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2강 원예식물의 분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정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2강 원예식물의 분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정수."—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2강 원예식물의 분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정수

2 학습목차 2.1. 의의와 방법 2.2. 식물적 분류 2.3. 원예적 분류

3 식물적 분류의 분류 체계를 알고 종의 명칭 으로 학명의 표기 요령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학습목표 원예식물의 체계적 분류가 갖는 의의와 분류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식물적 분류의 분류 체계를 알고 종의 명칭 으로 학명의 표기 요령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원예적 분류에 근거하여 원예식물을 채소, 과 수, 화훼로 구분할 수 있고, 각 분과별로 이용 편의성 기준에 따라 세분할 수 있다.

4 학습개요 현재 국내에 소개된 원예식물은 총 1,752종으로 이들의 체계적 분류는 원예의 범위를 이해하고 연구와 이용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식물적 분류는 학술적 분류로 자연분류를 근간으로 문, 강, 목, 과, 속, 종의 분류 체계를 갖는다. 원예적 분류는 실용적 분류로 인위분류를 근간으로 먼저 채소, 과수, 화훼로 구분하고, 각 분과별로 이용 편의성을 기준으로 다양하게 세분한다.

5 용어해설 은화식물(隱花植物, cryptogam) : 꽃없이 포자로 번식하는 식물, 식 물계의 두 큰 부류의 한 가지. 양치류, 균규, 조구따위, 수꽃술과 암 꽃술의 구별있는 꽃이 없고 포자로써 번식함. 현화식물(顯花植物, phanerogamia) : 일정한 발육을 한 뒤에 꽃이 피어서 열매가 열리고 씨가 생기는 고등 식물 나자식물(裸子植物, gymnosperm) : 겉씨식물 피자식물(被子植物, anthophytes, angiosperms) : 속씨식물, 대부분 의 종자식물 종소명 (種小名, specific name, epithet) : 이명법으로 표시된 생물 의 학명으로, 속명 뒤에 이어진다. 보통 동물ㆍ식물 모두에 이 말로 그의 종을 나타내는 특징을 기술 아종(亞種, subspecies(spp.)) : 분류학적으로는 종의 하위계급으로 서 개체간의 차가 독립된 종과 비교하여 크지 않고 변종으로 하기 에는 상이점에 많은 생물에 이용되는 소계급

6 용어해설 변종(變種, variety, variatas) : 일정한 유전적 특성을 갖는 실용적인 형질로서 타집단과 상이한 집단으로 종밑에 오는 분류학상의 단위 인과류(仁果類, pome fruits, kernel fruit, pomaceous fruit) : 열매 의 씨가 굳은 껍질로 되어 있는 과실의 종류. 호두, 잣, 은행 등이 있음 핵과류(核果類, stone fruits, drupes) : 내과피가 단단히 경화되어 핵을 형성하는 과실로서 외과피는 과실의 얇은 껍질이 되고, 중과 피는 식용이 되는 과육부분으로 발달함. 주근계(主根系, taproot system, primary root system) : 주근에 기 초하여 형성된 근계로서 다양하게 분지

7 용어해설 선모 : 방향성 물질 등 분비물을 내보내는 털 전조처리 : 전등 조명 처리로 낮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해 실시함. 원생생물 : 하나의 진정 핵을 가지는 단세포 생물로 동물, 식물, 균 계에 속하지 않는 분류군 자낭균 : 유성생식을 하여 포자가 들어 있는 주머니 모양의 자낭을 형성하는 균류. 대부분이 식물병원체이고 몇몇이 동물병원체이며, 먹을 수 있는 버섯은 소수임. 녹음수 : 여름의 강한 일조와 석양 햇빛을 수관으로 차단하여 쾌적 한 환경을 조성할 목적으로 식재하는 수목 통화식물 : 꽃의 특징으로 꽃잎이 서로 붙어 있는 식물류 토피어리 : 자연 그대로의 식물을 여러 가지 동물 등의 모양으로 자 르고 다듬어 보기 좋게 만드는 기술 또는 작품

8 가도관 : 헛물관. 식물에서 물과 무기양분이 위로 올라가는 통로 인 물관부의 원시적인 요소
가도관 : 헛물관. 식물에서 물과 무기양분이 위로 올라가는 통로 인 물관부의 원시적인 요소. 끝이 뾰족하고 길쭉한 단세포와 수 많은 막공(膜孔)을 가진 2차 셀룰로오스 벽을 가짐. 맹아 : 식물의 눈이 싹을 띄움. 또는 식물에서 트는 싹을 말함. 삽목 : 꺾꽂이. 식물의 가지, 줄기, 잎 따위를 자르거나 꺾어서 흙 속에 따로 묻어 새로운 뿌리를 내리게 하는 번식 방법 분주 : 포기나무기. 영양 번식 방법의 하나로 뿌리에서 난 여러 개 의 움을 뿌리와 함께 갈라 나누어 따로 옮겨 심는 방법 접목 : 지하부(뿌리)가 될 대목과 지상부가 될 접수를 서로 붙여 번식시키는 방법으로 접수의 단점을 대목의 장점으로 보완하고자 할 때 이용함.

