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 한국 문학의 개념 02 추야우중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 한국 문학의 개념 02 추야우중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Presentation transcript:

1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 한국 문학의 개념 02 추야우중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한 시 갈래 정리

3 일반적으로는 중국의 것뿐만 아니라 주변의 한자 문화권에서 한자로 기록한 시까지 포함하여 한시 라고 함.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갈래 정리 한시(漢詩)의 정의 한자(漢字)로 창작된 시 일반적으로는 중국의 것뿐만 아니라 주변의 한자 문화권에서 한자로 기록한 시까지 포함하여 한시 라고 함.

4 당(唐)나라 때 일정한 형식이 확립되고, 그 형식에 따라 쓰여진 시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갈래 정리 한시(漢詩)의 형식 고체시(古體詩) 근체시(近體詩) 고시(古詩) 근체시 이전의 형식에 구애 받지 않고 쓰여진 시 금체시(今體詩) 당(唐)나라 때 일정한 형식이 확립되고, 그 형식에 따라 쓰여진 시

5 오언시(五言詩) 한 구절의 글자 수가 5자로 이루어진 시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갈래 정리 근체시의 종류 오언시(五言詩) 한 구절의 글자 수가 5자로 이루어진 시 칠언시(七言詩) 한 구절의 글자 수가 7자로 이루어진 시 절구(絶句) 전체 4구절로 이루어진 시 율시(律詩) 전체 8구절로 이루어진 시 배율(排律) 전체 10구절 이상으로 이루어진 시

6 일정한 자리(짝수 구절의 끝 글자)에 같은 운을 가진 글자를 배열하는 방법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갈래 정리 한시(漢詩)의 특징 압운(押韻) 일정한 자리(짝수 구절의 끝 글자)에 같은 운을 가진 글자를 배열하는 방법 시상 전개 율시의 경우, 2구가 1련(聯)을 이룸. 절구는 1구가 1연을 이룸. 대구(對句) 절구의 경우는 1구와 2구 또는 3구와 4구가 대구를 이룸.

7 시인의 삶과 시대 상황은 작품 파악에 도움 이 된다.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갈래 정리 한시(漢詩)의 감상법 시인의 삶과 시대 상황은 작품 파악에 도움 이 된다. 시의 제목을 통해 제재나 내용을 짐작 할 수 있다. 대체로 시의 후반부에 주제가 담겨 있다. 비유하거나 상징하는 것의 원관념을 찾아 야 한다. 형식에 따른 시상의 전개 방식을 알아야 한 다.

8 최치원의 생애와 작품 세계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최치원의 생애와 작품 세계 [사진 출처] 경주최씨 중앙종친회

9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1. 최치원의 생애 최치원은 (崔致遠, 857~?)은 신 라 말기의 문장가, 학자이다. 본관 은 경주, 자는 고운(孤雲) 혹은 해 운(海雲)이다. 견일(肩逸)의 아들이며. 신라 골품제에서 6두 품(六頭品)으로 신라의 유교를 대표할만한 많은 학자들을 배출한 최씨 가문 출신이다. [사진 출처] 경주최씨 중앙종친회

10 874년 빈공과에 급제하였다. 양저우 지방으로 벼슬을 제수받았고 황소의 난 당시 이를 비난하 는 토황소격문을 지었다.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최치원의 생애 868년(경문왕 8년) 당나라 유학을 떠나 12세 의 나이로 당나라에 유학한 지 7년 만에 과거에 급제, 선주 율수현위(宣州 水縣尉)가 되고 승무 랑(承務郞), 시어사(侍御史), 내공봉(內供奉)에 올 라 자금어대(紫金魚袋)를 하사받았다. 874년 빈공과에 급제하였다. 양저우 지방으로 벼슬을 제수받았고 황소의 난 당시 이를 비난하 는 토황소격문을 지었다.

