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resentation transcript:

1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 목 차 성취평가제 도입 배경 성취평가제의 실제 부록 성취평가제의 개요 학사관리 내실화 방안

3 I. 성취평가제 도입 배경

4 교원의 교육전념 여건 조성(교육부 국정과제)
도입 배경 창의·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학교 여건, 학생의 적성‧소질을 반영하여 학교에서 창의적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2009개정 교육과정’도입 창의적 수업이 가능한 공교육여건 마련 향후 10년 내에 고교 졸업자 수가 10만 명 이상 감소 예상 34.2명 ’06 ’18 15.9명 12.6명 25명 ’09 ’20 학급당 학생수 교원 1인당 학생수 학급당 학생수 감축 추진 교원 1인당 학생수 감축 연차적 추진 표준 수업 시수제 도입 교원의 행정업무 경감 교원의 교육전념 여건 조성(교육부 국정과제) 학생의 적성과 소질 계발 교육 체제 절실

5 향후 10년 내 고교 졸업자 수가 10만명 이상 감소 예상 고교 졸업인원 = 대학 입학정원
도입 배경 B 향후 10년 내 고교 졸업자 수가 10만명 이상 감소 예상 고교 졸업인원 = 대학 입학정원 10 30 50 70 고교 졸업인원 고교졸업인원 대학 입학정원 대학입학정원 2000년 2020년 2030년 2010년 2040년 2050년 1980년 1990년 1970년 20 40 60 80 대입경쟁 (학생간 점수 경쟁) 대학경쟁 (인재선발, 교육 경쟁)

6 1 2 현행 평가제도의 문제점 극복 학생의 학업 성취수준에 대한 정확한 평가 곤란 지필평가 중심의 어려운 문제 출제
도입 배경 현행 평가제도의 문제점 극복 1 학생의 학업 성취수준에 대한 정확한 평가 곤란 학년 내의 상대적 서열에 따라 성적 결정 석차에 대한 학생들의 과도한 스트레스 유발 급우들 간 배타적 경쟁심 조장으로 인한 협동학습 저해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최대한 발현시키기에 근본적 한계 가르친 내용을 출제하기 보다는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지필 평가 중심의 어려운 문제 출제 지필평가 중심의 어려운 문제 출제 평가 결과가 개별 학생의 맞춤형 교수∙학습 방법에 활용 미흡 2

7 3 4 현행 평가제도의 문제점 극복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제약 창의·인성 수업모델과 평가방법의 괴리
도입 배경 현행 평가제도의 문제점 극복 3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제약 고교생 41.5%가 석차등급에 유리한지 여부에 의해 과목 선택 고교교사의 66.4%는 학생들이 석차등급 문제로 소인수 교과목 수강 기피 (’10.11, 한국리서치) 고교 석차 9등급제에서 13미만 소인수 선택교과는 1등급이 나오지 않음 수강자 수와 비교집단에 따라 성적이 달라지므로 학생의 적성과 소질, 진로에 따른 다양한 교육과정 선택과 운영 제약 4 창의·인성 수업모델과 평가방법의 괴리 교과교실제와 함께 다양한 창의∙인성 수업모델을 적용했으나, 평가방법의 변화는 미흡 평가의 객관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분위기로 인해 수업은 창의적으로 하더라도 평가는 기존의 지필 위주 평가 관행 유지 창의·인성 중심의 수업과 연계한 평가방법의 현장 착근 미흡

8 기대효과 : 학교교육 선진화를 위한 선순환 기반 구축
성취평가제의 도입 기대효과 : 학교교육 선진화를 위한 선순환 기반 구축 획일적 공급자 중심 국가수준의 경직성 교과간 단절, 단순 지식전달 위주 시험점수 위주의 학생 선발 교과 위주 점수 반영 교육과정 선진화 학생선발 선진화 선택형 지필검사 중심 학습결과 중심 상대평가 강조 다양한 전형자료를 활용하는 취업, 대입 전형 교과-창의적 체험활동 통합 반영 입학사정관제 도입 자기주도적 학습 전형 도입 다양한 수요자 중심 단위학교 자율성 강화 핵심 역량 중심, 교과간 통합 학사관리 선진화 서술형 수행평가 중심 다양한 학습지원 중심 성취중심 평가 강화

9 Ⅱ. 성취평가제의 개요

10 성취평가란? 성취평가 상대평가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교과별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를 평가
성취평가제의 개요 성취평가란?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교과별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를 평가 상대평가 성취평가 비교 집단 내의 상대적인 서열 비교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 판단 8 9 7 6 5 4 3 2 1 7% 4% 12% 17% 20% 개인 성취율 A B C D E 기준 성취율

