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주민 참여 모니터링 2015. 10 강 민 정.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주민 참여 모니터링 2015. 10 강 민 정."— Presentation transcript:

1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주민 참여 모니터링 강 민 정

2 목 차 서론 I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의 개요 II 조사 설계 III 결과 IV V 정책 제언

3 서 론

4 연구 배경 및 필요성 ‘마을 만들기’는 일반적으로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자발적 의지와 참여 속에 마을의 물리적·사회문화적·경제적 환경을 종합적으로 개선하여 지속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음.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은 마을건강위원회를 중심으로 마을 주민들이 직접 사업계획에 참여하며,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사업을 수행하는 자발적인 주민주도형 마을 만들기 사업이라 할 수 있음. 현재 2차년도에 돌입한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실질적인 “주민참여 및 주민주도”이나,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에 대한 마을 전체 주민의 체감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적극적인 참여가 부족한 실정임.

5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주민 주도형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이 마을건강위원회 운영을 중심으로 지역주민 모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주도하여 일회성 사업이 아닌 지속 가능한 건강마을이 되도록 주민 참여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며, 나아가 지역주민 주도로 사업을 계획하고, 추진하며, 평가하여 향후 자립형 건강마을로의 정착 및 주민주도형 사업의 정착·확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임.

6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의 개요

7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의 개념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은 경상북도 331개 읍·면·동의 3년간(2008~ 2010년) 표준화 사망률과 23개 시·군의 5년간(2008~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13년에 11월에 발표한 우리마을 건강지도 설명회로 시작되었음.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은 우리마을 건강지도에 나타난 경상북도 건강취약지역의 우선적 보건문제해결을 통한 지역 형평성 제고와 수요자 중심의 민·관 협력 맞춤형 통합 서비스로 주민의 체감도를 향상하기 위한 사업으로 정의하고 있음.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의 대상 지역은 건강취약지역 20개 마을임.

8 연번 시군명 대상 비고 전체 대상마을 1 포항시 남구 청림동 524,093 6,777 58,785 911 2 북구 기북면
인구(명) 65세 이상 노인수 비고 전체 대상마을 1 포항시 남구 청림동 524,093 6,777 58,785 911 2 북구 기북면 1,304 550 3 경 주 시 황남동 270,493 7,128 44,536 1,906 4 김 천 시 대덕면 136,858 2,461 26,393 886 5 안 동 시 남후면 169,904 2,192 32,561 861 6 구미시(선산) 도개면 425,388 2,582 28,059 885 7 영 주 시 안정면 113,417 3,480 22,780 1,138 8 상 주 시 모서면 104,170 2,806 26,432 914 9 문 경 시 마성면 76,245 3,966 18,004 1,456 10 군 위 군 산성면 24,681 1,309 8,176 581 11 의 성 군 옥산면 56,636 2,065 19,239 738 12 청 송 군 현서면 26,707 2,573 8,189 878 13 영 양 군 입암면 18,491 2,337 5,740 873 14 영 덕 군 축산면 40,743 3,238 12,417 1,104 15 청 도 군 각남면 44,510 2,311 13,174 850 16 고 령 군 우곡면 36,776 1,935 8,364 704 17 성 주 군 대가면 46,421 2,555 11,364 828 18 칠 곡 군 석적읍 124,830 31,954 14,385 1,194 19 예 천 군 감천면 45,985 3,007 14,383 1,168 20 울 진 군 원남면 53,013 2,441 12,449 1,023

9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의 내용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은 2014년부터 2016년간 3년간 단계별로 사업 추진

10 사업 운영 체계로는 주민자치조직인 마을건강위원회를 중심으로 마을건강지기가 실무역할을 담당하며, 통합건강증진사업지원단의 지원교수 인 의과대학·간호대학 교육 1인씩 20개 마을의 자문교수로 기술지원을 담당하고, 경상북도와 시·군에서는 사업수행을 위해 행정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음.

