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Chapter 1. 생리학의 기초
2
1) 생명의 특징 대사 : 주위환경으로부터 물질을 얻어 이화작용과 동화작용을 통해 대사활동 성장 : 세포의 부피와 무게 증가
생식 : 종족보존을 위한 개체수 증가 적응 : 주위환경의 변동에 대해 형태 및 기능을 적절하게 조정 유기적 체제 : 개체를 형성하는 단위가 유기적 체제로 연결됨 운동 : 개체의 위치 변화, 이동, 내부의 움직임
3
생체 각 기관이 기능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상호 연락하여 조화를 이루는 평형상태
2) 항상성 생체 각 기관이 기능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상호 연락하여 조화를 이루는 평형상태 항상성 유지 기전의 특성 보상성 (compensatory) : 정상에서 벗어난 상태를 보상 자가조절성 (self-regulatory) : 정상에서 이탈한 것을 교정 피드백기전 (feedback mechanism) : 정상으로 되돌리는 기전
4
세포(cell)→조직(tissue)→기관(organ)→계통(system)
3) 세포 세포(cell)→조직(tissue)→기관(organ)→계통(system) 세포(cell) : 생명의 구조적, 기능적 기본 단위
5
조직(tissue) 같은 종류의 세포들 집단이 모여서 조직을 형성 조직의 분류 외배엽 (ectoderm) : 외피, 신경조직
내배엽 (endoderm) : 소화관의 내벽과 관련구조 중배엽 (mesoderm) : 골격과 근육
6
상피조직 (epithelial tissue)
- 외부로부터 인체의 내부 구조를 보호하는 층 형성 - 인체의 표면과 체강(body cavity), 관(duct), 혈관(vessel)의 내층 형성 근육조직 (muscular tissue) - 골격의 운동, 혈액순환, 소화운동에 협조 - 중배엽의 기원 - 구성 : 골격근(skeletal muscle), 심근(cardiac muscle), 평활근(smooth muscle)
7
결합조직 (connective tissue)
신경조직 (nervous tissue) - 외배엽 기원 - 구성 : 뇌(brain), 척수(spinal cord), 말초신경(peripheral nerve) 결합조직 (connective tissue) - 중배엽의 기원 - 지지, 연결, 특수한 기능 - 구성 : 골(bone), 연골(cartilage), 건(tendon), 인대(ligament), 근막(fasciae), 혈액(blood)
8
기관(organ) 2개 이상의 조직이 모여 1개의 기관을 형성 예) 위, 간, 심장, 폐 등
9
계통(system) 인체의 계통 - 외피계(integumentary system) : 피부 및 관련 털, 손.발톱, 선(gland) - 골격계(skeletal system) : 뼈, 관절 - 근육계(muscular system) : 골격근, 평활근 - 신경계(nervous system) : 뇌, 척수, 말초신경, 특수감각기관 - 내분비계(endocrine system) : 뇌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부신, 췌장, 성선 등
10
- 호흡기계(respiratory system) : 코, 후두, 기관, 폐
- 순환계(circulatory system) : 심장, 혈관, 림프관, 혈액, 림프 - 호흡기계(respiratory system) : 코, 후두, 기관, 폐 - 소화기계(digestive system) : 입, 식도, 위, 소장, 대장, 침샘, 췌장, 간, 담낭 등 - 비뇨기계(urinary system) : 신장, 요관, 방광, 요도 - 생식기계(reproductive system) 남성(male) : 정낭, 고환, 부고환, 전립선, 구요도선, 음경, 부속관 여성(female) : 난소, 자궁관, 자궁, 질, 유선
11
Chapter 2. 신경 생리 뇌 척수
12
뇌 신경흥분 전도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p5 뇌 신경흥분 전도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전달 물질 : acetylcholine, norepinephrine, dopamine, serotonin, histamine, glutamate 등 억제성 물질 : GABA(gamma amino butyric acid), glycine 제2차 전령(second messenger) : Ca++, cAMP, cGMP, IP3, DAG 등
13
(2) 안정막 진입(membrane potential)
안정 시 세포막의 전기적 대립 상태(분극) K+의 이동, 약 -70㎷ 분극: 세포막의 바로 안·밖의 전압차 (3) 역치(threshold) 활동 전압을 일으키는 최소의 자극 강도 막 전압을 -55㎷까지 낮출 수 있는 자극 강도 활동전압: 세포 외부의 Na+이 세포 내로 이동되면서 형성된 막전압차 불응기: 0.001~0.005초
14
(4) 실무율 법칙(all or non law)
신경원이 자극에 대하여 최고의 흥분을 하거나, 하지 않는 현상 역치 이하의 자극에는 반응하지 않고, 역치 이상의 자극에는 반응의 크기가 일정함 신경은 실무율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으나, 1개의 신경원은 실무율의 법칙이 적용된다. (5) 전도 속도 신경 섬유의 직경이 크면 클수롤 빠름 일반적인 전달 속도 : 1~120m/sec 신경섬유 : 유수신경섬유 > 자율신경절전섬유 > 무수신경섬유
15
(6) 도약 전도(saltatory conduction)
축삭의 국소 전류가 란비에르 마디에서 다음 마디로 점프하여 전도하는 현상 유수신경은 수초의 전기저항 때문에 활동전압의 발생이 어려움 도약 전도 : 흥분 전달속도 유슈신경 > 무수신경섬유 (7) 축삭 운반(axonal transport) 신경흥분 전달 물질이 시냅스를 통해 시냅스 꼭지에 전달되는 현상 운반 : 능동적 운반, 미세관(microtubule)을 이용, transport-fliament 가설
16
흥분전도의 3원칙 - 신경섬유의 한 점을 자극하면 흥분은 그 점에서 시작하여 두 방향으로 전도됨
① 두 방향 전도 - 신경섬유의 한 점을 자극하면 흥분은 그 점에서 시작하여 두 방향으로 전도됨 ② 절연성 전도 - 이웃의 다른 섬유에는 절대 흥분을 옮기지 않음 ③ 불감쇠 전도 - 섬유의 직경이 일정하면 전도 속도는 전도하는 동안 변하지 않음
17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
뇌파: 뇌에서 발생하는 특이한 리듬의 전압 변동 뇌전도: 두피에서 전극을 보착하고 이들 전극사이에 발생한 대뇌피질의 신경원 집단의 전기적 변동을 기록 - Electorcorticogram(ECoG): 대뇌피질의 표면에서 기록 - Electroencephalogram(EEG): 머리의 피부 표면에서 기록 - 기능: 뇌의 흥분수준 파악, 수면의 단계 구분, 뇌 기능 진단
18
(1) 뇌파의 종류 알파파(α - wave) ③ 델타파 ④ 세타파(θ – wave) 베타파(β – wave)
가장 자주 나타나는 파형 눈을 감고 휴식, 편안한 명상(resting state)에서 나타남 깊은 수면시 관찰 불가능 베타파(β – wave) 주의를 집중한 활동, 똑바로 눈 뜬 상태 알파파보다 더 불규칙하고 고주파 ③ 델타파 어린이의 피질에서 나타남 어른: 깊은 수면시 진폭이 크고 느린 파형 ④ 세타파(θ – wave) 불쾌, 강한 흥분, 낙담한 어린이 혹은 실망, 욕구불만의 여성에서 나타남 수면주기 중 REM수면이나 수면 초기에 나타남
19
수면 (sleep) 감각 혹은 다른 자극에 의해 깨어날 수 있는 정도의 무의식 상태
※ 혼수(coma): 깨어날 수 없는 무의식 상태
20
비REM 수면(slow-wave sleep, light sleep: 서파수면)
안구 운동은 나타나지 않음 총 수면의 80%, 충분한 휴식상태 뇌파의 빈도 활력 징후 감소, 기초대사율이 10~30% 감소 뇌파 : 3cps이하 ※ 꿈을 꾸기도 하나 기억할 수 없음
21
(2) REM 수면(rapid-eye movement sleep, REM: fast-wave sleep)
빠른 안구운동 모순수면(paradoxical sleep), 꿈수면(dreaming sleep), 심수면(deep sleep) 수면 중 약 90분 간격으로 5~20분 반복됨 특징 활발하게 꿈을 꿈 자극으로 깨어나기 어려운 시기 극 긴장감 감소, 호흡 불규칙, 심박동 증가 빠른 안구운동, 뇌 활성상태 뇌파 : 20cps 이상
22
척수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맥락총에 분비, 제4뇌실의 외측공과 정중공을 통하여 지주막 하강과 교통 분비량: 400~600mL/1일(총량: 130~150 mL) 무색, 투명, 단백질, 포도당, 다량의 염류 포함 기능 : 외부 충격으로부터 뇌를 보호 순환경로: 측뇌실 → 중뇌수도 → 제4뇌실(→척수중심관 → 종실) → 지주막하강 → 지줌가과립 → 시상정맥(흡수) → 심장 → 혈관계 → 맥락총(분비) → 제3뇌실 뇌척수액 순환장애: 뇌수종(hydrocephalus) – 배출 통로의 차단으로 두개강 내압이 상승
23
흥분 전도로 척수의 백질 부분에 유수섬유들이 모여 전삭, 측삭, 후삭으로 구분되어 뇌로 출입하는 신경흥분의 전도로를 구성 상행 전도로 감각성(구심성) 전도로 척수 → 뇌
