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근거이론연구방법론 (Grounded Theory Methodology)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근거이론연구방법론 (Grounded Theory Methodology)"— Presentation transcript:

1 근거이론연구방법론 (Grounded Theory Methodology)

2 개 념 근거이론방법론은 일련의 체계적인 과정을 통하여 어떤 현상에 대해 귀납적으로 이끌어진 하나의 이론을 발전시키는 질적 연구방법(Strauss & Corbin, 1990)

3 개 념  대상자의 표현 속에서 대상자가 의미 있게 받아들이고 있는 주요 사건이나 문제점을 대상자의 관점에서 파악하려는 연구 방법론

4 개 념 근거이론방법론은 연구하고자 하는 영역에서 보여지는 행위의 다양성을 설명하고 해석할 수 있는 개념을 발견하고 이들 개념간의 관계를 만들어 낸다.

5 개 념 따라서 연구자는 근거이론방법론을 통하여 대상자의 주요 문제를 찾아내고, 이들이 지속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기본적인 사회과정(basic psychosocial process)을 발견할 수 있다(Glaser, 1978).  

6 철학적 배경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 -actionism)에 철학적 배경을 두고 있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Mead에 의해 체계화되어 Blumer가 발전시킨 사상체계로 사회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간 행위의 의미를 설명 하고자 하였음

7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3가지 기본 가정 1) 사람들은 사물의 의미에 기초하여 행동을 하며,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3가지 기본 가정 1) 사람들은 사물의 의미에 기초하여 행동을 하며, 2) 사물이 갖고 있는 의미 는 사회적 과정 을 통해서 형성되고, 변형되고 유지되며, 3) 사람들은 해석적 과정을 통해서 의미를 사용한다

8 철학과 연구방법론의 연계 (Blumer, 1969)   인간의 모든 사회적 행위는 행위자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상황들을 주시하고 해석하며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하여 인간을 적극적인 개체로 간주하는 적극적인 인간관을 제시하고 이를 방법론에 적용시킴 -이러한 철학적 배경을 근간으로 하는 근거이론방법론은 인간 행위의 상호작용의 본질을 파악 하고 개념화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9 근거이론방법론의 적용 근거이론방법론의 연구과정 : - 경험적 자료로부터 개념이 형성되고 발달되며, 개념들의 수정․통합을 통해
 근거이론방법론의 적용 근거이론방법론의 연구과정 : - 경험적 자료로부터 개념이 형성되고 발달되며, 개념들의 수정․통합을 통해 실재 이론을 개발하고 연구 보고서를 작성.

10  표본추출(Sampling) 근거이론방법론에서 표본추출은 사람들 그 자체가 아니라 사건을 표본 추출하는 것으로 이론적 표본추출(theoretical sampling)을 통해 한다. 이론적 표출은 출현되는 이론을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자가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하면서 다음에 어떤 자료를 수집하고 또 어디서 그것들을 발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이론 생성을 위한 자료수집 과정이다.

11 이론적 포화 (Theoretical saturation)
이론적 포화란? 1) 범주에 관하여 더 이상 새롭거나 관련 있는 자료가 나타나지 않을 것처럼 보일 때까지, 2) 변이와 과정에 따라 모든 패러다임 요소 들을 설명할 수 있는 범주들의 발전이 밀도 있게 짜여 질 때까지, 3) 범주 사이의 관계들이 잘 설정되고 근거가 타당하다고 생각될 때까지

12 자료 수집 심층면담(in-depth interview)을 통해 얻은 자료를 이용한다.
심층면담 외에도 현장 관찰, 일기, 편지, 자서전, 전기, 역사적 유물, 대중매체 등의 다양한 경험적 자료가 이용

13 자료 수집 1.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 - 면담 초기에 일반적,구체적이지 않은 일상의 대화
참여자가 편안 감을 느끼는 장소 - 면담 초기에 일반적,구체적이지 않은 일상의 대화 - 대화가 진행되고 신뢰 형성되면 심층면담 - 자료가 포화될 때 까지 면담지속 - 녹음 후 필사(참여자가 표현한 언어 Verbatim 그대로 ) - 반복하여 들으면서 원 자료의 내용과 비교검토