11 교육과정, 교수·학습과의 긴밀한 연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평가
성취평가제의 개요 성취평가제의 의미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교과목별 성취기준에 학생이 도달한 정도에 따라 학생의 학업 성취수준을 평가하고, ‘A-B-C-D-E’로 성취도 부여 교육과정, 교수·학습과의 긴밀한 연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평가 예: (국어)대상의 특성을 살려 주변의 인물을 인상 깊게 소개할 수 있다. (수학) 함수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교과목에서 학생들이 학습을 통해 성취해야 할 지식, 기능, 태도의 능력과 특성을 진술한 것 성취기준 교수·학습 평가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가르쳐야 하는지 평가해야 하는지 도달해야 하는지 성취수준 학생들이 교과별 성취기준에 도달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

12 성취평가제의 도입 성취평가제의 개요 교육과정에 맞춰서 개발된 교과목별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에 따라 학생의 학업 성취수준을 평가하고, ‘A-B-C-D-E’ 로 성취도 부여 성취도별 정의 및 성취율 (예시) 성취도 정의 성취율 (원점수) A 내용영역에 대한 지식습득과 이해가 매우 우수한 수준이며 새로운 상황에 일반화할 수 있음 90% 이상 B 내용영역에 대한 지식습득과 이해가 우수한 수준이며 새로운 상황에 대부분 일반화할 수 있음 90% 미만 ~ 80% 이상 C 내용영역에 대한 지식습득과 이해가 만족할 만한 수준이며 새로운 상황에 어느 정도 일반화할 수 있음 80% 미만 ~ 70% 이상 D 내용영역에 대한 지식습득과 이해가 다소 미흡한 수준이며 새로운 상황에 제한적으로 일반화할 수 있음 70% 미만 ~ 60% 이상 E 내용영역에 대한 지식습득과 이해가 미흡한 수준이며 새로운 상황에 거의 일반화할 수 없음 60% 미만

13 성취평가제 도입의 의의 학생들 간 상대적 서열 중심의 규준참조평가에서,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목표 중심의 준거참조평가로의 전환
성취평가제의 개요 성취평가제 도입의 의의 학생들 간 상대적 서열 중심의 규준참조평가에서,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목표 중심의 준거참조평가로의 전환 현재 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석차 9등급의 상대평가를 교육목표의 달성 수준을 강조하는 성취평가로 대체하고, 중학교의 경우 성취평가를 더욱 강화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과목별 성취기준·성취수준에 따라 학생의 학업 성취수준 평가 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한 다음, 가르친 내용 지식과 기능의 습득 정도 평가 교과별 교육과정 내에서 교과 지도와 연계하여 학교에서 학생들이 배운 내용 평가

14 규준참조평가 준거참조평가 정의 개인이 얻은 점수나 측정치를 비교집단의 규준에 비추어 상대적인 서열에 관심 두는 평가
준거에 비추어 학습자들이 무엇을 얼마만큼 알고 있느냐에 관심 두는 평가 목적 상호 비교 학생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 중요 요소 규준(norm) 준거(Criterion) 강조점 상대적인 서열 특정 영역의 성취 비교 대상 개인과 개인 준거와 수행 이용도 분류, 선별, 배치, 행정적 기능 강조 자격부여, 교수적 기능 강조 성적보고 - 퍼센타일 - 표준점수(Z점수, T점수) 준거점수 장점 및 단점 -경쟁을 통한 학습 동기 유발 -서열주의식 사고 팽배 -무엇을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와 기준 모호 -집단 내 지나친 배타적 경쟁 유발로 협동심 상실 -교수학습 이론에 부적절 -무엇을 알고 모르는가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 제공 -내용과 과정에 대한 심층적 분석으로 교수․학습 개선 용이 -협동학습 분위기 조성 -지적 성취 유발 -경쟁을 통한 학습 동기 유발 부족

15 3. 성취평가제의 기본 방향 성취기준 성취수준 기술 수준 설정 기준 성취율 학업성적 판정 A B C D E A B C D E
Ⅰ. 성취평가제 개요 성취기준 성취수준 기술 수준 설정 학업성적 판정 standard level description standard setting grading A B C D E A B C D E 성취기준 1 성취기준 2 성취기준 3 성취기준 4 성취기준 5 성취기준 6 특성진술 분할점수 (cut score) 결정 기준 성취율 특성진술 특성진술 특성진술 특성진술 성취 수준 기술의 특성 (PLD)은 성취 수준 기술자는 각각의 성취 수준에서 학생이 알고 있는 것과 알 수 있는 것을 보여주며, 성취 수준의 수립과 그 사용을 위한 증거 문서 및 일관성을 제공한다.

