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질병관리본부의 현황, 발전방향 및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 연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오 대 규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질병관리본부의 현황, 발전방향 및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 연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오 대 규"— Presentation transcript:

1 질병관리본부의 현황, 발전방향 및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 연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오 대 규
질병관리본부의 현황과 발전방향을 말씀 드릴 기회가 주어져서 큰 기쁨이고 영광이라 생각합니다. 본 포럼의 목적이 국내 바이오산업의 경쟁력 강화이므로 향후의 발전방향을 “바이오산업 강화와의 연계”라는 맥락에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2 질병관리본부 I. 질병관리 정책 방향과 질병관리본부의 비젼
질병관리본부 발족을 계기로 질병관리 정책 강화가 왜 이 시점에서 필요한지를 먼저 말씀 드리고 향후 우리나라 질병관리 정책 방향과 새롭게 정의 된 본부의 Vision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3 신종-변종-재출현 전염병으로 국가적 위기의 위험성 급증
질병관리체계 강화 배경 신종-변종-재출현 전염병으로 국가적 위기의 위험성 급증 생물테러의 현실화 비감염성 만성질환에 의한 질병부담 급증으로 국가 총 의료비용이 국가부담 능력을 추월 질병관리체계 강화를 위해 질병관리본부가 발족된 배경은 크게 3 가지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첫째, 다수의 신종-변종-재출현 전염병이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해서 이들이 창궐할 경우, 국가적 위기가 닥칠 위험성이 크게 늘어났고, 둘째, 이러한 위험성에다 주로 강력한 전염성 병원체를 무기화 한 생물테러가 실제 현실로 닥쳐 왔습니다. 또한 이미 잘 알려져 있다시피 비감염성 만성질환이 많이 발생하고 유병율이 높아져서 이에 의한 국가 질병부담이 급증하여 이에 적극 대처해야 할 필요가 커진 바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4 국내-외 질병 발생 현황 전염병 HIV, 출혈열, 뇌염, 말라리아 등 치명적 질환이 국지 문제에서 글로벌 문제로 확산
향후 질병관리본부가 어떻게 발전해 나갈 것인가를 결정하려면 질병발생 현황을 이해하고 여하히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가에 귀착될 것입니다. 우선 전염병 발생에 대해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첫째, 글로벌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치명적 전염병이 단지 국지적 문제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문제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림은 이런 전염병들이 전 세계에 걸쳐 확산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잘 보여 줍니다. 그림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가리지 않고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결국 이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하는 나라는 문제 해결을 쉽게 할 것이고 그렇지 못한 나라는 문제가 커지거나 기술적 예속을 받게 될 것입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5 국내-외 질병 발생 현황 전염병 SARS 등 치명적인 신종-변종-재출현 전염병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향후 질병관리본부가 어떻게 발전해 나갈 것인가를 결정하려면 질병발생 현황을 이해하고 여하히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가에 귀착될 것입니다. 2002년 말에서 2003년에 걸쳐 나타난 사스 (inset 그림 참조) 발생 현황입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중국을 중심으로 거의 전체 아시아 지역과 미국, 캐나다 등에서 발생한 바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6 국내-외 질병 발생 현황 전염병 인수공통 질환, 저항성 병원체 등 진단, 치료가 어렵고 대규모 발생이 우려되는 질병 출현-확산
탄저, 천연두 등 바이오테러 위협 증가 2001년11월30일 미국 탄저 발생 17 건 전염병 발생에 대해서 계속해서 말씀 드리자면, 둘째, 최근에 발생한 조류독감과 같이 인수공통 전염병이 계속 나타나고, 또 여러 약제에 내성을 갖는 균들이 계속해서 출현하여 치료를 매우 어렵게 되거나 치료 실패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생물테러는 미국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한 탄저의 예에서와 같이 더 이상 과학소설에 등장하는 스토리가 아니라 현실이 되어 있어 국가적 위기 상황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탄저, 천연두 같은 완전히 퇴치되어 인구의 대부분이 면역성을 갖지 않고 있는 전염병이 바이오테러 무기로 실제 사용되는 경우 엄청난 살상력을 갖게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7 국내-외 질병 발생 현황 비감염성 만성질환 (생활습성 관련 질환)
경제-사회-문화적 변화와 우리국민 life-style의 급속한 변화 Fast food 및 식사 습관과 관련이 깊고 다양한 만성질환의 위험요소인 비만 확산 한편, 비감염성 만성질환은 우리 나라의 경제-사회-문화적 발전과 함께 우리국민의 life-style이 서구화되면서 당뇨병, 고혈압, 천식, 골다공증, 암 등의 유병율이 급증하고 의료서비스 확대와 맞물려 총 국민의료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만성질환의 위험요소라고 확인된 바 있는 비만 문제가 어린이에서부터 노인 계층에 이르기까지 확산되고 있어, 만성질환이 앞으로 더 많이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8 국내-외 질병 발생 현황 만성질환에 의한 질병부담 급증 WHO 추계 전 세계 사망 59% 전체 질병부담 46% 미국 CDC
