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I. 백혈구 증가증(Leukocytosis)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I. 백혈구 증가증(Leukocytosis)"— Presentation transcript:

1 I. 백혈구 증가증(Leukocytosis)
21. 백혈구계 질환 수적인 증감: Leukocytosis Leukopenia 질적인 이상: 백혈구의 기능이상 종양화한 이상백혈구의 증식-- leukemia I. 백혈구 증가증(Leukocytosis) 정의: 백혈구가 정상치보다 증가하는 경우(11,000개/㎕) 1. 호중구 증가증 호중구 수가 8,700개/㎕ 이상일 경우-- band 나 semented form 가장 흔하다 원인: 1) 감염: 세균에 의한다(virus-- lymphocyte 증가). shift to the left 기전: 세균의 endotoxin이 BM로부터 PB로 호중구 유출을 자극 예외) 장티푸스-- 호중구 감소

2 2) 악성종양: 말기에 증가 원인: 조직의 괴사, 감염증의 합병, 호중구 생성인자의 과잉생성 3) 혈액질환: 골수증식증후군(CML, 진성다혈증, 골수섬유증, 혈소판형증) pluripotent stem cell or myeloid stem cell의 이상 4) 약물: 부신피질호르몬, epinephrine, 중금속(납, 수은), 치료약, benzene 유도체 5) 생리적 증가: 격심한 운동, epinephrine 투여 후, 임신 중, 신생아 6) 급성용혈: 수혈 부적합, 급성용혈성 질환 7) 급성출혈: 복강, 관절내 출혈, 자궁외 임신, 두개골 파손, 비장파손 2. 호산구 증가증 정의: 호산수 수가 500개/㎕ 이상일 경우 원인: 알레르기성 질환(천식, 고초열, 담마진, 약품과민 등), 기생충감염, 피부병(두창, 건선, 습진, 포진성 피부염), 교원병, 종양성 증식(CML), 과호산구 증가– 호 산구성 백혈병 포함, 방사선 조사, 성홍열, 악성빈혈, 가족성 호산구 증가증

3 3. 호염기구 증가증 원인: 만성 골수증식 증후군(CML), 진상다혈증, 골수전이성 질환, 점액수종, 괴양 성대장염, 천연두 등 4. 단핵구 증가증 정의: 단핵구의 수가 1,110(500개/㎕ ~ 950개)/㎕ 원인: 결핵, 아급성 심내막염, 패혈증, 매독, 무과립증 회복기, 호산구 감소증 5. 림프구 증가증 정의: 성인에서 3,500개/㎕ 이상일 때 출현: virus 성 감염(전염성 간염, 유행성 이하선염, 홍역, 수두) -- atypical lymphocyte(=virocyte)-- 전염성단핵구증 세균성 감염(백일해), 알레르기성 질환, 림프구성 백혈병

4 6. 골수섬유증 정의: 전신의 골수가 섬유화→ 골수 외의 태생기 조혈조직(간, 비장)에서 조혈 하는 것 60세 이후 발병 종류: 원발성-- 원인불명(일반적)-- 만성골수증식성 증후군 (골수계 세포 증식으로 인한 반응성 변화) 속발성-- CML, 진성적혈구 증가증 특징: hepatomegaly, splenomegaly, anemia, 체중감소 혈액검사소견: anemia, 백혈구 증가, 혈소판 (감소 또는 증가, 이상혈소판) PB-- immature cell(CML과 유사)--leukemoid reaction의 일종 RBC-- normochromic normocytic, normoblast, tear drop cell LAP-- 증가 BM-- 고도의 섬유화, 거핵구 증가

5 7. Leukemoid reaction 말초혈액상이 백혈병과 같은 혈액상을 보이는 상태 혈액검사 이상으로 인한 명칭 백혈구 수 증가(15,000-20,000개/㎕), 좌방이행 *정의: 수의 증감과는 관계없이 PB에 미성숙 과립구가 출현하거나, 미성숙 과립 구는 없으나 수가 현저히 증가하는 경우 *감별: 호염기구-- CML(증가), leukemoid reaction(?) LAP-- CML(감소), leukemoid reaction(증가) philadelphia chromosome-- CML(출현), leukemoid reaction(X) *원인별: 만성골수구성-- 결핵, 뇌수막염 등 만성림프구성-- 백일해, 수두 급성골수구성-- 파종결핵 급성림프구성-- 감염단핵구증