9 여러가지 식물을 식별하고, 명명하고, 유연관계를 근거로 가깝고 먼 관계를 따져 분류체계를 확립하는 일이다.
2.1. 의의와 방법 분류의 의의 여러가지 식물을 식별하고, 명명하고, 유연관계를 근거로 가깝고 먼 관계를 따져 분류체계를 확립하는 일이다.

10 분류 필요성 및 의의 (원예적 관점) 2.1. 의의와 방법
원예식물은 종류가 다양하다 (식용, 관상용으로 심지어 이끼류까지) 분류집단의 속성을 파악한다 정보의 교차적용이 가능하다 재배와 이용에 도움을 준다

11 2.1. 의의와 방법 분류 필요성 및 의의 원예식물은 종류가 다양하다 분류집단의 속성을 파악한다 (같은 분류집단은 특성이 비슷하다고 이해) 정보의 교차적용이 가능하다 재배와 이용에 도움을 준다 고추 토마토 가지 감자

12 2.1. 의의와 방법 분류 필요성 및 의의 원예식물은 종류가 다양하다 분류집단의 속성을 파악한다 정보의 교차적용이 가능하다 (같은 분류군의 특성을 이용) 재배와 이용에 도움을 준다

13 분류의 의의 2.1. 의의와 방법 원예식물은 종류가 다양하다 분류집단의 속성을 파악한다 정보의 교차적용이 가능하다
재배와 이용에 도움을 준다 (같은 군의 생육환경을 이해)

14 2.1. 의의와 방법 분류의 방법 자연분류 : 식물적 분류, 계통적 분류, 학술적 분류 인위분류 : 원예적 분류, 실용적 분류, 행정적 분류

15 2.1. 의의와 방법 인위분류의 예 - 엽채류, 근채류, 화채류 ⇒ 십자화과

16 2.2. 식물적 분류 학명을 사용하는 이유 지방 혹은 특정 국가에서 사용하는 향명(vernacular name)이나 일반명 (common name)으로 인간에게 알려진 전세계의 모든 식물종을 일대일로 지칭하기에는 부족 향명은 동일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만 사용할 수 있으며 세계공통으로 사용될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국제식물명명 규약에서 정한 방식으로 학명을 사용하여 전세계적으로 통일된 이름을 사용합니다. 또한, 학명을 사용하게 되면 향명은 속명과 과명등의 상위 분류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출처 : 국가식물 표준목록(

17 2.2. 식물적 분류 문 강 목 과 속 종

18 식물계의 분류군(문) 2.2. 식물적 분류 분류군(문) 분포비율(%) 대표식물 선태식물 5.5 솔이끼, 우산이끼, 뿔이끼
양치식물 3.7 솔잎란, 석송, 속새, 고사리 나자식물 0.3 소나무, 향나무, 주목, 은행나무 피자식물 90.2 단자엽식물 – 옥수수, 마늘, 난 쌍자엽식물 – 해바라기, 토마토

19 식물의 분류체계(토마토의 예) 2.2. 식물적 분류 분류계급 학명의 어미 토마토의 분류 문(門, division) -phyta
피자식물문(Magnoliophyta) 강(綱, class) -opsida 쌍자엽식물강(Magnoliopsida) 목(目, order) -ales 통화식물목(Tubiflorales) 과(科, family) -aceae 가지과(Solanaceae) 속(屬, genus) 토마토속(Lycopersicon) 종(種, species) 토마토(L. esculentum)

20 식물체 분류 군 ⇒ 문 선태식물, 양치식물, 나자식물, 피자식물 2.2. 식물적 분류
선태식물 - 하등식물, 이끼식물, 16,000여종, 원예적 이용 양치식물 - 고등식물, 10,380여종, 관상용, 식용으로 이용 나자식물 : 은화식물, 단일수정, 다자엽식물 피자식물 : 현화식물, 중복수정, 단자엽과 쌍자엽식물

21 선태식물 : 하등식물, 이끼식물, 16,000여종, 원예적 이용
2.2. 식물적 분류 식물체 분류 군 ⇒ 문 선태식물 : 하등식물, 이끼식물, 16,000여종, 원예적 이용 양치식물 : 고등식물, 10,380여종, 관상용, 식용으로 이용