미국민 사망 70% 의료비 75% 우리나라 전체 사망 64.1%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9 5대 만성질환에 의한 사망통계 국내-외 질병 발생 현황 2002년 주요 질환 별 사망자 수 93,174 Total 뇌혈관 질환
37,134 2 35,473 3대 암(폐암, 위암, 간암) 5 3,352 결핵 4 5,125 고혈압성 질환 3 12,090 당뇨병 상위 5대 사망원인 통계자료입니다. 이 내용을 전에도 보신 분도 계실 줄 압니다만, 보시다시피 사망률에서 1위, 2위, 3위는 각각 뇌혈관질환 39.9%, 3대 암 38.1%, 당뇨병 13.0%이고, 4위 고혈압성질환(고혈압 및 심장질환)은 5.5%로서 상위 4대 원인이 만성질환에 의한 것이고 이들은 5대 사망원인 중 96.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10 국내-외 질병 발생 현황 생활습성 관련 질환 유병율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위에서 말씀 드린 사망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유병율이라고 판단됩니다. 그 이유는 그만큼 신체적 고통과 경제적 비용이 수반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보시는 연령대별 만성병 유병율은 질병관리본부가 경기도 안산과 안성 지역에서 수행하는 유전체역학조사에서 밝혀진 내용으로서, 당뇨병은 40대 8%에서 50대 15%, 60대 21%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골다공증 또한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에서 비교적 많은 고혈압 유병율은 40대 18%, 50대 35%, 60대 45%로서 다른 질병의 두 배의 유병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기할 것은 앞서 말씀 드린 비만의 유병율 또한 이와 유사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 내용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수치는 아니고 소규모(만 명) 샘플에서 조사된 내용입니다. 오늘 제가 우리나라 전체에 대한 유병율 또는 발생률에 대한 통계자료를 보여드릴 수 없는 것은 매우 유감이고, 이것은 질병관리본부가 더욱 발전해야 하는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입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11 국가 질병관리체계 강화 및 전문화 : 질병예방과 퇴치로 국민보건을 보호하고 질병 부담을 경감  질병으로부터 안전한 사회 구현
설립 취지와 목적 국가 질병관리체계 강화 및 전문화 : 질병예방과 퇴치로 국민보건을 보호하고 질병 부담을 경감  질병으로부터 안전한 사회 구현 전염병과 비감염성 질환에 대한 방역, 조사, 검역  전염병관리부 및 질병조사감시부  국립검역소 관련 시험-연구  국립보건연구원 질병관리본부의 설립취지와 목적은 우선, 전염병과 비감염성 질환(생활습성 관련 만성질환)에 대한 방역, 조사, 검역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고, 이를 전염병관리부, 질병조사감시부 및 국립검역소 등의 부서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음, 이러한 질병에 대한 시험과 연구 업무를 질병관리본부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의 4개 연구부서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질병연구의 국가 선도자로서 임무를 수행해서 보건과힉기술을 통한 국민건강 증진과 질병관리체계 확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12 조 직 도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세 균 부 전염병관리부 질병조사감시부 바 이 러 스 부 생 명 의 학 부 유전체연구부
신설 국립보건연구원 서무과 기획연구과 세 균 부 전염병관리부 질병조사감시부 - 장내세균과 - 내성세균과 - 병원체방어연구실 - 열대풍토질환과 등 6 과 바 이 러 스 부 - 소화기바이러스과 - 신경계바이러스과 - 면역결핍연구실 등 5 과 생 명 의 학 부 질병관리본부의 설립취지와 목적은 우선, 전염병과 비감염성 질환(생활습성 관련 만성질환)에 대한 방역, 조사, 검역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고, 이를 전염병관리부, 질병조사감시부 및 국립검역소 등의 부서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음, 이러한 질병에 대한 시험과 연구 업무를 질병관리본부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의 4개 연구부서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질병연구의 국가 선도자로서 임무를 수행해서 보건과힉기술을 통한 국민건강 증진과 질병관리체계 확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유전질환연구과 - 뇌질환연구과 등 4 과 유전체연구부 * 인천공항 (3급) 및 기타 12개 (4급) 국립검역소 - 유전체역학정보실 - 유전자원관리실 등 3 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13 연혁 및 R&D 내용 1940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Isolation of JBE Virus BCG Vaccine QC of Biologics WHO Global Influenza Surveillance First Report Legionellosis, Leptospirosis, HIV-1 infection CDMR Publish Biomedical Research Cholerae Vaccine Vaccine & antiserum for Korean war DPT JBE Dried Purified Pertussis Leptospirosis Human Genomics EHEC Diagnostics Cholerae 0139 serum Research & LRN for Bioterrorism 질병관리본부는 1940년대에 설립된 방역연구소를 기반으로 발전해왔으며 그 동안의 업적으로는 2003년도에 사스 감염에 대한 문제가 전 세계에 걸쳐 발생했을 때 적절한 대책으로 사스 감염의 국내 발생을 차단했고, 상당 기간 동안 대규모 설사병으로 문제시 되어 온 장티푸스, 콜레라 등의 방역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왔습니다. 