6 8. 감염단핵구증 병원체: Epstein Barr virus 출현: 젊은 연령층 PB: atypical lymphocyte 증가 RBC 수-- 정상 WBC 수-- 감소(초기) 후 증가(1주 후) 림프계 세포-- 증가 혈소판-- 감소 normocytic normochromic 진단: Paul-Bunnel test, 이종친화항체검사

7 II. 백혈구 감소증 정의: 백혈구 수가 정상치 이하로 감소된 상태-- 어떤 백혈구의 절대수 감소 (호중구)
1. 호중구 감소증 정의: 1,500개/㎕ 이하일 때 1) 호중구 생산의 감소 (1) 감염: 간염, 결핵, 말라리아 등 세균성-- 장티푸스, 속립성 결핵 (2) 선천성질환: (3) 약물: 알킬화제, 항생제 (4) 영양결핍: vitamin B 12, folic acid (5) 골수섬유증, 종양의 침윤 (6) 혈액질환; 재생불량빈혈 등 2) 호중구 파괴의 증가 3) 말초에 호중구 저장 증가 4) 지라기능 항진증: 범혈구 감소(간경변, Banti syndrom) 5) 기타: 바이러스성-- 림프구 증가, 호중구 감소(호중구 파괴) 리케치아성-- 리켓차 폭스(두창증), 발진티브스 기생충-- Kala-azar

8 6) 무과립백혈구증: 특징-- 빈혈, 혈소판 감소는 없다
6) 무과립백혈구증: 특징-- 빈혈, 혈소판 감소는 없다. 원인-- ① 면역성-- 약제에 대한 항체가 호중구를 파괴 증명-- 환자의 혈청에 약제 투입→ 양성(과립구 응집시험, 과립구 상해시험) ② 중독성-- 골수에서 호증구 생성이 장애 2. 호산구 감소증 원인: 급성감염증(장티푸스 초기) Cushing syndrom, 부신피질호르몬 투여, stress 3. 림프구 감소증 정의: 림프구의 절대수가 1,000개/㎕ 이하일 때 원인: 악성림프종, 부신겉질호르몬 투여, 항암제 투여, 면역부전증을 동반한 감 염증, 심장질환, pneumonia, pancreatic necrosis, uremia, collagen disease 4. 호염기구 감소증 원인: 급성감염, 스트레스 등

9 5. 온혈구 감소증 정의: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을 포함한 모든 계통의 혈구가 동시에 감소 원인: 생성저하, 파괴증가 aplastic anemia, megaloblastic anemia, multiple myeloma, 골수이형 성증후군, Banti syndrom, 간경변, SLE,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

10 III. 유전백혈구 이상(선천성 과립구 기능 이상)
1.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과립구의 살균능이 저하→ 감염증→ 림프구 종창→ 사망 원인; 과림구중의 산화효소 이상→ H2O2 생성 불가 2. Myeloperoxidase deficiency 선천적인 myeloperoxidase 결핍→ H2O2 생성 불가→ 살균능 저하 과립구 peroxidase 염색(-) 3. Lazy leukocyte syndrome 과립백혈구의 이주능 저하-- 과립백혈구 감소(PB) 4. Philadelphia chromosome 염색체 G group의 22번째 long arm이 40%이상 소실된 것 출현: CML 5. Alder-Relly anomaly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 basophilic 과립이 정상보다 크게 나타난다 원인: myeloperoxidase 유전자의 구조적 이상

11 6. May-Hegglin anomaly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 과립구내에 basophilic 소체 혈소판 감소, 거대혈소판 CT(연장). tourniquet test(+)-- 혈소판수명 단축 7. Chediak-Higashi syndrome 상염색체 열성유전질환 과립구의 세포질에 큰 과립상 출현 과립구의 살균능 저하, 주화유주능 저하, 출혈성 경향 peroxidase(+) anemia, 호중구 감소, 혈소판 감소 8. Pelger-Huet anomaly 핵분절이 이루어지지 않은 질환 동형접합체-- 호중구는 성숙, 핵은 원형 내지 난원형 이형접합체-- 호중구의 핵이 2엽(seg가 40%이하로 감소) 원인: 점액수종, 급성장염, 말라리아, leukemoid reaction, CLL, 골수화생, 전염성 단핵구증