24
(2) 하행 전도로 운동성(원심성) 전도로 뇌 → 척수 추체로(pyramidal tract)
대뇌피질 중심전회 : 척수전각 연결 골격근의 운동신경로(수의운동) 추체외로(extrapyramidal tract) 골격근의 운동, 긴장, 근육군의 협조운동 반사적, 불수의적 운동신경로 1) 상위운동 중추장애 : 경직성 마비 2) 하위운동 중추장애 : 이완성 마비 3) 척추쇼크(spinal shock) : 척추 절단 실 일정기간 동안 반사기능이 마비되는 현상
25
반사(reflex) 중추신경계의 활동 중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기능이다. 반사는 척수의 주된 기능으로 대뇌피질의 작용과는 관계없이 무의식적으로 자극에 대해 반사
26
① 수용기(receptor): 자극을 받아들여 감각흥분이 시작
(1) 반사궁(reflex) ① 수용기(receptor): 자극을 받아들여 감각흥분이 시작 →② 감각신경(sensory nerve): 반사중추에 전달 →③ 반사중추(reflex center):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이 연결되는 곳 →④ 운동신경(motor nerve): 원심신경, 흥분충동을 근육 및 선세포에 전달 →⑤ 효과기(effector): 원심성신경, 근육의 수축 선분비가 일어남
27
(2) 척수반사(spinal reflex)
신장반사(stretch reflex): 슬개건반사, 아킬레스컨반사 등 굴곡반사(flexion reflex): 사지의 피부를 강하게 자극하면 굴근이 수축 교차신전반사(crossed extension reflex): 굴곡반사 때 신체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일어나는 반사
28
자율신경 (1) 자율신경계의 특징 ① 자율신경: 의지와 상관없이 반사에 의해 변화
② 이중신경: 1개의 기관에 대해 두 계통(교감신경계, 부교감신경계)의 섬유를 보냄 ③ 길항신경: 교감, 부교감 두 계통은 어떤 기관의 활동을 촉진하거나 억제 ④ 지속신경: 두 계통 특히 교감신경은 끊임없이 일정한 흥분상태를 지속하고 있어 기관에 일정한 흥분충동을 보냄
29
(2) 자율신경계의 기능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광범위하고 활동적이며 응급 사태에 대응하는 신경계 국소적으로 작용
심혈관계 활동 증가 심근의 수축력 증가 혈압을 높임 국소적으로 작용 미주신경을 통해 장기에 널리 분포 심장혈관에 억제적으로 작용 심박수를 줄여 서맥 유발
30
Chapter 3. 근육 생리
31
1) 근육의 수축 및 이완 활주설(sliding hypothesis)
세포 내 Ca2+와 ATP를 이용하여 마이오신(myosin)이 액틴(actin)의 일정부위와 부착과 분리를 반복하여 근절(sarcomere)이 짧아지는 현상
32
(2)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서 Ca++의 작용 수축
- 막의 탈분극(근형질막) → 근형질세망에서 Ca++유리 → 마이오신이 ATP 분해 활성화 → 액틴, 마이오신이 교차결합 형성 → 액틴, 마이오신이 활주, 수축 이완 - 근형질세망에서 Ca++흡수 → 마이오신의 ATPase가 불활성화 → 액틴, 마이오신의 교차결합 불리 → 마이오신이 원위치로 이동 → 근섬유의 이완
33
(4) 근수축의 에너지원 Glucose의 분해
근수축 시 분해: ATP, creatine phosphate(유기인산염), glucose, O2 근수축 후 생성: ADP, CO2, 젖산(lactic acid), creatine(무기인산염) 젖산: 근육피로 물질, 간에서 glycogen으로 재합성 근육의 에너지 사용 순서: ATP > creatine phosphate > glucose
34
2) 운동 시 일어나는 신체의 변화 호흡증가 ↑ 산소부채 증가 ↑ 심박동수 증가 ↑ 혈압 상승 ↑ 혈액 점도 증가 ↑
근육 혈류량 증가 ↑ 요량 감소 ↓ 체온 상승 ↑ ※ 산소부채: 운동 후 생성된 젖산의 80%는 간에서 glycogen으로 저장, 20%는 근육에 저장되어 근육의 피로가 유발된다. 이때 젖산을 CO2와 H2O로 산화시키는 데 필요한 산소량. 운동선수는 약 10L, 일반인은 약 5L이다.
35
3) 근 수축의 종류 연축(twitch) (2) 강직(tetanus)
근육 또는 신경에 역치 이상의 단일 자극을 가할 때 1회의 빠른 수축과 이완 과정이 일어나는 현상(0.1초) (2) 강직(tetanus) 일정 시간 동안 같은 자극을 반복하여 연축이 합쳐져 단일수축보다 큰 힘과 지속적인 수축이 일어나는 현상 - 완전 강직(complete tetanus): 짧은 간격의 자극 - 불완전 강직(incomplete tetanus): 긴 간격의 자극
36
(3) 긴장(tonus) (4) 강축(contraction) - 근육이 부분적으로 수축을 지속하고 있는 상태
예) 자세유지근, 정상 손의 근육 (4) 강축(contraction) - 활동 전압이 유발되지 않는 강축, 비가역적 수축 사후강직(rigor mortis): 죽은 후 ATP, 활동전압 없이 액틴과 마이오신의 결합으로 일어나는 강축, 일정시간이 흐르면 부패에 의해 풀어짐
37
(5) 마비(paralysis) (6) 위축(atrophy) (7) 비대(hypertrohpy)
- 중추신경계와 운동신경계의 손상으로 흥분전달이 차단되고, 수의적으로 근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현상 (6) 위축(atrophy) - 마비 후 시간이 지남에 따른 근육의 낮은 수축력 불사용 위축(disuse atrophy): 관절 등이 장기간 고정되어 근육의 수축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 (7) 비대(hypertrohpy) - 과도한 운동으로 근육의 부피가 커지고 수축력이 강대해지는 경우
38
Chapter 4. 순환기 생리
39
1) 심장의 특성 율동성 – 조건만 갖추면 스스로 박동 흥분성 – 활동전압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
전도성 – 심근의 흥분을 세포에서 세포로 전달할 수 있음 수축성 – 동방결절에서 시작한 흥분이 심근전체로 파급 ※ 실무율 – 심근 전체로 파급되는 자극이 역치 이하의 자극에는 최대한 동일한 반응을 나타내는 것
40
2) 심장주기(cardiac cycle) 심장주기란? 심방수축 후 다음 심방수축 개시까지: 0.8초
심장의 수축(systole): 심방의 수축, 심실의 수축 종료 심장의 이완(diastole): 심실수축 말기 심방이완, 심실이완의 잠시 휴식상태
41
3) 심음 심음의 발생 기전 심장 근처의 가슴벽에 청진기를 대거나 귀를 가까이 대었을 때 들림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판막의 개폐, 혈액의 흐름, 심장벽의 진동으로 나타남
42
(2) 종류 제1심음: 심실수축 시작 제2심음: 심실이완 시작시기
제3심음: 2심음이 지난 다음 미세한 음으로 청진기로 듣기 어려움 제4심음: 심방수축에 앞서 혈액이 방실판 구멍을 통해 심실로 들어갈 때 내는 약한 소리
43
(3) 심박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체표면적 연령 자세 대사와 운동
44
4) 심장의 자극전도계(conductiong system)
동방결절(sinoarterial node, S-A node) 우 심방벽, 심장운동의 근원 - 향도잡이(pacemaker) - 우 심방벽의 상대정맥 개구부 주위의 심근세포의 변형 - 내적 율동성(intrinsic rhythm): 매 시간당 일정한 신경자극을 일으킴 - 교감 및 부교감신경의 자극을 심방근에 전달
45
(2)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A-V node)
우심방의 좌우방 중격(interatrial septum)의 하부에 위치 활동전압에 의한 심방수축 후 전달되는 흥분을 방실속(His-bundle)으로 전달 (3) 방실속(His-bundle) 방실결정에서 시작되는 특수 근섬유속 좌우실중격에서 양측으로 두 개의 가지를 내어 좌우로 퍼짐 방실결절에서 받은 자극으로 좌우 심실의 수축을 일으킴 (4) 푸르키네 섬유(Purkinje’s fiber) 방실속에서 연결되어 양 심실의 외측벽과 유두근에 분산 심장의 흥분전도: 동방결절→방실결절→방실속→푸르키네 섬유
46
5) 심장의 신경지배(innervation)
조절중추: 연수 자율신경 - 교감신경(상 · 중 · 하 심장신경) → 촉진 - 부교감신경(미주신경) → 억제 - 대동맥궁 근처에서 심장 신경총(cardiac plexus)을 형성
47
6) 심전도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반영하는 미묘한 전압차를 신체 표면에서 측정하는 것 ① P파 : 심방의 탈분극
② PR간격 : 심방의 탈분극 초기에서 심실의 탈분극 시간 ③ QRS군 : Q, R, S 세 개의 파를 포함 심실의 탈분극 ④ T파 : 심실 재분극 ⑤ QT간격 : QRS군, ST분절, T파를 포함 처음 심실탈분극에서 마지막 심실 재분극까지
48
Chapter 5. 순환 생리
49
1) 체순환(대순환, systemic circulation)
인체 전체를 돌아오는 순환 혈류: 좌심실 → 대동맥 → 동맥 → 모세혈관 → 정맥 → 우심방
50
