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ofessional Engineer,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Professional Engineer,"— Presentation transcript:

1 Professional Engineer,
대형프로젝트 관리 실무 나 희 동 교수/기술사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2 Professional Engineer,
교육내용 일자 강의제목 강의내용(목차) 시간 1,2강 프로젝트 관리개요 프로젝트란? 1 IT포트폴리오관리 IT 사업관리 및 예산 편성 IT 프로그램관리 프로그램구성/프로젝트 기획 프로젝트 관리 기능 PMBOK와 PM프로세스 3,4강 대형 프로젝트이해 추진 배경 및 특징 이해 Pre PMO 이해 준비 단계 특징 및 범위 이해 준비 단계 수행전략 차세대 준비 단계 수행 방안 2 5~9강 PMO 이해 PMO 조직 및 프로세스 PMO 기능 및 추진전략 프로젝트 통합관리 프로젝트관리 영역에 대한Integration Management 전략 Communication관리 프로젝트 통합 관점의 Communication 수행 방법 전사 품질 관리 PMO 관점 품질 접근 전략 10~14강 아키텍처 통합관리 S/W 아키텍처수립 및 통제방안 공정/진척관리 및 요구사항 관리 방법론 이해 및 통제방안 WBS와 Key Product 기반 진척관리 실행 방안 효율적인 요구사항 변경 관리 방안 Test 통합 진행 관리 Test 수행 전략 필요성 Test Driven 개발통제 방안 변화관리 현업 & IT 인력에 대한 효율적인 변화관리 수행 방안 15강 Transition 관리 성공적 Transition 전환방안 Post Governance 구축 전략 및 방법 PMO수행 사례 소개 H 사 사례 소개 L 사 사례 소개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3 Professional Engineer,
세째 시간 : PMO수행 사례 소개 – H 사 프로젝트 배경 프로젝트 주요 이슈 및 대응 방안 소개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4 Professional Engineer,
프로젝트 배경 H사 차세대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는 2008년 사전 준비 및 마스터 플랜 수립을 시작으로 2008년 6월부터 2010년 5월까지 평균 200MM의 인력 규모로 진행됨 프로젝트 기간 2008년 6월 ~ 2010년 5월 (총 24개월) 프로젝트 비용 총 투자 비용 : 약 XXX억 원 (IT Infra XX억 원, 구축 비 : XXX억 원) 프로젝트 투입 인력 현업: 약 30명, IT: 170명 (SM 인력 및 외주 인력 포함) IT부문 (외주 포함) : 약 3,000 M/M 프로젝트 참여 업체 주 사업자 + 투이 컨설팅(PMO & IT 총괄), I사(PMO & Biz Con), E 사 (Data), 개발 인력 (N사, I사) 프로젝트 규모 메인 업무 시스템 외 약 20개 서브 시스템 프로그램 : 약 3,000본 (배치 포함) 프로젝트 특징 해당 업종 전 업무 시스템 전체를 Java 기반 통합 Web 환경으로 최초 구축 운영 인력 중심으로 차세대 프로젝트 수행 ( 그룹 내부 인력)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4

5 Professional Engineer,
프로젝트 특징 현업 중심의 프로젝트 진행 및 여러 외주 업체의 참여로 인해 효율적인 협업체계 구성과 통합 프로젝트 관리체계의 수립이 핵심 이슈 Key Issue 프로젝트 특성 독특한 PMO 도입 방식 성공의 Key Point 중대형, 차세대, 2단계 정량적인 통제 방법에 대한 고민 Sponsorship 확보 “갑” 관리에 대한 PM의 인식 + 현업 중심 프로젝트 통합 진행 관리 및 정량적 통제 1차 경험 후 품질에 대한 저항 + 투입 인력 사고 전환 및 Skill Up 경험자와 비 경험자의 사고전환 경험자 & 비 경험자 공존 방어적, 자기중심적 SM 인력 + 공정 간 통합 및 협업 체계 SM 인력 중심 설계자 신기술에 대한 두려움 및 저항 현업과 S/W 설계자간 협업 가능성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5