11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의 추진 현황 일정별 추진 현황 ∘ 경상북도 건강새마을 사업 지침 설명회 : 2014. 2. 12
∘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20개 마을 선정 : ∘ 사업대상지역 보건소 담당자 대상 전략개발 세미나 : ∘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지원교수 및 자문위원 회의(3회) : , 5. 7, 11. 3 ∘ 건강조사 설문지표 확정 및 홍보리플렛(안) 선정 : ∘ 보건소 담당자 강원도 건강플러스 사업 현지견학 : ∘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추진을 위한 워크숍 : ~10 ∘ 경상북도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추진 담당자 워크숍 : ∘ 지역주민들과 함께 하는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워크숍(2회) : , 10. 6~7

12 ∘ 1차년도 지역주민들과 함께 하는 성과대회 : ~17 ∘ 1차년도 추진실적 및 2차년도 사업 계획 평가 : ∘ 2차년도 전략개발 세미나 : ∘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소식지 발간(창간호) ∘ 건강리더와 함께하는 워크숍 : ∘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협의체 구성 : 월 ~ 월 : 총 22명(마을 건강리더 20명, 자문위원 2명) ∘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해외 선진마을 견학(일본) : ∼15(1기), 5.19∼22(2기), 3박4일 : 총 46명(건강리더 20명, 시군 20명, 지원단 4명, 도 2명) : 일본(히사야마·오야마·유휴인마을, 후쿠오카 시민복지플라자) ∘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협의체 워크숍 : ~17

13 조 사 설 계

14 연구 대상 및 방법 설문조사 : 20개 지역 건강위원 316명 대상 자기기입식 조사 초점 집단 면접
- 지역주민 : 선정된 10개 지역의 주민 6~8명씩 총 67명 - 마을건강지기 : 3개 권역(남부, 중부, 북부) 구분하여 실시 개별 심층 면접 - 건강위원 : 선정된 6개 지역 실시 - 보건소담당자 : 20개 지역 담당자(메르스로 인해 17명 실시) - 보건소장, 시군의원, 면장 – 선정된 2개 지역씩 실시 현장모니터링 : 선정된 6개 지역 실시

15 지역 설문조사 초점 집단 면접(FGI) 개별 심층 면접 현장 모니터링 건강위원 마을건강지기 (3개 권역별) 지역주민 보건소 담당자 시군 의원 마을건강 위원장 보건 소장 면장 포항시 남구 청림동 포항시 북구 기북면 경주시 황남동 김천시 대덕면 안동시 남후면 구미시(선산) 도개면 영주시 안정면 상주시 모서면 문경시 마성면 군위군 산성면 의성군 옥산면 청송군 현서면 영양군 입암면 영덕군 축산면 청도군 각남면 고령군 우곡면 성주군 대가면 칠곡군 석적읍 예천군 감천면 울진군 원남면

16 연구 내용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이 본래 취지 및 목적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파악
주민참여 및 주민주도 사업에 대한 인식과 건강새마을 사업에 대한 의견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에 대한 관심과 인식 및 사업 전반에 대한 의견 현장 모니터링은 무작위로 선정된 6개 지역의 9개 마을을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건강위원회 회의 참관, 마을의 환경 조사, 프로그램 운영 현장 방문 및 프로그램 참여 주민 현장 인터뷰 등을 통해 주민 참여 및 주민 주도형 건강새마을 사업이 원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여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 설문조사, 초점 집단 면접, 개별 심층 면접 및 현장 모니터링 결과를 종합하여 지역주민 주도로 사업을 계획·추진·평가하는 자립형 건강마을로의 정착 및 주민주도형 사업의 정착·확산 방안 도출

17 연구진 및 자문위원단 구분 성명 소속 및 직책 연구진 강민정 경북행복재단 교육훈련팀장 김건엽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홍남수
김미한 경일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김상규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김종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이경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이중정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한영란 동국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황준현 황태윤

