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Securitized Derivatives)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Securitized Derivatives)"— Presentation transcript:

1 (Securitized Derivatives)
파 생 결 합 증 권 (Securitized Derivatives) 정 해 근 전무 / 경영학박사 대우증권 트레이딩사업부장

2 차례 파생결합증권의 이해 파생결합증권 현황 파생결합증권 상품 사례 주가연계증권(ELS) 시장 파생결합증권의 운용구조
I 파생결합증권의 이해 2 II 파생결합증권 현황 11 III 파생결합증권 상품 사례 16 IV 주가연계증권(ELS) 시장 24 V 파생결합증권의 운용구조 29 VI 파생상품의 리더, 대우증권 33

3 I 파생결합증권의 이해 금융투자상품의 이해 증권의 이해 파생결합증권의 이해

4 개요 : 우리나라의 금융시장 단기금융시장 콜, RP, CD, CP 전통적 금융시장 자본시장(만기1년이상) 채권시장
국채, 금융채, 회사채 등 주식시장 금융시장 예대시장 외환시장 형태 : 선도, 옵션, 스왑 대상 : 금리, 외환, 주식, 상품등 파생금융상품시장

5 금융투자상품의 이해 금융상품 내의 파생결합증권 ㆍ ㆍ ㆍ ELS 파생결합증권 금융투자상품 ELW 투자계약증권 DLS 채무증권
전체 금융상품 ELS 파생결합증권 증권 금융투자상품 ELW 투자계약증권 파생상품 DLS 채무증권 CLN 지분증권 예금 CAT bond 수익증권 FLN 증권예탁증권 ㆍ ㆍ ㆍ 보험

6 금융투자상품의 이해 금융투자상품 (제3조) <현행> <포괄주의 전환>
①이익을 얻거나 손실을 회피할 목적으로 ②현재 또는 장래 특정 시점에 금전 등을 지급하기로 약정함으로써 취득하게 되는 권리로서 ③원본손실 가능성(투자성)을 부담하는 것 ‘투자성(원본손실 가능성)’이라는 특징을 갖는 모든 금융상품을 포괄하는 개념 열거하지 않고 개념을 추상적으로 정의하여 동 정의에 해당하는 모든 금융투자상품을 법의 규율대상 (금융투자회사 취급허용, 투자자 보호규율 적용) 금융상품 전체 <현행> 금융투자상품 (자통법) <포괄주의 전환> 예금 (은행법 등) 보험계약 (보험업법) 유가증권, 파생상품 (증권거래법 등) 보험계약 (보험업법) 예금 (은행법 등) 보험계약 (보험업법) 예금 (은행법 등)

7 금융투자상품의 이해 금융투자상품의 분류 (제3조2항) ㅇ 원본 손실가능성이 있는 금융투자상품을,
  - 원본까지만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금융투자상품을  「증권」으로 분류하고   - 원본을 초과할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금융투자상품을 「파생상품」으로 분류 ※ 증권과 파생상품의 구분 : “금융투자상품의 취득과 동시에 지급한 금전등외에 추가 지급의무가 없을 것” No 비금융투자상품 (예금, 보험) 증권 금융상품 원본손실 가능성 No 금융투자상품 원본초과손실 가능성 Yes Yes 파생상품

8 증권의 이해 증권의 개념 (제4조) - 주식, 사채등과 같은 전통적인 증권은 채무증권, 지분증권 등 넓은 개념을 도입하고 추상적으로 정의하여 포괄주의로 전환하고 - 집합투자증권(CIS), 구조화증권(Structured Product)과 같은 신종 증권은 투자계약, 파생결합증권과 같이 새로운 추상적 개념을 도입하여 포괄주의로 전환 채무증권 국채, 지방채, 특수채, 사채 등 지분증권 주식, 신주인수권, 특별법인의 출자증권, 민법상 조합의 출자지분 등 전통적인 증권 수익증권 신탁 수익증권, 신탁형 집합투자기구의 수익증권 등 증권 증권예탁증권 국내 증권예탁증권(KDR), 외국 증권예탁증권(GDR. ADR 등) 투자계약증권 집합투자증권, 비정형간접투자증권, 주식, 출자지분 등 신종증권 파생결합증권 타인의 노력과 무관하게 ‘외생적 지표’ 에 의해 수익이 결정되는 증권