11 태산(太山 : 지금의 전북 태인) 등지의 태수(太守)를 지냈 다.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최치원의 생애 884년 음력 10월 귀국했다. 885년 시독 겸 한림학사(侍讀兼翰林學士), 수 병부시랑(守兵部侍郞) 지서서감(知瑞書監)이 되 었으나 문란한 국정을 통탄하고 외직(外職)을 자 청, 태산(太山 : 지금의 전북 태인) 등지의 태수(太守)를 지냈 다. [사진 출처] 경주최씨 경남종친회, ▶부산 해운대 동백공원의 최치원 기념비와 동상

12 894년 진성여왕에게 시무(時務) 10조(條)를 상소해서 아찬이 되었 다.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최치원의 생애 894년 진성여왕에게 시무(時務) 10조(條)를 상소해서 아찬이 되었 다. 그러나 귀족들의 거센 반발로 인하여 그 후 관직을 내놓고 난세 (亂世)를 비관, 각지를 유랑하다가 가야산 해인사에서 여생을 마쳤다. [사진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최치원의 유묵

13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최치원의 작품 세계 최치원은 868년(경문왕 8년)에 12세의 어린 나이로 중국 당나라에 유학을 떠났다. 이는 최치 원이 작품 활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된다. 그 때 아버지는 과거에 합격하도록 부담을 주 었고 이것이 나중에 최치원 자신이 6두품을 ‘득 난’이라고도 하는 것에서 큰 도움이 되었고, 이것 이 신흥가문출신의 기백을 잘 나타내주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4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최치원의 작품 세계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펼친 시작 활동 내역을 살펴보면 그는 당나라에 유학한 지 7년 만인 874년에 18세의 나이로 예부시랑 배찬이 주관한 빈공과에 합격하였다. 그리고 2년간 낙양을 유랑 하면서 시작에 몰두하였는데, 그때 지은 작품이 “금체시” 5수 1권, “오언칠언금체시” 100수 1권, “잡시부” 30수 1권 등이다.

15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최치원의 작품 세계 그 뒤 최치원은 876년(헌강왕 2년) 당나라의 선주 표수현위가 되었다. 이 때 공, 사간에 지은 글들을 추려 모은 것이 “중산복궤집” 1부 5권이 다. 그리고 나서 887년 겨울 표수현위를 사직하고 일시 경제적 곤란을 받게 되었으나, 양양 이위의 문객이 되었고, 곧이어 회남절도사 고변의 추천 으로 관역순관이 되었다.

16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최치원의 작품 세계 그러나 문명을 천하에 떨치게 된 것은 879년 황 소가 반란을 일으키자 고 변이 제도행영병마도통이 되어 이를 칠 때 고변의 종사관이 되어 서기의 책 임을 맡으면서부터였다. [사진 출처] naver blog, 최치원의 친필 ▲

17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최치원의 작품 세계 그 뒤 4년간 고변의 군막에서 표 · 장 · 서계 · 격문 등을 제작하는 일을 맡게 되었다. 그 공적으 로 879년 승무랑 전중시어사 내공봉으로 도통순 관에 승차되었으며, 겸하여 포장으로 비은어대를 하사받았으며, 이어 882년에는 자금어대를 하사 받았다.

18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최치원의 작품 세계 고변의 종사관으로 있을 때, 공사간에 지은 글이 표·장·격· 서·위곡·거첩·제문·소계장·잡서· 시 등 1만 여 수에 달하였는데, 귀국 후 정선하여 “계원필경” 20권을 이루게 되었다. 이 가 운데 특히 ‘토황소격’은 명문으 로 이름이 높다고 한다. [사진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계원필경”中 ‘격황소서’▲

19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최치원의 작품 세계 ‘토황소격문’ ‘격황소서’라고도 하며 신라 제 49대 왕 헌강왕 때 최치원(崔致遠)이 중국 당(唐)나라에서 벼슬 하며 황소(黃巢)를 치기 위하여 지은 격문(檄文) 으로 중국에서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881년(헌 강왕 7년) 최치원은 그 토벌총사령관인 고변(高) 의 휘하에 종군하였는데, 황소가 이 격문을 보다 가 저도 모르게 침상에서 내려앉았다는 일화가 전할 만큼 뛰어난 명문이었다 한다.

