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방사능에 의한 식품오염.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방사능에 의한 식품오염."— Presentation transcript:

1 방사능에 의한 식품오염

2 방사능 방사선 불안정한 원소의 원자핵이 방사선을 방출하여 스스로 붕괴되고 안정된 다른 원자핵으로 변환하는 현상
방사능을 가진 원자에서 발생하는 빛 또는 물질 입자선, 또는 전자파 중에서 공기를 직,간접적으로 이온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이며 에너지의 흐름

3 방사선의 종류 자연방사선: 자연적으로 발생한 방사선(예; 햇빛)
인공방사선(전리방사선) : 물질을 통과할 때 물질의 원자, 원자단 및 분자 등을 전리시켜 이온을 생성하는 인공 방사선 (예; α(알파)선, β(베타)선, γ(감마)선, X선, 전자선, 중성자선) γ(감마)선: 투과력강함. 식품분야에서 약80% 사용함(예) 포장된 완제품 X선: 투과력강함(예) 포장된완제품 전자선: 투과력 약함. 신속성, 정확성, 에너지 효율성 등의 장점 (예) 곡류의 살충, 표면 살균 및 의료제품등

4 방사능의 단위 방사선의 단위 '방사능‘ - 물질중의 어떤 방사성 핵종이 단위시간 내에 몇 번 붕괴를 일으키는가를 나타내는 것
1베크렐(Becquerel:Bq) : 1초에 1번의 붕괴가 발생하는 것 Ci(큐리) : 1g의 Ra-226(라돈)의 방사능량을 기준으로 해서 정해진 단위로서, 매초의 붕괴수가 3.7 E+10에 상당하는 방사능의 강도 방사선의 단위 어떤 물질중의 어떤 장소를 통과하는 방사선의 수, 또는 방사선이 통과함으로써 그 물질이 흡수한 양(예를 들면 전리방사선의 통과에 의하여 발생한 전하량) 조사선량 1R(뢴트겐) : 표준상태(0℃, 760 mmHg)의 건조공기 1cc 중에 1 esu의 전하를 발생한 경우 흡수선량 : 어떤 장소에서 어떤 물질 중에 흡수된 방사선 에너지양. 1 rad(라드) : 주목물질 1g중에 100 erg가 흡수되는 것 Gy(그레이) : Gy=100 rad). 1 R=8.7 m(밀리)Gy의 관계 선량당량 및 실효선량당량(Dose equivalent) 신체의 일부 또는 장기에 주목하여 그 부위가 받게 되는 흡수선량에 방사선의 종류와 에너지를 고려 그 장기에 대한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을 나타내는 지표 단위는 rem(렘: 구단위계)과 Sv(시버트:신단위계, 1 Sv=100 rem)

5 방사선조사의 생물학적 작용 직접 작용설-생물체의 세포나 그밖의 표적물질에는 이온화 에너지가 감수성이 높은 DNA에 작용하여 직접 유효한 전리를 일으켜서DNA 사슬을 절단하여 생물학적 효과 간접 작용설: 생체 내에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물이나 혹은 전리작용에 따른 생성물(이온이나 유리기)이 2차적으로 세포 활동에 필요한 물질 또는 그 구조에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간접적으로 생물학적 효과

6

7 주요 원자력 발전소 사고 1979년 미국 펜실베니아주 Three Mile Island 원자로 사고
1986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폭발사고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I-131, Cs-134, Cs-137, Sr-90등의 대량의 방사성물질이 대기 중에 방출, 확산, 전지구 오염 대기중의 방사성 물질이 비에 의해 지표면 오염  농작물 및 축산물 오염

8 방사성 물질에 의한 식품오염 방사성 강하물 온배수와 방사성 폐기물 원자력 발전소의 냉각수의 열오염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

9 방사성 물질의 식품 오염경로 음료수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10 오염식품의 인체에 대한 작용 만성적 장해 탈모, 눈자극, 궤양의 암변성, 세포분열억제, 세포기능장해, 세포막투과성 변화, 생식불능, 백혈병, 염색체 파괴, 유전자 변화, 돌연변이 유발 식품과 관련된 핵종 Sr-90 : 뼈에 침착되어 베타선 방출, 장기 체류, 배출이 완만, 물리적 반감기 28년, 유효반감기 18년 Cs-137 : 물리적 반감기 30년, 유효반감기 70일, 근육, 생식세포에 침착, 생성률이 크다 I-131 : 물리적 반감기 8.1일, 유효반감기 7.6일, 생성률이 크다.

11 방사선 조사식품 발아억제, 살충, 살균, 숙도 조정 등의 목적으로 방사선 (γ선·β선·X선 등)을 조사한 식품

12

13 조사식품의 안전성평가

14 식품의 방사선 조사 효과 생장조절 해충제어 유해 미생물제어
감자, 마늘, 양파, 밤 등은 0.1∼0.25kGy 범위의 조사에 의하여 생장점의 세부 분열 발아 및 발근이 억제됨 저장기간 연장 및 생장지연으로써 숙도지연 효과를 나타냄 해충제어 건조식품의 저장해충이나 신선식품의 검역 관련 해충, 동물성 식품에 존재하는 기생충은 저선량 조사에 의해 불활성화됨 유해 미생물제어 부분살균(radurization) : 가장 낮은 선량으로 식품의 저온 저장 수명연장 병원균살균(radicidation) : 식품에 오염된 병원성 미생물을 사멸 완전살균(radappertization) : 10kGy 이상의 고선량을 이용


Download ppt "방사능에 의한 식품오염."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