기술개발 측면에서는 1940년대에서 1970년대 중반까지 DPT백신을 비롯한 전염병 예방을 위한 필수 예방백신을 직접 생산했으며, 1980년 대 이후에는 정제 백일해백신, 렙토스피라 백신 및 장출혈성대장균 진단용 혈청 등을 개발하여 보급했고, 기타 일본뇌염바이러스, 레지오넬라증, 렙토스피라증, HIV 등 주요 전염병병원체의 원인규명을 주도하였습니다. 또한 1996년 이후에는 만성병연구 및 유전체 연구조직이 신설되어 기존의 전염병 중심 연구기관으로부터 명실공히 질병 전반에 대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으로 그 기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14 새로운 Paradigm 제시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정책과 전략 중앙과 지방의 신속한 의사소통 및 격차 해소
인력 및 업무 전문화 공공과 민간의 협력 강화 국제협력 증대와 국내-외 신인도 제고 질병관리본부의 설립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15 질병관리 전략 선진 질병관리체계 구축 6대 기반 정책 별 전략 수립과 실행 [중점관리 질병군] 설정 및 달성 목표 수립
조직 개편-확대 제도 개선 전문인력 개발 정보화 촉진 물자 비축 연구개발 질병관리본부의 설립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16 질병관리 전략 중점관리 질병군 별 대응 체계 구축 질병감시 강화 역학조사 실시 공공실험실 진단 질병통제 대책
질병관리본부의 설립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17 질병관리본부 II. 질병관리 현황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질병관리본부의 설립취지와 목적은
우선, 전염병과 비감염성 질환(생활습성 관련 만성질환)에 대한 방역, 조사, 검역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고, 이를 전염병관리부, 질병조사감시부 및 국립검역소 등의 부서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음, 이러한 질병에 대한 시험과 연구 업무를 질병관리본부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의 4개 연구부서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질병연구의 국가 선도자로서 임무를 수행해서 보건과힉기술을 통한 국민건강 증진과 질병관리체계 확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18 질병관리 원론 질병관리 질병관리체계의 요소 검역, 예방접종 등 원천적 차단 : 1차 관리
조기진단-완치, 격리, 방역 (확산 차단) : 2차 관리 치료 등 마무리 조치 : 3차 관리  비용대비 효과 : 1차 >> 2차 >> 3차 질병관리체계의 요소 국가 차원의 감시-관리 시스템 : 질병관리본부 설립 실용적 과학기술 체계 : 첨단기술 연구개발 법률-법규 체계 : 제도 정비 대부분의 청중께서 질병관리 분야의 전문가가 아닐 것이라는 생각에서 질병관리의 개념에 대해서 잠깐 설명 드리자면, -가장 근본적이고 유효성이 높은 검역, 예방접종 등으로 질병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질병관리를 1차 관리, -질병이 발생하기는 했으나 조기진단-조기완치, 방역 등으로 문제가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방지하는 질병관리를 2차 관리, -그리고 모든 문제가 일어난 후에 후속 수습조치를 취하는 것을 3차 관리라고 합니다. 이런 질병관리의 체계를 생산성 및 비용대비 효과 측면에서 관찰하면, 원천적 차단 관리가 가장 효율이 높은 것을 쉽게 알 수 있고, 그것은 화재나 재해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생산성과 효율 상 가장 높은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고효율의 질병관리가 가능 하려면, 우선 집행체계인 국가차원의 질병감시 시스템이 작동해야 하고, 둘째, 실용적이고 효능이 확실한 기술체계를 갖추어야 합니다. 셋째, 이러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게끔 뒷받침하는 법률- 법규 체계가 정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사스 문제가 일어난 2003년에 사스 환자 발생에 대비해서 환자를 격리-수용할 병원을 지정했을 때 주위 주민들이 반대시위를 벌이는 바람에 지정병원을 철회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물론 국내에 사스 환자가 발생하지 않았기에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조류독감 등 인수공통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 주민이나 양계장 주인 등이 반대해서 신속한 격리-차단-폐기 등 필요한 조치가 취해지지 못했다면 어떤 결과를 초래했을 지, 또 사스가 실제로 발생했더라면 우리나라가 그런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였을까 자문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공공의 복리를 위한 필수적 조치를 실행할 수 있는 제반 법률적 기반이 확보되어야 하고 이를 보완-정비해 나가고 있습니다. 국가의 시스템은 이번 질병관리본부 설립으로 완전하지는 않으나 어느 정도 갖추어졌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질병관리는 결국 실용적 기술체계를 어떻게 갖추는가에 달려 있다고 봅니다. 이것은 결국 첨단기술의 연구개발 문제로 귀착되고, 특히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와 연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19 질병관리 현황 전염병 관리 현황 검역 : 질병 유입 및 확산 전 차단 전국 13 개 검역소 및 9 개 지소 방역 : 확산 차단