2) 폐순환(소순환, pulmonary circulation)
폐에서 가스교환을 위한 순환 혈류: 우심실 → 폐동맥간 → 좌 · 우 폐동맥 → 좌 · 우 폐 → 좌 · 우 폐정맥 → 좌심방
51
3) 림프의 순환 모세혈관 → 조직액 → 좌 · 우 요림프관 → 흉관 → 좌쇄골하정맥 → 완두정맥
우측 두경부, 우측 상지, 우측 흉부 → 우림프본관 →우쇄골하정맥 → 완두정맥 1) 흉관(thoracic duct): 최대의 림프관 2) 유미조(cisterna chyli): 위장관에서 지방 흡수, 우윳빛 림프
52
4) 태아순환(fetal circulation)
특징 -모든 물질교환은 태반 -폐순환은 일어나지 않음 -제정맥만이 유일한 동맥혈이고 나머지는 혼합혈의 순환임 -배꼽(제동맥): 태아의 노폐물을 운반하는 2개의 정맥혈관 -청색아(blue baby): 난원공 폐쇄부전 시, 빈혈 시, 동정맥문합, 질산염 함유불 음용시 얼굴이 파랗게 변하는 현상 -동맥관: 태아 시 폐동맥과 대동맥사이 혈관 -난원공: 태아 시기 왼오른 심방중격 사이의 구멍
53
※ 출생 전 · 후의 변화 (태아순환 → 출생 후 변화)
타원구멍(난원공: foramen ovale) → 타원오목(난원와: fosse ovalis) 동맥관(Botallo’s duct) → 동맥관인대(ligamentum arteriosum) 배꼽(제)동맥(umbrical a.) → 제동맥인대(umbrical ligament) 배꼽(제)정맥(umbrical v.) → 간원인대(roung ligament) 정맥관(Arantius’s duct) → 정맥관인대(ligamentum venosum)
54
Chapter 6. 혈액 생리
55
1) 혈액의 기능 운반작용 -영양소, 가스, 노폐물, 호르몬 운반 조절작용 –체액조절(체액의 pH 조절), 체온조절 출혈 방지
감염 방어
56
2) 적혈구의 조혈(RBC formation, erythropoiesis)
장소: 척주(vertebral column), 늑골(ribs), 흉골(sternum), 골반(pelvic), 상완골(humerus), 대퇴골(femur) 등의 적골수 분화: 골수의 망상세포(reticulum cell) → 혈구아(모)세포(hemocytoblast, stem cell) → 적혈구아세포(erythroblast) → 다염성 적아세포(polychromatohpile erythroblast) → 정상아세포(normoblast) → 세망아세포구(reticulocyte) → 적혈구(erythrocyte) 정상혈액: 세망아세포구 (0.5~0.3%)
57
조혈인자: 철, 비타민, 엽산, 피리독신, 리보플라민
철: 페리틴(ferritin)의 형태로 간장, 비장, 뼈 속에 저장 혈장 내 철의 농도: 100 ㎍/mL 조직 산화작용 호르몬: erythropoietin REF(신성조혈자극요소)
58
(2) 연령별 조혈기관 태아시기: 혈도(blood island) 중배엽성 세포집단 임신 말기까지: 간장, 비장
유아~20세: 모든 뼈, 특히 장골골수 20~60세 이후: 흉골, 늑골, 척주골
59
(3) 적혈구 조혈의 조절과 파괴(control and destruction)
적혈구 조혈인자(erythropoietin, hemopoietin) 신장(90%), 간(10%) 생성 골수의 망상세포 자극 적혈구의 수명: 120일 식균작용으로 대부분 비장에서 파괴 : heme + globin(heme = Fe + bilirubin으로 분해)
60
3) 혈액응고(coagulation) 혈소판의 응집(coagulation): 상처 후 혈소판은 응집되어 손상혈관의 교원섬유에 부착, 혈소판은 혈관수축에 관여하는 serotonin과 혈소판이 많이 모여 혈전(thrombous)을 형성하도록 돕는 ADP를 혈액 속에 분비
61
응고과정 혈관의 수축(constriction): 신경반사, 30분관 지속경련, 수축, 혈괴 형성(clotting)
제1단계: 혈액과 파괴된 조직액 내 응고인자 제2단계: 간에서 생성되어 혈장에 녹아있는 prothrombin이 thrombin으로 전환 제3단계: fibrinogen이 fibrin으로 전환하여 혈괴(clotting) 형성
62
(2) 혈액응고인자의 종류 Fibrinogen Prothrombin: 비타민 K 의존 + Tissue factor
Calcium Proaccelerin: 혈장 내 유무 + Stable factor(proconvertin) Antihemophilic factor: 비타민 K 의존 + Plasma thromboplastin component(PTC): 혈장 내 유무 + Hageman factor: 혈장 내 유무 + Fibrin – stabilizing factor: 혈장 내 유무+ 1) 혈우병(hemophilia): 제1단계의 장애, 항혈우병인자인 Ⅷ의 결핍이 원인 2) 제Ⅵ인자(accelerin)는 혈액응고인자로 인정하지 않음
63
4) 혈액형(blood type) ABO식 혈액형 - 응집소(agglutinin): 혈청에 존재하는 α(anti-A)와 β(anti-B)의 항체 - 응집원(agglutinogen): 적혈구막에 존재하는 A와 B의 항원 (2) RH인자 - 적혈구에 있는 특별한 단백질의 성질 ※ 붉은털원숭이의 적혈구를 토끼에게 주사하면 혈장속에 원숭이의 혈구를 응집하는 항체가 형성되는데 이 항체를 말함
64
Chapter 7. 면역기전
65
1) 면역반응 비특이적 면역방어 인체 방어 염증 인터페론
- 숙주세포 내에서 비특이적으로 바이러스 번식을 억제하는 cytokine과 유사한 물질 - 감염세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66
(2) 특이적 면역방어 특수 병인이나 독성에 대해 특정한 방어세포가 작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
67
2) 면역의 분류 자연면역 (2) 획득면역 특정 병원균과의 접촉 또는 노출에 의해 획득된 것
수동면역: 다른 숙주에서 이미 만들어진 항체를 투여받음 능동면역: 개체가 미생물 또는 미생물의 생산물과 같은 외래 항원과 유효한 접촉을 한 다음에 성립되는 저항력 장점: 면역이 오래 지속됨 단점: 면역 발병시기가 느림
68
(3) 획득능동면역의 분류 세포성 면역(cellular immunity) T세포에 의해서 매개
흉선(thymus)의 존재하에서만 매개 가능
69
②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 항체에 의해서 매개, 세망내피계 기원
IgA: 눈물, 콧물, 기관지 점막, 장점막, 정액, 세균에 대한 방어작용 IgD: 우유 알레르기, 부작용 시 혈청 내 증가 IgE: 혈액, 조직에 존재, 보체 역할, 기생충 감염, 화상, 화장독, 화학중독, 페니실린 쇼크 IgG: 80%,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작용, 태반통과 IgM: 혈액 내 응집소 역할(anti-A, anti-B) 면역글로불린의 양 : IgG > IgA >IgM >IgD >IgE
70
체액성 면역 세포성 면역 (humoral immunity) (cellular immuity)
세포: 형질세포(plasma cell), B세포 생산물: 항체(Ab) 방어대상: 세균(bacteria) 세포: T세포 생산물: 감작세포(actived T lymphocyte) 방어대상: virus, fungi, mycobacteria
71
Chapter 8. 호흡 생리
72
1) 호흡운동 흡기 (2) 호기 흉곽의 확장 횡격막 수축 폐 내로 공기가 수동적으로 유입됨
늑골과 횡격막이 탄성 반동에 의해 제자리에 되돌아옴 ※ 1분 호흡수 : 성인 10~14회 어린이 20~25회 신생아 40~70회 ※ 1회 호흡량 : 약 500cc
73
2) 호흡의 종류 복식 호흡 : 횡격막에 의한 호흡 흉식 호흡 : 흉부의 근육에 의한 호흡
74
3) 호흡의 조절 신경성 조절 (2) 화학적 조절 연수(medulla oblongata) 교(pons) 압각수용체
원심성 신경: 횡격신경, 늑간신경, 교감신경 구심성 신경: 부교감신경(미주신경) (2) 화학적 조절 O2분압, CO2분압 말초 화학수용기: 경동맥소체, 대동맥체 중추 화학수용기: 연수
75
4) 폐용적과 폐용량 폐용적(lung volumes) 1회 호흡량(tidal volumes, TV)
: 안정상태에서 매 호흡 시 들이 마시거나 내쉬는 공기량 흡기 보유량(inspiratory reserve volumes, IRV) : 정상적인 흡기가 끝난 후 더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량 호기 보유량(expiratory reserve volumes, ERV) : 정상적인 호기가 끝난 후 더 내쉴 수 있는 공기량 잔기량(residual volume, RV) : 최대 호기가 끝난 후 폐 내에 남아 있는 공기량
76
(2) 폐용량(lung capacities)
흡기용량(inspiratory capacity, IC) : 정상적인 호기가 끝난 후 최대로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량 - 흡기 보유량(약 3,000mL) + 1회 호흡량(약 500mL) = 약 3,500mL 기능적 잔기량(functional residual capacity, FRC) : 정상적인 호기가 끝난 후 폐에 남아있는 공기량 - 호기 보유량(약 1,000mL) + 잔기량(약 1,500mL) = 약 2,500mL 폐활량(vital capacity, VC) : 힘껏 들이쉰 다음 내쉰 공기의 최대량 - 흡기보유량(약 3,500mL) +1회 호흡량(약 500mL) +호기보유량(약 1,000mL) = 4,500mL 전폐 용량(total lung capacity, TLC) : 최대 흡기가 끝난 후 폐에 들어 있는 공기량 - 기능적 잔기량 + 흡기 용량 또는 폐활량(약 4,500mL) +잔기량(약 1,500mL) = 약 6,000mL