18 결 과

19 설문 조사 결과 대상자 일반적 특성은 건강위원 총 316명 중 남자가 81.0%, 여자가 19.0%이었으며, 연령대는 50~59세가 44.0%로 가장 많았음. 건강새마을 사업의 가장 큰 특징 구 분 N % 전체 316 100.0 사업기간이 3년으로 길다 6 1.9 보건소 직원뿐만 아니라 전문가(대학 교수 등)가 참여한다. 26 8.2 거의 모든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사업을 진행한다. 25 7.9 보건소 직원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준다. 85 26.9 주민들을 대상으로 건강(보건)에 대한 내용이외에 다양한 교육을 해준다. 76 24.1 보건사업 결정과정에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참여시키려고 노력한다. 84 26.6 면장님, 도의원 등 보건소 외부의 다른 기관에서도 관심이 많다. 12 3.8 기타의견 2 0.6

20 90.5%의 건강위원이 주민주도 사업이 보건소 주도 사업에 비해 효과적이라고 응답
건강새마을 대상 지역으로 선정된 이유 90.5%의 건강위원이 주민주도 사업이 보건소 주도 사업에 비해 효과적이라고 응답 - 이유 : 주민의 직접 참여로 주인의식 고취, 주민들의 높은 만족도, 지역주민간 신뢰형성과 단합 및 지역에 대한 애착 - 효과적이지 않은 이유 : 농촌지역의 특성상 고령화 문제 심각, 건강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 , 경험과 능력이 부족하여 관주도가 어느 정도는 지속되어야 함 구 분 N % 전체 316 100.0 면장님과 면사무소의 관심도가 높기 때문에 30 9.5 그동안 보건소 사업에 협조를 잘 했기 때문에 25 7.9 우리 마을의 건강수준이 낮기 때문에(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199 63.0 우리 마을 시(군)의원이나 도의원의 관심도가 높기 때문에 11 3.5 지역주민이나 이장들의 관심도가 높기 때문에 47 14.9 기타의견 4 1.3

21 건강위원회 회의 적극 참여 여부 구 분 N % 전체 316 100.0 회의 적극 참여 여부 매우 그렇다 107 33.9
그런 편이다. 191 60.4 그렇지 않은 편이다. 13 4.1 매우 그렇지 않다 5 1.6 적극 참여 이유1) 주민들의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174 58.2 이장으로서(단체의 대표로서) 주민들의 의견을 대변하기 위해서 42 14.0 내 스스로 배우고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39 13.0 우리 지역의 건강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빨리 개선하기 위해서 44 14.7 적극 참여 못하는 이유2) 일하기 바쁘고 시간이 없기 때문에 12 70.6 건강은 개인이 노력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로 마을에서 특별히 할 일이 없기 때문 2 11.8 마을의 건강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지 잘 모르기 때문에 3 17.6 보건소 직원이나 대학교수가 시키는 대로 하면 되기 때문에 -

22 마을 건강위원 참여 계기 마을 건강위원회 의사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람은 “건강위원”이 40.2%, “보건소 직원”28.8%, “마을 건강지기” 20.9%, “건강위원장” 8.5% 등의 순 - 보건소 직원의 개입이 있지만 대부분 의사결정이 주민들에 의해 이루어짐. 구 분 N % 전체 316 100.0 마을건강위원회가 무엇인지 궁금하고 관심이 있어서 19 6.0 평소 건강에 관심이 많고 마을의 건강을 위해서 무엇인가 해야 한다고 생각해서 157 49.7 이장으로서(단체의 대표로서) 당연히 참여해야하기 때문에 102 32.3 보건소 직원들이 적극적으로 권유해서 15 4.7 주변사람들(면장님이나 이웃 등)이 적극적으로 권유해서 23 7.3

23 건강위원으로 지속 활동 계획 구 분 N 비율 전체 316 100.0 활동 계획 여부 매우 그렇다 89 28.2 그런 편이다.
209 66.1 그렇지 않은 편이다. 18 5.7 매우 그렇지 않다 - 활동 지속 이유1) 내 건강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58 19.5 이장으로서(단체의 대표로서) 주민을 대표해야 하기 때문에 63 21.1 스스로 발전하고 있다는 느낌 때문에 33 11.1 내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우리 마을 주민 전체가 건강하기 때문에 143 48.0 기타의견 1 0.3 활동 중단 이유2) 일하기 바쁘고 시간이 없기 때문에 11 61.1 건강은 개인이 노력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로 마을에서 특별히 할 일이 없기 때문에 3 16.7 마을의 건강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지 잘 모르기 때문에 보건소 직원이나 대학교수가 시키는 대로 하면 되기 때문에 5.6