20 가을날의 쓸쓸한 정서를 담고 있는 최치원의 시 로 ‘추야우중’과 유사한 작품이다.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최치원의 작품 세계 ‘우정야우(郵亭夜雨)’ 가을날의 쓸쓸한 정서를 담고 있는 최치원의 시 로 ‘추야우중’과 유사한 작품이다. 이 시에서 나그네는 비 내리는 가을 밤 등불 아 래 시름에 겨워 앉아 있다. 그러나 시적 자아는 이러한 고독을 선승(禪僧)의 고행처럼 여기고 있 다. 쓸쓸하고 처연한 분위기는 이내 곧 이를 초극 하려는 의지로 가득 차 있음을 볼 수 있다.

21 고구려인의 당당한 기개와 자주적 기상이 잘 나 타나 있다.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최치원의 작품 세계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 우리나라 현전(現傳)하는 최고(最古)의 한시(漢 詩)로 수나라 장수 우중문에게, 겉으로는 칭송하 는 듯 하면서도 결국 반전을 이루어 군사를 철수 할 것을 요구하는 조롱조의 노래이다. 고구려인의 당당한 기개와 자주적 기상이 잘 나 타나 있다.

22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 한국 문학의 개념 02 추야우중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 한국 문학의 개념 추야우중 작품 정리

23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학습 목표 ‘추야우중’은 신라 시대 작품으로 구성과 운 율에서 한시의 맛을 잘 보여 주고 있으며, 우 리 역사와 작가 최치원의 개성이 잘 드러나 있 다. 귀족, 양반층의 필수 교양이자 자기표현의 서정 양식으로 널리 자리 잡았던 한시를 이해 하는 한편, 한국 문학의 영역으로서의 한문 문 학에 대해 살펴보자.

24 작품 연구 갈래 : 한시, 5언 절구 시대 : 통일 신라 말기 성격 : 서정적 표현 : 대구법 제재 : 비 내리는 가을 밤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작품 연구 갈래 : 한시, 5언 절구 시대 : 통일 신라 말기 성격 : 서정적 표현 : 대구법 제재 : 비 내리는 가을 밤 주제 : 뜻을 펴지 못한 지식인의 고뇌, 또는 고 국에 대한 그리움

25 오언절구의 짧은 형식을 통해 비 내리는 가을밤 의 심회를 표현함.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작품 연구 특징 대구의 구조로 이루어짐. 한 구 또는 여러 구의 끝에 같은 계열의 운자를 배치하는 압운법을 사용함. ‘음(吟)’, 음(音)’과 ‘심 (心)’이 동일 계통의 음으로 운율감을 형성함. 시적 배경이 화자의 심정을 드러냄. 오언절구의 짧은 형식을 통해 비 내리는 가을밤 의 심회를 표현함.

26 글쓴이 소개 최치원(崔致遠 857~?) 신라 말의 학자, 문장가 13세로 당나라에 유학하여, 과거에 장원 급제.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글쓴이 소개 최치원(崔致遠 857~?) 신라 말의 학자, 문장가 13세로 당나라에 유학하여, 과거에 장원 급제. 879년 황소의 난 때 〈토황소격문〉을 지어서 문장가로 이름을 떨침. 884년 귀국한 뒤 국정 개혁을 주장했으나, 뜻 을 펼치지 못하고 말년에는 전국을 다니며 은둔 했음.

27 핵심 강의 ‘추야우중’의 구성 : ‘기-승-전-결’의 4단 구성 기 시로 외로움을 달램 : 시적 동기-고뇌 승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추야우중’의 구성 : ‘기-승-전-결’의 4단 구성 시로 외로움을 달램 : 시적 동기-고뇌 소외감 또는 객수(客愁) : 고뇌 이유 고독한 심회 : 고뇌 심화 번뇌와 방황 또는 고독과 향수

28 최치원이 당나라에 유학하던 시기로 볼 경우 최치원이 신라로 돌아온 후의 시기로 볼 경우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추야우중’의 창작 시기 : 두 가지 견해가 있으며, 이에 따라 ‘추야우중’의 해석이 달라진다. 최치원이 당나라에 유학하던 시기로 볼 경우 ‘추야우중’은 멀리 떨어진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시다. 최치원이 신라로 돌아온 후의 시기로 볼 경우 ‘추야우중’은 자신의 포부를 펼칠 수 없어 괴로워하는 시인의 심정을 노래한 시다.

