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9장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 연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9장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 연구."—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9장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 연구

2 Content 1. 머리말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4. 한자 교육의 범위 5. 맺음말

3 1. 머리말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한국어 어휘의 70% 정도가 한자어 :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교육은 당연
외국인에 대한 한자 교육에 대한 연구는 전무. 그 이유는, ① 한국어 교육의 목표가 주로 회화에 있었다. ② 주로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이 한글전용의 입장을 택하는 곳이었다. ③ 국어교육에서 한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학자들이 한국어 교육에 서의 한자 교육 문제에 관심이 적었다. 한국어 회화는 유창하게 하는 외국학생이 신문이나 전문서적을 읽지 못 하는 현실 :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교육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필요

4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국내의 한자 교육의 실태
한글 창제 이후 : 주로 국한 혼용문 쓰고 한글 전용 글들은 언간이나 고소설 등의 특수한 목적 가진 글 갑오경장 이후 한글 전용의 기운이 발함에 따라, 1950년대 미흡한 문자 정책으로 한글 전용법 제정 1960년대에 들어서 교육부에서는 초․중․고등학교 기초한자 1800개를 선정하고 교과서에 한자병용 원칙 세우게 됨 1970년대에 초등학교는 한글전용, 중․고등학교는 한자병용으로 변경 최근에는 초등학교 정규교육 과정에도 한자수업을 포함

5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국한 혼용론 vs 한글 전용론 국내의 한자 교육의 실태 한글전용 주장하는 측
국한혼용을 주장하는 측 이념적 측면 민족의 이상 실현 자주정신과 긍지 함양 민족 문화의 전통 계승 도덕교육의 방편 학문적 측면 문자 해독의 용이성 국어의 발전, 순화 촉진 기계화와 능률화 월등 한국어어휘의 70%가 한자어 한자어의 조어력, 축약력 직관적인 의미파악 가능 동음이의어 식별의 용이성 현실적 측면 언어문화의 대중화에 기여 현실 문자생활에의 적응효과 큼 문자생활의 다양화 가능 한중일 교류에 유리

6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주요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한자 교육 실태 가 기관 나 기관 다 기관 라 기관
마 기관 운영여부 1994년부터 현재까지, 특별반 운영 년 정규반, 현재 선택반 1998년부터 현재까지 특별반. 1994년부터 현재까지 특별반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선택반 말레이시아반 매일1시간 개설목적 어휘력 향상 어휘력 향상, 대학공부 인원 10-20명 5-10명 한자권:30명 비한자권:5-10명 20-30명 비/한자권 분리 분리수업 비분리 수업 분리 수업 운영방식 주1회,2시간 (10주 20시간) 주2회1시간씩, 2시간 (10주20시간) 주2회1시간씩(1학기14시간) 주1회1시간 (10주10시간) 주3회1시간씩3시간,선택반(10주30시간) 말레이시아반:매일3-4글자

7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주요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한자 교육 실태 가 기관 나 기관 다 기관 라 기관
마 기관 교재 비한자권:한자로 배우는 한국어 한자권:요모조모 한국어 읽기 자체교재(총200자 교육목표) UsefulChinessCharacters 자체교재, 시중 교재(혼자서도 쉽게 배우는 똑소리 한자) 한자와 함께 배우는 한국어1,2 학습단계 중급3-4급 고급6-7급 한자권:초,중,고급 비한자권:중급 고급5-6급 학습방법 한자 쓰기와 관련 한자어 연습, 문화교육 아는 한자어에서 한자추출(그림카드, 쓰기) 한자가 들어간 표현을 찾아 써봄, 초급:한자 중급:한자어 한자쓰기, 관련 한자어 익히기, 일본인 학습자는 한자음 읽기 한자 익히기(쓰기)한자어 반복 읽기 학습내용 읽기와 어휘 확장을 주로함 5-6급의 교과서 학습 내용 초급:기본한자/한자와 중급:활용도가 높은 한자,부수별 한자, 고빈도 한자어 기초 한자와 한자어, 한국어와 일본어가 중복되는 한자어 한자와 한자어를 읽고 쓰기 연습, 게임, 활동

8 A Guide to Korean Characters (1979) -Bruce K. Grant-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A Guide to Korean Characters (1979) -Bruce K. Grant- ․ 1800자의 뜻, 음, 쓰기 ․ 획순에 따라 배열 ․ 혼동하기 쉬운 한자들을 부록으로 제시 개별 한자의 음과 뜻만 수록하여 본격적인 교육 교재라고 하기에는 부족함