22 2.2. 식물적 분류 양치식물 - 고사리

23 식물체 분류 군 ⇒ 문 나자식물과 피자식물 2.2. 식물적 분류
나자식물 : 은화식물, 다자엽식물 ⇒ 침엽수 피자식물 : 현화식물, 단자엽과 쌍자엽식물

24 식물체 분류 군 ⇒ 강 단자엽식물과 쌍자엽식물 2.2. 식물적 분류
단자엽식물 : 초본>목본, 줄기 유관속 산재, 평행상 엽맥, 섬유근계, 꽃잎은 3의 배수 쌍자엽식물 : 초본=목본, 줄기 유관속 환상, 그물상 엽맥, 주근계, 꽃잎은 4-5배수

25 2.2. 식물적 분류 단자엽식물과 쌍자엽식물의 특징 비교

26 2.2. 식물적 분류 종의 개념과 종의 명칭 종(種, species) 비슷한 형질을 나타내는 개체군, 상호교잡이 가능하고 생리 적으로 격리 종의 명칭 보통명 : 지방병, 국명, 외국명, 향명, 정명, 이명 학 명 : 속명 + 종소명 + 명명자 Capsicum annuun L.

27 종의 명칭(무궁화) 보통명(common name, local name) 무궁화, rose of sharon
2.2. 식물적 분류 종의 명칭(무궁화) 보통명(common name, local name) 무궁화, rose of sharon 학 명(scientific name, latin name) Hibiscus syriacus L.

28 (ICBN, 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
2.2. 식물적 분류 식물명명규약 (ICBN, 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 표기 방법 : Allium sativum L. Lactuca sativa Linne Cucumis sativus Linn. 이명법에 따른다 라틴어를 사용한다 속명은 명사(대문자), 종소명은 형용사(소문자) 종소명은 속명의 성과 일치시킨다(남-us, 여-a, 중-vum) 이태릭체 아니면 밑줄 반복 시는 속명의 머릿글자만 교잡종은 x를 사용한다 (칸나 : Canna x generalis Bailey) 명명자는 보통체로 한다

29 2.2. 식물적 분류 학명표기의 몇가지 예 삼명법 : 아종(sub-species : ssp.) 변종(variety : var.) 재배품종 (cultivated variety : cv) 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DC. 명명자 : Linne Linn. L. DC(De Candolle), Hort,(horticulture) 약 칭 : ssp. spp.(species pluralis) sp.

30 2.2. 식물적 분류 접목 붙인 식물도 표기할 수 있나요? 접목잡종은 유성생식(有性生殖, sexual reproduction)을 통하여 이루어진 잡종이 아니라, 대목(臺木, stock)의 영양조직과 접목(接木, scion)의 영양조직이 붙어서 이루어진 잡종인데, 유성생식잡종의 명명과 같으나 '×' 대신에 '+'를 씁니다. 예: Cytisuspurpureus + Laburnum anagyroides 잘 알려져 있는 접목잡종 라일락(Syringa +correlata)은 유성생식잡종과 접목잡종을 겸한 재배식물로서 예: Syringa × chinensis +S. vulgaris 입니다.

31 재배식물종은 별도의 국제규약(ICNCP)이 정하는 절차는 의해 재배명을 명명하게 된다.
2.2. 식물적 분류 재배종의 분류 재배식물종은 별도의 국제규약(ICNCP)이 정하는 절차는 의해 재배명을 명명하게 된다. 재배종의 이름은 라틴어로 기재하지 않으며 현대어로 사용합니다. 예로서 Camella japonica cv. Purple Dawn 혹은 cv. 라는 재배종(cultivar)의 약자를 사용하는 대신 Camella japonica ‘Purple Dawn’라고 기재 재배종의 이름은 단순히 속의 이름 다음에 혹은 잡종이름 다음에 혹은 일반명 다음에 기재하기도 합니다.

32 배추 : Brassica campestris L. spp. Pekinesis Rupr.
2.2. 식물적 분류 주요 채소 작물의 학명 무 : Raphanus sativus L. 배추 : Brassica campestris L. spp. Pekinesis Rupr. 고추 : Capsicum annuun L. 마늘 : Allium sativum L. 수박 : Citrullus vulgaris Schrad.