77
(3) 시간 간격에 따른 폐용적 측정 노력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 환기에 필요한 최대 폐용량 분당 환기량(minute respiratory volume, MRV) : 매분 호흡기 안으로 들어오는 공기 초량을 말하며, 안정 시 1회 호흡량에 1분간 호흡수를 곱함
78
Chapter 9. 비뇨 생리
79
1) 신원(nephron)과 소변의 형성 신소체(renal corpuscle) 사구체(glomerulus)
사구체낭(보우만낭)(glomerular capsule) 세뇨관(renal tubule) 근위곡세뇨관(proximal convoluted tubule) 헨레고리(Henle’s loop) 원위곡세뇨관(distal convoluted tubule) ※ 네프론의 구조 신소체 → 근위곡세뇨관 → 헨레고리 → 원위곡세뇨관 → 집합관
80
세뇨관의 재흡수 및 분비 근위곡 세뇨관 원위곡 세뇨관 물의 흡수: ADH 작용 Na+의 재흡수: aldosterone 작용
재흡수: K+, 포도당, 아미노산, 단백질, Na+(7/8), 물(80%) 분비: diodrast, penicilline, PAH, hippuran 원위곡 세뇨관 재흡수: Na+(1/8) 분비: K+, H+, NH3 물의 흡수: ADH 작용 Na+의 재흡수: aldosterone 작용 세뇨관의 재흡수: 능동적 수송(ATP 사용) 재흡수가 어려운 물질: creatine, urate, urea K+: 재흡수 ⇔ 분비
81
사구체 여과율 클리어런스(clearance) 클리어런스 비율 여과율 측정물질
단위 시간당(1분) 소변에 나타난 양만큼 배설하는 데 필요한 혈장량(mL/분) 클리어런스 비율 1 : 사구체 여과에 의해서만 배설되는 물질 1>: 사구체에서 여과되나 세뇨관에서 재흡수되는 물질 1<: 세뇨관에서 분비되는 물질 여과율 측정물질 사구체에서는 여과되고, 세뇨관에서 흡수나 재분비되지 않는 물질 Inulin, mannitol, endogenus creatine 등 사구체 여과율(GFR): inulin의 청소율로 간접측정 신장역치(포도당): 혈당 190~200mg 이상일 경우 재흡수되지 못하고 소변으로 배출 PAH: 신혈장 유통량 측정
82
사구체의 여과속도 여과압에 비례 여과압 상승 원인 사구체 모세혈관압 상승 혈장교질삼투압 감소 보우만낭 내압 감소
보우만낭 투과성 증대
83
요(Urine) 특징 1일 약 1,000~1,500mL 배뇨 비중: 1.001~1.040
색: 조직단백파괴 → urochrome 색소 → 황색 냄새: 세균의 분해(요소 → ammonia) 배뇨반사중추: 천수(골반신경) 배뇨억제중추: 대뇌피질과 중뇌 배뇨소통중추: 시상하부, 교 소변의 농축: 반류설(counter – current theory)
84
2) 성분 3) 요의 배설경로 대부분 물 무기질: Na+, Cl-, K+, NaH2PO4, H2SO4
유기질: 요소(urea), 요산(uric acid), 크레아티닌(creatinine), 암모니아(ammonia) 3) 요의 배설경로 수입동맥 → 사구체 → 사구체낭 → 세뇨관 → 집합관 → 신우 → 요관 → 요도
85
Chapter 10. 체액(Body Fluid)과 전해질
86
1) 체액의 특성 액체환경이란 내부환경으로 세포외액 구성: 혈장(blood plasma), 림프(lymph) 기능
※ 다세포 생물은 액체환경 속에 존재 1) 체액의 특성 액체환경이란 내부환경으로 세포외액 태아(90%), 분만 후(77%), 성인(60%)-절식, 절수 1주일 이내 사망 구성: 혈장(blood plasma), 림프(lymph) 기능 세포가 기능을 다하도록 화학적, 물리적 성질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하는 항상성(homeostasis) 역할 세포의 형태 유지, 생리적으로 중요한 구성분 물질의 용해, 용매(화학) 삼투압, 영양흡수, 체액의 순환, 체온조절, 배설, 물질운반
87
2) 체액의 분포(composition of body fluid)
체중의 약 2/3(50~70%) 구성: 유기질(organic substance), 무기질(inorganic substance) 종류 세포내액(40%): 단백질(20%), 핵산(1.1%), 유지방(5%), 탄수화물(3~5%), 무기질(1.5%), 비타민 · 호르몬 기타(1.0%) 세포외액(20%): 혈장(5%), 간질액(15%)
88
세포내액(intracellular fluid, ICF)
체중의 약 40% 전기적 음성 구성: 전해질, 포도당, 당원질, 지질(중성지방, 인지질, cholesterol), 아미노산, 이산화탄소 기능 수분평형조절 능동적 운반 삼투작용 산 · 염기 평형 양이온: K+, Mg++ 음이온: amino acid, phosphate 등
89
(2) 세포외액(extracellular fluid, ECF)
체중의 약 20% 혈장, 간질액 전기적 양성 전해질 농도차의 기능: 세포막 투과성 차이와 능독적 운반기전이 원인. 근육, 신경세포막 내외의 막전위 발생 양이온: Na+, Ca++ 음이온: CI+, HCO3-
90
3) 세포 내·외액의 이동 (transport of intra-extracellular fluid)
세포외액은 간질액(15% intersititial fluid, ISF: tissu fluid)와 혈액(5% blood)으로 구성 모세혈관에 액체이동(vlookd capillary): 모세혈관벽의 구멍(pore)으로 이동
91
4) 체액의 균형 산-염기의 평형 조절범위: pH 7.35~7.45 조절기전 산증: pH 7.35 이하
호흡에 의한 CO2 배출 신장에서 Na+, HCO3의 재흡수 신장에서 H+의 배출 산증: pH 7.35 이하 알칼리증: pH 7.45 이상
92
(2) 수분균형 일일 수분 평균 섭취량(2,500mL) ① 탈수(dehydration) ② 수분공급 과잉
원인: 실혈(hemorrhage), 요붕증(diabetes, insipidus), 구토(vomiting), 설사(diarrhea), 땀의 배설 증상: 몸무게 감소, 산증(acidosis, 산-염기 평형장애), 체온, 심박동 증가, 심박출량 감소, 피부건조, 눈이 들어감, 허탈(collapse) ② 수분공급 과잉 소변 증가, 설사, 혈액 내 수분 증가(수혈증:hydremia), 세포기능장애
93
③ 부종(edema) 세포외액이 비정상적으로 다량 축적 원인 증상: 체온감소, 구토, 경련, 심각한 혼수상태(coma),
조직압 상승: 모세혈관 내 액압 상승, 신장병으로 혈액 증가 혈장단백질 감소: 신장병(단백질 손실), 영양부족(단백질 합성 저하) 혈장교질삼투압 감소: 동맥단-조직액, 정맥단-적은 양의 액체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 벌독, 독성물로 인해 혈장단백질이 조직 내로 이동 조직의 교질삼투압 증가, 조직 내 액체 증가 림프관의 폐쇄: 조직의 소량 단백질이 림프를 통해 회수되는 회수순환장애 조직의 교질 삼투압 증가, 조직 내 액체 증가 증상: 체온감소, 구토, 경련, 심각한 혼수상태(coma), 물 중독(water intoxication) 사망
94
(3) 수분의 섭취와 배설 성인의 물 소요량: 2~2.5L 1일 배뇨량: 1.5L
대사수: 영양소가 산화되면서 생성되는 수분(300mL)
95
(4) 산염기 불균형 ① 호흡성 산염기 불균형 ② 대사성 산염기불균형 호흡성 산증: 이산화탄소 축적으로 옴
호흡성 알칼리증: 이산화탄소가 너무 많이 배출되어 발생됨 ② 대사성 산염기불균형 대사성 산증: HCO3- 손실이나 파괴에 의해서 옴 대사성 알칼리증: HCO3-의 농도가 증가해서 발생함
96
Chapter 11. 소화 생리
97
1) 위선(gastric gland, 위저선)
분문선(cardiac gland) 식도(esophagus)에서 위저부 쪽으로 2~4cm 원주상피(columnar epithelium): 점액(mucin) 분비
98
(2) 위저선(fundic gland) 위저부(fundus)와 위체(body)로 구성
주세포(chef cell): 펩시노겐 분비(단백질 분비) 벽세포(parietal cell) HCl 분비 → pepsinogen, renin의 활성화, 살균, 발효억제, 부패방지 비타민 B12 흡수인자 생산 점액경 세포(mucous neck cell): 점액 분비 은친화세포(argentaffin cell): serotonin 분비
99
(3) 유문선(pyloric gland) 십이지장(duodenum)의 상부 4~5cm 주로 점액경세포: 점액(musin) 분비
100
2) 위액(gastric juice) 분비량: 1일 약 1L 분비조절 중추: 연수
소화효소: 펩신(pepsin, 단백질 분해효소) 식사 후 4~5시간 후 약 500~700mL pH: 2.0~3.0 비중: 1.004~1.006
101
3) 위액 분비 촉진 (1) 뇌상(cephalic phase) 조건반사, 생각, 시각, 청각에 의해 분비
미주신경(vagus n.) → 펩신(pepsin)과 점액(mucin) 분비 500mL/1h(appetite juice, 식욕액)
102
(3) 장상(intestinal phase)