12 IV. 혈액종양 1. 혈액종양의 발생 *혈구형성과정: 정상-- 조혈줄기세포의 증식→ 분화(항상성 유지)
종양-- 비정상적인 증식→ 분화정지(항상성 파괴) *발생기전: 1) 종양줄기세포 설: 암세포들 중 일부가 줄기세포역할을 하여 암세포를 생산 예) 백혈병줄기세포 marker 중 일부가 발현 2) 영역백혈병유발설: 발암물질에 노출된 세포의 유전자 불안정으로 암세포 발생 예) aplastic anemia 치료 중 골수형성이상증후군이나 AML발생 (표적치료로 종양이 없어지면 유전자 불안정성이 발생한 다른 세포들이 종양화) *분류: 조혈계 종양-- 환경적 요인 림프계 종양-- EB virus(Burkitt lymphoma), HTLV-1(성인T세포 백혈병) 약제-- 항암제

13 2. 혈액종양의 특징 1) 종양세포의 4가지 특성 (1) 클론성-- 종양의 특징을 갖거나 비슷한 특징을 가진 질환, 종양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질환 (2) 자동성-- 골수에서 자동으로 생성 (3) 형성이상 예) 골수형성이상증후군(MDS)-- 형성이상(0), 자동성(0), 클론성(X) polycythemia vera-- 자동성(0), 형성이상(X), 클론성(X) (4) 침윤전이--CML(만성기--골수증식질환, 급성기-- 백혈병) 2) 진단과 질병단계 * 고형암-- 병변부위로 진단 * 혈액종양-- 골수검사와 말초혈액검사로 진단(말초에 종양세포 출현 시 이 미 말기) 3) 치료적 접근 * 고형암-- 1-3기(병변부위 절제), 3-4기(화학요법 치료) * 혈액종양-- 4기(화학요법 치료만 가능) 4) 관해 * 고형암-- 치료 후 mass가 줄어든 정도 * 혈액종양-- 암세포의 증가 혹은 감소를 표현

14 3. 혈액종양과 세포유전학 1) 염색체분석 2) 혈액종양에서 흔히 나타나는 염색체 이상 (1) 골수계열 혈액종양에서 염색체 이상 ① 필라델피아 염색체-- CML ② t(8:21) 자리옮김-- AML ③ t(15:17) 자리옮김-- APL ④ 11q23 이상-- AML-M5 type ⑤ 16번 염색체 이상-- AML ⑥ del(5q)-- MDS, AML ⑦ del(7q)-- AML, MDS (2) 림프구 계열 혈액종양 ① 만성림프구성백혈병/소림프구림프종 ② 다발골수종 ③ 급성림프모세포백혈병과 악성림프종 3) 염색체 자리옮김과 종양유전자 활성화 4) 급성골수구성백혈병의 돌연변이 검사

15 4. 혈액종양 분류 분류체계: WHO 분류:┎혈액세포의 증식을 나타내는 질환 ┖혈액세포의 형성이상을 나타내는 질환 ┎급성백혈병(백혈구 종양) ┖림프종(림프구 종양)

16 V. 백혈병(Leukemia) 1) 정의: 혈액이나 골수 또는 그 외 조직에서 골수모세포의 클론성(종양의 특성을 가진
질환) 증식에 의해 발생하는 혈액종양 [암세포로 알려진 백혈병 세포가 골수에서 과잉증식으로 조혈기능의 장애와 조직(골수 등) 침윤을 동반하는 조혈조직의 악성종양] 2) 결과: 감염(호중구 감소), 빈혈(적혈구 감소), 출혈경향(혈소판 감소) 3) 치료방법: 조혈줄기세포 이식 4) 원인: ① 유전적인 소인 ② 방사선에 노출 ③ 화학약품 5) 진단: ① bone marrow, blood smear의 염색에 의한 형태학적 관찰 ② Cytochemical test(PAS, peroxidase, Sudan black B, esterase) ③ 면역학적 검사(surface marker 이용) ④ 세포유전학검사 ⑤ 분자유전검사 6) 발병연령: ALL(어린이), CLL(50대 이후), AML(영아), CML(중, 장년층) 7) WHO 분류체계의 특징 (1) Blast form 비율: 30%(FAB)→ 20%(WHO) (2) 검사항목: 세포유전학 검사, 분자유전학 검사 추가 (3) 임상양상 추가

