 있다면 이어지는 다음 샷은 그 인물이 바라보고 있는 대상을 보여줌 보는 사람과 보이는 대상을 연결하여 영화적 공간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방법 하나의 샷에서 인물이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다면, 연속되는 다음 샷의 인물은 왼쪽을 바라보고 있어야만 관객들은 그들이 서로 대화를 하고 있다고 인식하게 됨 30도 법칙 동일한 피사체를 대상으로 첫 번째 샷을 찍고 두 번째 샷을 찍을 때는 카메라 위치를 최소한 30도 각도 또는 그 이상의 각도로 옮겨서 다음 컷을 찍어야 함 배경화면도 적당하게 바뀌어서 컷이 끊어진다는 느낌 없이 자연스럽게 보임 30도를 벗어나지 않은 상태로 찍혔다면 자연스런 편집이 되지 않고 점프 컷 될 수 있음 주의해야 할 점 : 30도를 넘어서 편집되었다 하더라도 똑같은 사이즈의 연결은 역시 부자연스럽게 느껴짐 앞 컷의 사이즈가 바스트 샷이었다면 다음 컷은 좀 더 넓은 풀 샷이나 더 작은 클로즈업 정도로 변화시키는 것이 자연스러움 디지털 영상 편집

27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 편집 미학 편집 기법 편집 시 지켜야 할 규칙 샷 크기의 변화
주로 한 인물의 행위를 서로 다른 크기의 샷들로 분할해서 연결할 때 사용하는 방법 샷 크기의 변화를 한 단계 이상 건너뛰어 연결 앞의 샷이 풀 샷인 경우 한 단계 다음 크기인 미디엄 샷을 건너뛰어 바로 바스트 샷이나 클로즈업으로 연결시키는 식으로 샷의 크기를 한 단계 이상 건너뛰어 편집을 해야 자연스러운 연결이 됨 행위의 일치 등장인물이 행동하는 중간에 편집을 하면 관객들은 샷과 샷의 연결을 의식하지 못함 클로즈업의 연결 풀 샷이나 미디엄 샷 같은 사이즈의 크기로 설정된 인물의 움직임이 클로즈업과 연결될 때에는 주의해야 함 클로즈업으로 연결하고 싶을 때에는 움직임이 정지된 상황, 아니면 움직임이 있기 전이나 끝난 후에 편집해야 함 디지털 영상 편집

28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 편집 미학 편집 기법 화면전환 디졸브
화면과 화면이 순간적으로 겹치면서 앞의 장면은 페이드 아웃되고 다른 장면으로 서서히 바뀌는 것을 말함 시간의 흐름 또는 경과를 표현하는 데 사용 와이프 자동차의 와이퍼의 의미와 같이 새로운 화면이 기존의 화면을 밀어내면서 나오는 기법 동시에 일어나는 사건들 또는 대사를 한 화면에서 처리해야 할 때 주로 사용 페이드 인/페이드 아웃 페이드 인(Fade In) : 컴컴한 블랙 화면이 점점 밝아지는 것 페이드 아웃(Fade Out) : 화면이 점차 어두워지는 것 영화가 시작할 때 : 페이드 인 상태로 출발, 끝날 때 : 페이드 아웃 상태로 종료 컷(cut) 한 그림에서 다른 그림으로 중간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넘어가는 것 샷의 전환을 이루는 방법으로 계속되는 동작의 연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화면전환 수단 포커스 인/아웃(Focus in/Focus out) 카메라의 초점을 흐리게 한 다음에 다른 카메라로 커트한 뒤 초점을 살려주는 방법 시간의 경과와 상태 변화, 혹은 현실과 꿈의 연결 등에 사용 디지털 영상 편집

29 디지털 영상의 개요 영상 편집 미학 편집 기법 설정 샷 재설정 샷
새로운 장면이 시작되기 전에 롱 샷 혹은 풀 샷으로 그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장소의 전경을 보여줌 영화의 사건이 발생하는 주된 공간과 기본적인 인물 배치를 관객에게 전달 관객들은 설정 샷을 통해 어떤 장소의 어느 위치에서 등장인물들이 사건을 진행하는 가를 알 수 있음 재설정 샷 설정 샷과 그 다음 연속된 샷 사건을 진행하다가 관객이 영화적 공간을 혼동하거나 잊기 전에 다시 영화적 공간과 기본적인 인물의 배치를 재설정해 주는 것 샷의 크기(size)와 샷의 길이(duration)를 이용한 편집 기법 영상의 극적 리듬과 템포를 조절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 샷의 크기를 점차 클로즈업으로 이동한다면 긴장감을 나타냄 샷의 길이를 길게 편집한다면 평화롭고 한가한 분위기를 나타냄 짧으면 긴장감을 조성 디지털 영상 편집


Download ppt "PART01 디지털 영상과 편집 1. 디지털 영상 이해 디지털 영상 편집."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