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유기농 인증 제도 2016.1 ㈜ 루바마네이처 미 농무부(USDA)인증 유기농 원료 제조 ㈜루바마네이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유기농 인증 제도 2016.1 ㈜ 루바마네이처 미 농무부(USDA)인증 유기농 원료 제조 ㈜루바마네이처"— Presentation transcript:

1 유기농 인증 제도 2016.1 ㈜ 루바마네이처 미 농무부(USDA)인증 유기농 원료 제조 ㈜루바마네이처 온라인 쇼핑몰 USDASHOP

2 CONTENTS 유기농 (Organic) 유기농화장품 인증기준 및 시스템 유기농(ORGANIC)의 정의 왜 유기농인가?
유기농산물과 일반농산물의 차별성 유기농화장품 인증기준 및 시스템 대표적인 유기농 인증기관 및 시스템 USDA Organic 유기농 인증시스템 USDA Organic과 ECOCERT 차이

3 유기농(Organic)의 정의 유기농 (Organic)이란? 유기농 화장품(Organic Cosmetics) 유기농 인증대상
‘화학비료나 살충제, 성장조절제, 제초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유전자 조작(GMO Free)을 하지 않고 재배하여 수확하는 농업시스템’ (IFOAM 기준) ‘유기농법으로 재배한 식물 원료를 일정함량 이상 포함하며, 화학적 방법이나 인공 향을 첨가하지 않고 무공해 가공법으로 제조한 제품’ 농축산물,유기가공식품,채취 임산물,양식수산물 등. 유기농 (Organic)이란? 유기농 화장품(Organic Cosmetics) 유기농 인증대상

4 왜 유기농(Organic)인가? 안전을 입증하는 좋은 화장품의 최종지향점 화장품 시장의 가장 큰 성장잠재력 보유
환경과 지구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 유기농 원료의 유효성분의 차별성 왜 유기농인가?

5 화장품업계는 NGO (Natural, Green, Organic)를 추구
식물성, 천연, 자연 등의 용어로 안전을 표방 : 자의적 사용 원료의 안전 : 유기농 사용 원료는 안전이 답보 가공공정의 안전 : 허용된 공정으로 제한. 유기농 인증 : 공신력을 추가 안전을 입증하는 좋은 화장품의 최종지향점

6 유기농화장품은 전세계적으로 매년 큰 성장을 이루고 있다.
유기농화장품 10~30% 성장 유기농화장품의 시장규모 미국, 유럽의 유기농시장 : 5%-20% , 한국 : 2%-5% 한국의 유기농 화장품 시장규모 및 가능성 선진국에 비하면 현재는 매우 작은 시장규모 무한한 성장가능성 ⇒ 유기농은 유행(Fashion)이 아니라 대세 (Trend) 화장품 시장의 가장 큰 성장잠재력 보유

7 환경과 지구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법 화학비료, 살충제, 농약, 제초제 등은 자연에 회복 불가능한 위험요소
화학제초제 등의 30%만 식물흡수하고, 70%는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킴 유기농의 의의 : 자연과 사람을 건강하게 유기농화장품 제조는 자연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 ⇒ 유기농화장품 제조는 환경을 생각하는 착한 기업이미지로 연결 ⇒ LG생활건강 홈페이지 ‘에코데이’ 캠페인 환경과 지구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법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조상에게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후손에게서 잠시 빌려쓰고 있는 것이다.’ (인디언 격언)

8 유기농산물의 유효성분 함유량의 차별성 유기농감귤과 일반감귤의 비교 [단위: mg/100g]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표한 “친환경농산물의 성분함량 및 품질상의 차별성 연구” (‘한국식품연구원’ 2006년 11월)에 의하면, 유기농산물이 일반농산물보다 더 우수합니다. 아래의 표는 보고서 내용중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들을 중심으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유기농산물의 유효성분 함유량의 차별성 유기농감귤과 일반감귤의 비교 [단위: mg/100g] 구 분 Naringin Hespiridin 비타민C 비 고 감귤 과육  (전환기) 유기농과육 64.23 144.14 23.1 일반과육 62.62 137.41 17.1 일반vs유기농 차이 2.6% ↑ 4.9% ↑ 35.1% ↑ 과피  (전환기) 유기농과피 343.51 854.67 - 일반과피 312.62 763.33 9.9% ↑ 12.0% ↑ 비타민C : 아스코빅애씨드. 강력한 항산화제와 금속이온봉쇄제, 항갈색화제. 뛰어난 미색기능성 원료. Naringin(나린진) : 수용성 천연항산화제로 항균작용, 아스코르빈산 상승작용, 항암작용등이 특징. Hespiridin(헤스피리딘) : 모세혈관 벽을 튼튼히 하는 비타민P의 역할. 염증의 원인 단백질을 제거하고, 콜라겐의 생성 및 비타민C의 활성촉진, 항염, 항알레르기, 항바이러스의 작용을 한다.

9 케일/신선초/상추/파의 유기농과 비유기농 비교 [단위: mg/100g]
구 분 Polyphenol compound Flavonoid 비타민C 비 고 케일 유기농 평균 475.97 366.30 72.30 일반 평균 401.25 340.75 44.10 일반vs유기농 차이 18.6% ↑ 7.5% ↑ 63.9% ↑ 신선초 240.78 354.85 28.82 229.94 251.86 17.93 4.7% ↑ 40.9% ↑ 60.8% ↑ 상추 265.77 250.69 12.48 217.01 233.96 7.72 22.5% ↑ 7.2% ↑ 61.7% ↑ 234.10 133.36 31.46 175.54 103.34 23.10 33.4% ↑ 29.1% ↑ 36.2% ↑ Polyphenol compound : 폴리페놀은 SOD(Super Oxide Dismutase)와 유사한 효과로 강력한 항산화제로 작용하며, 피부노화의 주원인을 제거해 손상된 피부를 재생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성분으로 보고되어 있다. Flavonoid : 식물이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만들어내는 방어기재의 식물화합물이 플라보노이드. 플라보노이드는 생리 및 약리활성에 의한 작용으로 항산화, 항바이러스, 항염작용을 한다.