16 중학교 교과목별 기준 성취율 ※기준 성취율 : 학생들이 성취목표에 도달한 정도에 따라 성취도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
성취평가제 이해 중학교 교과목별 기준 성취율 ※기준 성취율 : 학생들이 성취목표에 도달한 정도에 따라 성취도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 일반교과 성취율 (원점수) 성취도 90% 이상 A 80% 이상 ~ 90% 미만 B 70% 이상 ~ 80% 미만 C 60% 이상 ~ 70% 미만 D 60% 미만 E 체육, 예술 교과 성취율 (원점수) 성취도 80% 이상 ~ 100% A 60% 이상 ~ 80% 미만 B 60% 미만 C 성취평가제 이전 성취평가제 이후 석차/수강자수 성취도 과목 영어 30/286 원점수/과목평균 (표준편차) (수강자수) A(286) 95/78.3(12.1) ※ 원점수: 지필평가, 수행평가의 반영비율 환산점수의 합계를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나타낸 점수

17 (Standards Based Assessment)
학생들이 학교에서 어떻게 지내는지가 아니라 학생들이 무엇을 알고 있는지를 평가하려는 움직임 (Guskey & Bailey, 2010). 채점의 객관성이 중요한 요소 (Reeves & Douglas, 2011). 학생의 수행 정도에 기초하여 정확하게 성적이 매겨져야 한다. 학생의 학습활동과 학습태도를 분리, 평가하여 공정하게 성적이 매겨져야 한다. 학생과 학부모에게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해야한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성적 표기 ∙성취수준 A/B/C/D/F A: 90~100 B: 80~89 C: 70~79 D: 60~69 F: 0~59 ∙원점수 ∙노력도 평정 ∙성취수준 1/2/3/4/5/6/7/8 ∙원점수:학교 재량 ∙노력정도 A/B/C/D ∙향상해야할 부분에 대한 교사의 평가 의견 ∙성취수준 1/2/3/4 ∙원점수, 최고/최하점, 학급 평균 ∙학생의 태도 및 향상 정도 1/2/3/4/5/6 1: 13~15 2: 10~12 3: 7~9 4: 4~6 5: 1~3 6: 0 1/2/3/4 4: 80~100 3: 70~79 2: 60~69 1: 50~59 50미만 ∙원점수 미기재

18 III. 성취평가제의 실제

19 교과별 교육과정, 교과별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교과서
성취평가제의 실제 성취평가제에 따른 평가 절차 학교 학업성적관리 규정 개정 교과별(학년별) 평가 계획 수립 성취기준· 성취수준 작성 이원목적분류표 작성 평가도구 제작 평가 실시 및 채점 평가 결과 처리 소통, 화합, 나눔의 공항가족 이야기 궁금하시죠?? 교과별 교육과정, 교과별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교과서

20 성취평가제의 단계 ② 이원목적 분류표 작성 평가도구 제작 이원목적분류표에 평가할 성취기준 등을 제시
성취평가제의 실제 성취평가제의 단계 ② 이원목적 분류표 작성 이원목적분류표에 평가할 성취기준 등을 제시 성취기준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항의 유형 선택 성취기준의 중요도 및 문항 난이도를 고려하여 배점 이원목적분류표의 출제 계획의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문항 출제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 기술 내용을 토대로 성취도를 변별할 수 있는 문항 구성 교과협의회(학년협의회) 공동 검토를 통한 평가도구의 타당도 제고 평가도구 제작

21 성취평가제의 단계 ③ 평가 실시 및 채점 평가 결과 처리 교과별 평가 계획에 부합하는 지필평가 및 수행평가 실시
성취평가제의 실제 성취평가제의 단계 ③ 평가 실시 및 채점 교과별 평가 계획에 부합하는 지필평가 및 수행평가 실시 서술형 평가와 수행평가의 채점기준을 더욱 명료화하여 객관성 확보 서술형 평가와 수행평가의 채점기준 공개 평가 결과 처리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의 반영비율에 따라 학기말 성적 산출 교과목별 기준 성취율에 따라 학생의 성취도 평정 학교생활기록부 ‘교과학습발달상황’ 란에 원점수, 과목평균, 표준편차, 성취도, 수강자수 기재