33 마늘 Allium sativum L. garlic 양파 Allium cepa L. onion
2.2. 식물적 분류 백합과 식물의 분류 마늘 Allium sativum L.   garlic 양파  Allium cepa L.  onion 파    Allium fistulosum L Welsh onion 쪽파  Allium ascalonicum L shallot 부추  Allium tuberosum L Chinese chive 염교  Allium chinense G.Don    rakkyo 리크  Allium porrum L.   leek 달래  Allium grayi Regel  wild chive 백합과 식물 : 백합, 나리, 튤립,알로에, 원추리, 아스파라거스

34 2.2. 식물적 분류 백합과 파속식물 : 양파, 파, 쪽파,마늘

35 2.2. 식물적 분류 백합과 파속식물 : 락교, 부추, 달래, 리크 락교 부추 리크 달래

36 가지과 식물의 분류 2.2. 식물적 분류 고추 Capsicum annuum L. pepper
토마토 Lycopersicum esculentum Mill. tomato (Solanum lycopersicum) 가지 Solanum melongena L egg plant 감자 Solanum tuberosum L potato 36 36

37 잠시 쉬었다 갑니다

38 원예작물의 분류(식물적, 원예적) 2.3. 원예적 분류
한국원예학회 1,752종 채소 47과 225종 배추과, 국화과, 콩과, 박과, 미나리과 등 과수 37과 235종 장미과, 운향과 등 화훼 153과 1,292종 백합과, 국화과, 장미과, 난초과 등

39 채소의 분류 과수의 분류 화훼의 분류 2.3. 원예적 분류
원산지에 따라, 서양채소, 동양채소 식용부위에 따라, 근채류, 엽채류, 과채류 행정편의에 따라, 〃 , 조미채소, 양채류 과수의 분류 과실의 특성에 따라, 인과류, 핵과류, 각과류, 장과류, 준인과류 화훼의 분류 용도에 따라 기후형에 따라 행전편의에 따라, 절화, 분화, 초화, 관상수, 화목, 종묘, 구근 실용적 분류에 따라, 일년초화, 숙근초화, 구근, 관엽, 다육, 난초, 화목, 관상수

40 2.3. 원예적 분류 채소의 분류(1) 원산지에 따라 서양채소 : 양배추류, 양파, 멜론, 토마토, 아스파라거스 등 동양채소 : 배추류, 무, 파, 가지, 연근, 토란, 미나리 등

41 2.3. 원예적 분류 채소의 분류(2) 식용부위에 따라 근채류 : 무, 당근, 우엉, 연근, 토란 엽채류 : 배추, 시금치, 상추, 미나리 화채류 :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아티쵸크 경채류 : 죽순, 아스파라거스, 감자, 콜라비, 고추냉이, 토당귀 과채류 : 수박, 참외, 오이, 토마토, 가지

42 2.3. 원예적 분류 근채류

43 2.3. 원예적 분류 엽채류

44 2.3. 원예적 분류 화채류- 콜리플라워, 부로콜리,아티쵸크

45 2.3. 원예적 분류 경채류

46 2.3. 원예적 분류 과채류

47 2.3. 원예적 분류 채소의 분류(3) 행정편의에 따라 근채류, 엽채류, 과채류 조미채류 : 고추, 마늘, 양파, 파, 생강 양 채 류 : 셀러리, 파슬리, 케일, 콜라비, 단고추(피망,파프리카)

48 2.3. 원예적 분류 과수의 분류 과실 특성에 따라 인과류 : 사과, 배, 모과 핵과류 : 복숭아, 자두, 살구, 매실 각과류 : 밤, 호두, 개암 장과류 : 포도, 무화과, 나무딸기, 블루베리 준인과류 : 감, 감귤

49 2.3. 원예적 분류 과수의 분류 원산지, 기후적응성, 수목의 특성에 따라 온대과수(낙엽과수) : 교목성(사과, 배), 관목성(블루베리), 덩 굴성(포도, 키위) 열대과수(상록과수) : 목본성(레몬, 유자, 감귤), 초본성(바나 나, 파인애플)

50 2.3. 원예적 분류 화훼의 분류 용도에 따라 절화용 : 꽃(장미, 국화), 잎과 가지(소철, 종려, 유카리나무) 분식용 : 꽃(아프리칸바이올렛), 잎(스킨답서스) 화단용 : 일년초(팬지), 숙근초(국화), 화목류(개나리)

51 2.3. 원예적 분류 화훼의 분류 실용적 분류 일년초화 : 춘파(코스모스), 추파(팬지) 숙근초화 : 노지(꽃잔디), 반노지(국화), 온실(베고니아) 구근식물 : 춘식(칸나, 글라디올러스), 추식(튤립, 작약), 온실( 관엽식물 : 초본(스킨답서스), 목본(고무나무)