29 ‘추야우중’의 시어 이해 가을바람(秋風), 밤비(三更雨) 쓸쓸하고 적막한 분위기를 이루는 배경이자 화자의 고뇌를 심화시킴.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추야우중’의 시어 이해 가을바람(秋風), 밤비(三更雨) 쓸쓸하고 적막한 분위기를 이루는 배경이자 화자의 고뇌를 심화시킴. 창(窓) 세상과의 단절을 의미하면서도 세상과 통하는 통로로 세상에 대한 미련을 내포함. 만리심(萬里心) 자신의 뜻을 펼칠 수 있는 공간을 그리워하는 마음.

30 少(소) : 적다. 드물다. 여기서는 없다는 뜻으로도 이해할 수 있음.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어휘 및 시구 풀이 少(소) : 적다. 드물다. 여기서는 없다는 뜻으로도 이해할 수 있음. 知音(지음) : 소리를 알아듣는다는 뜻으로, 속마음을 알아줄 만한 친구를 뜻함. 三更(삼경) : 밤 11시부터 새벽 1시 사이의 시간

31 秋風惟孤吟 가을바람에 오직 괴로이 읊조리나 니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秋風惟孤吟 가을바람에 오직 괴로이 읊조리나 니 世路少知音 세상에는 나를 알아주는 이 드물구 나. 窓外三更雨 창밖엔 비가 밤 깊도록 내리는데 燈前萬里心 등불 앞엔 내 마음 만 리 먼 곳을 내닫네. 세상을 등지고 고뇌하는 시적 화자의 처지 세상과의 단절과 세상에 대한 미련을 내포 시적 화자의 고뇌 심화, 세상으로 향한 길 차단 시적 화자와 세상 사이의 심리적 거리

32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추야우중’과 한국 문학 근대 이전에 한문은 동아시아에서 공유하던 문자로 최치원이 살던 신라 시대 때 한문은 동 아시아 공동문어였다. 최치원의 작품은 표기 수단이 한문이지만 창작 주체인 최치원의 한 국인으로서의 생활과 경험, 정신과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는 한국 문학이다.

33 이 시의 다음 구절에 담긴 시인의 심정은 어 떤 것일지 짐작해 보자.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1-[1] 한국 문학의 개념 ’추야우중’ 을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이 시의 다음 구절에 담긴 시인의 심정은 어 떤 것일지 짐작해 보자. •世路少知音 세상에는 나를 알아주는 이 드물구나. : 예시 답|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지 못하는 데 대한 아쉬움과 외로움

34 •燈前萬里心 등불 앞엔 내 마음 만 리 먼 곳을 내닫네. :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燈前萬里心 등불 앞엔 내 마음 만 리 먼 곳을 내닫네. : 예시 답| 자신(의 능력)을 인정해 주는 장소(시간)에 대한 그리움 (2) 이 시에서 ‘가을바람’과 ‘비’의 시적 기능에 대해 설명해 보자. 예시 답| ‘가을바람’과 ‘비’는 쓸쓸하고 적막한 배경을 이루어, 시적 화자의 괴로움과 외로움, 고뇌의 정서를 심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어둡고 우울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시적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35 (3) 다음 글을 참고하여 이 시의 ‘만리심(萬里心)’의 함축적 의미를 파악해 보자.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3) 다음 글을 참고하여 이 시의 ‘만리심(萬里心)’의 함축적 의미를 파악해 보자. 예시 답| 자신의 뜻을 펼칠 수 있는[있었던] 공간을 그리워하는 마음 – ‘만리심’은 현재 자신이 머물고 있는 곳과는 만리 만큼이나 멀리 떨어진 공간을 향한 그리움의 심정을 담은 말이다. ‘추야우중’의 창작 시기에 대해서는 두 가지 견해(작품 해설 아래쪽의 ‘참고’부분 참조)가 있는데, 문제와 함께 제시한 “삼국사기”의 ‘최치원이 신라에서 자신의 뜻과 재주를 마음껏 펼치지 못했다.’는