9 파생결합증권의 이해 파생결합증권(Securitized Derivatives) (제4조 7항)
-「파생결합증권」은 기초자산의 가격·이자율·지표·단위 또는 이를 기초로 하는 지수 등의 변동과 연계하여 미리 정하여진 방법에 따라 지급금액 또는 회수금액이 결정되는 권리가 표시된 것을 말한다.     * 주가연계증권(ELS), 신용연계증권(CLN), 재해연계증권(CAT bond), 펀드연계증권(Fund Linked Note) 등 구조화 증권이 포괄대상 파생결합증권 기초자산의 범위 (제4조 10항) - 파생결합증권의 기초자산의 범위를 최광의로 넓게 정의하여 증권의 포괄범위를 넓힘 1. 금융투자상품 2. 통화(외국의 통화 포함) 3. 일반상품 (농산물 · 축산물·수산물 ·임산물 ·광산물 ·에너지에 속하는 물품 및 가공품 등등) 4. 신용위험 (당사자 또는 제삼자의 신용등급의 변동, 파산 또는 채무재조정 등으로 인한 신용의 변동을 말한다.) 5. 그 밖에 자연적 ·환경적 ·경제적 현상 등에 속하는 위험으로서 합리적이고 지정한 방법에 의하여 가격 ·이자율 ·지표 ·단위의 산출이나 평가가 가능한 것

10 파생결합증권의 이해 다양한 파생결합증권 유형 파생결합증권
ELW (주식연계워런트) 일정기한 후 만기일의 삼성전자의 종가가 680,000 이상일 경우 그 차액을 수취함(Call ELW) ELS (주식연계증권) 1 3개월 후 자동조기상환 평가일에 KOSPI200의 지수가 250Pt인 경우에 연 15.4% (3.85%)의 수익률…… 파생결합증권 DLS (파생결합증권) 1 만기에 런던귀금속시장 협회 (London Bullion Market Association)의 금 현물가격이 온스당 900달러 이상일 경우…. DLS (파생결합증권) 2 만기평가일에 미국고채 2년물(UST 2YR) 금리가 1.1% 이상이고 2.5% 미만일 때 10%의 수익률을 지급하고..…. CLN (신용연계채권) 2년 이내에 XX산업이 발행한 무보증회사채에 대해 지급불이행 및 채무조정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연 7%의..….

11 파생상품의 구분 - 파생상품을 선도, 옵션, 스왑으로 구분하고 그 개념을 추상적으로 정의
장외 파생상품  - 파생상품을 선도, 옵션, 스왑으로 구분하고 그 개념을 추상적으로 정의 - 파생상품의 기초자산의 개념을 최광의로 규정하여 가능한 모든 것을 기초자산으로 파생상품이 개발될 수 있도록 허용함  ※ 파생결합증권의 기초자산 개념과 동일하게 규정 장내 파생상품  - 파생상품 중 증권선물거래소 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상품을 장내 파생상품으로 정의  - 파생상품의 정의가 확대됨에 따라 상장가능한 장내 파생상품의 범위도 확대

12 II 파생결합증권 현황 발행 가능 요건 시장 현황 투자 방법

13 발행 가능 요건 증권거래법에 의한 유가증권 (증권거래법 시행령 제2조의3제1항제7호)
재정경제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발행하는 증권이나 증서로서 유가증권시장ㆍ코스닥시장 또는 이와 유사한 시장으로서 외국에 있는 시장에서 매매거래되는 특정 주권의 가격이나 주가지수의 수치의 변동과 연계하여 주권 또는 금전 (그 주권ㆍ증권 또는 증서의 가치에 상당하는 금전을 말한다)의 지급청구권을 표시하는 증권 또는 증서 발행 가능 증권사 (장외파생상품 인가기준 증권거래법시행령 제36조의2) 종합증권업을 영위하는 증권사 영업용순자본비율(Net Capital Ratio) 300% 이상 금융감독위원회가 정하는 “위험관리 및 내부통제 등에 관한 기준” 충족 → 현재 총 25개사 (대우, 골드만삭스, 교보, 굿모닝신한, 노무라, 대신, 동부, 동양종금, 메리츠, 미래에셋, 삼성, 유진투자, 신영, 우리, 하나IB, 한국투자, 현대, 한화, 맥쿼리, 씨티, CS, 메릴린치, 리먼브러더스, SK, UBS)