6 Professional Engineer,
프로젝트 추진 공정 총 4단계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으며,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분석 단계에서 충분한 시간을 배정함 추진방향 설정 FD & TD 설계 개발 및 Test 안정화 지원 계획 (Go Live) 추진방향 설정 FD & TD 설계 개발 및 Test 안정화 지원 결과 (개발) (Go Live) Functional Design Technical Design Construction Test & Stabilize 8개월 4개월 5개월 7개월(5개월 Test) 기간 As Is Process 분석 및 To Be Process 설계 To Be Biz Rule 설계 To Be UI Design As Is 시스템 분석 및 To Be AA 청사진 수립 As Is 데이터 분석 및 To Be 모델 설계 Report 설계 Test 전략 수립 및 상세 시나리오 작성 Biz Rule & UI 보완 컴포넌트 상세 설계 데이터 이행 설계 아키텍처 Prototyping 프로그램 개발 Unit & 단위업무 Test 실시 데이터 이행 및 정제 선행 시스템 Open 단위업무/결합/통합/병행가동/지역검증 Test 실시 사용자 교육 종합이행 Test 및 데이터 정제 Go Live 리허설 지역성능 Test 주요활동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6

7 Professional Engineer,
프로젝트 추진 조직 고객사인 H사와 주사업자 C사, PMO(외부 + I사)가 참여하여 Coach와 Control의 복합 모델 적용 Prj Sponsor : H 사 SM PM H사 TJ C사 DJ 지원조직 PMO 역할 H사 C사 Biz. Integration & Test IT & Project 관리 현업 CM 조직 - - H사 C사 H사 C사 현업표준화 조직 BJ TJ CJ ES CJ TJ eNIS 운영조직 BJ TJ ES GJ ES Infra 운영조직 BJ TJ SS CI SM EO IT Arch. 방법론&QA H사 C사 H사 C사 IT Arch. Data Arch. H사 C사 L : BJ L : TJ L : BJ L : TJ L : CI SS CJ L : CI 업무영역 H사 C사 업무영역 H사 C사 업무영역 C사 업무영역 C사 EQ Master 2 4 BKG/DOC 5 8 IT Arch. 6 방법론 1 EQ Mgmt. 2 3 Pricing 4 6 Data Arch. 5 QA CI, TJ MVMT 3 6 CDAM illustrative 1 1 Domestic 1 Vessel Op. 2 2 J/O 1 1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7

8 Professional Engineer,
프로젝트 추진 조직 (PMO) Project Sponsor 역할 명 주요 수행 역할 PM 전체 공정관리 & 가이드, IT 영역 Integration (AA, DA, IT Arch), 프로젝트 관리 체계 수립 및 관리, 일정 및 Key Product 진척 관리, IT 이슈 관리 Coordinator PM Support, 공정관리, 전체 진척 & Key Product 진척 관리, 관계관리, Admin (이벤트, 보고) 개발방법론 관리 개발방법론 수립 및 가이드, 설계 / 개발 이슈 관리, DLB/ALB 회의체 운영, 시스템 간 연계 포인트 관리 BPA BPA 모델링 표준 수립, 가이드, 모델링 지원, 리포트 개발 품질관리 BA,AA,DA,IT Arch 영역 품질 검토 설계 멘토링, 성능 관리, Transition 지원 아키텍처 Arch 팀 작업 공정 관리, 기술 이슈 관리, 파트 내 Coordinator & 의사소통 관리, 보고 관리, 아키텍처 수립 문서화 및 구축 지원, 공통 영역 진행 관리 OOO 전무 OOO 상무 PMO PM OOO 이사 PMO Coordinator OOO 책임/OOO 책임 개발 방법론 관리 품질관리(QA) OOO 책임 EO OOO 수석/OOO 팀장(외) SM OOO 선임 BPA Expert OOO 상무 Ar Ch. OOO 책임/OOO 책임/ OOO 팀장 (외) OOO 선임 illustrative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8