(2) 위상(gastric phase) 위속의 음식물 감지 Protein, peptone, carbohydrate, dextrin: 위점막 접촉 gastrin 분비 → 위액분비 80mL/1h (3) 장상(intestinal phase) 음식물이 십이지장으로 이동 감지 50mL/1h Gastrin, secretin: 위액분비 촉진 호르몬, 십이지장에서 분비
103
4) 위액 분비조절 신경조절: 미주신경(vagus nerve) 호르몬조절: atropine → 억제, gastrin → 증가
secretin → 길항작용
104
5) 대장의 흡수 200~500mL 흡수 장내 세균(intestinal flora) 분포 : 음식물 분해작용
총 수분량(8,500mL: 소장 8,000mL 흡수, 대장 400mL 흡수, 100mL 배설) 음식물 : 1,500mL 섭취 타액 : 1,500mL 분비 위액 : 1,500~2,500mL 분비 담즙 : 500~800mL 분비 췌액 : 700~1,000mL 분비 장액 : 1,500~ 2,500mL 분비 Gas: CO2, H2, CH4
105
6) 배변(defecation) 중추 : 연수(medulla) 직장내압: 30~40mmHg
내항문조임근(internal anal sphincter) 골반신경(pelvic n.) –교감신경: 직장운동 억제, 근육 수축, 배변 억제 골반신경(pelvic n.) –부교감신경: 직장운동 촉진, 근육 이완, 배변 촉진 의지적 배변, 직장내압: 100~200mmHg
106
7) 간의 기능 당 대사: 포도당을 비롯한 당류에서 글리코겐 합성
단백질 대사: 혈장 중의 albumin, fibrinogen의 생산 지질 대사 담즙 생산 혈액응고물질 생산: fibrinogen, prothrombin, heparin 생산 방어 및 해독 작용 혈액량 조절(혈액을 저장했다가 필요시 방출)
107
※ 담즙 분비촉진: secretin, CCK, gastrin
담즙분비: 간세포(hepatic cell) → 모세관(capilary) → 간관(hepatic duct) → 담낭(gallbladder) → 총담관(common bile duct) → 십이지장 유두(duodenal papilla) Secretin: 십이지장에서 분비 → 췌장액과 담즙분비 촉진 십이지장(duodenum)에서 음식물의 접촉 → cholecystokinin(CCK) 분비 → 담낭(gallbladder)의 괄약근을 이완 → 담즙분비 Gastrin: 위에서 분비 → 위의 운동과 위액분비 촉진 소화액의 분비 억제: GIP(위액 억제 펩티드) → 십이지장에서 분비 → gastrin과 반대작용
108
8) 담즙(bile) 분비량: 500~800mL/day(주간 23mL/hr, 야간 15mL/hr) 성분
담즙색소(bile pigment): 적혈구의 파괴(bilirubin, biliverdin) 담즙산염(bile salt): 지방의 유화작용 구성: 담즙색소, 담즙산염, 콜레스테롤(cholesterol), 무기염류 등 황색, pH 7.8~8.6 (3) 담즙 분비 촉진: secretin, CCK (4) 분비부: 총담관에 의해 십이지장 유두로 분비
109
(5) 작용 지방 소화의 촉진 지용성 비타민 흡수 촉진 Fe, Ca의 흡수 촉진 경도의 설사 장관 내 음식물 부패 방지 담즙색소, 호르몬, 독소, 약물 등의 배설
110
9) 췌장액(pancreatic juice)
(1) 분비 십이지장(duodenum) → secretin, pancreozymin(CCK-PK) 분비 → 췌장자극 췌관(pancreatic duct) 개구 → 십이지장 유두로 췌장액 분비 약 1.2L/day 분비, 약 알칼리성 용액(pH 8.5) 주성분: 탄산수소나트륨(NaHCO3) 급성 췌장염: 췌장액의 역류 분비부: 십이지장 유두
111
10) 췌장의 구조와 기능 ① 구조: 좌상복부, 위의 뒤쪽에 위치, 두부, 채부, 미부로 구성 ② 기능: 내분비 및 외분비
내분비샘: 랑게르한스섬에서 glucagon, 인슐린, 성장호르몬억제인자(somatostain), gastrin 분비 외분비샘: 전해질, 수분, 소화효소 분비
112
(1) 인슐린(insulin)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핵산을 합성, 저장
모든 세포에서 포도당 사용을 강화시켜 혈당을 저하시키는 작용
113
(2) 인슐린의 주요기능 ① 탄수화물 대사 ② 지방대사 ③ 단백질 대사 ④ 인슐린과 간의 작용 ⑤ 수분전해질 균형 작용
근육, 지방세포의 포도당 흡수와 이용 증가시킴 ② 지방대사 유리지방산의 산화를 줄이고 케톤 형성 억제 ③ 단백질 대사 아미노산을 세포 내로 이동, 단백질로 전환하여 근육에 축적되도록 작용 ④ 인슐린과 간의 작용 혈당 상승 시 포도당을 간이나 근육에 글리코겐으로 저장 혈당 저하 시 간에서 글리코겐, 지질, 단백질을 포도당으로 분해 ⑤ 수분전해질 균형 작용 인슐린은 포타슘, 마그네슘과 인을 세포 내로 이동
114
(3) 글루카곤(glucagon)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알파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호르몬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알파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호르몬 주로 간에서 작용(포도당 신생, 지방분해, 당원분해 촉진) 카테콜아민의 방출 자극 → 포도당의 혈중 농도 상승
115
(4) 탄수화물 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 혈당감소 호르몬: insulin 혈당증가 호르몬
Glucagon, glucocorticoid, GH ACTH(지방과 단백질을 포도당으로 전환하여 혈당을 상승) Epinephrine(스트레스를 받는 상태에서 혈당 상승) 갑상선호르몬(대사 자극)
116
(5) 음식물 분해효소 외분비선 ② 내분비선: insulin, glucagon, gastrin
단백질 분해효소: trypsin, chymotrypsin 탄수화물 분해효소: amylase 지방 분해효소: lipase ② 내분비선: insulin, glucagon, gastrin 1) Enterokinase: trypsinogen → trypsin 2) Trypsin: chymotrypsinogen → chymotrypsin 3) 췌장(pancreas):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분해효소를 모두 분비함
117
(6) 분비호르몬 A - cell : glucagon B – cell : insulin
C – cell : somatostatin 소화효소 단백질 : trypsin(췌장), pepsin(위) 지방: lipase(췌장) 탄수화물 : ptyalin(타액선), amylase(췌장) 2) 소화의 최종산물 단백질: 아미노산(amino acid) 지방: 지방산과 글리세롤 탄수화물: 포도당 3) 영양분의 소화장소 탄수화물: 구강 단백질: 위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소장
118
Chapter 12. 영양과 대사
119
1) 열량(calorie) 열량(calorie) (2) 호흡지수(호흡상: RQ)
1g의 물을 15℃에서 16℃로 1℃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열의 양(1 kcal = 1,000 cal) (2) 호흡지수(호흡상: RQ) 대사과정 중 생성된 CO2의 비율(VCO2/VO2) 탄수화물: -1 지방: 0.7 단백질: 0.81
120
(3) 영양소 구성(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무기질) 조절소(비타민, 무기질) 열량원(에너지원):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121
2) 대사량 단위시간에 신체에서 발생되는 열량 대사량 증가 요인 신체운동(20~40배) 식사 후 증가
호르몬 : epinephrine(25%), thyroxine, GH, insulin 체온 1℃ 상승은 대사량 10% 증가시킴
122
3) 기초대사량(BMR) 건강자가 안정상태에서 생존에 필요한 최저대사량(보통 식사 후 12시간 이후), 기초체온을 측정할 때의 조건을 의미함 체표면적에 비례 단위는: kcal/m2/hr
123
(2) 측정 조건 정신적 긴장상태에서 있지 않을 것 실내온도 20℃ 내외 정상체온이 유지될 것
식사 후 12시간 이상 경과된 후에 측정할 것 운동 후에는 적어도 1~2시간 휴식 후 측정된 것 ※ 1일 기초대사량: 남자 – 1,350 kcal 여자 – 1,050 kcal 성인 < 소아, 여자 < 남자
124
(3) 기초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체표면적, 연령, 체격, 온도, 발열, 수면, 호르몬, 임신, 정신작용(정서상태), 약물, 환경온도 및 체온 등 대사수: 영양소가 산화되면서 생성되는 수분(300mL)
125
4) 탄수화물 (carbohydrate) 구성원소: C, H, O 1g의 포도당: 4.1 kcal 기본적인 에너지원
당의 흡수는 80% 이상이 포도당으로 흡수 당의 흡수는 insulin과 thyroxine의 작용에 의해서 촉진 혈당 정상치: 80~120 mg/dL, 식사 후 증가(140mg) 200mg 이상 당뇨병 유발, 50mg 이하면 근육경련 ※ 당원분해: 글리코겐(glycogen) → 글루코스(glucose) 해당과정(glycolysis): 글루코스(포도당) → 피루빈산, 젖산