14 시장 현황 Equity Linked Securities, 주가연계증권
현재 유통되고 있는 파생결합증권 상품 유형 중 제일 높은 비중을 차지 저금리 기조의 지속으로 고정금리상품에 대한 투자유인이 적은 상황에서, 주가상승에 대한 여러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안정적인 수익 확보 또는 고수익추구가 가능 크게 원금보장형과 원금비보장형으로 구분 가능 원금보장형 채권투자에 따른 이자수익으로 원금보장이 실현되도록 자금의 일정 부분을 채권에 투자하면서 나머지 자금은 사전에 약정된 수익구조를 가져다 줄 수 있는 파생상품에 투자 원금보장이라는 제약으로 Payoff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음 원금비보장형 보다 다양하고 매력적인 수익구조가 가능하나 그만큼 Risk도 커짐 High Risk, High Return

15 투자 방법 공모 파생결합증권 사모 파생결합증권
불특정 다수의 고객을 대상으로 증권사가 시장상황 등을 고려하여 상품 구조를 만든 후 판매함 대우, 삼성, 우리투자, 한국투자증권 등이 활성화 되어 있음 사모 파생결합증권 - 수익구조는 고객의 투자성향(Risk Appetite)등을 고려하여 제작(Customization)됨 주요 투자자 : 각종 공제회, 투신사, 보험사, 은행, 일반법인, 재단, 대학교, 새마을금고, 거액개인 발행 프로세스 → 투자자 자금 운용 계획 수립 → 투자성향 및 특정 요구(특정 주식, 특정 구조) 사항을 고려한 ELS상품 제안을 당사 RM에게 요청함 → 당사 RM은 고객의 요구를 반영한 상품 구조를 설계하여 운용트레이더와 협의하여 적합한 구조의 상품을 투자자에게 제시함 → 투자자 제시 상품 검토 및 결정

16 관련 기타사항 파생결합증권 세금 파생결합증권에서 발생하는 최초 발행가액 대비 초과소득은 배당소득으로 과세대상임
(재정경제부 문서 번호 재소득 ) 배당소득이므로 증권사가 상환금액 지급 시 개인은 원천징수 후 지급, 개인이 아닌 경우 원천징수 없음 과세대상소득은 원금대비 초과소득이며, 따라서 초과소득이 없을 경우에는 세금이 없음

17 III 파생결합증권 상품 사례 주가연계증권(ELS) 금리 및 상품 파생결합증권(DLS) 신용연계채권(CLN)

18 100 x { 70% x (만기지수 -만기지수) / 기준지수 } %
주가연계증권(ELS) ① 원금보장형-KO-지수형-1stock 특 징 기초자산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원금보장 기초자산이 한 번도 기준지수의 125%를 초과하여 상승한 적(장중지수 포함)이 없고, 만기지수가 기준지수보다 클 경우 최고 최고 연 17.5% 수익 가능 기초자산이 한 번이라도 기준지수의 125%를 초과하여 상승한 적(장중지수 포함)이 있으면, 만기지수와 상관없이 연 5% 수익 확정 수익구조 기초자산 : KOSPI200 European Knock-Out Call (Strike 100%, Barrier 125%, Rebate 5%, 참여율 70%) 만기 : 1년 (Case1) 수익률 17.5 % 참여율 70% 구분 수익 ⓐ 기준지수 > 만기평가지수 0% (원금지급) ⓑ 기준지수 ≤ 만기평가지수 < 상한지수 100 x { 70% x (만기지수 -만기지수) / 기준지수 } % ⓒ 장 중에 한 번이라도 상한지수를 초과하여 상승(장중지수 포함)한 경우 연 5% 상한지수 : 기준지수 대비 25% 상승한 지수 (옵션소멸기준) 최대가능수익률 : 연 17.5% (= 상승률 25% x 참여율 70%) 25% 기초자산 상승률 (Case2) 수익률 5 % 기초자산 상승률 ※ 예시되는 조건은 잠정적(Indicative Terms)이므로 실제 거래 시 변경될 수 있음