전국 245 개소 보건소, 17 개소 보건환경연구원 전략물자 (항바이러스제, 개인 보호장비 등) 비축 비상공급체계 확보 백신 국내 생산기반 확보 (2008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 질병관리 현황 전염병 관리 현황 예측, 예보, 경보, 감시 및 위기 대처 : 상시감시 결과 등 정보의 연계-통합 분석 및 제공
조류 독감 등의 반복 발생은 대유행의 전조 (?) 30년 주기설 (?) : 1968년 이후 대유행 없음 구분 스페인(1918년) 미 국 유 럽 우리나라 전체인구 20(백만 명) 270 400 50 발생환자 4.0(20%) 1.2~4.2 191 10 입원환자 - 1.9 12.9 1 사 망 자 20~40만 명(1~2%) 0.1~0.2 4.6 0.03 전염병 관리 내용에 대해서 말씀 드리자면, -검역, 방역 등에는 원인균의 정체를 규명하고, 감염자를 쉽고 정확하게 빨리 확인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 확산경로를 확인하고 이를 차단하는 방역업무가 상시 수행되고 있습니다. -전염병의 적극적인 1차 관리를 위해서 사용되는 백신은 고도의 전문 기술이 필요한 분야이고, 또한 그 유효성을 감시하려면 수천~수만 명을 대상으로 접종 효과를 판단해야 하는 일을 수행합니다. -관련된 모든 정보가 집적되고 연계되어 향후 발생 여부나 동향을 예측 할 수 있도록 분석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 드린 바와 같이 관련된 모든 업무를 지원하는 법률체계 또한 정비-제정됩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1 질병관리 현황 전염병 관리 현황 예방접종 : 중요 전염병 백신 확보 및 접종 확대
전염병 감시-관리 정보체계 : 특정 질환 보고 시스템, 환경 감시-분석, 해외 전염병 정보 연계 등 전염병 관리 내용에 대해서 말씀 드리자면, -검역, 방역 등에는 원인균의 정체를 규명하고, 감염자를 쉽고 정확하게 빨리 확인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 확산경로를 확인하고 이를 차단하는 방역업무가 상시 수행되고 있습니다. -전염병의 적극적인 1차 관리를 위해서 사용되는 백신은 고도의 전문 기술이 필요한 분야이고, 또한 그 유효성을 감시하려면 수천~수만 명을 대상으로 접종 효과를 판단해야 하는 일을 수행합니다. -관련된 모든 정보가 집적되고 연계되어 향후 발생 여부나 동향을 예측 할 수 있도록 분석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 드린 바와 같이 관련된 모든 업무를 지원하는 법률체계 또한 정비-제정됩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2 질병관리 현황 전염병 관리 현황 제도 개선 및 법률체계 정비 신고-보고 진단기준 표준화 표본감시체계 역학조사체계 예방접종등록
예방접종 피해조사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3 질병관리 현황 만성병 관리 현황 1차 관리 : 건강증진, 질병관련 환경 요소 관리 등
국민건강증진사업 : 전국 245 개 보건소 건강생활 실천 : 운동, 금연-절주, 영양 개선 등 생애주기 별 건강증진 2차 관리 : 조기진단, 적극적 치료, 합병증 억제 등 건강보험 및 의료서비스 제공 취약계층 의료 지원 암 검진 등 만성질환 관리 강화 현재 비감염성 만성질환의 관리 현황은, -질병관리본부가 직접 수행하고 있지는 않지만 국민건강증진사업을 통해서 금연 프로그램, 운동 프로그램 등 1차 관리사업이 실시되고 있습니다. -또 2차 관리로서 국민건강보험과 의료서비스를 전 국민에게 제공하여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고 수준의 의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 드린 바대로 인간유전체 연구 결과가 실용화되어 만성질환을 원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질병관련 인간유전체 분야의 기반 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동 연구는 국내 민간분야의 연구개발을 지원- 촉진하기 위해 한국인 유전체 형질 분석 등 파급효과가 높은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뒤에 조금 더 설명 드리겠습니다. 이것이 가능해 지려면 거대규모의 연구개발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는 바로 이 분야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 질병관리본부는 모든 노력을 다해서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또한 이를 위해서 필요한 제반 정보를 수집-연동-연계-통합-분석하는 정보체계를 신속히 구축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4 질병관리 현황 만성병 관리 현황 근본적 관리 : 예측 (감수성 측정), 발현 전 진단, 예방 (발병 억제)
질병관련 유전체 연구 등 초기 기반 연구개발 수행 만성병 감시-관리 정보체계 구축 추진 중 현재 비감염성 만성질환의 관리 현황은, -질병관리본부가 직접 수행하고 있지는 않지만 국민건강증진사업을 통해서 금연 프로그램, 운동 프로그램 등 1차 관리사업이 실시되고 있습니다. -또 2차 관리로서 국민건강보험과 의료서비스를 전 국민에게 제공하여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고 수준의 의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 드린 바대로 인간유전체 연구 결과가 실용화되어 만성질환을 원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질병관련 인간유전체 분야의 기반 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동 연구는 국내 민간분야의 연구개발을 지원- 촉진하기 위해 한국인 유전체 형질 분석 등 파급효과가 높은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뒤에 조금 더 설명 드리겠습니다. 이것이 가능해 지려면 거대규모의 연구개발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는 바로 이 분야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 질병관리본부는 모든 노력을 다해서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또한 이를 위해서 필요한 제반 정보를 수집-연동-연계-통합-분석하는 정보체계를 신속히 구축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5 III. 질병관리 기술체계 확보를 통한 발전 방향과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 연계 방안