22 성취평가제 결과 해석 시 유의사항 성취도 중심으로 평정 결과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
- 성취 정도가 높고 낮은 부분을 파악하여 피드백 제공 성취평가제는 학생들이 수행한 능력 정도를 평가하므로, 평가 결과는 성취수준에 근거하여 해석 개인의 성취도는 학기별 성취기준(교육목표)에 어느 정도 도달한 것인지 나타내는 것임을 설명하고, 학생의 상대적 위치나 교과 간 성취도 결과를 비교하지 않도록 유의 학교 알리미를 통해 공시되는 학교의 교과별 학업 성취 관련 항목 중 학년별․학기별․교과별 성취도별 분포비율을 통해(2월, 9월 연2회 공시), 학생들의 성취 정도에 대한 전반적 현황 파악 학생의 원점수와 과목평균, 표준편차를 병기하는 이유는 교과별 점수분포를 파악함과 동시에, 단위학교 성적 결과의 신뢰도 제고를 위하여 활용하고자 함(성적부풀리기 방지 등)(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방안, )

23 1학년 (학교특성 : 대도시, 공립,남녀공학, 440명, 교육복지 21%)
학교 정보 공시 예시 부록 교과별 학업성취 사항 공시 예시 중학교 1학년 교과 1학년 (학교특성 : 대도시, 사립,남학교, 300명) 1학기 2학기 평균 표준편차 성취도별 분포비율 A B C D E 수학 69.9 18.4 13.8 22.8 19.0 16.1 23.8 교과 1학년 (학교특성 : 대도시, 공립,남녀공학, 440명, 교육복지 21%) 1학기 2학기 평균 표준편차 성취도별 분포비율 A B C D E 수학 62.5 20.4 9.1 14.7 15.2 19.3 41.7

24 Ⅳ. 학사관리 내실화 방안

25 성적 부풀리기 방지를 위한 학업성적 관리 체제 구축
성취평가제의 도입 성적 부풀리기 방지를 위한 학업성적 관리 체제 구축 학교 학업성적관리 위원회 역할 강화 교과목별로 성취도별 기준 성취율(원점수), 성취도별로 부여가능한 비율 등을 학업성적관리규정에 반영 (예) A:90%이상, B:80~90%, C: 70~80%, D: 60~70%, E: 60%미만 학교 평가기준 및 평가결과 정보공시 강화 교과목별로 성취도별 기준 성취율(원점수), 성취도별로 부여가능한 비율 및 성취도별 성적분포 현황(%) 공개 (‘초·중등학교 정보공시 양식 및 지침서’ 개정) 학교 밖 평가 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관리 학업성적 관리 실태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체계적 성적관리 지원 학사관리 실태점검 교과부 | 시·도 교육청의 단위학교 학사관리 실태 주기적 점검 시·도 교육청 | 단위 학교 학업성적관리 실태를 주기적으로 점검

26 단위학교에서는 학생의 수준을 잘 파악하여 추후 교수학습과 추후 평가에 반영
학사관리 내실화를 위한 단위 학교 검토 사항 학교간 성취수준별 비율의 비교보다는 단위학교에서 결과에 대한 반성 통한 개선 방안 마련 필요 성취수준별 학생 비율의 집중도 확인 교과목별로 성취수준별 학생 비율이 상위 또는 하위 수준에 집중 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학생 수준 파악의 여부, 교육과정 이탈 여부 등 반성 평균, 표준편차 확인 교과목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에 의해 성적 인플레이션을 확인 (예: 점수의 평균은 높고 표준편차 작은 경우 성적 인플레이션 의심 가능) 성취수준 특성과 비교 각 성취수준 도달 위치에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그 학생이 성취수준 기술 내용을 만족시키는지 확인 후 수준특성 진술 보완 단위학교에서는 학생의 수준을 잘 파악하여 추후 교수학습과 추후 평가에 반영

27 美·英선 성적 올리기 엄두 못 내… 대입·취업에 불이익
입력 : :02(안석배 기자) 미국·영국·일본 등 대부분 선진국 학교에서도 '절대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일본 중학교는 5(매우 우수)·4(우수)·3(보통)·2(미흡)·1(매우 미흡)로 성적을 표기한다. 미국과 영국은 A·B·C·D 등 4~7등급, 독일 중·고등학교는 6등급(최고점수)~1등급(최저점수)으로 평가한다. 프랑스는 절대평가 20점부터 1점까지 세분해서 성적을 매긴다. 통상 10점 이상을 받아야 대학에 들어갈 수 있다.이 나라들에서도 학교 성적은 상급학교 진학에 매우 중요하게 활용된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학교 내신 성적을 잘 받기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문제가 됐던 '성적 부풀리기' 현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학생 성적을 일부러 올렸다가는 학교 신뢰도가 크게 떨어져 오히려 재학생들이 대입 등에서 불이익을 받기 때문이다. 한 미국 대학 입시 전문가는 "미국 명문 중·고교에서 재학생들을 좋은 학교에 진학시키기 위해 시험문제를 쉽게 내고 학생 성적을 올리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며 "그렇게 할 경우 그 학교 졸업생들은 대입뿐 아니라 취업에서도 불리해진다"고 말했다.

28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