17 1. 백혈병 * 3대 증상-- anemia (혈구 생성 억제--적혈구 생성 감소) 출혈 (혈소판 감소)
발열 (neutrophil 감소-- infection) --> 간, 비장, 림프절 비대 * PB: 감소-- Hb, Reticulocyte, 혈소판 증가-- WBC 수(immature cell), mature cell(감소) cf. Aplastic anemia: WBC(감소), immature cell(x), mature cell(감소) * BM: 혈구 과형성, blast form(20% 이상, 증가) cf. Aplastic anemia: 저형성 * 분류: ① 세포의 분화정도 ② 성숙정도 ③ 분자생물학적 특성 (1) 백혈병세포의 분화, 성숙도에 의한 분류 Acute leukemia: 성숙력 결함으로 blast와 같은 immature cell이 출현 Chronic leukemia: 대부분 성숙한 백혈구가 출현 (2) 백혈병세포의 성질에 의한 분류 Myeloid: 골수계세포의 성질을 가진다 ex) AML(Acute myelocytic leukemia) 또는 CML Lymphoid: lymphoblast가 출현 ex) ALL 또는 CLL

18 1) 급성골수구성 백혈병 * 일명 acute non-lymphoblastic leukemia(과립구계, 단구계, 적아구계, 거핵 구계 모두) * PB: 적혈구상(normocytic normochromic), platelet(giant, irregular), 백혈구(증가 or 감소) * SBB, peroxidase, Esterase(specific, 과립구) 염색-- positive LAP-- 낮다 * 분류-- subtype-- M0 ~ M7 * 혈액종양의 FAB(French-American-British) 분류체계 ① bone marrow, blood smear의 염색에 의한 형태학적 관찰 ② 면역학적 검사(surface marker 이용) ③ Cytochemical test(PAS, peroxidase, Sudan black B, estarase)

19 (1) FAB M0 [acute myeloid leukemia with minimal(without) differentiation]
AML의 5% 미만, blast form(20% 이상) * peroxidase, SBB 염색-- negative.(3% 이하. 무과립성) * Esterase 염색 - specific(naphthol AS-D chloroacetate)-- positive(Na-F에 억제 x) 과립구계 강하게 염색--promyelocyte(strong +) - non-specific(α-naphthyl butyrate, α-naphtyl acetate)– nagetive (Na-F에 억제 0) 단구계 강하게 염색-- monocyte(strong +)→ monocyte 동정 (2) FAB M1 (acute myeloid leukemia without maturation) Auer body 출현 * myeloperoxidase, SBB 염색-- positive(3% 이상) cf. ALL myeloblast가 대부분(promyelocyte 3% 이하) - mature granulocyte--소수 myelocyte, metamyelocyte—No

20 (3) FAB M2 (acute myeloid leukemia with maturation)
M1보다 성숙(myeloblast-- 20% 이상. promyelocyte %) * myeloperoxidase, SBB 염색-- strong positive * LAP-- 낮다 * Esterase: * specific-- positive * non-specific-- nagative (4) FAB M3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BM, PB-- abnormal promyelocyte(30%, APL) azure granule 풍부(정상 promyelocyte-- 적다) M3a-- hypergranular promyelocytic leukemia M3b-- hypogranular promyelocytic leukemia DIC 동반. 출혈증상이 심하다.

21 (5) FAB M4 (acute myelomonocytic leukemia, Naegeli type)
과립구계 세포(myeloblast, promyelocyte), 단구계 세포(monoblast, monocyte)가 혼재 (AMMoL) monoblast, myeloblast(20% 이상) 감별: Esterase 염색 (6) FAB M5 (acute monoblastic and monocytic leukemia, Schillimg type) 단핵구계 세포가 주를 이룸(AMoL) M5a-- monoblast가 主(poorly differentiated). 공포. , monocyte(20%) M5b-- monocyte가 主 (well differentiated). 핵(다분엽). 세포질(grayish blue) * non-specific esterase-- positive * peroxidase, SBB 염색-- negative(blast) cf. positive(성숙)