9 A Frist Reader in Korean Writing in Mixed Script (1983) -Fred Lukoff-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A Frist Reader in Korean Writing in Mixed Script (1983) -Fred Lukoff- ․ 한국어와 한자 혼용 ․ 본문 제시 후 음, 뜻, 획순, 부수, 약자까지 상세 설명 ․ 단원 별 연습문제, 응용문제, 복습문제 수록 ․ 총35과 / 1100자 수록 출판 당시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현실감이 뒤떨어짐

10 Pictorial Sino-Characters (1988) -Jacob Chang Kim-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Pictorial Sino-Characters (1988) -Jacob Chang Kim- ․ 앞의 두 교재 구성을 혼합 ․ 그림과 함께 한자를 제시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음 ․ 제1부 - 한자의 형태, 일본의 한자 교육, 한국의 한자어 특징 설명 ․ 제2부 - 한자 쓰기 ․ 제3부 - 그림과 한자모형 제시, 실제 문장에서의 한자 사용 설명 한자를 연습하거나 확인 할 수 있는 부분이 없음. 스스로 한자를 학습하기에는 부족함, 현재 많이 쓰이지 않는 한자가 많아 진부함.

11 Pictorial Sino-Characters (1988) -Jacob Chang Kim-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Pictorial Sino-Characters (1988) -Jacob Chang Kim- 제1부 제3부 제2부

12 SPEAKING KOREAN Ⅲ (1989) -Francis Y. T. Park-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SPEAKING KOREAN Ⅲ (1989) -Francis Y. T. Park- ․ 총148과 1554자의 한자 수록 ․ 각 과 구성: 한자의 음, 뜻, 부수, 획수/ 단어/기본문장 /추가한자, 단어/독해 /요약 ․ 독해는 영문으로 설명 ․ 여러 음으로 읽히는 한자, 혼동하기 쉬운 한자 표 부록 ․ 한글 자모 순서대로 한자 정리 외국인 학습자가 독학을 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했지 만 분량이 너무 많아 일정 기간 교육하기 힘듦

13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한자 학습 초보자인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자어의
한자로 읽는 한국문화 (2000, 배규범) 한자 학습 초보자인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자어의 한국식 음과 훈을 전달하는데 목적 주제별로 11장 구성 본문․용어 풀이․지구풀이․확인학습으로 이루어짐 한자 학습과 함께 한국문화를 전달하고자 하는 교재 한국학을 공부하거나 한국의 문화에 관심이 많은 학습자에게 유용

14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139개 부수글자, 중요 500개 한자 제시
외국인을 위한 재미있는 한자 (2004, 이영희) 139개 부수글자, 중요 500개 한자 제시 기본한자 - 단어 - 독해 - 연습으로 구성 내용 대부분을 영어로 자세하고 친절하게 설명해 자습서로 충분함 다른 교재에 비해 한자 수가 적어 상급 수준의 학습자를 위한 다음 단계의 교재 개발 요구

15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328개의 제시 한자를 이용해서 표제 한자를 제시
한자로 배우는 한국어 (2005, 김지형, 배규범) 328개의 제시 한자를 이용해서 표제 한자를 제시 흥미유발을 위해 자원 수록, 빈도수 높은 단어 제시 한국문화 이야기 수록 자원이 딱딱하고 외국인 학습자가 다소 어렵게 느낄 수 있음

16 한자와 함께 배우는 한국어 1, 2 (2006) –연세대학교-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한자와 함께 배우는 한국어 1, 2 (2006) –연세대학교- 한국어 학습에 필요한 어휘 습득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 한자가 들어간 짧은 본문이나 문장을 통해 이해 측면을 강조 쓰기 연습 가능

17 Useful Chinese Characters (2007, 서울대학교)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Useful Chinese Characters (2007, 서울대학교) 어휘 확장, 한자와 한자어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적 한 권 안에 Beginner, Intermediate로 나뉘어 있음 다양한 연습 문제로 이해 위주의 학습 실제 사진을 넣어서 한 눈에 뜻 이해가 쉬움 지시문이 모두 영어

18 Useful Chinese Characters (2007, 서울대학교)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Useful Chinese Characters (2007, 서울대학교) Beginner Intermediate

19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한자 숙어로 배우는 한국어 (2007, 최권진) 수업 시간에 국한문 혼용 자료를 활용해 한자를 학습시키면서 동시에 유래가 담겨 있는 한자 숙어를 학생들에게 추가로 가르쳐 줄 수 있음