19 주가연계증권(ELS) ② 비보장형-Autocall-주식형-1stock
특 징 4개월마다 총 5번의 중도상환 기회 기초자산이 장중가를 포함하여 기준가격 대비 10% 이상 상승한 적이 한 번이라도 있으면 연 10.5% 수익 확정 4개월마다 기초자산의 종가가 기준가격의 100% 이상이면 연 10.5% 수익 확정 만기평가일까지 기초자산이 장중가를 포함하여 한 번도 기준가격의 70% 이하로 하락한 적이 없으면 원금보장 수익구조 기초자산 : 삼성전자 보통주 원금비보장 (조건부 원금보장) 만기 : 2년 (4개월마다 중도상환 기회 부여) 수익률 21.0% 만기 시 한번도 기준가격의 70% 이하(장중가 포함)로 하락한 적이 없으면: 원금상환 17.5% 1년 8개월 후 구분 수익 (1) 중도 상환 4개월마다 기준가격의 100% 이상인 경우, 혹은 기준가격의 110% 이상으로 상승한 적(장중가 포함)이 한 번이라도 있는 경우 연 10.5% (2) 만기 상환 ①. (1)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만기평가가격이 기준가격의 100% 이상인 경우, 혹은 기준가격의 110% 이상으로 상승한 적(장중가 포함)이 한 번이라도 있는 경우 연 10.5% (만기시 21%) ②. ①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한 번도 기준가격의 70% 이하로 하락한 적(장중가 포함)이 없는 경우 0% (원금지급) ③. ①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한 번이라도 기준가격의 70% 이하로 하락한 적(장중가 포함)이 있는 경우 -100% ~ 0%, {(만기평가가격/기 준가격 -1) x 100 14.0% 1년 4개월 후 10.5% 1년 후 7.0% 8개월 후 3.5% 4개월 후 -30% 0% 10% 기초자산 상승률 한번이라도 기준가격의 70% 이하(장중가 포함)로 하락한 적이 있으면: 원금손실 -30% 만기 중도상환 ※ 예시되는 조건은 잠정적(Indicative Terms)이므로 실제 거래 시 변경될 수 있음

20 주가연계증권(ELS) ③ 비보장형-Stepdown-주식형-2Stock
특 징 6개월마다 총 5번의 중도상환 기회 6개월마다 모든 기초자산의 종가가 각 기준가격의 90%(6개월째), 85%(12개월째), 80%(18개월째) 이상이면 연 13.2% 수익 확정 만기평가일까지 모든 기초자산 중 어느 하나도 기준가격의 60% 이하로 하락한 적(장중가 포함)이 없으면 연 7.5% 수익확정 수익구조 기초자산 : 대우조선해양 보통주, 하이닉스 보통주 원금비보장 (조건부 원금보장) 만기 : 2년 (6개월마다 중도상환 기회 부여) 어느 하나도 각 기준가격의 60% 이하(장중가 포함)로 하락한 적이 없으면: 원금상환 수익률 26.4% 만기 시 구분 수익 (1) 중도 상환 6개월마다 모든 기초자산의 종가가 각 기준가격의 90% (6개월째), 85% (12개월째), 80%(18개월째)이상인 경우 연 13.2% (2) 만기 상환 ①. (1)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모든 기초자산의 만기 평가지수가 각 기준가격의 75% 이상인 경우 연 13.2% (만기시 26.4%) ②. ①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두 기초자산 중 어느 하나도 각 기준가격의 60% 이하로 하락한 적(장중가 포함) 이 없는 경우 연 7.5% (만기시 15%] ③. ①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두 기초자산 중 어느 하나라도 각 기준가격의 60% 이하로 하락한 적(장중가 포함)이 있는 경우 (만기평가일에 하락률이 큰 기초자산을 기준으로) -100% ~ -25%, {(만기평가가격/기 준가격 -1) x 100 19.8% 2년 후 15% 13.2% 1년 6개월 후 6.6% 1년 후 -40% -25% -20% -15% -10% 0% min (각 기초자산 상승률) 어느 하나라도 각 기준가격의 60% 이하(장중가 포함)로 하락한 적이 있으면 : 원금손실 -25% -40% 만기 중도상환 ※ 예시되는 조건은 잠정적(Indicative Terms)이므로 실제 거래 시 변경될 수 있음