22 (7) FAB M6 (acute erythroid leukemia)
megaloblast와 유사. 핵(다핵, 2개 이상). 특이한 형태의 적혈모세포(多) * Iron stain-- ring sideroblast-- positive * PAS– positive (8) FAB M7 (acute megaloblastic leukemia) BM-- 유핵골수세포 중 거대핵세포(50%이상) 골수섬유증 동반. 일명 acute malignant myelosclerosis, acute myelodysplasia, acute myelofibrosis * peroxidase-- negative

23 2) 만성골수구성 백혈병(Chronic myelocytic leukemia, CML)
증상: 경증, 쉬 피로, 지라비대-- 3년 후→ 빈혈, 출혈증상, 발열 발병연령; 40-50대 중, 장년. 여자 〉남자 PB 소견: ① WBC 수 증가(15만)-- myeloblast~seg.까지 출현 ② eosinophil, basophil 증가 ③ LAP activity(감소) BM 소견: ① Hyeprcellularty ② Ph' chromosome (1) 만성기 (2) 가속기 (3) 모세포기(급성기)

24 3) 급성림프모세포백혈병 BM-- lymphoblast(多). peroxidase, SBB-- negative(3% 이하) PAS(+) PB-- lymphoblast(60% 이상) 적혈구(normocytic normochromic), anemia, platelet(감소, 출혈), (1) ALL L1 size-- small(regular) lymphoblast chromatin(homogenous) (2) ALL L2 size-- large(irregular, pleomorphism) lymphoblast chromatin(variable) nucloli(유) (3) ALL L3 size-- large nuclear-- regular(oval-round) cytoplasm-- deep blue, vacuolation

25 4) 만성림프구성백혈병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 )
원인: immuno-deficiency(B-lymphocte) PB 소견: WBC 증가-- mature lymphocyte(small) mild anemia-- autoimmune hemolytic anemia mild thrombocytopenia BM 소견: lymphocyte 증가 면역학적 소견: B-cell surface marker 출현 PHA 첨가 유약화가 낮다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부전 <참고> B-cell marker-- CD5, CD10, CD19, CD20, CD24 T-cell markee-- CD2, CD4, CD7, CD8

26 2. 골수형성이상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 MDS)
중년기(50세)에 호발 abnormal 조혈모세포 출현. anemia, 호중구(감소), 혈소판(감소, purpura) stem cell의 질적, 양적이상→ 조혈기전 이상 초래 * 원인: * 적혈구계 형성이상 - PB-- anisocytosis, NRBC BM-- 핵(2분절), 세포질(공포) - ringed sideroblast * 거대핵세포형성이상-- giant platelet * 과립구형성이상 - PB-- 핵 이상(hyposegmentation 등), 세포질(과립감소) 작은 호중구 - BM-- 핵과 세포질의 성숙도 불일치 * 일명, chronic myelomonocytic leukemia(preleukemia)--예후가 나쁘다 * 혈액검사 소견: 거적혈구, anisocytosis, poikilocytosis, 거대혈소판 * BM-- small megakaryocyte

27 * FAB에 의한 분류: 5가지 ① 불응빈혈(무반응성, 항치료성) ② Refractory anemia with ringed sideroblast(RARS) ③ Refractory anemia with excess of blast(RAEB) ④ Chronic myelomonocytic leukemia(CMML) PB--monocyte(1,000개 이상/mm3) 증가. blast 5% 이하 BM--blast 5-20% ⑤ RAEB in transformation PB--blast 5% 이상. BM--blast 20-30% PB--blast 1% 이하. BM--blast--5% 이하

28 1) 단일계열형성이상불응 혈구감소증 적혈구계열만을 침범하는 증후군 (1) 불응빈혈(무반응성, 항치료성) PB—blast(1% 이하). BM—blast(5% 이하) (2) 불응혈소판감소증-- 거대핵세포형성이상(10%) (3) 불응호중구감소증-- 호중구형성이상(10%) 2) 환상철적혈모세포 불응빈혈(RARS) PB—blast(1% 이하) BM--적혈모세포에 ringed sideroblast(15% 이상) Blast(5% 이하) 3) 다계열형성이상불응 혈구감소증 4) 모세포증가 불응빈혈(RAEB) RAEB-1: PB-- 혈구 수 감소. blast 5% 이하. 단구 1,000개/㎕ 이하 BM-- 이형성. blast 5-9% RAEB-2: PB-- 혈구 수 감소. blast 5-19%. 단구 1,000개/㎕ 미만 BM-- blast 10-19% 5) 6) 7)