9 Support & Administration
프로세스 영역 범위 시스템 영역 범위 프로젝트 사업 범위 – 프로세스 & 시스템 영역 본 프로젝트는 전사 관점의 연관 프로세스 및 시스템 연계성과 통합성을 고려하여 프로젝트 수행 범위를 선정함 운송 관리 Le Sales Management ERP 고객 관리 1. 경영관리 1.6 재무 계획 1.8 위험관리 2. 마케팅 2.3 Product 기획 2.6 XX기획 3. Sales 3.1 운임관리 6. BKG/DOC 관리 6.1 BKG관리 6.2 DOC관리 10. 재무회계 10.2 채권관리 8. 장비관리 8.1 장비 계획 8.2 장비 자산 8.3 장비 운영 8.4 장비 M&R 8.5 XX 관리 8.6 MVMT 관리 8.7 미주Domestic 9. OO관리 9.1 OO XX 계획 9.2 OO XX 수행 9.3 OO XX 실적 Service Management Sales & Marketing 관리회계 e-SVC Equipment Management Vsl 물류 네트워크 Vessel Operation 구매관리 CRM MDM Support & Administration Mega Process (7), Process Chain (18)을 대상으로 상세화 및 업무 분석/설계 진행 연관 5개 타 영역 Mega Process와의 연계성 확보 20개의 Module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분석 및 설계 업무 진행 연관 6 개 어플리케이션 시스템과의 연계성 확보 illustrative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9

10 Professional Engineer,
주요 이슈 Fishbone 매 단계 중 작업 및 역할에 따른 각종 이슈들이 도출되었으며, 조직적으로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을 선택하였음 설계자 모델링/개발경험 스킬 이슈 C/S 와 Web 간 성능 의문 As-Is 기능 누락 모델링 Tool 및 방법에 대한 반항 요구사항 변경관리 이슈 개발 단계기술관리 이슈 시스템 연계 이슈 각 사 별 PMO 체계 및 역할 소스품질이슈 시스템 완전성 이슈 성능이슈 개발자 관리 이슈 Project Life Cycle 사전 준비 프로젝트 진행 Test Go Live FD TD CO WBS 기반 진척 문제점 짧은 시간 프로젝트 착수 준비 개발진도 완전성 이슈 QA 존재가치 및 역할 이슈 Go Live 수행 방법 미숙 이슈 테스트 이슈 As Is 분석 완결성 검증 이슈 단계 말 완전성 이슈 Data 검증 이슈 현업 To Be 설계 시 As Is 누락 설계 이슈 관리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UI 표준화 이슈 10

11 현업설계자, S/W설계자 성숙수준 향상을 위한 선 순환 Cycle Relationship Management
QA 존재가치 및 역할 이슈 업무 및 IT 영역에서 QA에 대한 역할 및 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해 품질관리 활동에 대한 제약이 발생하는 이슈 구체적, 실무적인 가이드 반복 교육 현업설계자, S/W설계자 성숙수준 향상을 위한 선 순환 Cycle 명확한 품질 원칙과 지원 노력 조언자 로써 QA 통제자 로써 QA 작업 가이드 사전 검토 체계로 작업자 충돌 제거 사전 체크리스트 교육 및 배포 멘토링 결과 일간 회의체 운영 & 전파 가이드는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분위기 위도 주간 단위 결함 복구 체계 결함 패턴화를 통한 반복적 오류 제거 멘토를 중심으로 누구에게나 배워 가는 분위기 유도 품질 저항 극복 노력 DLB 운영을 통한 신속한 의사결정 결함 복구에 대한 집요함 모듈 별 또는 파트 별 협업하는 분위기 유도 실무적 & 실력 있는 QA로 인식 가이드에 기반한 품질 검토 멘토링 품질 검토 PM Sponsorship 성과평가와 연계 QA 역량 Relationship Management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11