24 마을 건강위원회 운영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 - “마을 건강지기 적극적인 활동과 참여 독려”가 44.0%, “건강위원회 운영에 대한 교육”, “건강 위원장 리더십”의 순이었음.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의 좋은 점 - 사업을 통해 건강에 대한 인식변화, 건강의식 고취, 사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지 못해도 프로 그램 참여로 인한 건강 향상, 마을 전체의 소통 및 활기, 참여의식 증대 등 - 사업의 구체적인 목적과 취지는 잘 모르더라도 마을과 주민의 건강에 대한 인식 및 관심 변화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의 개선할 점 - 주도적 사업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 건강위원에 대한 실비보상, 주민 참여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 주민 리더 양성, 지원교수 및 보건소의 적극적 지원 등 - 주민 주도사업을 수행할 역량은 부족하나 주민 주도적으로 사업 수행하려는 의지는 있음.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에 대해 바라는 점 및 건의사항 - 주민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농번기를 피한 농한기의 집중적 사업 추진, 주민자치역량프로그램 필요, 전 지역 주민의 인식전환 및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지속적 홍보, 주민 스스로 주도하려는 노력과 관심 증대 등 - 주민들이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많은 것으로 보임.

25 초점 집단 면접 결과 마을 건강지기 건강새마을 사업의 특징
- 주민들에 비해서 건강새마을 사업의 차별성을 비교적 명확히 알고 느끼고 있으며, 주민들의 참여와 보건소의 사업 진행 방식의 변화를 기존 보건소 사업과의 차이점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음.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공하며 일방적으로 주민들을 참가시키는 보건소와 수동적으로 참여하는 주민 간의 수직적 관계가 마을의 건강문제에 대해서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는 파트너로서의 수평적 관계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고 생각됨.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기 어려운 이유 - 생업으로 인해 바쁘기 때문에 참여가 어렵다고 하였는데, 건강지기들 스스로도 생업에 종사하면서 건강지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많다는 것을 토로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음. 건강위원회 및 마을지기 활동 - 건강지기는 건강새마을 사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 생업에 종사하면서 많은 일을 하고 있지만 건강지기로서 활동하는데 소요되는 최소한의 경비(교통비, 통신비 등)와 시간비용을 제하면 그들의 수고에 대한 보상은 거의 없다고 판단됨. 노력과 수고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경제적 보상에 대한 고려 가 필요할 것임.

26 이장 중심의 건강위원회에 대해서 많은 건강지기들이 이장들의 형식적 참여로 인해 사업 진행의 어려움을 토로하였음
이장 중심의 건강위원회에 대해서 많은 건강지기들이 이장들의 형식적 참여로 인해 사업 진행의 어려움을 토로하였음. 주민주도라는 건강새마을 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고 건강위원회가 마을과 건강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주도적으로 보건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이장협의회와의 명확한 관계 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됨. 건강새마을 사업 추진 이후 마을이나 이웃에 어떤 변화에 대해서 많은 건강지기들이 마을 주민간의 유대가 강화되었다고 답하였음. 프로그램 참여로 인한 직접적인 신체적 이득뿐 아니라 이웃과 함께 하면서 얻는 정신적 즐거움, 사회적 유대감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고 생각됨. 왜냐하면 사회적 유대감 강화를 통한 이웃과 마을에 대한 관심과 주인의식은 주민 주도형 사업과 건강한 마을로의 변화에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될 것이며, 이웃과 마을의 건강한 변화는 또다시 주민들의 관심과 주인의식, 책임감을 고취시켜 주민주도형 사업을 정착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임. 현재 사업이 중간 정도 진행된 상황에서 마을지기들은 앞으로 주민조직을 중심으로 주민들 스스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음. 하지만 사업기간이 끝난 후에 주민들 스스로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조금 더 오랜 기간 동안 주민참여와 역량강화를 위한 보건소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였음.