21 ※ 유로달러 환율은 유로화 기준 표시, 달러가치 상승시 유로달러 환율이 하락(달러엔화 환율과 반대)
파생결합증권(DLS) ① 해외통화-원금보장형-바스켓 콜스프레드 특 징 기초자산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원금보장 저평가된 달러화에 투자하는 상품, 1년 후 달러화 가치가 유로 및 엔 대비 상승하는 경우 수익발생 만기 바스켓 수익률이 0%이상 10% 이하인 경우 바스켓 수익률의 1.5배 수익 가능 만기 바스켓 수익률이 10%를 초과한 경우 연 15% 수익 수익구조 기초자산 : 유로달러 환율(1유로화당 미달러 가격) 달러엔화 환율(1달러당 엔화의 가격) 바스켓 수익률 = 유로달러 환율의 수익률 x 달러엔화 환율의 수익률 x 0.5 만기 : 1년 수익률 ⓐ 만기평가일 바스켓 수익률이 0%이상 10% 이하인 경우 ⓑ 만기평가일 바스켓 수익률이 10%를 초과한 경우 구분 수익 ⓒ 만기평가일 바스켓 수익률이 0%미만인 경우 : 원금보장 ⓐ 0% <= 만기평가일 바스켓 수익률 <= 10% 바스켓 수익률의 150% 15% ⓑ 만기평가일 바스켓 수익률 > 10% 연 15% ⓒ 만기평가일 바스켓 수익률 < 0% 0% (원금지급) 참여율 150% - 유로달러 환율의 수익률 : - 달러엔화 환율의 수익률 : 0% 10% 만기 바스켓 수익률 ※ 유로달러 환율은 유로화 기준 표시, 달러가치 상승시 유로달러 환율이 하락(달러엔화 환율과 반대) ※ 예시되는 조건은 잠정적(Indicative Terms)이므로 실제 거래 시 변경될 수 있음

22 파생결합증권(DLS) ② 금리-원금보장형-하강형 with Knock Out
특 징 기초자산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원금보장 미국고채 2년물(UST 2YR)에 투자, 만기 금리가 1.1%이상 1.9% 미만인 경우 연10% 수익 가능 설정일 후 기초자산이 종가 기준으로 한번이라도 배리어(1.1%)에 도달하면 만기시 이자지급 없음 수익구조 기초자산 : 미국고채 2년물(UST 2YR) 원금 100% 보장 만기 : 1년 ⓐ 만기평가일 금리가 1.1%이상 1.9% 미만인 경우 수익률 ⓑ 만기평가일 금리가 1.9%이상인 경우 구분 수익 ⓐ 1.1% <= 만기평가일 금리 < 1.9% 연 10% ⓑ 만기평가일 금리 >= 1.9% 50/3ⅹ[2.5%-UST 2YR] ⓒ 장 중에 한 번이라도 하방배리어에 도달한 경우 0% (원금지급) 하방배리어 : UST 2YR 금리가 1.1% (옵션소멸기준) 최대가능수익률 : 연 10% 10.0% 참여율 50/3 1.1% 1.9% 2.5% UST 2YR 금리 ⓒ 한번이라도 금리가 1.1% 도달한 경우 : 원금보장 ※ 예시되는 조건은 잠정적(Indicative Terms)이므로 실제 거래 시 변경될 수 있음

23 파생결합증권(DLS) ③ 상품-원금보장형-Knock out Call
특 징 기초자산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원금보장 기초자산이 한 번도 기준가격의 125%를 초과하여 상승한 적(장중지수 포함)이 없고, 만기지수가 기준지수보다 클 경우 최고 최고 연 25% 수익 가능 기초자산이 한 번이라도 기준지수의 125%를 초과하여 상승한 적(장중지수 포함)이 있으면, 만기지수와 상관없이 연 3% 수익 확정 수익구조 기초자산 : 서부 텍사스산원유(WTI Crude Oil)의 최 근월물 선물가격 European Knock-Out Call (Strike 100%, Barrier 125%, Rebate 3%, 참여율 100%) 만기 : 1년 (Case1) 수익률 25 % 참여율 100% 구분 수익 ⓐ 기준지수 > 만기평가지수 0% (원금지급) ⓑ 기준지수 ≤ 만기평가지수 < 상한지수 (만기평가가격/최초기준가격 - 1)×100% ⓒ 장 중에 한 번이라도 상한지수를 초과하여 상승(장중지수 포함)한 경우 연 3% 상한지수 : 기준지수 대비 25% 상승한 지수 (옵션소멸기준) 최대가능수익률 : 연 25% (= 상승률 25% x 참여율 100%) 25% 기초자산 상승률 (Case2) 수익률 3 % 기초자산 상승률 ※ 예시되는 조건은 잠정적(Indicative Terms)이므로 실제 거래 시 변경될 수 있음