126
5) 단백질(protein) 구성원소: C, H, O, N, S 1g의 단백질: 4.1 kcal 최종 가수분해산물: 아미노산
아미노산 → 암모니아 → 요소(간에서 분해된다) 필수 아미노산: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리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어린이: 아르기닌, 히스티딘) 세포의 구성 유기물 중에서 가장 많고, peptide bond를 하고 있고, 산, 염기 및 열에 약하다 탄수화물과지방이 완전히 분해되면 CO2와 H2O가 생성되지만, 단백질은 이외에도 NH3가 더 생성됨 탈질소반응: 단백질의 연소과정, 아미노산에서 아미노기가 떨어져 나오는 반응
127
6) 지방(lipid) 구성원소: C, H, O 1g의 지방: 9.3 kcal 최종 가수분해산물: 지방산과 글리세롤
128
7) 비타민(vitamin) 지용성 비타민: A, D, E, F, K 열에는 E가 강하고, C가 가장 약함 비타민의 결핍증상
129
수용성 비타민의 결핍증상 B1(thiamine): 각기병, 신경마비, 근육실조
B2(riboflavin): 구순염, 세포산화대사 장애, 신경변성, 백내장 니코틴산(niacin): 펠라그라, 신경, 정신실조, 피부색소 침착 B6(pyridoxine): 안근염, 구각염, 결막염 B12(cobalamin): 항빈혈인자, 성장 이상, 혈구 이상 Bc(folic acid): 항빈혈인자, 성장 이상, 혈구 이상 C(ascorbic acid): 괴혈병, 출혈, 치은출혈, 관절통, 골절 Biotin: 피부염
130
지용성 비타민의 결핍증상 A(retinol): 발육지연, 야맹증, 피부 건조 E(tocopherol): 노화 촉진, 불임증
D(calciferol): 구루병, 골, 치아발육 이상, 골연화 골절 E(tocopherol): 노화 촉진, 불임증 K(phylloquinone): 프로트롬빈 결핍, 혈액 응고시간 지연
131
8) 무기질(mineral) 칼슘(Ca) 골격에 들어있는 Ca와 P은 약 2 : 1의 비율로 존재
뼈, 치아 구성, 인산칼슘이 85%, 탄산칼슘이 10%로 대부분 골격에 들어있는 Ca와 P은 약 2 : 1의 비율로 존재 Vitamin D와 함께 결합되어 뼈의 골화를 촉진 혈액응고, 신경전도, 근 수축, 선 분비에 관여함 Ca이 결핍되면 구루병, 골연화증 유발
132
(2) 인(P) 체중의 약 1%, Ca과 불용성으로 결합, 뼈나 치아 형성 DNA의 형성인자, ATP 구성인자 세포막의 구성 성분 신경자극의 전도, 효소작용의 증감, 삼투압의 조절, 흡수작용 및 분비작용 등 생리적 대사작용 담당 (3) 철(Fe) Hemoglobin의 합성 필수인자 결핍 시 빈혈 유발
133
(4) 나트륨(Na): 체액의 삼투압조절과 신경근 흥분전도 유도
(5) 칼륨(K):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 혈관계 기능을 강화 (6) 마그네슘(Mg): 골격과 치아의 구성, 혈관계 기능을 강화 (7) 요오드(I): 지방의 연소 작용 촉진, 갑상샘 호르몬의 성분 (8) 구리(Cu) Hemoglobin 합성 결핍 시 근무력증이나 피부, 얼굴에 창백증 아기
134
Chapter 13. 체온 조절
135
(1) 조절중추 간뇌의 시상하부 (2) 체온 직장: 37.6℃, 구강: 37℃, 액와: 36.5℃, 피부: 31℃ (3) 중심체온(core temperature) 직장온도 (4) 오전 2~6시에 가장 낮고, 오후 5~8시에 가장 높음
136
체열의 평형 체열 생산: 뼈대근육(50%) > 간(20%) > 소화기, 호흡기, 심장 등 열손실
방식: 복사, 전도, 증발, 대류 평소: 복사 60%, 전도 15%, 증발 25% 하절기(31℃): 복사 15%, 증발 75%, 전도 5% 체열발산: 요, 호기공기, 피부온도, 땀 불감발한: 피부, 폐에서 느끼지 못하고 손실되는 수분
137
Chapter 14. 내분비계 생리
138
1) 내분비선의 종류와 기능 뇌하수체(pituiary gland)(=hypophysis)
뇌저부의 터어키안장에 위치하는 상피성 소체 전엽, 후엽으로 구분함 다른 내분비선을 자극하는 호르몬을 분비 ① 뇌하수체 전엽(Anterior pituitary gland)(=adenohypophysis 선하수체) - 뇌하수체의 전엽, adenohypophysis라고도 함 ② 뇌하수체 후엽(Posterior pituitary gland)(=neurohypophysis 신경하수체) - 뇌하수체의 제3뇌실저가 돌출하여 발생한 신경엽부분, neurohypophysis라고도 함
139
(2) 송과체(pineal body) 좌우 대뇌반구 사이 셋째 뇌실의 뒷 부분에 있는 솔방울 모양의 내분비 기관
지름 12mm, 무게 약 170 mg 생식선자극호르몬을 억제하는 멜라토닌 분비
140
(4) 부갑상선(parathyroid gland)
후두의 전면 갑상연골 아래 있는 내분비선 갈색, 무게 약 30~60 g 내분비선 중 가장 큰 내분비선 티록신을 분비하며 다량의 요오드를 함유 (4) 부갑상선(parathyroid gland) 갑상선 좌우 양엽 후면 상하에 붙어 있는 2쌍의 좁쌀 크기의 기관 결합조직으로 싸여 4개의 부갑상선이 갑상선에서 떨어져있음 길이 5~9 mm, 무게 약 0.2~0.5 g 주세포에서 파라토르몬(parathormone; 부갑상선호르몬)을 분비함
141
(6) 췌장(pancreas), 랑게르한스섬(Langerhan’s gland)
(5) 흉선(thymus gland) 종격의 전상부에 위치한 림프성 기관 세포매개성 면역기능의 발달과 성숙에 필요 상피세포, 림프구, 흉선세포로 구성 (6) 췌장(pancreas), 랑게르한스섬(Langerhan’s gland) 비장(spleen)과 십이지장(duodenum)사이의 상부 후방에 퍼져서 위치 크기는 약 15cm의 가늘고 긴 장기 췌장액을 분비하는 선 조직 사이에 섬모양의 랑게르한스섬이 있음 랑게르한스섬에는 알파, 베타 세포가 있음
142
(7) 부신(adrenal gland) 좌우의 신장 바로 위에 위치한 내분비선 피질과 수질로 나뉨 ① 피질(cortex)
부실피질호르몬 분비(스테로이드호르몬) 글루코코티코이드, 미네랄코티코이드,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프로게스틴 ② 수질 부신수질호르몬 분비(카테콜아민) 에피네피린, 노르에피네피린
143
(8) 난소(ovary) (9) 고환(testis) 여성호르몬을 생성하여 여성의 2차 성장발달에 기여
고환의 특수 간질세포에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함
144
2) Hormone의 종류와 생리적 기능 뇌하수체 전엽의 호르몬(anterior pituitary gland) (=adenohyphophysis 선하수체) ① 부신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어 부신피질을 자극하는 단백성 호르몬 부신피질세포의 스테로이드호르몬 합성조절단계인 콜레스테롤로부터 프레그네놀론 생성 촉진
145
② 난포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여성의 경우 난소에서 난자의 성숙에 관여하고, 남성의 경우는 정자생산에 관여함 황체형성호르몬의 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난포자극호르몬이 분비됨 ③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MSH) 멜라노트로핀이라고도 함 멜라닌 형성을 자극하여 멜라닌을 확산시켜 피부의 색소침착을 증가하여 피부를 검게 함 호염기성이며 분비과립을 함유하고 있고 빛에 의해 분비 촉진됨
146
④ 갑상선 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갑상선의 분비기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하는 당단백질로 갈락토사민, 글루코사민을 함유 주요기능은 갑상선 소포의 증식 갑상선조직과 혈장사이의 요오드이온이 상피세포내로 들어가게 함 갑상선호르몬의 삼요드화 티로닌, 티록신의 합성을 촉진함 ⑤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 GH) 뼈 조직에 작용하여 신체성장을 촉진 리보핵산의 합성을 촉진해서 발육에 강한 영향을 미침 소아기의 과잉분비는 거인증 유발/ 성장기의 과소분비는 소인증/ 성인기의 과잉분비는 말단비대증을 보임
147
⑥ 황체호르몬(lutenizing hormone, LH)
난소의 황체나 태반에서 분비되며 임신을 유지하도록 함 무월경(amenorrhea), 절박유산, 습관성 유산의 치료제로도 사용 ⑦ 유즙분비호르몬(prolactin, PRL) 분만 후 포유류에서 젖 분비를 자극하여, 유즙분비를 유지하는 호르몬 198개의 아미노산으로 결합되어 있음 분만 후 2~3주간이 최고치를 보여 요(urine)검사에서 검출됨
148
(2) 뇌하수체 후엽의 호르몬(posterior pituitary gland) (=neurohyphophysis 신경하수체)
