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발칸반도의 숨겨진 보석, 세르비아 201300924 김태연 201300567 김소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발칸반도의 숨겨진 보석, 세르비아 201300924 김태연 201300567 김소희."— Presentation transcript:

1 발칸반도의 숨겨진 보석, 세르비아 김태연 김소희

2 목차 1. 세르비아 민족의 최대 전성기를 이룬 인물, 두샨황제 2. 세르비아 왕조의 독립 정교의 뿌리, 성 시메온과 성 사바
3. 세르비아어의 아버지, 부크 카라쥐치 4. 세르비아인의 아픔, 알바니아인의 비극, 코소보와 밀로쉐비치 5. 역사속에 비친 1389년 코소보전투와 세르비아 6. 발칸유럽의 대표적 대중음식, 부렠

3 세르비아 민족 최대의 전성기 두샨 황제 1308-1355 왕 1331-1355 황제 1346-1355 이 시기의 세르비아
과거 서로마지역과 비잔틴 제국, 소아시아 중개무역 → 부 축적 안정된 정치력 & 강력한 군사력 → 발칸유럽 장악

4 두샨 황제의 생애 1314-1321 1331.9. 1342 1346.4 비잔틴제국의 내분 & 왕위계승권 싸움 ↓
비잔틴공격 &서부발칸장악 1345. 스스로 황제로 칭함 콘스탄티노플에서 유학 그리스어 & 비잔틴제국의 사회문화상 왕위차지 불가리아 헝가리 크로아티아와의 싸움 영토확장 ‘세르비아와 로마제국의 황제’ 로 추대 그리스교구+힐란다르 정교 사원 관할권 편입

5 두샨 황제의 생애 1346.4~ 1355 두샨 황제 시기 제국의 영토 1344~ 세르비아 VS 오스만터키 전쟁
1346.4~ 1344~ 세르비아 VS 오스만터키 전쟁 십자군 구성 노력하다가 갑자기 사망 (독살로 추정) 두샨황제 로마교황에게 협조요청 위기의 비잔틴제국 오스만터키 용병 요청 두샨 황제 시기 제국의 영토

6 두샨 황제의 업적 1. 세르비아 교구의 영향력 확대 세르비아 독립 정교회 교구 코소보의 쥐짜(žica) 뻬치(peć) 년 ‘두샨 법전’ 완성. 세르비아 민족의 전통과 관습 201항목 비잔틴 제국의 법전 내용 + 시민법 + 교회법 1219년 세르비아 법전에 기초 +

7 세르비아니즘의 이론적 기틀 : 대(大)세르비아 국가
두샨 황제의 업적 세르비아인들 발칸유럽의 맹주국가 자부심 세르비아니즘 확산 노력 3. 세르비아 역사상 가장 드넓은 영토 확장 4. ‘세르비아니즘’ 의 토대 구축 가라샤닌 : 세르비아니즘 이론 구축 세르비아니즘의 이론적 기틀 : 대(大)세르비아 국가

8 1355년 두샨 황제 사망 이후 우로쉬 5세 (1336-1371) 집권 여러 봉건 지역으로 쪼개짐 1389년 코소보 전투 패배
우로쉬 5세 ( ) 집권 여러 봉건 지역으로 쪼개짐 1389년 코소보 전투 패배 1459년 스메데레보 전투 패배 오스만 터키 하로 편입 세르비아 중세 시대 막 내림

9 세르비아 왕조와 독립 정교의 뿌리, 성 시메온과 성 사바
스테판 네마냐 (성 시메온) 정교를 받아들일 필요성 느낌 세르비아 스투데니짜 사원 & 힐란다르 사원 건립 (정교의 발전 확대)

10 세르비아 왕조와 독립 정교의 뿌리, 성 시메온과 성 사바
스테판 네마니치 1202년 : 로마교황(이노센트 3세) 로부터 왕위 부여 받음 1217년 :세르비아 중세왕국 선포

11 세르비아 왕조와 독립 정교의 뿌리, 성 시메온과 성 사바
사바 네마니치 (성 사바) -아버지의 영향으로 정교 입문. -1219년 콘스탄티노플 교회 의 명령에 따라 독립 정교회 수립 -세르비아 정교회와 수도원 개축,보수 + 교회 서적 번역 세르비아 정교 기틀 마련.