24 실물인수손실(1-회수율) + 경과이자(3M Libor+600bp)
신용연계채권(CLN) - 실물인수도 특 징 신용사건 미발생시 3개월 마다 3M Libor + 600bp (약 연 8.8%, 08/6/17 현재 USD 3M Libor: 2.809%) 신용사건 발생시 경과이자(3M Libor+600bp)와 함께 준거채무의 실물은 인도 받고 계약 종료 발행자 또는 사채권자의 선택에 따라 조기상환 될 수 있음 수익구조 (신용사건 미발생) 준거기업 : XXXX 주식회사 (국내 유효신용등급: A-) 준거채무 : XXXX 발행 해외 CB, [2012/11/26만기] 만기 : 약 1년 6개월 수익률 LIBOR + 600bp 구분 수익 ⓐ 신용사건 미발생시 3M Libor+600bp ⓑ 신용사건 발생시 실물인수손실(1-회수율) + 경과이자(3M Libor+600bp) 단, 신용사건은 준거기업, 준거채무 또는 준거기업의 채무에 대하여 다음 각호의 1이 발생한 경우 파산 지급불이행 채무재조정 시간 (신용사건 발생) 단, 실물과 함께 경과이자 수취 투자금 100 % 50% 50% 100% 회수율 ※ 예시되는 조건은 잠정적(Indicative Terms)이므로 실제 거래 시 변경될 수 있음

25 IV 주가연계증권(ELS) 시장 급팽창하는 ELS시장 월별 ELS시장 추이 시기별 상품의 유형 및 특성 ELS 편입 기초자산

26 연도별 발행금액 유년기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한 ELS 시장 - ELS는 새로운 간접투자의 대안으로 성장
16% (억원) 25.6조원 22.2조원 60% 18.4조원 147% 13.8조원 15.7조원 70% 10.1조원 5.6조원 3.3조원 7.2조원 3.3조원 6.5조원 0.8조원 3.7조원 2.5조원 2.3조원 출처: 각 증권사별 전자공시

27 월별 발행금액 추이 07년 월평균 발행금액 : 2조대 진입
- 월평균 발행금액 : 04년 0.46조 → 05년 1.15조 → 06년 1.85조 → 07년 2.13조 (월별 발행액/억원) (종합주가/pt)

28 시기별 상품의 유형 및 특성 ELS 상품의 변화 Step-Up, Step-Down형 2006년 이후 Knock-Out형
2003년 간단한 수익구조의 ELS. 주가가 상방 Barrier에 도달하면 확정금리를 만기에 지급하고 원금을 보장하는 유형 수익구조다변화 2004년 주식시장의 급변동과 ELS상품의 경쟁심화로 다양한 수익구조가 소개됨 ex) Digital형, Reverse Convertible형 등 2004년 후반 조기상환형 (Autocall) 만기는 3년까지 늘어났지만 6개월마다 중도상환이 가능한 구조. 개별주식 바스켓으로 기초자산 확대 조기상환형 (Autocall) 2005년 후반 상관관계가 낮은 2개의 개별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수익률을 높이고 하방 Barrier수준을 낮추어 원금보장 가능성을 높인 상품 Step-Up, Step-Down형 2006년 이후 조기상환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조기상환시점마다 행사가격을 낮추거나 투자자들에게 보다 유리한 상환수익구조를 제시한 상품

29 시기별 ELS의 유형 2006년~ : Autocall의 변화 - stepup 등장 - stepdown 등장
2004년 초 : 다양한 구조 2004년 후반 : Autocall 2003년 : 넉아웃형 2006년~ : Autocall의 변화 - stepup 등장 - stepdown 등장 2005년 : Autocall 진화 - Reverse Autocall - Reverse Issuer Callable - Spread Autocall