12 현업/SW설계자에 대한 가이드 협업 체계 운영 1:1 Mentoring 기반의 한 실무적 가이드
모델링 Tool 및 방법에 대한 반항 모델링 도구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및 설계 방법에 대해 익숙하지 않아 설계를 불필요하게 생각하는 습관으로 인해 발생한 이슈 실무적 가이드 이론과 실습 병행 초기 투입 멤버 다수 자발적이지 않은 습관 모델 기반 설계 미경험 설계 경험 부족 구현 기술 낙후 개인적 편차 존재 현업/SW설계자에 대한 가이드 협업 체계 운영 1:1 Mentoring 기반의 한 실무적 가이드 모델(BPA, Rose) 패턴 기반 가이드 구현 관점의 구체적 사례 제시/실습 진행 작업 효율화 측면 효과 프로젝트 진행 측면 효과 작업 기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 제공 설계 결과의 구현 가능성에 대한 자신감 구현을 고려한 구체적인 상세 설계 초기 대비 방법론과 설계자 간 충돌 최소화 모델 기반 운영 가능성 제시 현업설계자 및 S/W설계자 간 협업체계 구축 설계 생산성 극대화 개인 별 산출물에 대한 편차 극복 설계 이슈의 조기 발견 및 대안 제시 PM의 설계 결과 이해력 증대 및 확신 부여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12

13 Professional Engineer,
개발 단계 기술 관리 이슈 개발 중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기술 이슈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PMO 측면에서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이슈 ALB 구성 체계 목적 개발 중 구현 이슈에 대해 Chief Arch.를 중심으로 통합하여, IT Arch 파트와 일원화된 기술 이슈 관리 및 대응체계를 갖추고, 각 개발자들에게 적시에 일관된 가이드를 함으로써 개발 혼선 방지 및 개발 품질의 일관성을 갖도록 하는 데 있음 적용 효과 기술 이슈 통합 관리 가능 미션 구현 기술로 인한 개발자의 혼란을 방지하고, 개발 진척 및 개발 품질 이슈가 없도록 하여야 함 이슈 해결 속도 가속 구성원 주 구성원 - 개발 1, 2팀 : Chief Architect - IT Arch. : Arch. Leader - QA/방법론 : 방법론담당자 부 구성원 - 각 파트리더(팀장), IT Arch Member, PMO IM & Staff, DA 투이 주도 개발 단계 진행 통제 가능 개발 생산성 극대화 범위 개발 진행 중 S/W 구현 관련 이슈 전체 ( 단,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한 사안의 경우 되도록 즉시 지원을 위해 개발자 스스로 개발자 포럼을 최대한 활용토록 함 – Chief Arch 판단 ) 고객에 신뢰 획득 시간 매일 17시 30분 ( 매주 화요일은 집중회의로 진행 )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13

14 개발 진행 시 모델을 통한 Communication 프로젝트 부적합 개발자 사전 선별을 통한 개발 위험
개발자 관리 이슈 개발에 투입되는 개발들이 해당 업무를이해하고 설계 산출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부족하여 개발 지연이 발생하는 이슈 목적 진행 방향 개발에 대한 조기 진행 준비 ( 4월말 개발 ~ ) 설계 문서 이해 극대화를 통한 불필요 개발 단계에서 Communication 최소화 S/W설계자와 개발자 간 조기 팀웍 확보 능력 있는 개발 리더 및 개발자 선별 체계적이고 일관된 개발자 OJT 진행 일간 단위 계획에 의한 시간 활용 극대화 S/W설계자와 개발자 간 조기 조직화 OJT 후 개발자 평가를 통한 Black List 확보 S/W설계자 3rd 설계 일정 확보 개발 진행 시 모델을 통한 Communication 프로젝트 부적합 개발자 사전 선별을 통한 개발 위험 최소화 개발 초기에 프로젝트에 몰입하는 분위기 형성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14

15 Professional Engineer,
네째 시간 : PMO수행 사례 소개 – L 사 L사 PMO 수행 사례 L사 차세대시스템 추진 방향성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16 차세대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총 기간 : 40 개월 (안정화 1개월 포함)
L사 차세대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개요 L사 차세대시스템은 신속-통합-세분이라는 기본 사상으로 총 40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외부 PMO는 이 모든 단계에 참여함 Grand Open 2009/07/13 추진 사상 신속, 통합, 세분 추진 단계 PI/ISP 모델링 시범구축 구축 테스트 06 M 08 M 05 M 14 M 07 M 차세대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총 기간 : 40 개월 (안정화 1개월 포함) 추진 내역 현황분석 사전 진행 개선과제 정의 추진방향 및 목표 수립 To-Be 프로세스 모델 수립 추진내용 리뷰 및 보완 업무 논리 모델링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업무 지원 적용 기술 검증 진행 핵심 비즈니스 과제 검증 수행 아키텍처 과제 검증 수행 UI 프로토타이핑 수행 To-Be 상세업무 정련 UI 상세 설계 컴포넌트 물리 설계 물리 DB 설계 프로그램 개발 및 단위 테스트 S/W 아키텍처 FW 고도화 통합 테스트 시스템 성능 테스트 사용자 교육 사용자 변화관리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16 16