질병관리본부 III. 질병관리 기술체계 확보를 통한 발전 방향과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 연계 방안 질병관리본부의 설립취지와 목적은 우선, 전염병과 비감염성 질환(생활습성 관련 만성질환)에 대한 방역, 조사, 검역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고, 이를 전염병관리부, 질병조사감시부 및 국립검역소 등의 부서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음, 이러한 질병에 대한 시험과 연구 업무를 질병관리본부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의 4개 연구부서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질병연구의 국가 선도자로서 임무를 수행해서 보건과힉기술을 통한 국민건강 증진과 질병관리체계 확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6 질병관리본부 년도별 주요사업 목표 주요 사업 년도별 목표 건강수명연장 전염병 근절 예방접종 등록율 백신개발
68세 75세 홍역 사상충 말라리아 30% 50% 95% 탄저 임상실험 독감백신 국내생산 두창 차세대 4만 7만 10만 10+ 5만 46% 47% 45% 40% 주요 사업 년도별 목표 '04 ~ ‘05 '06 '07 '08 '09 '10 건강수명연장 전염병 근절 예방접종 등록율 백신개발 유전자원확보(Genome Bank) 혈청자원확보(Serum Bank) 만성병 유병율 (목표) 세균성 이질 질병관리본부의 설립취지와 목적은 우선, 전염병과 비감염성 질환(생활습성 관련 만성질환)에 대한 방역, 조사, 검역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고, 이를 전염병관리부, 질병조사감시부 및 국립검역소 등의 부서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음, 이러한 질병에 대한 시험과 연구 업무를 질병관리본부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의 4개 연구부서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질병연구의 국가 선도자로서 임무를 수행해서 보건과힉기술을 통한 국민건강 증진과 질병관리체계 확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7 질병관리 국가체계 확립 전염병 관리 국가체계 강화 감시, 예측, 예보, 경보 등 위기대처 능력 제고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상시 감시를 위한 국가 체계에 대해 좀 더 말씀 드리자면, 상당히 방대한 일을 수행하여야 하고, 질병관리본부의 행정력의 대부분이 투입되는 일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림 왼쪽은 우리나라가, 오른쪽은 독일이 구축하고 있는 국가체계로서, 큰 차이가 없습니다만, 독일의 경우 더 광범위한 정보 수집을 목표로 하고 있는 점이 다를 뿐입니다. 물론 이 부분은 국가가 담당해야 할 일이지만 민간의 많은 전문가가 자문위원으로 참여할 수 있고 또 하셔야 합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8 질병관리 기술체계 확보 전염병 관리 기술 검역 : 원인균 정체, 감염자 및 감염여부 등 확인
방역 : 원인균 정체 및 확산경로 확인, 확산 차단 예측, 예보, 경보, 감시 : 관련 정보 연계-통합 분석 예방접종 :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유효한 백신 확보 전염병 감시-관리 정보체계 : 특정 질환 보고 시스템, 환경 감시-분석, 해외 정보 연계, 정보서비스 등 질병관리본부의 향후 발전의 핵심은 필수 기술체계 확보 방안에 있다고 할 수 있고 이는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와 직접적 연관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이들을 한꺼번에 묶어서 말씀 드리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우선 전염병 관리에 필요한 기술체계를 말씀 드리자면, -검역, 방역 등에는 원인균의 정체를 규명하고, 감염자를 쉽고 정확하게 빨리 확인할 수 있는 진단-분석 기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그 확산경로를 확인하고 이를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전염병의 적극적인 1차 관리를 위해서 사용되는 백신은 고도의 전문 기술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관련된 모든 정보가 집적되고 연계되어 향후 발생 여부나 동향을 예측 할 수 있도록 고도로 전문화된 고속정보 인프라와 S/W가 필요합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9 질병관리 기술체계 확보 전염병 관리 기술 신속-정확-간편한 진단기술 : Real-Time 또는 Near Real-Time 진단, microarray, lab-on-a-chip 실험실 표준화, 기능 강화 및 실험실 감시 확대 결국 전염병 관리를 위한 기술체계는 몇 가지로 대별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이 전염병의 원인균을 신속-정확-간편하게 진단하는 기술입니다. 그 이유는 현장에서 신속하게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 때 그 판단기준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첨단 기술을 사용하면 불필요한 격리, 차단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있고, 또 반대로 필요할 때 그런 조치를 즉각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이런 기술을 갖고 있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의 차이는 엄청난 것입니다. 