29 3. 골수증식종양 원인: 유전자 돌연변이 결과로 발생하는 클론성 질환 특징: 적혈구, 혈소판 과립구의 과잉축적, 생산증가 및 증식(조혈모세포 질환) 종류: 만성골수구성백혈병-- 과립구 생산증가 진성적혈구 증가증-- 적혈구 생산증가 본태혈소판증가증-- 거대핵세포(BM), 혈소판(PB) 증가 일차골수섬유증-- 혈구감소(PB) 1) BCR/ABL1 양성만성골수구성백혈병 2) 만성호증구백혈병-- 성숙한 호중구 증가 3) 진성적혈구증가증 4) 일차골수섬유증 5) 본태혈소판증가증 6) 상세불명만성호산구백혈병 7) 비만세포증 (1) 피부비만세포증 (2) 전신비만세포증 (3) 비만세포백혈병 8) 미분류골수증식종양

30 4. 골수형성이상/골수증식종양 1) 만성골수단핵구성백혈병(CMMoL) 2) BCR/ABL1 음성 비정형만성골수구성벡혈병 3) 소아(연소)가골수단핵구성백혈병 4) 미분류골수형성이상/골수증식종양 5. 호산구증가증과 PDGFRA, PDGFRB 또는 FGFR1 유전자재배열을 동반한 골수계 및 림프게 종양 1) PDGFRA 유전자 재배열을 동반한 골수계 및 림프계 종양 2) PDGFRB 유전자 재배열을 동반한 골수계 및 림프계 종양 3) FGFR1 유전자 재배열을 동반한 골수계 및 림프계 종양 6. 급성골수구성백혈병(AML) 1) 반복유전자이상급성골수구성백혈병 (1) t(8;21) 급성골수구성백혈병 (2) inv(16)/ t(16;16) 급성골수구성백혈병 (3) t(15;17) 급성전골수구성백혈병 (4) t(9;11) 급성골수구성백혈병

31 (5) t(6;9) 급성골수구성백혈병 (6) inv(3)/ t(3;3) 급성골수구성백혈병 (7) t(1;22) 급성골수구성백혈병 (8) NPM1 돌연변이급성골수구성백혈병 (9) CEBPA 돌연변이급성골수구성백혈병 2) 골수형성이상관련급성골수구성백혈병 3) 치료관련골수성종양 4) 상세불명급성골수구성백혈병 (1) 최소분화급성골수구성백혈병 (2) 미성숙급성골수구성백혈병 (3) 성숙급성골수구성백혈병 (4) 급성골수단핵구성백혈병 (5) 급성단핵모세포 및 단핵구성백혈병 (6) 급성적혈구계백혈병 (7) 급성거대핵모세포백혈병 (8) 급성호염기구백혈병 (9) 골수섬유증동반 급성범골수증

32 5) 골수성육종 6) 다운증후군관련골수계증식 (1) 일과성골수계조혈이상 (2) 다운증후군관련골수구성백혈병 7) 모세포성 형질세포양 수지상 세포종양

33 7. 계열모호급성백혈병 8. 림프계종양 림프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악성종양 분류 ┎ 악성림프종 ┎ Hodgkin`s disease-- Reed-sternberg cell 출현 | ┖ Non-Hodgkin`s disease-- B-cell, T-cell, NK cell로 | 구분 | 림프모세포백혈병-- B-cell, T-cell, NK cell로 구분 ┖ 형질세포종양 * 악성림프종-- 악성종양이 림프절 및 그 외 조직에 종괴형성 * 림프모세포백혈병-- 골수침범, 종양세포가 말초에 출현 1) 림프계 전구세포 종양 (1) 상세불명 B-림프모세포 백혈병/림프종 골수기능상실-- 혈소판 감소, 빈혈, 호중구 감소 (2) 반복유전자이상 B-림프모세포 백혈병/림프종 (3) T-림프모세포 백혈병/림프종 급성T-림프모세포백혈병-- 어린이(All의 15%), 성인(All의 25%) T-림프모세포림프종-- 전체의 85-90%