14 자료 분석 근거이론방법은 수집된 정보나 자료를 분류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코딩(coding)이라고 한다. 코딩에는
(1) 개방코딩(open coding), (2) 축 코딩(axial coding), (3) 선택코딩(selective coding)

15 개방코딩(open coding) 개방코딩은 면밀한 자료 검토를 통해 현상을 발견하고 명명 하고 범주화시키는 분석작업.
개방코딩을 통해 개념(concepts)을 도출 하고, 유사한 개념을 정련하고 통합하면서 추상성이 증가하는 하위범주, 범주를 도출한다. 범주를 개발할 때 그 범주가 가지고 있는 속성(properties)과 차원화(dimensions)를 고려한다.

16 축 코딩(axial coding) 과정 - 패러다임 모형 구축.
축 코딩은 개방코딩의 연장으로 개방코딩 동안에 발견되는 범주들과 하위 범주들을 구체적으로 연결시키고 그것들의 변화와 과정의 증거를 찾는 과정 - 패러다임 모형 구축.

17 패러다임 모형 By Strauss와 Corbin(1990)
범주간의 복잡한 관련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 (1) 원인적 상황(causal conditions) → (2) 현상(phenomenon) → (3) 맥락(context) → (4) 매개요인(intervening conditions) → (5) 작용/상호작용 전략(action / interaction strategies) → (6) 결과(consequences)의 모형으로 설명할 것을 제시한다.

18 선택코딩(selective coding)
이론을 형성하는 차원화의 단계를 따라 범주를 정련하고 통합하고 관계에 대한 통합과 진술의 근거를 확실하게 하는 과정 - 글쓰기 자료에서 얻은 이야기를 명확히 하고 쉽게 이해 하기 위해 이야기 윤곽을 개발하여 분석적인 이야기로 기술

19 핵심 범주(core concept) 연구 현상을 대표할 수 있는 개념 핵심 범주는 가장 중심적이어서 다른 주요 범주
핵심범주는 연구 내용이 무엇이며 발견한 것이 무엇 인가를 설명할 수 있도록 분석의 산물을 추상적인 용어로 농축시켜 놓은 것 핵심 범주는 가장 중심적이어서 다른 주요 범주 들이 이것에 연관될 수 있어야 하며, 자료에서 빈번하게 나타나야 한다.

20 근거이론을 통한 과정분석 코딩을 근간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개는 작용/상호작용 연속의 연결을 의미하는 과정을 분석
함으로써 근거이론방법론 분석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음 과정을 분석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왜 그리고 어떻게 작용/상호작용이 변화하고 그대로 지속하고 또는 역행하는가, 왜 사건의 발전이 있고, 무엇이 상황의 변화에 맞서 작용/상호작용의 지속성을 가능하게 하며, 그리고 그 결과를 주목함으로써 전개되는 사건들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보여줌

21 근거이론방법론의 평가 근거이론방법론의 평가기준(Glaser,1978) - 적합성(fit), - 타당성(work),
- 관련성(relevance), - 수정가능성(modifiability)

22 결 론 - 연구 질문을 탐색함에 있어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인간의 행동과 사회생활에 초점 을 두고 있는 근거이론방법론은 경험적 세계를 바탕으로 하여 이론을 형성하는 귀납적 방법론을 적용하기 때문에 방법론적 가치의 유용성이 인정되고 근거이론이 실제 영역에 대한 지식 체의 개발에 유용하다.

23 결론 듣고, 관찰한 것, 읽은 것 등의 해석에 책임감을 가져야 함
근거이론방법론은 다른 질적 연구 방법과 마찬가지로 연구 대상자를 이해하기 위함. 따라서 연구자는 듣고, 관찰한 것, 읽은 것 등의 해석에 책임감을 가져야 함

24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근거이론연구방법론 (Grounded Theory Methodology)"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