지난 번 사스 상황에서 큰 역할을 한 바 있는 공항 검색대에 비치된 체온감지 장치 같은 것이 그 좋은 예입니다. 비록 그 장치는 사스를 검출하지는 못하지만, 의심되는 환자를 분별해 냄으로써 효율과 능률에서 엄청난 차이를 가져왔습니다. 그림은 본부가 바이오테러에 대비하여 외부 협력기관과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탄저포자 검출기술이고 하나의 예에 불과합니다. 여기에는 microarray 등 최첨단 기술이 포함되어 있고 향후 Lab-on-a-chip 수준까지 끌어올릴 예정입니다. 물론 이런 기술이 사스, 혈액감염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HIV, 간염 바이러스 등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30 질병관리 기술체계 확보 전염병 관리 기술 약제 내성 및 전염성 증가 기전 제어-활용 기술 내성/전염성 증가 신종
병원체 출현 기전 전염병 관리를 위한 기술체계 중 둘째는, -계속 확산 일로에 있는 약제 내성균의 제어에 관한 것입니다. 이 문제는 우리나라에도 이미 심각한 수준에 처해있고 어떤 방법으로든 해결되어야 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methicillin-vancomycin 저항성 포도상구균은 (MRSA, VRSA) 전 세계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고 그 균을 치료 하려면 거의 항암제 치료 수준의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문제가 되는 저항성 균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개발을 통해서 경쟁력도 강화하고 또 산업적 성과를 올릴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본부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적 기반을 쌓고 있고 민간분야와 적극적으로 협력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셋째는, 먼저 말씀 드린 것과 일부 관련된 것이지만, 감염성 병원체 전반에 걸친 기술로서, 원인균의 정체 뿐만 아니라 감염원, 감염경로 추적에 사용 될 수 있는 분자-유전자-유전체 수준의 finger-printing 기술입니다. 보시는 왼쪽 그림은 유전체 구조에 기반을 둔 분류체계이고, 가운데는 유전자 발현, 오른쪽은 단백질 발현 검색 시스템입니다. 나아가 여기에서 생산되는 방대한 정보를 통합-관리-분석하는 정보 체계를 갖추어야 합니다. 이 분야 또한 민간과의 협력이 절실한 부분이라고 하겠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31 질병관리 기술체계 확보 전염병 관리 기술 분자-유전자-유전체 수준의 finger-printing : 분석 기술, 정보 연계-관리-처리 기술 등 전염병 관리를 위한 기술체계 중 둘째는, -계속 확산 일로에 있는 약제 내성균의 제어에 관한 것입니다. 이 문제는 우리나라에도 이미 심각한 수준에 처해있고 어떤 방법으로든 해결되어야 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methicillin-vancomycin 저항성 포도상구균은 (MRSA, VRSA) 전 세계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고 그 균을 치료 하려면 거의 항암제 치료 수준의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문제가 되는 저항성 균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개발을 통해서 경쟁력도 강화하고 또 산업적 성과를 올릴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본부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적 기반을 쌓고 있고 민간분야와 적극적으로 협력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셋째는, 먼저 말씀 드린 것과 일부 관련된 것이지만, 감염성 병원체 전반에 걸친 기술로서, 원인균의 정체 뿐만 아니라 감염원, 감염경로 추적에 사용 될 수 있는 분자-유전자-유전체 수준의 finger-printing 기술입니다. 보시는 왼쪽 그림은 유전체 구조에 기반을 둔 분류체계이고, 가운데는 유전자 발현, 오른쪽은 단백질 발현 검색 시스템입니다. 나아가 여기에서 생산되는 방대한 정보를 통합-관리-분석하는 정보 체계를 갖추어야 합니다. 이 분야 또한 민간과의 협력이 절실한 부분이라고 하겠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32 질병관리 기술체계 확보 전염병 관리 기술 백신 개발-제조 기술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다음으로, 각종 전염병의 원천적 관리를 위한 백신 개발 및 제조 기술 입니다. 이 분야는 상당한 기술력을 갖추어야 하고 또 임상시험 등 난관이 있습니다만, 이 또한 우리나라 경쟁력 확보-강화를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분야라고 생각됩니다. 그림은 미국 CDC가 규명한 사스 바이러스와 그 유전체 구조 및 감염 메커니즘에 대한 것입니다. 이런 기반 정보가 있고 바이러스가 확보되어야 백신도 개발할 수 있는 것입니다. 민간에서 개별적으로 이런 방대한 일을 할 수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고, 따라서 질병관리본부는 이와 같은 기반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민간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해서 우수한 효능을 가진 백신을 개발하는 협력체계가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33 질병관리 기술체계 확보 전염병 관리 기술 감시, 예측, 예보, 경보 : 상시 감시 체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전염병 관리를 위한 기술체계 중 마지막은 -상시 감시체계를 가동하고, 끊임없는 자료와 정보 채집-수집, 이를 바탕으로 하는 예측-예보 시스템을 갖추고 관련된 정보를 확산시키는 것입니다. 아마도 이 부분은 국가가 담당해야 할 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정보를 관리하고 분석하는 분야는 민간이 협력할 수 있는 많은 일들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34 질병관리 기술체계 확보 만성병 관리 기술 적극적 건강관리 및 질병유발 환경요소 관리 등