10 유기농 인증기관 및 시스템 인증라벨 없음 USDA Organic (미국 농무부 유기농 인증)
2002년부터 NOP에 의해 법제화된 국가관리 유기농 인증 시스템 합성방부제가 허용이 안되는 전세계에서 가장 까다롭지만 가장 안전한 유기시스템 유기농은 ‘100% Organic’ / ‘USDA Organic’ 으로 구분 유기농 성분이 70%~95% 미만시, ‘유기농 성분으로 제조’ 표시 BDIH (독일 천연화장품 인증협회) 화장품업계자율 BDIH(비데이하)를 설립하여 1996년부터 유기농 화장품을 인증. 유기농원료가 전체 60%이상시 천연화장품(Kontrollierter Natur~Kosmetik) 승인. ECOCERT (프랑스 에코서트) 1991년에 설립된 프랑스 유기농 인증기관으로, 화장품업계 자율인증 오가닉과 내츄럴로 구분. 오가닉은 95%이상 천연. 10%이상 유기농성분 함유. 지정된 화학성분은 사용해서는 안됨. SOIL Association (영국 토양협회) 농업발전을 위해 설립된 SOIL은 2002년부터 유기농 화장품의 관리를 시작하여, SOIL의 유기농 기준은 유기농원료가 95%이상시, 제품명에 ‘유기농’을 사용 70%~95% 미만의 유기농 원료는 성분리스트에 유기농을 사용 IFOAM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 IFOAM은 1972년 프랑스에서 창립된 국제 비영리기관으로 전세계적으로 유기농업 시스템의 방향을 정립해가는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단체. COSMOS (민간기구 협회기준) COSMOS는 유기비율 20% 이상의 Organic 제품 유기원료를 사용해야 하며 각 국가 법령에 따라 인증 받은 유기원료나 IFOAM의 인증 유기원료만 사용할 수 있으며 허용 합성원료는 5% 이하 대한민국 식약처 (MFDS) 유기농화장품 가이드라인 식약처에 정한 ‘유기농 화장품 표시 및 광고 가이드 라인’에 의해 운용. 법제화 예정 유기농 화장품은 전체성분 중 천연 95%이상, 유기농원료가 10%이상이어야 하며, 제품명에 ‘유기농’을 표시하려면 유기농 인증원료가 95% 이상이어야함. 인증라벨 없음

11 USDA Organic 유기농 인증시스템 미국 농무부 주관 국가 유기농 시스템.
미국  단일국가로는 화장품 시장 규모 세계 1위. (521억불) Government Law/NOP(National Organic Program) 2002년부터 법제화된 유기농 인증제도. USDA Organic 유기농 라벨구분 모두 유기농 → ‘100% Organic’ 95% 이상 → ‘USDA Organic’ 70%~95% → ‘유기농 ( )으로 제조’ 로 표시 USDA Organic의 안전성 천연성분이라도 National List에 등록된 성분만 사용 가능. 합성 방부제는 일절 허용 안됨. 자연에서 얻을 수 없는 극히 일부 등록된 성분만 합성성분 허용.(Ex. 잔탄검, 토코페롤, 레시틴 등)

12 Program NOP(USDA) MFDS(식약처) ECOSERT 등 COSMOS
기준 국가법령 국가고시 인증기관기준 민간기구(협회)기준 인증의무 법정임의인증 인증 요구하지 않음 민간임의인증 인정기관 미국정부에서 지정한 해당없음 COSMOS에서 지정하는 로고(Logo) 인증로고 없음 *기준에 적합한 경우 유기농 명칭사용 가능 유기농인증함량기준 비유기 및 허용 합성원료 5% 이하 유기원료 95% 이상 *유기비율 계산에서 물과 소금제외 허용 합성원료 5% 이하 유기원료 10% 이상 *유기비율 계산시 총제품중량기준 유기비율10% 이상 유기비율20% 이상 유기원료 인정기준 -USAD-NOP인증 원료 -동등성 인정 인증 원료 -각 국의 국가 법령에 따라 인증 받은 유기원료 -IFOAM에 등록된 인증기관이 인증한 유기원료 - ECOSERT 인증 유기원료 - USAD-NOP인증 유기원료 - EU Organic인증 유기원료 - IFOAM인증 유기원료 - COSMOS 인증 유기원료 각 국의 국가 법령에 따라 인증 받은 유기원료 - IFOAM의 인증 유기원료 인증 유형 100% Organic Organic Made with Organic Natural Approved(원료) 특징 식품기준에 적합하게 생산 하는 경우 인증 Made with Organic 은 제품에 로고와 유기표시 할 수 없음 제품에 유기표시를 하는 경우 제품이 유기기준에 적합하다는 것을 자가 검증 화장품법에 따른 표시 기준 준수 (별도의 표시기준 없음) Organic 제품 유기원료 10% 이상 사용 Natural 제품 유기원료 5% 이상 사용 Organic 제품 유기원료 20% 이상사용 Natural 제품 유기원료 함량제한 없음. 천연유래 원료 또는 유기원료비율만 %로 표시

13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유기농 인증 제도 2016.1 ㈜ 루바마네이처 미 농무부(USDA)인증 유기농 원료 제조 ㈜루바마네이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