20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총 50개의 과
살아있는 한국어 : 한자 성어(2007, 김선정 외) 총 50개의 과 ‘그림’을 제시하여 학습하기 전에 해당 한자성어의 의미를 유추 ‘본문’을 통해 한자성어를 익힘 ‘연습해요’에서는 다양한 형식의 문제를 통해 본문에 대한 이해도를 점검 ‘함께해요’에서는 게임이나 퍼즐, 조사활동, 이야기 완성하기, 토론주제 등을 통해 해당 한자성어가 쓰이 는 상황을 이해하고 사용 ‘쉬어가요’에서는 흥미로운 읽을거리, 해당 한자성어 의 어휘 확장, 한국의 풍습 등을 소개함으로써 학습과 흥미를 동시에 높임

21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살아있는 한국어 : 한자 성어(2007, 김선정 외) 그림 제시 본문

22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살아있는 한국어 : 한자 성어(2007, 김선정 외) 연습 해요 함께 해요 쉬어 가요

23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살아있는 한국어 : 한자 성어(2007, 김선정 외) 정규반에서 수업 교재로 쓰기에는 어려움, ‘한자 성어반’과 같은 특별 반이나 특별 수업에서 활용하기에는 좋음 중급 이상의 학습자들을 위한 독학용 교재로 활용 가능

24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 현황
현재 출판된 한자 교재들은 교육 기관에서 교재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외국인 학습자가 개인학습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 체계나 내용, 제시 한자의 숫자가 일정하지 않아서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줄 소지가 있음

25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설문 조사 분석 조사대상
․ 경희대 국제교육원 한국어과정 학생들 중 중급, 고급반 중 한 반씩 선정. ․ 일본(4) 중국(3) 우즈베키스탄(2) 몽골(2) 체코(1) 대만(1) 독일(1). ․ 평균 한국어 학습 기간은 1년6개월인 한자권 학습자 8명, 비 한자권 학습자 6명.

26 한자어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 정도 : 대부분 높은 관심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설문 조사 분석 한자어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 정도 : 대부분 높은 관심 ➀ 관심이 매우 많다-10 ➁ 관심이 조금 있다-3 ➂관심이 별로 없다-0 ➃기타 -1

27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설문 조사 분석 학습자의 한자 능력(읽기) ➀ 10자 정도 -1
➁ 20자 정도 -2 ➂100자 정도 -3 ➃200자 이상 -3 ➄기타 -5 (1000자 이상)

28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설문 조사 분석 학습자의 한자 능력(쓰기) ➀ 5자 정도 -0
➁10자 정도 -1 ➂50자 정도 -5 ➃100자 이상 -2 ➄기타 -6 (200~2000자 까지 다양)

29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설문 조사 분석 한자 학습의 중요성 ➀매우 중요하다 -9 ➁중요하다 -5
➂별로 중요하지 않다 -0 ➃필요 없다 -0

30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설문 조사 분석 일주일에 한자 수업이 몇 시간 정도가 적절한가 ➀ 9시간 -0
➁ 6시간 -6 ➂ 3시간 -7 ➃ 1시간 -1 ➄기타 -0

31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한자 교재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재의 상황 열악함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설문 조사 분석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한자 교재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재의 상황 열악함 ➀있다-3 ➁없다-7 신문 (1년6개월 공부한 일본인) A Guide to Korean Characters (3년 이상 공부한 체코인) 천자문+SPEAKING KOREAN Ⅲ (6개월 공부한 우즈베키스탄인) - 나머지는 “모른다” 혹은 “없다”

32 한자어 수업을 한다면 무엇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좋겠는가? : 모두 비중 있게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설문 조사 분석 한자어 수업을 한다면 무엇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좋겠는가? : 모두 비중 있게 ➀ 한자 독해 -6 ➁ 한자 읽기 -5 ➂ 한자 쓰기 -3

33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설문 조사 분석 ․한국어 한자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
한국 한자의 발음 > 한자 쓰기 > 한자 독해 한국어 한자 교육이 중요한 문제라는 것을 교육자 뿐 아니라 학습자까지 절실하게 느끼고 있다 단계별 교재 개발이 시급하다. 한자권, 비 한자권을 분반하여 시행하는 수준별 교육도 필요하다.