① 항이뇨호르몬(adtidiuretic hormone, ADH) (=vasopression 바소프레신) 시상하부의 시각상핵에 있는 신경분비세포에서 생산, 하수체후엽으로 뻗는 축삭발단에서 분비됨 항이뇨작용, 혈압상승작용이 있음 신장뇨세관에서 수분의 재훕수를 자극함 소동맥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키므로 바소프레신이라고도 함
149
② 옥시토신(oxytocin) : 자궁수축호르몬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에서 형성되어 뇌하수체 후엽에 저장되는 호르몬 출산 시 자궁수축을 촉진하여 분만을 유도함 분만 후 유즙분비를 촉진
150
(3) 송과체(pineal body) ① 멜라토닌(melatonin) ② 세로토닌(serotosin)
송과체에 의해 혈류로 분비되는 유일한 호르몬 혈중 농도는 낮보다 밤에 10배 상승함 성선자극호르몬 방출에 영향, 성기의 조기 발육억체, 피부색소 침착을 감소시킴 ② 세로토닌(serotosin) 혈액이 응고할 때 혈관 수축작용을 하는 아민류의 물질 신경전달기능, 장관운동촉진기능, 혈소판에 함유되어 모세혈관의 수축 지혈에 관여함
151
(4) 갑상선(thyroid gland) ① 티록신(thyroxin) ② 트리티록신(trithyroxin, T3)
갑상선 소포세포에서 티로글로불린과 요오드를 재료로 생산, 분비되는 호르몬 기초대사의 유지,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의 대사작용 촉진, 성장 성숙을 도움 ② 트리티록신(trithyroxin, T3) ③ 칼시토닌(calcitionin) 혈액 속의 칼슘량을 조절하는 갑상선 호르몬 갑상선의 소포엽세포에서 분비되는 32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호르몬 혈액 중의 칼슘농도와 인산농도를 저하시키는 작용
152
(5) 부갑상선(parathyroid gland)
① 부갑상선 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 (=parathyroidmone) 8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호르몬 칼슘과 인의 대사 및 뼈 형성을 조절 혈액중의 칼슘농도를 증가시킴 신장에서 칼슘(Ca)의 재흡수와 인산(P)배설을 촉진 신장에서 비타민 D의 생합성을 촉진함 혈중 칼슘량이 저하되면 직접 부갑상선에 작용하여 분비촉진
153
(6) 흉선(thymus gland) ① 타이모신(thymosin) 흉선으로부터 분비되어 말초 림프조직,
특히 흉선 의존영역의 발육을 촉진 Thymic hormone라고도 함
154
(7) 췌장(pancreas), 랑게르한스섬(Langerhan’s islet)
① 글루카곤(glucagon) 췌장에 있는 랑게르한스섬의 α – 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글루카곤, 항인슐린, 인슐린 B라고도 함 인슐린과 반대로 혈당량을 증가시킴 ② 인슐린(insulin)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β세포에서 합성, 분비하는 호르몬 포도당을 호르몬으로 바꾸는 단백질로, 혈중 당농도 상승으로 인하여 분비 촉진 혈액 중 당지질, 아미노산 대사를 조절함 당의 조직이동을 촉진하여 혈당을 저하시킴
155
(8) 부신피질(adrenal cortex)
부신의 외부로 스테로이드계 호르몬을 분비함 ① 알도스테론(Aldosterone)(=mineral corticoids, 미네랄코티코이드) 부신피질의 가장 바깥층과 과립층에서 생성 체내 전해질과 수분의 조절작용 신장요세관에 작용하여 나트륨의 배설을 억제, 칼륨배설을 촉진 체내 수분과 나트륨 양을 증가시킴
156
② 코티솔(cortisol) (=glucocorticoids, 글루코코티코이드)
부신피질에서 생성되며 지방질, 당질, 단백질의 대사에 관여하는 호르몬 지방질과 단백질을 분해하여 당질을 만듦 간글리코겐의 저장에 관여 ③ 안드로겐(androgens) 남성 생식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으로, 남성의 2차 성징 발달에 작용 주로 남성의 고환에서 분비되나 부신피질과 여성의 난소에서도 분비 골조직에서 단백질의 증가, 신장의 무게와 크기, 땀과 피지선의 활동 증가, 적혈구 재생에 관여함
157
④ 에스트로겐(estrogens) 여성호르몬으로 여성의 2차 성징 발달에 작용 ⑤ 프로게스테론(progestins)
황체, 부신피질, 태반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으로 임신 유지
158
(9) 부신 수질(adrenal medulla)
부신의 안쪽부분으로,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에피네피린과 노르에피네피린을 분비함
159
① 에피네피린(epinephirine) (=아드레날린, adrenaline)
부신의 수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며, 교감신경흥분제 심박수 및 심장의 혈액 박출량을 증가시킴 혈관벽에 작용하여 혈관을 수축시킴으로써 혈압을 상승시킴 ② 노에피네피린(norepinephirine) (=노아드레날린, noradrenaline) 부신수질에서 아드레날린과 함께 추출되는 호르몬이며, 교감신경흥분제 부신에 있는 효소와 ATP를 필요로 하는 반응에 의해 메틸기의 전이로 아드레날린이 됨
160
(10) 난소(ovary) ① 에스트라디올(estradiol) ② 프로게스테론(progestrone)
암컷의 난소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여성의 2차 성징을 발현하여 여성에게 성적 충동을 일으키게 하는 작용 일반적으로 베타에스트라디올을 말하며 에스트로겐의 3종류 중 가장 강력한 에스트로겐 ② 프로게스테론(progestrone) 황체, 부신피질, 태반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 자궁내막에 수정란이 잘 착상하도록 착상조건을 만들어 임신 유지
161
(11) 고환(testis) ①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콜레스테롤을 재료로 하여 합성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뇌하수체의 황체호르몬의 조절에 의해 고환의 간질세포에서 분비 콜레스테롤을 재료로 하여 합성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인체의 체단백 생성을 증가시킴 남성화 작용으로 성기 주위의 체모의 분포, 음성 변화 등 남성의 2차 성징을 유발함
162
Chapter 15. 생식 생리
163
1) 남성생식기의 구조와 기능 남성 생식기계: 음낭 내에 위치한 한 쌍의 고환, 부고환, 정낭, 사정관, 구요도선, 전립선과 요도가 통과하는 음경으로 구성 내부생식기: 고환, 생식관, 부속선 외부생식기: 음경, 음낭
164
(1) 고환 (testis) 각 고환에 600~1,200개의 정세관 있음(테스토스테론 형성) 혈관과 림프관의 분포가 풍부
길이 7cm, 폭 2.0~2.5cm, 음낭 내에 위치한 두 개의 작은 덩어리 각 고환에 600~1,200개의 정세관 있음(테스토스테론 형성) 혈관과 림프관의 분포가 풍부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의 지배 받음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androstenedione, estradiol 분비
165
(2) 생식관 (genitla duct) ② 정관 ① 부고환
정자 운반하는 생식관의 첫 번째 부위, 4~6 cm의 길게 꼬인 관 정자가 통과하는 기간: 6주 정도 소요(통과하면서 성숙, 운동력 생성) ② 정관 점막층, 근육층, 외막으로 구성된 가늘고 긴 관, 약 45 cm 정자가 연동운동으로 이관을 통과 정낭과 합쳐져 전립선에 개구되어 있는 사정관을 통해 요도와 연결
166
(3) 부속선 ① 정낭 ② 구요도선 정관에서 파생되어 확장된 낭성, 좌우에 존재 사정 시 정자와 알칼리성 점액 배출
(과당과 단백질로 구성, 정자의 운동성 증진) ② 구요도선 정액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알칼리성 점액 생성 알칼리성 점액: 사정 시 요도의 산성을 중화시켜 정자 보호
167
③ 전립선 방광 아래 요도부위 둘러싸고 있는 생식선 무게: 15~20 g, 길이 4~6 cm
직장벽과 밀착되어 있어 직상수지검사로 촉진 가능 테스토스테론의 자극 받아 약알칼리성 액체 생성 사정 시 교감신경의 작용으로 수축 → 정액과 약알칼리성 액체 혼합 → pH 7.5 정도 유지하면 요도 통해 배출
168
(4) 음경(pennis) 2가지 기능: 성교와 배뇨 얇은 피부로 덮여 있으며, 느슨한 피부주름이 귀두 덮고 있음(포피)
교감, 부교감, 체신경의 지배 받음
169
(5) 음낭(scrotum) 고환, 부고환과 생식관을 둘러싼 피부낭 결합조직 격막에 의해 양분되어 좌우 1개씩 고환 가짐
비대칭, 좌측이 우측보다 약 1cm 아래에 위치 음낭의 온도: 체온보다 2℃ 정도 낮음 (정자 생성의 최적의 온도)
170
Chapter 16. 배란과 월경의 생리
171
배란 (ovulation) 난소에 있는 난포가 성숙난포를 거쳐 터지면서 난자를 배출하는 것