17 Professional Engineer,
고객 영업 계약 보상 재무 XP/IE ! Vista ? 다이나믹 UI 엔터프라이즈 포탈 Flat ! Rule ? Occurrence ? 고객 상품 관리 계약 보상 모바일 자동차 장기 일반 자동차 장기 일반 채널 허브 영업 여신 콜센터 정보계 재무 (기간계) ERP 중국 개발센터 SAP ERP 개인 법인 재무 관리 SEM 어플리케이션 개발 프레임워크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BPM) TMAX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버스(ESB, SOA) IBM 기간계 서버 DB 기타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17 17

18 Professional Engineer,
illustrative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18 18

19 Professional Engineer,
illustrative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19 19

20 Professional Engineer,
illustrative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20 20

21 Professional Engineer,
L사의 PMO 조직 구성 외부 PMO는 각 단계별로 PMO 역할을 새롭게 정의하였으며, 변화 방향 및 목적에 맞추어 조직을 구성하고 활동함. 1기 : 모델링 단계 2기 : 시범구축 단계 3기 : 구축 단계 1st 4기 : 구축 단계 2nd 관리 및 감독 중심 지원 및 코칭 중심 상시관리 중심 의사결정 지원 중심 P M O P M O P M O P M O 인티그레이터 (1) Q A (2) 인티그레이터 (2) Biz 멘토 (3) 인티그레이터 (2  1) 전사 QA (7  5) 인티그레이터 (1) 아키텍처 (3) IT 멘토 (2) 전사 QA (5  2) *) ( ) 숫자는 2e PMO 참여 인원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21 21

22 Professional Engineer,
L사 PMO의 R&R 구축(개발) 단계 진행 시 PMO의 역할과 책임 PMO Role & Responsibility PM 프로그램 기획 및 총괄 운영 전체 프로그램 추진 계획 수립 및 방향성 설정 방법론에 따른 단계별 일정관리 Steering Committee 및 경영진과의 Communication 전담 프로젝트 진행 통제 투입 인력/자원 관리 Integrator 연계부문 Integration 관리 예상되는 프로젝트 간, 파트간 연계 이슈 관리 및 Communication 관리 이슈에 대한 대응방안 수립 및 지원 프로젝트 진행 관리 진도관리/범위 관리/이슈 관리 회의체 운영 관리 프로젝트 진행 통제 및 핵심 산출물, 작업 결과 리뷰 진행 전사 QA 방법론 관리 프로젝트 별 특성을 감안한 상세 개발방법론, WBS 조정 및 통합 프로젝트 적용 방법론 별 작업지침 및 산출물 템플릿 조정 및 통합 프로젝트 품질관리 프로젝트 품질관리 체계에 대한 검증 및 관리 개별 프로젝트 내부 QA 및 QA 관련 회의체 운영 기간계, 정보계, 채널계, 관리계 QA 작업 대상 품질 체크리스트 작성 데이터 모델 품질관리, 데이터 표준 관리 UI 품질관리 개발 산출물의 완성도를 평가하여 프로젝트 진도 점검실시 프로젝트 별 주요 단계말 관리각 프로젝트 및 파트의 진척/이슈/리스크 관리 지원 비즈니스와 IT의 연계 관점의 통합 지원 및 기술적 지원 각 프로젝트 및 파트의 내부 검토(동료 검토) 활동 지원 전사 QA 의 단계 말 품질관리 활동 지원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22 22