36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내용에 주목하면 신라로 돌아온 이후의 작품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추야우중’은 귀국 후에 최치원이 느낀 괴로움과 외로움을 표현한 작품으로 해석할 수 있고, ‘만리심’ 은 그러한 고달픈 현실과 구별되는 공간에 대한 그리움으로 이해할 수 있다.

37 다음은 한국 문학의 개념과 영역에 대한 비평문의 일부분이다. 이 글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다음은 한국 문학의 개념과 영역에 대한 비평문의 일부분이다. 이 글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이 글에서 한국 문학의 여부를 판가름하는 기준으로 내세운 것은 무엇인가? 예시 답| 표현 언어가 조선문, 즉 국문인가의 여부 ※ 주의 : ‘말’이 아닌 ‘글’이다. 이광수를 비롯한 근대 초기 문학자의 상당수는 말로 된 문학인 구비 문학을 문학의 영역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38 (2) ‘최치원은 중국 문학 제작자였다.’는 주장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말해 보자.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최치원은 중국 문학 제작자였다.’는 주장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말해 보자. 예시 답| 최치원이 살던 신라 시대 때 한문은 동아시아의 공동 문어로 문학 작품이 한문으로 창작되었다. 최치원의 작품은 표기 수단이 한문이지만 창작 주체인 한국인 작가인 최치원의 개성 즉 한국인으로서의 생활과 경험, 정신과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으므로 최치원의 작품은 한국 문학에 속한다.

39 (3) 한문 문학이 한국 문학의 영역에 포함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3) 한문 문학이 한국 문학의 영역에 포함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근대 이전에 한문은 동아시아에서 공유하던 문자(혹은 표기 수단)였다. 따라서 한문 문학은 한국 문학의 범위에 포함된다.

40 다음의 시를 ‘추야우중’과 비교하면서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다음의 시를 ‘추야우중’과 비교하면서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1) 최치원의 ‘추야우중’과 도종환의 ‘가을비’는 공통적으로 ‘가을’과 ‘비’를 소재로 하고 있다. 두 작품에 나타난 ‘가을비’의 정서를 비교해 보자. 예시 답| ‘추야우중’의 가을비는 제대로 뜻을 펴지 못하게 된 현실에서의 화자의 고독하고 외로운 정서를, ‘가을비’에서는 가을비는 사랑하는 임과 헤어진 현실에서의 쓸쓸한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가을비’는 자연 현상

41 (2) 두 작품을 참고하여 ‘가을비’가 오면 자신은 어떤 느낌이나 생각이 드는지 말해 보자.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으로부터 인생의 유한함을 이끌어 내고 있다는 점에서 관조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추야우중’과 다른 점이라 볼 수 있다. (2) 두 작품을 참고하여 ‘가을비’가 오면 자신은 어떤 느낌이나 생각이 드는지 말해 보자. 예시 답| 지루한 여름 늦더위를 끝내며 내리는 가을비는 청량한 느낌과 함께 선선한 가을바람과 높고 푸른 하늘, 낙엽 등에 대한 설렘을 불러일으킨다.

42 (3) (2)를 바탕으로 하여, ‘가을비’를 소재로 자신의 느낌을 전달할 수 있도록 시를 한 편 써 보자.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3) (2)를 바탕으로 하여, ‘가을비’를 소재로 자신의 느낌을 전달할 수 있도록 시를 한 편 써 보자. 예시 답| 생략


Download ppt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 한국 문학의 개념 02 추야우중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