27 지역주민 새마을 사업이 기존의 보건소 사업과 차별화되는 특성
- 기존 보건소 사업과의 다른 점을 명확히 이야기 하지 않았으며, 기존의 보건소 사업처럼 보건소가 제공하는 보건교육프로그램에 주민들의 참여하는 정도로 사업을 인식하고 있다고 판단됨. 주민 참여형 사업에 대한 개념 - ‘주민 참여’의 의미를 단순한 프로그램 참가로 국한시키는 주민들이 많았으며, 일부 마을에서 프로 그램 운영에 대해서 보건소에 의견을 전달하고 개선을 요구하는 정도의 참여 수준을 보였음. 건강위원회 및 마을지기 활동 - 대부분 주민들은 주민조직(건강위원회, 마을건강지기)의 활동에 대해서 잘 알고 있었으며, 역할에 대해서는 주민 의견 수렴과 주민-보건소간 중간자 역할, 사업에 대한 홍보, 건강생활을 실천 독려 등 프로그램 참여의 좋은 점 - 신체적, 정신적 건강 향상, 마을 화합을 위한 만남의 장, 건강행동을 위한 사회적 네트워크 - 주민들이 가장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신체적 기능의 향상은 많은 주민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만드는 동력이라고 생각됨 - 건강의 개념과 상당부분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신체적 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건강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음.

28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어려운 이유 - 시간의 부족(생업에 종사), 지리적 요인, 육체적 피로, 프로그램 참여자 수준의 차이 -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농한기와 농사일을 하기 힘든 저녁시간을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됨. 사업체감도 - 자발적인 건강행태 실천, 자발적인 프로그램 운영,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건강행동의 규범화, 마을에 대한 소속감 향상 - 건강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개인단위에서 뿐아니라 마을 단위에서 건강행동을 자발적으로 실천 하려는 노력은 긍정적 효과임 사업에 대한 의견 - 시설이나 설비의 설치와 운영을 지원 필요, 리별 프로그램 제공의 형평성, 주민들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인센티브,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주민 지도자 발굴, 주민참여 기전 확보

29 개별 심층 면접 결과 보건소 담당자 대부분의 보건소 담당자들은 건강새마을 사업을 추진하는데 인력이 부족하다고 이야기하였음. 보건소 인력운영 여건상 여러 어려운 점이 많겠지만 건강새마을 사업 담당자가 좀 더 사업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됨. 주민 참여형 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대부분의 담당자들은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음. 1년 동안 주민참여의 이론적인 부분이나 다른 지역의 사례들을 통해서 참여형 사업에 대한 개념 확립과 인식 개선은 어느 정도 이루어졌다고 생각되나 여전히 주민들을 대하고 설득하는 실제적인 부분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라고 판단됨.

30 주민들의 주도적 참여의 중요성 - 대부분의 담당자들이 주민들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데는 동의하였지만 주민들이 주도적으 로 지역의 건강문제를 찾아내고 해결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였음. 주민들과 마 을의 변화를 보면서 주민 참여형 사업이 중요하다는 것은 인식하게 되었지만, 아직까지 주 도형으로 가는 것, 즉 보건소의 개입 없이 주민들의 힘만으로는 보건사업을 기획하고 추진 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하였음. 참여형 사업의 좋은 점 - 주민들과 자주 만나고 이야기하게 되면서 서로 이해하고 협조하게 되었다는 의견이 많았고 다음으로는 주민 중심사업으로 주민들이 사업을 좋아하고 주민들이 스스로 조금씩 변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음. 사업에 대한 의견 - 인력의 확충과 인사이동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하였음. 앞서 기술한대로 건강새마을 사업 에서 담당자가 사업에 매진할 수 있도록 인력을 확충하고 전담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 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더불어 담당자가 자주 바뀌는 것은 성공적인 사업을 위해 반 드시 지양해야 한다고 생각됨.