23 L사 PMO의 수행범위 프로젝트 관리 및 품질관리에 초점을 두고 통합 관리를 수행함 Pre PMO Executing PMO
Post PMO 프로젝트 계획 통합 관리 프로젝트 통합 진행 관리 프로젝트 종료 관리 변화관리 변화정도 변화방향 변화반응 변화가속 구축 주 사업자 선정 프로젝트 관리 차세대 성과 관리 범위 관리 목표 공정 위험 이슈 일정 의사 소통 테스트 벤더 지원 자원 프로젝트 관리체계 정립 이슈/조치 위험/대안 진도/복구 품질/조치 아키텍처 관리 Business Transformation AA 관리 DA 관리 TA 관리 차세대 운영 관리 고객 역량 강화 품질 관리 프로젝트 성과 관리 LIG 2e PMO 수행 범위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23 23

24 Professional Engineer,
시범구축 단계 시 PMO의 역할 시범구축 단계의 Risk를 최소화 하기 위해 강력한 PMO조직으로서 [1] Integration Management, [2] 변화관리, [3] 일정관리, [4] 산출물 관리, [5] 회의체 운영을 PMO에서 수행함 프로젝트 의사결정 효율화 1 비즈니스 및 IT 이슈 의사결정을 위한 협의체 구성을 통해 관련 신속한 이슈 해결 지원 PM, Integrator 파트내 / 파트간 의사소통 활성화 2 업무 파일럿의 효율적 진행을 위해 파트내 (BP-모델러-개발자) 및 파트간 (예 : 상품/계약-보상) 의사소통 활성화를 위한 지원 관리 PM, INT, 품질Mentor 핵심 산출물 중심의 진도 관리 3 사전 정의된 마일스톤 및 핵심 산출물 중심으로 작성한 파트별 상세 WBS를 기준으로 핵심 산출물 완료 여부 확인을 통한 관리 Integrator, 품질Mentor 전사 통합 관점의 산출물 품질 관리 4 방법론에서 정의된 지침을 기본으로 파트에서 작성한 산출물의 완성도, 정확성, 추적성 등의 기준으로 통합 관점에서 품질 관리 전사 QA, 품질Mentor 실질적 변화관리 5 PI 및 차세대 추진 과정에서 겪는 변화 사항을 사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혁신의 성과를 제고할 수 있도록 적응과정 관리 변화관리 프로젝트 위험요소에 대한 관리 적시성 확보 6 회의, 진도, 품질 등 프로젝트 관리 활동 중 파악된 위험요소를 적시에 식별하여 위험이 해소될 때 까지 PMO에서 관리 PM, Integrator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24 24

25 Professional Engineer,
구축 단계 시 PMO의 역할 시범구축 단계에서 정의된 프로젝트 관리 절차를 적용하며, 구축 단계 특성을 역할 및 절차를 일부 수정하여 차세대시스템의 성공적 오픈을 위한 역할을 수행함 PMO 주요 기능 변경 필요 여부 프로젝트 관리 방법 요약 자원관리 No 기 정의된 인력 투입/철수에 따른 절차에 따라 자원관리를 진행함 범위관리 No 기 정의된 구성관리 절차에 따라 범위관리를 진행함. 이슈관리 No 각 파트에서 파악한 이슈를 Integrator가 취합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함 진척관리 Yes 시범구축 단계와 동일하게 BP 리더 중심의 파트 내 주간 리뷰를 통해 산출물 품질 기반의 진척을 관리함 의사소통 Yes 구축 단계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젝트 공시 회의체를 재구성 PMO Staff의 의사소통 체계를 강화하고, 수행사 중심의 주간 및 월간 보고 지원 이벤트 관리 No 기 정의된 이벤트 관리 절차에 따라 Integrator 중심으로 프로젝트 이벤트를 관리함 QA 방법론관리 No 기 정의된 R&R에 따라 수행사 방법론 담당자와 전사QA 담당자와 협의하여 관리함 품질관리 Yes 구축 단계 특성을 반영하여 QA 간의 R&R을 정의하고 품질을 관리함 공정관리 No 기 정의된 R&R에 따라 수행사 방법론 담당자와 전사QA 담당자와 협의하여 관리함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25 25