34 큰 차이는 없으나 일본어는 약자로 표기하는 경향이 두드러짐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한자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 일본어권 한국 일본 표기상의 차이 큰 차이는 없으나 일본어는 약자로 표기하는 경향이 두드러짐 圖 / 信號 図 / 信号 발음상의 차이 거의 대부분에서 차이가 난다. 韓[han] / 學[hak] 韓[kan] / 學[kak] 표현상의 차이 일본에서의 한자 어휘를 그대로 표현하였다가 문제가 되는 경우 빈발 다방 / 便紙 끽다점 / 手紙

35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한자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 중국어권 한국 중국 대만 표기상의 차이
거의 대부분의 한자가 한국한자와 차이를 보임 한국한자와 표기의 차이가 거의 나지 않음 발음상의 차이 두 나라가 거의 같음 일본어에 비해서는 한국한자와 차이를 보임 표현상의 차이1- 같은의미다른표현 時計 /映畵 /汽車 時鐘 /電影 /火車 표현상의 차이2- 같은표현다른의미 公社 공공의 회사 농촌집단 汽車 기차 자동차 표현상의 차이3- 한자성어 桑田碧海 自手成家 竹馬故友 - 自手起家 蒼海桑田 白手成家 靑梅竹馬

36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비 한자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한자를 처음 교육 받는 입장이므로 우리 초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한자 교육 방법을 이용하면 편리할 것 *단, 내용을 성인 수준에 맞추어 교육 전통 문화 연구회 편 “초등학교 한자” 단원 별로 도입과정-본문 이해과정- 응용과정-단원평가의 과정, 주제별 한자를 교육 초등학생용 교재를 사용하더라도 외국인들이 초등학생들처럼 말을 잘 하지 못하므로 별도의 교육 방법이 필요함

37 전통 문화 연구회 편 `초등학교 한자` (4단계-4권)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비 한자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전통 문화 연구회 편 `초등학교 한자` (4단계-4권) 1단계 <도입과정> 공부 할 방향을 삽화로 제시 2단계 <본문 이해 과정> 한자음과 뜻,한자어의 뜻, 생각해 보기, 한자어의 쓰임 3단계 <응용과정> 한자어 맞추기, 한자 쓰기 4단계 <단원평가> 배운 내용 정리

38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비 한자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전통 문화 연구회 편 `초등학교 한자`

39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비 한자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전통 문화 연구회 편 `초등학교 한자`
책의 구성과 시각적인 효과 등으로 외국인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학습 할 수 있음 초등학생용 한자 책이므로 외국인에게 가르친다면 주제를 선별할 필요가 있음, 예를 들어 민주주의, 학교 생활, 자주 국방 등은 가르칠 필요가 없음 교재에 있는 그대로를 가르치기 보다는 외국인에게 맞는 별도의 방법이 필요함 -> 한자에 대한 지식이 없으므로 한자의 의미 분석과 어휘 형성의 원리중점 적으로 한자어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함

40 4. 한자 교육의 범위 한자권(일본어권) 한국 한자와 일본 한자 사이에 차이를 보이는 한자들의 경우만 따로 모아 교육.
쓰기 학습 한국 한자와 일본 한자 사이에 차이를 보이는 한자들의 경우만 따로 모아 교육. 기초적인 한자 위주 교육보다 빈도수 높은 글자부터 교육 하는 것이 필요. 읽기 학습 한국 한자음과 일본 한자음 사이에 있는 일정한 음운 대응을 설명하면서 강의 초급200자, 중급300자, 고급 500자 정도

41 4. 한자 교육의 범위 한자권(중국어권) 중국학생 대만학생 쓰기학습 ․ 대다수의 한자를 새로 습득해야 함
․ 중국한자와 차이를 보이는 기초적인 한자부터 교육해야 함 ․ 초급100자/중급200자/고급300자 학습의 필요성 거의 없음 (일본과 유사) 읽기학습 쓰기교육범위와 별도로 읽기수업에 참여하는 방안 초급200 중급300 고급500 쓰기가 필요한 반 (비한자권, 중국), 읽기가 필요한 반 (일본, 대만, 중국)을 나누어 교육하는 것도 필요 학생들의 요구를 현장에 반영하는 일이 될 것

42 4. 한자 교육의 범위 비 한자권 초등학교의 방법을 응용할 수 있음. 기초한자의 개념을 기초어휘의 개념
과 혼동하여서는 안 될 것 일본어에서는 한자 쓰기가 생활화 되어 있으므로 쓰기 교육 역시 절대적 으로 필요하지만 한국어 교육에서는 읽기 교육을 중심으로 하여야 함 초급 100자 중급 200자 고급에 300자 비한자권 학생의 경우 한자 읽기와 용례 중심의 교육을 하여 흥미를 유발 하여야 할 것

43 5. 맺음말 첫째,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정규 과목에 한자어 교육을 포함해야 한다.
둘째, 효과적인 한자 교육을 위해 문화권 별로 외국 학생을 나누어 교육해야 한다. 셋째, 외국인을 위한 기초 한자 어휘를 선정해야 한다. 넷째, 외국인을 위한 단계별 한자 교재의 개발이 시급하다. 다섯째, 한국어능력검정시험에 한자어도 포함해야 한다.


Download ppt "제9장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 연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