31 보건소장 사업 참여자의 역할에 대해서 보건소는 방향을 제시하고 지원하는 역할, 건강지기 및 건강위원회는 실무 추진자 역할 및 지역문제에 대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고 하였음. 주민주도형 사업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현재 어려움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음. 주민 주도형 사업이 어려운 점은 보건사업에 대한 인식 부족, 고령화, 전문적 지식 부족 등으로 나타났음. 참여형 사업의 좋은 점으로는 지역 전체 공감대 형성에 도움,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 주민의 인식변화 등 이었고, 힘든 점으로는 물리적으로 먼 이동거리, 노년층의 인식 부족, 농촌지역의 생업으로 인한 낮은 참여율 등을 이야기 하였음.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에 대해 바라는 점이나 건의사항에 대해서는 담당자에 대한 교육 증대, 선진지 벤치마킹, 예산 증액이 필요하다고 하였음.

32 마을 건강위원장 마을 건강위원장은 건강새마을 사업을 주민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사업, 자발적인 사업, 보건소 지원과 주민주도가 합쳐진 사업 등으로 이해하고 있었음. 건강위원장은 마을의 리더로서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의사결정자 역할을 하고, 건강위원회는 의사 결정 조정 역할을 하며, 건강위원과 마을건강지기는 마을 주민을 위한 희생, 봉사자로 인식하고 있었음. 마을 건강위원회는 대부분 이장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건강새마을 사업 외에도 업무가 과중하여 마을 별 리더 양성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경제적 보상과 건강위원회의 공간 확보에 대해 건의하였음. 주민들의 참여가 어려운 점으로 생업에의 종사, 건강에 대한 지식 부족, 주민들의 인식 부족 등을 이유로 들었으며,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에 대해 바라는 점이나 건의사항에 대해서는 농촌 지역의 특성에 맞는 사업 추진, 건강과 접목한 다양한 사업 수행, 장기적인 예산 지원, 건강리더 양성 및 진정한 주민 주도 사업이 가능하도록 관의 인식 변화 등을 이야기하였음.

33 시·군 의원 및 면장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에 대해 면장은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민간주도 사업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시·군 의원은 과거 새마을사업에 건강을 접목시켜 추진하는 사업으로서 보건소에서 종합적으로 관리 및 지원해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음. 장기적으로 추진되려면 예산 확보와 주민들의 역량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농번기에는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가 없고,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사업을 이끌어갈 역량이 아직은 부족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음. 시·군 의원 및 면장으로서 건강새마을 사업에 향후 예산 및 행정적 지원에 노력할 것을 이야기 하였음.

34 현장 모니터링 현장 모니터링 내용 - 마을 건강 위원회 및 마을 건강지기 활동 및 역할 파악
- 마을 건강 위원회에서 마을 주민의 의견수렴 및 사업 반영 정도 - 마을 건강위원회가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의 참여 정도 - 주민주도형 사업취지에 맞는 맞춤형 건강프로젝트 수행 여부 - 마을 현장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주민 인터뷰

35 현장 모니터링 지역 현황 지역 마을 일시 장소 내용 포항시 북구 기북면 용기리 5. 4 기북면사무소 체조 대곡1리
대곡1리 경로당 영양프로그램 - 건강위원회의 상주시 모서면 석산1리 4. 24 석산1리 마을회관 체조교실 모서면사무소 건강위원회의 및 주민역량강화교육 군위군 산성면 삼산1리 5. 15 삼산1리 경로당 운동교실 산성면사무소 청송군 현서면 도리 5. 11 재동마을 걷기프로그램 천천1리 천천1리 마을회관 현서면사무소 청도군 각남면 일곡리 4. 21 일곡리 걷기코스 걷기운동 사1리 사1리 마을회관 요가, 스트레칭 각남면사무소 칠곡군 석적읍 망정1리 5. 7 망정1리 마을회관 건강 체조

36 현장모니터링 결과 프로그램 운영 현황 주 1) 프로그램 참석자 중 마을별 2명씩 총 18명 인터뷰 구 분 매우 그렇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프로그램에 마을 주민의 적극적 참여 2 5 주민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자발적 참여로 진행 8 1 건강위원(마을 건강리더)의 참석 6 3 공공기관(면사무소, 보건소 등)의 적극적 지원 4 지역 내 공공기관을 제외한 자원(민간기관)의 적극적 지원 참석자들(주민들)의 프로그램 만족도1) 14