26 Professional Engineer,
L사 PMO의 중점 포인트 (1/9) 주어진 Position에 적합한 방법으로 주요 이해관계자와 의사소통을 촉진함. PMO 실천할 수 있는 Action Item Portfolio Project Political 믿고 따라 갈수 있는 Guide Police Policy 보고 이해할 수 있는 Report Power “ 중요한 것은 사람(People) 입니다. 사람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없이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26 26

27 Professional Engineer,
L사 PMO의 중점 포인트 (2/9) 일정 시점에 업무 연계성 관점에서 품질을 검토하기 위해 “통합리뷰”를 실시하여 목표 중심의 전사QA 활동을 수행함 illustrative 구분 통합 리뷰 단계말 검토 세션 형태 주요 산출물 시뮬레이션, 질의 응답 파트 QA, 작업자 등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진행 점검 형태로 시행 주요 산출물 점검, 필요 시 시뮬레이션 세션 실시 검수기준의 단계 말 검토 시정조치 품질 심각도가 중 이하인 항목에 한해 1주 이내 복구 1주 이상의 복구 기간이 필요한 사항에 한해 전사 QA와 복구 및 확인 시기 조정 1주 이내의 복구 가능한 결함의 경우 복구 후 재검토 실시 1주 이상의 복구 시간이 필요한 결함의 경우 별도 Contingency Plan을 PMO 에 제출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27 27

28 Professional Engineer,
L사 PMO의 중점 포인트 (3/9) 고객사 조직과 융합된 전사 품질관리 체계 구성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28 28

29 Professional Engineer,
L사 PMO의 중점 포인트 (4/9) 결과 중심의 사후품질관리가 아닌 진행 중심의 진행품질관리 수행 illustrative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29 29

30 Professional Engineer,
L사 PMO의 중점 포인트 (5/9) 전사 통합 관점의 화면 품질(표준) 관리 수행 illustrative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30 30

31 Professional Engineer,
L사 PMO의 중점 포인트 (6/9) 시점별로 실질적인 지원이 가능한 멘토 or 파트 QA 운영 (1/2) 시범 구축 단계에서 새롭게 시도된 멘토 조직의 장점은 보존하고 단점은 보완된 QA 조직 산하에 파트QA역할을 구성함. 파트 QA는 개별 프로젝트간의 통합, IT와 BIZ의 통합 등을 모니터링하고 지원하는 기능을 주 업무로함. 파트 QA는 프로그램 차원에서는 위험관리를, 프로젝트 차원에서는 통합 및 품질관리를 지원함.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31 31

32 Professional Engineer,
L사 PMO의 중점 포인트 (6/9) 시점별로 실질적인 지원이 가능한 멘토 or 파트 QA 운영 (2/2) 파트 QA는 해당 파트 프로젝트에 전담 PMO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각 프로젝트가 Silo 형태 독립 프로젝트로 진행되어 적절한 통합 및 테스트가 힘들 수 있다는 전제로 PMO 차원에서의 테스트, 빠른 의사결정, Risk 완화를 목표로 활동함.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illustrative 32 32

33 Professional Engineer,
L사 PMO의 중점 포인트 (7/9) 원칙 중심의 프로젝트 진척 관리 수행 구축 단계 진척관리는 다음 원칙을 적용하여 수행사 중심의 “작업 진행 진척” 과 L사 중심의 “품질 검토 진척”으로 이원화 하여 관리함.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33 33

34 Professional Engineer,
L사 PMO의 중점 포인트 (8/9) PMO Staff 주간 보고서 작성을 통한 프로젝트 투명성 확보 (1/3) illustrative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34 34

35 Professional Engineer,
L사 PMO의 중점 포인트 (8/9) PMO Staff 주간 보고서 작성을 통한 프로젝트 투명성 확보 (2/3) illustrative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35 35

36 Professional Engineer,
L사 PMO의 중점 포인트 (8/9) PMO Staff 주간 보고서 작성을 통한 프로젝트 투명성 확보 (3/3) illustrative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36 36

37 Professional Engineer,
L사 PMO의 중점 포인트 (9/9) 시스템 오픈을 위한 주요 마일스톤 중점 관리 illustrative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37 37

38 Professional Engineer,
Q&A Professional Engineer, Chris Heedong Na


Download ppt "Professional Engineer,"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