30 V 파생결합증권의 운용구조

31 투 자 운용 형태 : 자체운용 vs 백투백 운용 투신사 ELS ELS ELF OTC인가증권사 외국계 금융기관 사모ELS
메릴린치 골드만삭스 리만브라더스 ING HSBC 시티글로벌 BNP Paribas 바클레이 ABN CSFB, 도이체방크, 맥커리 자체운용 MSDW ASP RBS Societe Genrale 토론토도미니온 UBS, 드레스너 UOB, 라보뱅크 Calyon, IXIS KBC ELS BTB운용 ELS 장외계약 사모ELS 투신사 ELF 장외계약 ■ ELS 자체운용 비율 : 당사 약 28% ( ~ ) ■ 자체 운용 및 상품 개발을 위한 독립 퀀트 부서 존재 ■ 신규 중소형사 자체헤지 운용 능력없거나 미약. ■ 금융감독원 : 국내증권사 자체 운용비율이 너무 취약하고, BTB 집중에 의한 신용Risk 집중에 대한 우려가 큼.

32 파생결합증권의 운용 (ELS의 경우) 헤징 방법 상품 구조 (고객 수익율) 결정 방법
기준일 날 기초자산 일정비율(40%~60%) 매수  주가등락에 따라 매매(변동성 매매: 즉 주가상승 시 매도, 주가 하락 시 매수)  매매이익 창출 / 누적  조기상환 시 적정 수익 확보됨 Tip1 : 특정 종목이 ELS 기초자산으로 대량 발행 시 해당 주가의 변동성이 점차 떨어질 가능성(횡보)이 존재 기초자산의 미래 변동성을 예측함, 변동성이 클 것이라고 예측할수록 더 높은 수익률을 제시할 수 있음  예상 변동성과 실제 변동성이 유사할 경우 적정 트레이딩 수익을 확보.  단, 예상 변동성 보다 실제 변동성이 낮을 경우 심각한 손실을 볼 수 있음 ※ 따라서 조기상환형의 구조 결정은 미래 기초자산의 변동성이 좌우함 상품 구조 (고객 수익율) 결정 방법 Tip2 : 특정 종목의 ELS 발행이 많아지면 해당 주가 변동성 점차 감소  점차 해당 기초자산의 발행 조건이 안 좋아짐 Tip3 : 특정 종목의 기초자산이 횡보  조기상환형 구조 나빠짐 특정 종목의 기초자산이 널뛰기  조기상환형 조건 좋아짐

33 ELS 발행이 기초자산에 미치는 영향 삼성화재(000810)의 30일 역사적 변동성
■ ELS의 기초자산 종목 Pool이 한정되고 한정된 기초자산 매매를 통해 Delta Hedge함으로 기초자산 변동성 자체에 영향(감소)을 미치게 됨 ■ 특정 유형의 상품만 지속적으로 발행함으로 ELS 시장 전체의 리스크 집중 심화

34 VI 파생상품의 리더, 대우증권

35 ELS 발행 실적 (2007.4 ~ 2008.3) 발행실적 업계 1위의 달성
- ELS 발행실적 4조3,509억원, 857회차, M/S 19.4% ELS 발행 집계 ( ~ ) - 224,701 시장전체 5 532 9.70% 21,774 D사 4 374 11.30% 25,427 C사 3 471 11.40% 25,685 B사 2 631 17.00% 38,221 A사 1 857 19.40% 43,509 대우증권 실적 순위 발행회차수 시장점유율 발행실적 구 분

36 조직 구성 업계 최고의 트레이딩사업부 조직 - 총 8개부서, 96명 Equity 파생본부 FICC본부 사업부소속 ELS운용부
ELS 자체운용 및 조달, Vol Trading ELW운용부 ELW 발행 및 LP, 자체헤징, 개별주식선물 LP운용 및 헤징 파생상품영업부 구조화금융상품(ELS/DLS) 발행 및 영업 FICC본부 채권영업부 채권 Brokerage, Sales 및 KTB Trading 채권운용부 RP운용, 소매채권 및 Credit-Spread Trading FICC파생부 FICC구조화상품 발행 및 자체헤징, FX Trading 사업부소속 금융공학부 금융공학인프라 지원, Quant & Development 트레이딩지원팀 트레이딩 인프라(System, IT) 지원

37 [ 감 사 합 니 다 ]


Download ppt "(Securitized Derivatives)"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