37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1) 주 1) 프로그램 참석자 중 마을별 2명씩 총 18명 인터뷰 구 분 매우 그렇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마을 주민들의 마을 주요 건강현황(문제) 인식 4 14 건강리더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10 8 건강 주제로 한 동네회의 정기적 시행으로 주민의견 수렴 2 16 읍면동 건강위원회 회의 내용 동네주민들에게 전달

38 건강새마을 홍보 및 특화사업 건강위원회 운영위원회 활동 구 분 매우 그렇다 그렇지않다 매우 그렇지않다
건강새마을 홍보 플랜카드 및 현수막 부착, 소식지 발행 6 3 구 분 매우 그렇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건강위원회 정기적, 독립적 운영 5 1 건강위원회 회의 관 주도 아닌 주민 주도적, 민주적 운영 2 3 회의 시 마을 건강현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개진 및 토론

39 소결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6개 지역 9개 마을을 모니터링 한 결과, 마을 주민들은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에 대한 정확한 개념은 모르지만, 마을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건강이 좋아지고 생활이 즐거워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음 건강위원들은 역량강화교육 및 워크숍 등을 통해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고 주인이 된 입장에서 사업을 주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상당히 보였음. 마을에 따라 사업진행방식과 마을 주민 및 사업 담당자들의 인식이 차이가 났음특히 몇몇 보건소 담당자는 사업방법에 대해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기존 보건소 사업과 동일하게 보건소에서 주도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건강위원회 회의시 의사결정에 상당히 개입하고 있어, 주민 주도적으로 사업을 진행하려는 애초의 취지에 어긋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었음. 이는 보건소 담당자의 잦은 교체로 인해 업무파악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40 지역에 따라서는 보건소와 주민센터간 유기적 협조체계가 형성되어 있어 주민센터에 건강새마을 사업을 위한 별도의 독립된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건강위원 전용 회의실이 구비되어 있는 곳도 있었음. 면장이 건강위원으로 위촉되어 항상 주민과 소통하는 지역도 있었고, 또한 농번기 때 프로그램을 중단하지 않도록 리별 자체예산으로 프로그램을 추가 운영하는 지역도 있었음. 결론적으로,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사업을 통해 주민과 마을의 긍정적인 변화가 생겼지만, 마을에 따라 상황과 여건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사업진행방식과 운영 현황에 차이가 나는 것이며, 관련 지원 기관에서도 사업 수행 매뉴얼이 없다보니 어느 정도 선까지 도와주고 지원해줘야 하는지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것으로 사료됨.

41 정 책 제 언

42 : 지역주민 대상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교육, 홍보, 참여 프로그램 활성화
주민들의 인식 변화 필요 : 지역주민 대상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교육, 홍보, 참여 프로그램 활성화 주민참여형, 주민주도형 건강마을 만들기 사업이 지속적이고 성공을 하려면 주민들의 올바른 이해와 인식개선이 가장 중요함. 이를 위해서는 마을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주민참여, 주민주도형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하여야 하며, 단순한 전달식 교육 및 홍보뿐 아니라 마을건강회의, 프로그램의 계획, 운영, 평가 등에 직접 참여하여 이해하고 배우고 인식을 전환하는 것이 필요함.

43 주민리더의 발굴 및 양성 : 마을 별 건강리더 활성화 프로그램
주민리더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주민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함. 건강지도자로서의 역량을 위한 건강생활 실천에 대한 지식 및 기술, 마을에 대한 애정과 봉사정신, 활발한 소통능력, 리더십(통솔력, 회의진행, 의사결정, 사명감 등)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국내외 주민 참여형 건강마을 및 마을 만들기 사업 성공사례에 대한 벤치마킹 등이 있음.

