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MNA를 이용한 입원환자의 초기 영양 상태 판정과 영양 검색 도구의 선정.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MNA를 이용한 입원환자의 초기 영양 상태 판정과 영양 검색 도구의 선정."— Presentation transcript:

1 MNA를 이용한 입원환자의 초기 영양 상태 판정과 영양 검색 도구의 선정

2 Content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Ⅳ 요약 및 결론 Ⅴ 참고 문헌
MNA를 이용한 입원 환자의 초기 영양 상태 판정과 영양 검색 도구의 선정 서론 Contents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및 고찰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3 Contents-Ⅰ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문제
MNA를 이용한 입원 환자의 초기 영양 상태 판정과 영양 검색 도구의 선정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문제 Contents-Ⅰ 서 론

4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전체 환자의 영양불량률 20~50% 질병 또는 치료 과정 사망률, 재원일수, 의료비용 증가
2013-1학기 학위논문 예비심사 사망률, 재원일수, 의료비용 증가 환자의 영양문제 초래 전체 환자의 영양불량률 20~50% 질병 또는 치료 과정 면역력 저하 감염 위험성 증가

5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JCAHO(Joint Commission for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에서는 입원 환자의 영양적 위험을 입원 초기부터 관리하기 위해 입원 후 24시간 이내 영양 평가를 실시할 것을 권고 우리나라의 경우 보건복지부의 의료기관평가 지침에 따라 입원 후 48시간 이내에 영양 검색을 수행하는 것을 평가 기준으로 선정 영양판정은 환자의 영양 상태를 구체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과정으로 신체계측, 생 화학적 검사 결과, 식습관 조사 등의 자료를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평가하고, 이 결과 에 따라 향후 환자의 영양관리 계획이 결정

6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입원 환자의 질병 치료 효과를 높이고 향상된 예후를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신속한
방법으로 영양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 입원 환자의 영양 불량 위험을 진단하기 위한 여러 가지 영양 검색 도구들이 개발 - MNA(Mini Nutritional Assessment - PG-SGA(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 NRS2002(Nutritional Risk Screening 2002) - SNAQ(Short Nutritional Assessment Questionnaire) 등 우리나라 각 병원에 입원한 환자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적합한지에 대한 연구 가 미흡, 영양 진단에 필요한 시간∙인력∙비용적 측면의 현실적인 제한이 존재

7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영양불량 위험환자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영양판정의 전 단계
로서 영양검색이 매우 중요 같은 대상자를 대상으로 영양 검색을 시행하더라도 검색 도구에 따라 영양불량 환자의 분포가 30~60%이상까지 큰 폭의 차이를 나타냄 본 연구에서는 영양판정의 결과를 최대한 정확히 예측할 수 있고 본 연구의 대상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특성에 맞는 정확하고 간단하며 객관적인 영양 검색 도구를 선정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

8 2. 연구 문제 본 연구는 서울시 동대문구 소재의 한 대학병원에 입원한 만 20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MNA를 이용하여 초기 영양 상태를 평가하였다. 이들의 영양 평가 결과와 두 가지 영양검색 도구와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어느 영양 검색 도구가 기준 결과 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영양불량률을 알아본다. 조사 대상자들의 신체 계측치와 영양불량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조사 대상자들의 생화학적 검사 결과와 영양불량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조사 대상자들의 식습관과 영양불량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조사 대상자들의 상병명과 영양불량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조사 대상자들의 재원일수와 영양불량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간소화된 두 가지 영양검색 도구의 결과와 MNA 결과를 비교해본다.

9 Contents-Ⅱ 연구방법 1. 조사 대상자 및 조사 기간 2. 조사 내용 및 방법 3. 분석 방법
MNA를 이용한 입원 환자의 초기 영양 상태 판정과 영양 검색 도구의 선정 1. 조사 대상자 및 조사 기간 2. 조사 내용 및 방법 3. 분석 방법 Contents-Ⅱ 연구방법

10 1. 조사 대상자 및 조사 기간 서울시 동대문구 소재의 한 대학병원 만 20세 이상의 입원 환자
성인의 일반 초기 영양 상태 평가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임산부, 영유아, 청소년 제외 중환자실(ICU), 완화의료과(호스피스) 입원환자 제외 Lab data 및 기타 수집 자료 누락 환자 제외 초기 영양 상태 판정을 위한 MNA 평가지 작성은 환자 면담을 통해 정보 수집 모든 자료는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연구자가 직접 기입 IRB 승인( ) 2013년 3월 31일부터 4월 8일까지 자료 수집 및 환자 면담 실시 총 12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 처리

11 2. 조사 내용 및 방법 만 20세 이상의 입원환자를 대상 초기 영양 상태 판정을 위해 입원 후 24~48시간 이내 MNA 수행하여 영양 상태 판정 MNA 결과를 환자의 현재 영양 상태를 평가하는 기준 지표로 설정 환자 기본 정보는 의무기록을 통해 확인 직접 면담을 통해 MNA 실시 후 기록 MNA 판정 결과에 대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영양 검색 도구의 정확성을 확인 비교할 영양 검색 도구 - A: 연령<65세, 알부민<3.5g/dl, 총 임파구수<1200cells/mm2 - B: 연령<65세, 알부민 <3.5g/dl, 총 임파구수<1200cell/mm2, BMI<18.5, Hb(남)<12g/dl, Hb(여)<10g/dl