배란 후 난포는 황체로 변하고 이후 황체호르몬이 분비 착상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 월경이 일어나며 착상이 된 후에는 황체 호르몬이 계속 분비되어 황체상태를 유지하며 임신이 지속됨
172
① 원시난포(primary follicle)
※ 배란의 과정 ① 원시난포(primary follicle) 난포의 여러 발달 단계 중 가장 어린 시기 유아의 난소에서는 모두 원시난포상태임 ② 성숙난포(graafian follicle) 난소 주위 난포 가운데서 가장 발달하고 큰 것 난소에서 원시난포가 성숙함에 따라 난포액이 되고, 난포가 확대되어 반투명한 낭상체가 됨 그라프난포라고도 함 원시난포가 호르몬의 영향으로 성숙되어 완성단계에 이른 것
173
③ 배란(ovulation) ④ 황체(corpus luteum) ⑤ 백체(corpus albicans)
난소에 있는 난포가 성숙하여 터지면서 난자를 배출하는 과정 ④ 황체(corpus luteum) 난자를 배출한 뒤 형성되는 난포 속에 지방 같은 노란색의 물질을 갖는 난포 ⑤ 백체(corpus albicans) 난소에서 형성되었던 황체가 서서히 퇴행하여 섬유성 조직으로 대치된 것
174
에스트로겐 (estrogen) 난포에서 분비되는 난포호르몬의 총칭
에스트로겐이란 생물학적 명칭으로, 동물의 발정작용 외에 여러 가지 작용을 지닌 물질의 총칭 사람이 갖고 있는 20여 가지 이상의 호르몬 중 estrone, estradiol, estriol이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함 난소에서 생성되며, 임신 시에는 주로 태반에서 만들어지지만, estriol은 태아의 부신과 태반의 합동작용에 의해서 만들어 짐
175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 황체, 부신피질, 태반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
증식기의 자궁선을 분비기의 자궁선에 이끌어 수정란을 받아들이며 발육에 적합한 자궁내막을 형성하도록 하여 임신을 유지하도록 함
176
월경 (menstruation) 성숙한 여성의 자궁에서 주기적으로 출혈하는 생리 현상
임신하지 않은 경우 황체에서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기 때문에 자궁 내막이 벗겨져서 일어남 난포자극호르몬이 뇌에서 분비되어 여성의 난소를 자극하게 되면 난포가 자극받아 에스트로겐을 분비 뇌에 작용을 하여 황체화호르몬(LH)이 뇌에서 분비되고, 이것이 절정에 이르렀을 때 난포에서 배란이 일어남 이후 난포는 황체로 변하게 되며, 배란된 난자가 수정되지 않으면 황체는 황체호르몬을 분비한 뒤 퇴화되고, 곧이어 월경이 일어남
177
① 월경기 (menstrual phase)
혈액성 액체가 여성 생식기나 자궁에서 주기적으로 흘러나오는 기간 ② 증식기 (proliferative phase) 자궁내막이 증식하는 시기 ③ 분비기 (secretory phase) 성숙한 난포로부터 난자가 방출된(배란) 후에 자궁내막에서 나타나는 월경주기의 단계 ④ 월경전기 (premenstrual phase) 월경이 시작되기 전의 시기 ⑤ 최종월경기 (last menstrual phase) 최종월경 시작 제1일부터 계산해서 임신주수, 분만예정일을 산출하는 방법
178
Chapter 17. 감각 생리
179
1) 시각생리 (physiology of vision)
시신경 흥분전도 망막(retina)의 시신경세포층(visual cell layer) 원추세포 (cone cell) 간상세포 (rod cell) → 쌍극신경세포층(bipolar cell layer) → 시신경절세포층(ganglionic cell layer) → 시신경원판(optic nerve disc) → 시신경(optic duct) → 시신경교차(optic chiasma) → 외측슬상체(lateral geniculate body, LGB): 시방선(optic radiation) → 후두엽의 17영역(area 17 of occipital lobe)
180
(2) 시각장애 동측성 반맹증 (homonymous hemianopsia)
우측 동측성 반맹증 (right homonymous hemianopsia) 이측성 반맹증 (heteronymous hemianopsia) 양비측 반맹증 (binasal hemianopsia) 양측두 반맹증 (bitemporal hemianopsia)
181
(3) 시야(visual field), 시야계(perimeter)
선명하게 보이는 부분과 주변의 희미하게 보이는 부분 전체 (4) 시각과 시력 (visual angle and acuity) 시각(visual angle): 물체의 양족 끝 윤곽이 렌즈의 초점을 지나 망막에 상이 맺히는 2개의 직선(drive line, 방향선)이 만나서 이루는 각 시력(visual acuity): 2개의 점이나 직선을 2개로 구별할 수 있는 능력
182
(5) 망막의 순응 (adaptation) 간상세포(rod cell): 로돕신(rhodopsin: retinene + scotopsin)의 분해, 합성 암순응 (dark adaptation)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할 때 시각 역치가 감소하는 현상 로돕신의 합성 촉진, 어두움 → 밝음(약 20분) 명순응 (light adaptation) 어두운 곳에서 있다가 밝은 곳으로 갑자기 나가면 눈이 부시고 잘 보이지 않다가 1분 정도 지나면 사물이 명확히 보이는 현상 로돕신의 분해 촉진, 밝음 → 어두움(약 3분) 야맹증(nystalopia): 간상세포의 이상, 어두운 곳에서 시력 감퇴, 비타민 A부족
183
(6) 색각 (color sensation)
Young – Helmholz의 3원색설 (trichromatic theory) 색을 감지하는 원추세포는 3종류가 있으며, 이들은 제각기 다른 파장의 색에 대하여 최대반응을 한다는 이론 원추세포 (cone cell) 내에 green, blue, red에 예민한 3종류의 세포가 존재
184
(7) 색약 3종류의 원추세포(cone cell)를 갖고는 있으나 그 중 기능 부실세포가 있는 경우
해당하는 색이 다른 색과 섞였을 때 그 색을 구별하지 못함
185
(8) 색맹 3종류의 원추세포(cone cell) 중 한 종류의 세포가 결손된 경우
적색계 원추세포가 결손된 경우 녹색을 적색으로 인식 적록색맹: 가장 흔한 색맹임
186
(9) 결상(image formation)과 원근 조절작용
결상: 망막에 물체의 상이 뚜렷히 맺히는 것 원근조절: 수정체의 두께 조절 (근거리 : thick, 원거리 : thin)
187
(10) 굴절의 이상 근시(myopia): 원거리 시력 감퇴, 망막의 앞에 상이 맺힘, 오목렌즈 착용
원시(hyperopia): 근거리 시력 감퇴, 망막의 뒤쪽에 상이 맺힘, 볼록렌즈 착용 난시(astimatism): 수정체의 두께가 고르지 못함, 초점이 흐림, 원주렌즈(cylindrical lens), 구면렌즈(spherical lens)의 병행 착용
188
(11) 광선의 입사량 조절 동공을 통하여 들어온 광선량은 홍채의 조리개 작용에 의해 조절
동공의 크기는 광선의 입사량에 의한 음성되먹이기 기전에 의해 변함 음성 되먹이기 기전 (negative feed back mechanism) 산동제(midriatica): 동공이완 epinephrine, atropin 축동제(miotica): 동공수축 pilocarpine, serine
189
※ 진단검사 ① 시력검사: 원거리, 근거리 시력검사 ② 외안근기능사정 ③ 안압측정(tonometry) ④ 형광안저혈관조영술
- 각막의 빛 반응 검사(Hirschberg’s test): 두 눈의 정렬 평가 - 정상안구운동성: 안근의 기능 항진과 기능 저하 관찰 - 가림-안가림 검사: 근육기능 사정 ③ 안압측정(tonometry) - 녹내장의 필수 검사, 안압계 사용(정상 안압:10~21mmHg) ④ 형광안저혈관조영술 - 조영제를 정맥 주사한 후 연속 사진촬영으로 상태나 안구 내 종양 진단 - 조영제 알레르기 유무 확인, 검사 1시간 전 동공확대 위해 산동체 점적 - 검사 후 조영제로 인해 피부가 노랗게 되나, 소변으로 배출되면 사라짐
190
2) 청각생리 음파의 청각반응 음파 소리의 크기 단위: 최적 진동수(best frequency): 1,000~3,000 첸
공기 중의 압력 변화를 주위의 물질분자가 소밀파를 일으킬 때의 파동 소리의 크기 단위: 최적 진동수(best frequency): 1,000~3,000 첸 0.1bel = 1dB(decibel) 표준소리(standard sound): 0dB–사람이 들을 수 있는 한계를 기준으로 함
191
(2) 청각의 전도 ① 공기전도 음파의 이동: 외이도 - 내이신경섬유 ② 골전도
소리가 외이와 중이를 경유하지 않고 두개골의 진동이 와우각 외림프에 직접 전도
192
(3) 청각의 특성 청력도 : 소리의 강도는 압력으로 그 곡선을 나타냄 – 청력곡선
은폐효과 : 어떤 진동수의 제1음이 들리고 있을 때에 다른 진동수의 제2음에 대한 역치가 높아 듣기가 곤란한 경우 – 2음에 대한 1음의 역치효과 판별역치 : 음의 진동수와 강도의 관계 협음 : 두 개 음의 진동수의 차이가 33㎐ 이상이면 울림이 들리지 않고 다른 두 개의 음으로 들리는 성질 – 불협화음 소음 :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음 약음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