34 2) 성숙 B세포 종양 B-림프세포 분화과정 중에 발생한 종양 (1) 광범위 큰 B세포 림프종 (2) 점막관련 림프조직 림프절외 변연부 B세포 림프종 (3) 만성림프구성백혈병/ 소림프구성 림프종 (4) B-전림프구성백혈병 (5) 털세포백혈병 세포질 주변에 돌기가 털모양. CLL의 일종(B-cell) 증상: 지라비대 PB 소견: 온혈구감소, 단핵구 감소 (6) 림프절변연부림프종 (7) 소포림프종 (8) 외투세포림프종 (9) 버킷림프종/ 백혈병

35 3) 성숙 T림프구 및 NK세포종양 (1) T-세포 전림프구성백혈병 (2) T-세포 큰 과립전림프구성백혈병 (3) 림프절외 NK/ T-세포 림프종, 비강형 (4) 골격성 NK-세포 백혈병 (5) Adult T-cell leukemia( ATL )/림프종 분포: 성인에게 호발. 특유한 형태의 세포 일본과 카리브 해안 Human T-cell leukemia virus-I(HTLV-I, Reterovirus)가 있다 특징: 바이러스 감염이 백혈병 발생 감염경로: 모유, 성교, 수혈 증상: 간, 지라, 림프절 종대. 피부발진 동반 PB 소견: WBC 수 증가(occasion). 핵--분엽 mild anemia mild thrombocytopenia 면역학적 소견: T-cell surface marker. 세포성 면역능 저하. anti HTLV-I 항체—positive

36 (6) 균상식육종 (7) 세자리증후군 (8) 역형성큰세포림프종, ALK 양성 (9) 상세불명말초T-세포림프종

37 9. 호지킨림프종(Hodgkin`s lymphoma)
림프절을 따라 침윤하는 악성종양 특징: 반응성 염증세포(lymphocyte, histiocyte, neutrophil,plasmocyte) 진단: Reed-sternberg cell (기원-- 성숙한 B-cell, 핵--large, 2개/ 핵소체--large) 1) 결절 림프구 현저 호지킨 림프종 2) 전형 호지킨 림프종-- 95%차지 (1) 림프구 풍부형 (2) 결절경화형 (3) 혼합세포형 (4) 림프구결핍형 cf. * Non-Hodgkin`s disease: 림프모구를 중심으로 한 것/ 핵을 보이는 것/ 상피세포 침윤한 것/ 핵소체가 뚜렷한 것/ 피하지방 침윤한 것 10. 형질세포백혈병-- B세포계 종양

38 VI. M 단백혈증 M = monoclonal + malignant Monoclonal: 동일기원에 동일성격을 갖는 세포집단 M proteinemia: 동일기원(monoclonal)의 종양성 형질세포가 동일한 성격을 갖는 이상면역글로부린을 생성하는 종양 (혈중에 M 단백이 출현하는 질환) ┎ Malignant-- multiple myeloma, macroglobulinemia ┖ Benign┎ 속발성-- 림프계 종양(악성림프종, CLL), 감염증, 교원병, 암, 간경변 ┖ 원발성

39 1. Multiple myeloma 정의: 골수중의 이상 형질세포가 다발성으로 종양을 형성하는 것 (= 형질세포골수종, B세포 종양) 원인: 유전적, 환경적 증상: 단백이상, 두통, 골절, 골다공, 요통, 빈혈, 전신권태, 현기증, 신장장애 PB 소견: ① severe anemia ② 백혈구 수, platelet 수-- 감소 ③ RBC— normocytic normochromic ④ abnormal plasmocyte BM 소견: ① plasmocyte-- 증가 ② abnormal plasmocyte(myeloma cell, 미성숙, 핵-- 2 이상, Russell body) 면역혈청학적 소견: ① electrophoresis-- M protein 검출 ② M 단백에 상응하는 Ig(G,A,D,E) 증가 M 단백을 볼 수 없는 형(B-J protein) 감소 ③ 단일 항혈청에 M band 확인 ④ 저온(37℃)에서 백색의 침전 혹은 응고(cryoglobulin) 확인 ⑤ 고온(37-60℃)에서 백색의 혼탁 혹은 응고(pyroglobulin) 확인 ⑥ ESR— 증가