12 2. 조사 내용 및 방법 일반사항 조사 대상자의 일반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연령, 성별, 진료과, 상병명, 재원일수 등을
원내 OCS를 통해 조사 2) 신체계측 - 신장과 체중은 각 병동에 비치한 신장계와 체중계를 이용하여 측정 - 이를 통해 체질량지수(BMI), 이상체중(IBW), 이상체중에 대한 비율(PIBW) 계산 - 상완위둘레(MAC), 종아리둘레(CC)는 동일한 측정자에 의해 같은 방법으로 측정 3) 생화학적 검사 - 혈액 내 알부민(Albumin), 헤모글로빈(Hemoglobin), 헤마토크릿(Hematocrit), 총 단백질(Total Protein), 총 임파구수(TLC, Total lympocyte count), 요소질소 (BUN, Blood urea nitrogen), 크레아티닌(Cr, Creatinine) 수치를 Lab data를 통해 수집

13 2. 조사 내용 및 방법 4) 식습관 조사 - MNA 항목을 바탕으로 단백질 식품 섭취 정도 조사
- 혼자 식사 가능 여부에 대해 조사 - OCS 통해 식이명(일반식/치료식/금식) 조사 5) MNA(Mini Nutritional Assessment) - Full-MNA form 사용 - 18개 조사 항목 - 신체계측 평가(체중 변화 여부, BMI 등), 생활방식 관련 평가(신체 활동 상태, 외출 가능 여부 등), 식사력 평가(식사 횟수, 단백질/채소 및 과일/수분 섭취 상태 등), 주관적인 평가(건강과 영양 상태에 대한 스스로의 인식 상태 등)의 4가지 큰 항목 - 결과: 영양 불량/영양 불량 위험/영양 상태 양호(3단계)

14 2. 조사 내용 및 방법 1차: 식욕변화, 체중변화, 활동 정도, 정신적 스트레스, 치매여부, BMI 등
Fig 1. 1차: 식욕변화, 체중변화, 활동 정도, 정신적 스트레스, 치매여부, BMI 등 2차: 식품 섭취 정도, 혼자 식사 가능 여부, 상완위 및 종아리 둘레 등

15 3. 분석 방법 SPSS 통계프로그램 이용 일반적 사항과 신체 계측치, 재원일수, 생화학적 검사결과는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
상병명, 단백질 식품 섭취율과 혼자 식사 가능 여부, 영양불량률은 백분율로 표시 MNA 결과에 따른 신체계측 조사 결과와 생화학적인 검사 결과, 식이(단백질 식품 섭취 정도, 혼자 식사 가능 여부, 식이명) 조사 결과, 상병명(암), 재원 일수 조사 결과 와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기 위해 one-way ANOVA 이용 4) 각 요소와의 상관 관계 분석을 위해 Spears man’s rank 이용 5) 두 영양 검색 도구의 적용에 따른 검색 결과의 일치도는 카이스퀘어검정 이용

16 Contents-Ⅲ 연구 결과 및 고찰 1. 연구 결과 2. 고찰
MNA를 이용한 입원 환자의 초기 영양 상태 판정과 영양 검색 도구의 선정 1. 연구 결과 2. 고찰 Contents-Ⅲ 연구 결과 및 고찰

17 1. 연구 결과 Table 1. Table 2. 영양불량 영양불량위험 양호 Total N(%) Age(years) sex
Diagnosis Cancer GI H.G.P CV Renal Lung DM OG Neuro Others Total Ratio(%) Patient in severe malnutrition(N) GI: gastro-intestinal disease, CV: cardiovascular disease, H.G.P: hepatic, gallbladder and pancreatic disease, DM: diabetic mellitus, OG: obstetrics and gynecologic disease, Neuro: neurotic disease

18 1. 연구 결과 Table 3. Table 4. 영양불량 영양불량위험 양호 Total N(%) Height(cm)
Weight(kg) BMI(kg/m2) PIBW(%) MAC(cm) CC(cm) BMI: body mass index, PIBW: percent of ideal body weight, MAC: mid-arm circumference, CC: calf circumference Table 4. 영양불량 영양불량위험 양호 Total Albumin(g/dl) T. protein(g/dl) TLC Hb(g/dl) Hct(%) BUN Cr(mg/dl) T. protein: serum total protein, TLC: total lymphocyte counts, Hb: hemoglobin, Hct: hematocrit, BUN: blood urea nitrogen, Cr: creatinine

19 1. 연구 결과 Fig 2.

20 Correlation coefficients(r)
1. 연구 결과 Table 5. Measures P values(p) Correlation coefficients(r) BMI(kg/m2) PIBW(%) MAC(cm) CC(cm) Albumin(g/dl) T. Ptotein(g/dl) Hemoglobin(g/dl) Hematocrit(%) TLC(cell/mm3) LOS(days) 단백질 섭취 정도 혼자 식사 가능 여부 식이명

21 1. 연구 결과 Table 6. 영양 검색 도구 A, B Table 7. 영양 검색 도구 A, B 결과 비교 A B Age
Albumin TLC BMI - Hb Table 7. 영양 검색 도구 A, B 결과 비교 영양불량 영양불량위험 양호 A N(%) B

22 1. 연구 결과 Table 8. 일치도 MNA A B 양호 영양불량위험 영양불량 total

23 1. 연구 결과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MNA를 이용한 영양 상태 판정 결과
등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MNA를 이용한 영양 판정 결과와 영양검색도구 A, B의 일치도 분석 결과 영양검색도구의 적합성

24 2. 고찰

25 MNA를 이용한 입원 환자의 초기 영양 상태 판정과 영양 검색 도구의 선정
Contents-Ⅳ 요약 및 결론

26 MNA를 이용한 입원 환자의 초기 영양 상태 판정과 영양 검색 도구의 선정
Contents-Ⅴ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28 Thank you


Download ppt "MNA를 이용한 입원환자의 초기 영양 상태 판정과 영양 검색 도구의 선정."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