52 2.3. 원예적 분류 숙근초화

53 2.3. 원예적 분류 구근류 – 튤립과 히야신스

54 2.3. 원예적 분류 관엽식물 –베고니아와 고무나무

55 2.3. 원예적 분류 화훼의 분류 실용적 분류 다육식물 : 선인장, 다육식물(칼랑코에, 산세베리아) 난초 : 동양란(춘란, 한란), 서양란(팔레놉시스) 화목류 : 온실화목(꽃치자), 관목화목(철쭉), 교목화목(산수유) 관상수 : 녹음수(느티나무), 조경수(향나무), 울타리(쥐똥나무)

56 2.3. 원예적 분류 꽃을 보는 다육식물

57 2.3. 원예적 분류 난초류

58 2.3. 원예적 분류 화목류와 관상수

59 학습정리 종류가 다양한 원예식물의 체계적 분류는 식물적 속성 이해, 연 구 정보 제공, 재배와 이용상에 실용적인 도움을 준다. 작물의 분류는 크게 자연분류와 인위분류, 식물적 분류와 원예 적 분류로 나눈다. 식물계는 식물적 분류에 따라 선태, 양치, 나자, 피자식물문으로 분류하고, 피자식물문은 다시 쌍자엽과 단자엽식물강으로 분류 한다. 이끼류인 선태식물은 무관속 하등식물로 포자 번식하며 고사리 인 양치식물은 포자번식을 하지만 유관속 고등식물이다. 나자식물은 은화식물로 단일수정을 하며 다자엽, 침엽을 가지며 가도관이 발달한다. 피자식물은 현화식물로 중복수정을 하며 활 엽을 가지고 도관이 잘 발달되어 있다.

60 단자엽식물은 평행상 엽맥, 산재된 유관속 줄기, 섬유근계 뿌리 와 3의 배수의 꽃잎을, 쌍자엽식물은 망상 엽맥, 환상의 유관속 줄기, 주근계의 뿌리와 4~5의 배수의 꽃잎을 가진다. 식물의 종은 동일한 형질을 나타내 상호 교잡이 가능한 개체군 인데 명칭으로 보통명(국명, 외국명, 향명)과 학명을 가진다. 학명은 국제 식물명명규약에 따라 이명법으로 표시하는데 속명 과 종소명으로 구성하고 끝에 명명자를 붙인다. 채소는 원산지에 따라 서양과 동양채소로, 식용부위에 따라 엽 채류, 화채류, 경채류, 근채류, 과채류로, 행정편의적으로 별도로 조미채소와 양채류를 분류하기도 한다. 과수는 과실 특성에 따라 인과류, 핵과류, 각과류, 장과류, 준인 과류로 분류하고, 원산지, 기후적응성 따라 온대(낙엽)와 열대 (상록)과수로 분류한다. 화훼는 실용적으로는 일년초화, 숙근초화, 구근식물, 관엽식물, 난류, 다육식물, 화목류, 관상수 등으로 구분한다.

61 연습문제 1. 피자식물의 특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4 ① 자방이 없고 종자가 노출되어 있다. ② 꽃이 불완전하여 은화식물로 분류된다. ③ 피자식물과 다르게 단일 수정을 한다. ④ 목부에 도관이 잘 발달되어 있다. 2. 쌍자엽식물의 특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① 줄기에 유관속이 환상으로 배열한다. ② 뿌리는 섬유근계로 발달한다. ③ 잎에서 엽맥이 평행상이다. ④ 꽃잎의 수가 3의 배수이다.

62 3. 학명의 명명규정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4 ① 이명법에 따라 과명과 종소명으로 구성한다
3. 학명의 명명규정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4 ① 이명법에 따라 과명과 종소명으로 구성한다. ② 그리스어를 사용하거나 그리스어화해야 한다. ③ 과명은 대문자로, 종소명은 소문자로 시작한다. ④ 이탤릭체로 쓰거나 밑줄을 그어 구별한다. 4. 채소의 식용부위에 따른 분류가 잘못된 것은? 1 ① 근채류 - 감자 ② 엽채류 - 양파 ③ 과채류 - 토마토 ④ 경채류 - 콜라비 5. 온대 관목성 낙엽과수인 것은? 2 ① 복숭아 ② 블루베리 ③ 포도 ④ 참다래

63 참고문헌 추천웹사이트 참고문헌 및 추천웹사이트 문원 외, 2009, 생활원예,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문원 외, 2009, 원예작물학I,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오성도, 김기선, 2009, 원예작물학II,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한국원예학회, 2003, 원예학용어 및 작물명집 추천웹사이트 국립수목원 국가표준식물목록 한국식물분류학회


Download ppt "제2강 원예식물의 분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정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