40 2. Primary macroglobulinemia
분류: M protein(=IgM) 정의: IgM의 H-chain의 이상 M protein-- L-chain이 없고 H-chain만 존재 * multiple myeloma– 1) primary macroglobulinemia (abnormal H-chain) 2) chain 이상의 모든 Ig 3) B-J protein(L-chain 만 존재) 4) non-M protein(non-H-chain) 증상: 빈혈, 출혈, 현기증, 림프종창 PB 소견: anemia, 혈소판 감소, 연전현상 BM 소견: 다수의 종양세포, 림프구성 형질세포(small lymphocyte~plasmocyte),

41 VII. 면역결핍 정의: 면역(체액성, 세포성)기능이 저하되는 질환→ 감염 분류: ┎ 선천성-- 드물다 ┖ 후천성 ┎ 림프계 종양(악성림프종, CLL)-- 체액성, 세포성 모두 장애 ┖ 다발성 골수종(M proteinemia)-- Ig는 증가하나 항체활성 없다 * 체액성 면역부전-- 정상 Ig 감소, 항암제, 방사선조사(골수계, 림프계 모두 장애) 1.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AIDS) 감염경로: 동성연애자, 혈우병환자, 수혈, 모유수유 원인: HIV의 감염으로 helper T-cell이 사살 증명: 환자 혈청중에 anti-HIV 항체 증명 증상: 림프절 종창, 감염증, 악성종양 면역부전 검사소견: 체액면역능 검사-- B-cell 감소, γ-globulin 감소, Ig 감소 세포면역능 검사-- T-cell 감소, PHA에 의한 림프모세포화 반응의 저하, tuberculin 반응(음성) <참고> PHA(Phytohemeaggulutin)-- 식물성혈구응집소-- 강낭콩을 saline으로 추 출하여 얻은 mucopolysaccharide가 small lymphocyte를 자극하여 유약화 – 적혈구응집, 세포분열촉진

42 VIII. 전신홍반루푸스 원인: 불명. 교원병. 자가면역성 질환 자가항체 형성-- 장기의 장애. 면역학적 손상. 범혈구감소증– 감염 IX. 용해소체축적병 상염색체 열성유전질환 용해소체내에 효소결핍으로 지방대사가 장애→ 지방이 세포에 축적 1. Gaucher's disease 증상: 지라증대 원인: 골수 내 대식세포 내 glucocerebrosidase 결핍 상염색체열성 진단: Gaucher's cell * Gaucher's cell: 대식세포(20-100㎛) 핵(1-다핵) 세포질(pale blue, 당지질) PAS(+), Acid phosphatase(+), SBB(+) 분류: 급성, 아급성, 만성-- 증상의 진행정도 제1형, 제2형, 제3형-- 신경계 침윤여부 Type I, Type II, Type III-- 임상증상 ┖ 가장 일반적. 빈혈,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간 및 지라 증대

43 2. Niemann-Pick disease 원인: spingomyelinase 결핍→ spingophospholipid가 뇌에 축적 세포질: Niemann-Pick cell * Niemann-Pick cell: 20-90㎛, 세포질(거품모양- 지방방울축적), 핵(불분명) PB-- 림프구나 단핵구 세포질에 공포 분류: Type I-- Type II-- Type III-- 3. Tay-Sachs disease 상염색체 열성 원인: Hexosaminidase A 결핍→ spingophospholipidosis(neuron에 축적), GM2 ganglioside(조직. 중추신경계, 눈)에 축적-- 중추신경계 병리 PB: 림프구(공포) BM: 조직구(거품, 공포)

44 4. Mucopolysaccharidosis(MPSs)
원인: 점액다당류 분해용 용해효소(α-L-iduronidase, Isuronate α-sulfatase, N-sulfatase, α-N-acethylglucosaminidase, β-galactosidase, β-glucuronidase) 결핍→ 점액다당류 증가(lysosome에 축적) 분류: Hunter's MPS-- X 염색체 열성유전 Hurler's syndrom, MPS IH-- 상염색체 열성


Download ppt "I. 백혈구 증가증(Leukocytosis)"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