44 : 보건소 사업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및 사업담당 인력의 지속성
보건소 등 공공기관의 역할 변화 : 보건소 사업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및 사업담당 인력의 지속성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에 관련된 보건소 직원 등을 대상으로 한 도 및 시군 단위의 지속적인 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숍이 필요하며, 이는 지역주민들과 함께 할 수도 있으며 특히 사업담당자의 경우 별도의 심화교육과정이 필요함. 건강새마을 사업에서 담당자가 사업에 매진할 수 있도록 인력을 확충하고 전담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더불어 담당자가 자주 바뀌는 것은 성공적인 사업을 위해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고 생각됨.

45 참여형 건강증진 현장 전문가 양상 교육과정 사례
과 정 회차 주 제 기초Ⅰ 1차 주민 주도형 건강증진사업의 이해 – 가치, 철학, 개념 2차 주민조직운동 이해 – 사례공유, 주민조직운동 총론 3차 우리에게 주민은 누구인가? - 주민알기, 주민관계맺기 4차 스스로 말하게 하라 : 주민대화 5차 주민지도력은 어떻게 세워지는가? 6차 주민과 소통하기1 7차 주민과 소통하기2(주민조직회의, 워크숍 방법) 8차 주민 조직가란 누구인가 기초 Ⅱ 주민조직운동 총론 주민조직화의 이해, 현장소개 주민 만나기, 현장소개 참여형 건강증진사업에서의 건강관 주민대화 현장교육 : 함께 일하기(연대와 협력) 심화 돌아봄과 나아감 – 지난 사업 평가와 다음 방향 주민건강조직운동 이해 주민조직운영 1 : 주민회의 촉진하기 주민조직운영 2 : 주민워크숍 촉진하기 주민조직운영 3 : 주민워크숍 촉진 심화 비전워크숍 1 : 가치와 사명 비전워크숍 2 : 비전과 과제 자료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내부자표(2014)

46 : 마을 별 주민 참여형 건강마을을 위한 조직, 인프라 및 운영 체계 마련
건강거버넌스 체계 구축 필요 : 마을 별 주민 참여형 건강마을을 위한 조직, 인프라 및 운영 체계 마련 경상북도의 경우 농어촌 지역의 특성과 주민역량 등을 고려할 때 참여형 서비스 접근전략 유형을 우선‘주민(상호) 협력형’을 목표로 추진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됨. 이를 위해서는 면(동) 사무소의 적극적인 협조, 건강위원회의 독립적인 공간 마련 및 이장협의회와의 명확한 관계 설정 필요, 건강위원회의 민주적 운영, 건강위원회와 더불어 마을 별 건강지도자 발굴 및 조직화, 마을건강지기에 추가하여 건강리더 대상 경제적 보상, 표준화된 사업 매뉴얼 및 교육 교재(보건소 등 직원용 및 주민용) 개발,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지원을 위한 중간지원조직 및 교육훈련센터 등이 필요함.

47 모든 주민들의 참여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건강새마을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
각 마을 별로 주민들의 생활패턴(농한기, 저녁시간 등)을 고려하여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함. 특히 중 장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과 주민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지내는 마을 주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이 필요함.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한 마을 별 프로그램 운영, 동호회와 같은 자발적인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 주민들의 운영비 부담(예. 회비), 영상물을 이용한 자발적 운동, 재미있고 소통이 있는 프로그램 운영, 독거노인 영양불량 문제 개선, 농 작업 안전 등의 프로그램도 고려할 수 있음.

48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의 성과 발굴과 평가체계 구축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사업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20개 마을간 선의의 경쟁을 통한 전체 건강새마을 사업의 상향평준화가 필요함. 1차년도 개발된 평가지표와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모니터링 지표는 현장 적용과 전문가,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서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임.

49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의 지속성과 확산 전략 개발
3년 후에 주민들 스스로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되며 조금 더 오랜 기간 동안 주민 참여와 역량강화를 위한 행정적 및 기술적 지원이 필요하며, 어떤 식으로든 3년간의 사업기간이 종료된 이후에도 주민들과 함께 건강새마을 조성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방안과 전략에 대한 고려가 지금부터 필요함.

50 감 사 합 니 다


Download ppt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주민 참여 모니터링 2015. 10 강 민 정."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