대규모 역학조사사업 수행 : 건강 위해요소 파악 영양, 식이, 주거환경, 직업 등 환경인자 개선 대책 앞에서 효율적인 질병관리는 결국 실용적 기술체계를 어떻게 갖추는가에 달려 있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이것은 결국 첨단기술의 연구개발 문제로 귀착되고, 특히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와 직결되어 있다고 해도 무방하겠습니다. 비감염성 만성질환의 관리기술 분야는 -질병관리본부가 직접 수행하고 있지는 않지만 국민건강증진사업을 통해서 금연 프로그램, 운동 프로그램 등이 실시되고 있습니다. -또 2차 관리로서 국민건강보험과 의료서비스를 전 국민에게 제공하여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고 수준의 의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 드린 바대로 인간유전체 연구 결과가 실용화되어 만성질환을 원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질병관련 인간유전체 분야의 기반 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동 연구는 국내 민간분야의 연구개발을 지원- 촉진하기 위해 한국인 유전체 형질 분석 등 파급효과가 높은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뒤에 조금 더 설명 드리겠습니다. 이것이 가능해 지려면 거대규모의 연구개발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는 바로 이 분야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 질병관리본부는 모든 노력을 다해서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또한 이를 위해서 필요한 제반 정보를 수집-연동-연계-통합-분석하는 정보체계를 신속히 구축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35 질병관리 기술체계 확보 만성병 관리 기술 적극적 조기진단 및 치료, 합병증 억제
질병 메커니즘 연구 및 활용기술 개발 (지원-협력) 대부분의 청중께서 질병관리 분야의 전문가가 아닐 것이라는 생각에서 질병관리의 개념에 대해서 잠깐 설명 드리자면, 가장 기초적이고 유효성이 높은 검역, 예방접종 등으로 질병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질병관리를 1차 관리, 질병이 발생하기는 했으나 조기진단-조기완치, 방역 등으로 문제가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방지하는 질병관리를 2차 관리, 그리고 모든 문제가 일어난 후에 후속 수습조치를 취하는 것을 3차 관리라고 합니다. 이런 질병관리의 체계를 생산성 및 비용대비 효과 측면에서 관찰하면, 원천적 차단 관리가 가장 효율이 높은 것을 쉽게 알 수 있고, 그것은 화재나 재해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생산성과 효율 상 가장 높은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고효율의 질병감시가 가능 하려면, 우선 국가차원의 질병감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해야 하고, 둘째, 실용적이고 효능이 확실한 기술체계를 갖추어야 합니다. 국가의 시스템은 이번 질병관리본부 설립으로 완전하지는 않으나 어느 정도 갖추어졌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질병관리는 결국 실용적 기술체계를 어떻게 갖추는가에 달려 있다고 판단됩니다. 이것은 결국 첨단기술의 연구개발 문제로 귀착되고, 특히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와 직결되어 있다고 해도 무방하겠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36 질병관리 기술체계 확보 만성병 관리 기술 예측 (감수성 측정), 발현 전 진단, 예방 (발병 억제)
예측 (감수성 측정), 발현 전 진단, 예방 (발병 억제) 질병관련 유전체 기반 연구 (한국인 형질 분석) 질병관련성 분석 및 실용화 연구개발 지원-협력 대부분의 청중께서 질병관리 분야의 전문가가 아닐 것이라는 생각에서 질병관리의 개념에 대해서 잠깐 설명 드리자면, 가장 기초적이고 유효성이 높은 검역, 예방접종 등으로 질병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질병관리를 1차 관리, 질병이 발생하기는 했으나 조기진단-조기완치, 방역 등으로 문제가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방지하는 질병관리를 2차 관리, 그리고 모든 문제가 일어난 후에 후속 수습조치를 취하는 것을 3차 관리라고 합니다. 이런 질병관리의 체계를 생산성 및 비용대비 효과 측면에서 관찰하면, 원천적 차단 관리가 가장 효율이 높은 것을 쉽게 알 수 있고, 그것은 화재나 재해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생산성과 효율 상 가장 높은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고효율의 질병감시가 가능 하려면, 우선 국가차원의 질병감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해야 하고, 둘째, 실용적이고 효능이 확실한 기술체계를 갖추어야 합니다. 국가의 시스템은 이번 질병관리본부 설립으로 완전하지는 않으나 어느 정도 갖추어졌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질병관리는 결국 실용적 기술체계를 어떻게 갖추는가에 달려 있다고 판단됩니다. 이것은 결국 첨단기술의 연구개발 문제로 귀착되고, 특히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와 직결되어 있다고 해도 무방하겠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37 질병관리 기술체계 확보 만성병 관리 기술 만성병 감시-관리 정보체계 : 발생률, 유병율 등 제반 건강-질병통계 확보 및 연구 관련 정보 제공 앞에서 효율적인 질병관리는 결국 실용적 기술체계를 어떻게 갖추는가에 달려 있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이것은 결국 첨단기술의 연구개발 문제로 귀착되고, 특히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와 직결되어 있다고 해도 무방하겠습니다. 