12

13 세르비아어의 아버지, 부크 카라쥐치(1787-1864) 트르쉬츠(tršć) 출생 트로노샤 정교사원에서 세르비아어 교육받음
세르비아 최초 중등학교(스렘스키 카를로브찌) 입학 실패 중등 과정 마침 코피타르 만난 후 남 슬라브 민족 간의 공통어 확대에 관심 (언어 체계 수립 노력) 러시아의 지원 –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대 하려함

14 세르비아어의 아버지, 부크 카라쥐치(1787-1864) 세르비아 민족 정체성 형성 + 근대 세르비아 어 발전에 기여
1. 근대 세르비아 어 개혁 + 민속 문학의 토대 구축 2. 모음집(세르비아 농민들의 민요,이야기,속담) 을 통해 구전 문학 발전 3. 세르비아 민속 산문시집 + 세르비아어 사전 발간 세르비아 민족 정체성 형성 + 근대 세르비아 어 발전에 기여

15 코소보 세르비아인의 아픔 알바니아인의 비극

16 세르비아 중세왕국 발원지 세르비아 정교 핵심지역 역사적 상징성 여러 정교 사원
세르비아 중세왕국 발원지 세르비아 정교 핵심지역 역사적 상징성 여러 정교 사원

17 세르비아 중세 왕족의 몰락, 이민족의 세르비아 지배 시작 세르비아 민족의식, 세르비아 민족주의의 출발점
코소보 전투 세르비아 중심 10만 기독교 연합군 오스만 터키군 세르비아 중세 왕족의 몰락, 이민족의 세르비아 지배 시작 & 세르비아 민족의식, 세르비아 민족주의의 출발점

18 다수민족 열악한 환경 소수민족 경제와 정치 주도권

19 1980년 5월 티토 사망

20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Slobodan Milošević) 1941 - 2006
1989 – 1997 세르비아 공화국의 대통령 역임 1997 – 2000 세르비아 & 몬테네그로 연합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대통령직

21

22 랑부예(Rambouillet) 회담. 국제사회 개입
코소보 평화안 코소보 문제 3년 후 논의 2. 코소보에 NATO 중심 국제평화유지군 주둔 세르비아의 민족정서 확산 노력 알바니아인들의 반발 코소보의 독립 주장 시위, 무장투쟁 코소보 독립 미룰 수X 밀로쉐비치의 알바니아 반군들 대대적 소탕 코소보 문제: 주권문제 자국영토에 외국군대 주군X 랑부예(Rambouillet) 회담. 국제사회 개입

23 알바니아 : 찬성 세르비아 : NATO 반대 → UN 대안 → 실효성 문제로 미국과 서방세계의 반대
→ 실효성 문제로 미국과 서방세계의 반대 미국, NATO : 전쟁비용 어려움 세르비아 : 경제적, 물적, 인명적 손실 러시아의 중재 <UN평화안> 합의 UN 안전 보장 이사회 SCR1244 결의안 발표

24

25 SCR1244 결의안 기초 UN 임시 행정임무 부서 UNMIK 권한 이양 EU 주도의 EULEX

26 KFOR : Kosovo Force EULEX & KFOR 코소보 평화 유지군 행정과 치안 담당 코소보 거주민들의
평화롭고 안정적인 삶 보장 의무 2. 20여 만명의 추방, 망명자들의 방해없는 귀환 보장 3. 자치권 부여 임무

27 민주화 혁명 보스니아 내전 & 코소보 범죄 행위 재판 2007.12.10 UN주도 코소보 최종 지위협상 실패
알바니아계에 의한 코소보 독립선언

28

29 대중음식 부렠 Burek

30 감사합니다. 참고: <김철민 저, 역사와 인물로 동유럽 들여다보기> <김철민 저, 발칸유럽 사회와 문화>
네이버, 구글 검색


Download ppt "발칸반도의 숨겨진 보석, 세르비아 201300924 김태연 201300567 김소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