비감염성 만성질환의 관리기술 분야는 -질병관리본부가 직접 수행하고 있지는 않지만 국민건강증진사업을 통해서 금연 프로그램, 운동 프로그램 등이 실시되고 있습니다. -또 2차 관리로서 국민건강보험과 의료서비스를 전 국민에게 제공하여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고 수준의 의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 드린 바대로 인간유전체 연구 결과가 실용화되어 만성질환을 원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질병관련 인간유전체 분야의 기반 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동 연구는 국내 민간분야의 연구개발을 지원- 촉진하기 위해 한국인 유전체 형질 분석 등 파급효과가 높은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뒤에 조금 더 설명 드리겠습니다. 이것이 가능해 지려면 거대규모의 연구개발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는 바로 이 분야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 질병관리본부는 모든 노력을 다해서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또한 이를 위해서 필요한 제반 정보를 수집-연동-연계-통합-분석하는 정보체계를 신속히 구축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38 질병관리 본부의 소명 보건복지 주요정책 : 보건산업의 핵심전략화 일류국가 도약의 선결과제 보건산업 무역역조 34억 $
선진국과 기술격차 : 4.5 년 의약품 12 위, 식품 18 위, 의료기기 20 위, 화장품 9 위 선진국 대비 R&D 투자 매우 미흡 정부 R&D 예산 중 보건의료 부문 : 5.7 % (OECD 평균 : 8 %) 제약기업 매출대비 R&D 투자비율 : 5 % (미·일 : 15~20 %) 대부분의 청중께서 질병관리 분야의 전문가가 아닐 것이라는 생각에서 질병관리의 개념에 대해서 잠깐 설명 드리자면, 가장 기초적이고 유효성이 높은 검역, 예방접종 등으로 질병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질병관리를 1차 관리, 질병이 발생하기는 했으나 조기진단-조기완치, 방역 등으로 문제가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방지하는 질병관리를 2차 관리, 그리고 모든 문제가 일어난 후에 후속 수습조치를 취하는 것을 3차 관리라고 합니다. 이런 질병관리의 체계를 생산성 및 비용대비 효과 측면에서 관찰하면, 원천적 차단 관리가 가장 효율이 높은 것을 쉽게 알 수 있고, 그것은 화재나 재해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생산성과 효율 상 가장 높은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고효율의 질병감시가 가능 하려면, 우선 국가차원의 질병감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해야 하고, 둘째, 실용적이고 효능이 확실한 기술체계를 갖추어야 합니다. 국가의 시스템은 이번 질병관리본부 설립으로 완전하지는 않으나 어느 정도 갖추어졌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질병관리는 결국 실용적 기술체계를 어떻게 갖추는가에 달려 있다고 판단됩니다. 이것은 결국 첨단기술의 연구개발 문제로 귀착되고, 특히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와 직결되어 있다고 해도 무방하겠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39 질병관리 본부의 소명 질병관리본부의 역할 1. 국민건강을 지키는 파수꾼의 역할입니다.
질병으로부터 안전; 건강한 생활 영위 < 국민 웰빙 시대 > 바이오산업 발전 촉진 < 국민소득 2만$ 시대 > 질병 건강 관리 생명의과학 연구개발 1. 국민건강을 지키는 파수꾼의 역할입니다. 2. 국가 성장산업을 일으키는 산파역입니다. 질병관리본부의 역할 고령화 사회 진입 선진형 생활패턴 추구 정보화 사회 후속사업 대부분의 청중께서 질병관리 분야의 전문가가 아닐 것이라는 생각에서 질병관리의 개념에 대해서 잠깐 설명 드리자면, 가장 기초적이고 유효성이 높은 검역, 예방접종 등으로 질병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질병관리를 1차 관리, 질병이 발생하기는 했으나 조기진단-조기완치, 방역 등으로 문제가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방지하는 질병관리를 2차 관리, 그리고 모든 문제가 일어난 후에 후속 수습조치를 취하는 것을 3차 관리라고 합니다. 이런 질병관리의 체계를 생산성 및 비용대비 효과 측면에서 관찰하면, 원천적 차단 관리가 가장 효율이 높은 것을 쉽게 알 수 있고, 그것은 화재나 재해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생산성과 효율 상 가장 높은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고효율의 질병감시가 가능 하려면, 우선 국가차원의 질병감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해야 하고, 둘째, 실용적이고 효능이 확실한 기술체계를 갖추어야 합니다. 국가의 시스템은 이번 질병관리본부 설립으로 완전하지는 않으나 어느 정도 갖추어졌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질병관리는 결국 실용적 기술체계를 어떻게 갖추는가에 달려 있다고 판단됩니다. 이것은 결국 첨단기술의 연구개발 문제로 귀착되고, 특히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와 직결되어 있다고 해도 무방하겠습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Download ppt "질병관리본부의 현황, 발전방향 및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 연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오 대 규"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