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No.11 R&D Bulletin
2
SUNILR&D-0811-(1) Industrial Trend ● 200N/㎟급 초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 기술 개발
미쓰이 스미토모 건설은 건물의 새로운 고층화, 거주 공간의 확대를 목표로 설계 기준 강도(Fc) 150N/㎟를 초과한 초 고 강도 콘크리트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 사용 재료의 개발이나 각종 양생 조건 하에서 강도 발현 확인 시험을 실시한 결과 압축 강도가 200N/㎟ 를 초과한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 배 경. 현재 도심부를 중심으로 RC(철근콘크리트)조 초고층 집합 주택의 건축 수가 증가하고 있고 새로운 고층화나 대 스팬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 현재 미쓰이 스미토모 건설은 강재 가격의 앙등에 따른 종래 강 구조가 중심이었 던 초고층 오피스 분야에서 RC구조의 건설을 제안하고 기술 개발과 동시에 영업 전개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구조재료로서 콘크리트의 고강도화는 필수 조건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미쓰이 스미토모 건설은 스미토모 오사카 시멘트와 도쿄 에스오시 주식회사를 합한 3사에서 Fc 150N/㎟ 까지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장관 인정을 공동으로 취 득하고 또 Fc 120N/㎟ 까지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시공 실적을 갖고 있다. 금후도 콘크리트의 고강도화의 요구는 높을 것이 예상되고 있고 미쓰이 스미토모 건설은 스미토모 오사카 시멘트와 동시에 200N/㎟급의 초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용화를 목표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종래 기술과 그 문제점 콘크리트의 경우, 반죽 혼합하고 물에 대한 시멘트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는 높아지지만 콘크리트의 점성이 높아지고 시공성이 저하된다. 그래서 Fc 80N/㎟ 이상의 콘크리트에서는 시공성의 개선이나 고강도화를 목적으로 시멘트에 실리카 퓸 등의 혼화재가 혼합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강도가 높은 150N/㎟ 이상이 되면 혼화재를 혼합해도 시공성 확보가 곤란해지기 때문에 새로운 재료가 필요하다. ■ 특 징 이번에 개발된 200N/㎟급 초 고강도 콘크리트에는 종래 사용해 왔던 실리카 보다 입자가 굵은 실리카질 미분말이 적량 혼합된다. 또 사용한 골재는 세골재로서 고밀도로 고강도의 슬래그계 세골재를, 조골재는 강도 확보를 위해 입자 조정한 경질 사암 쇄석 내지 안산암 쇄석을 채용했다.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여 압축 강도가 200N/㎟를 초과한 초 고강도 콘크리 트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번에 개발된 콘크리트는 50㎝ 플로우 시간이 6초 전후인 높은 유동성을 갖고 시공성이 뛰어나다. 또, 70℃ 환경 하에서 5일간 양생한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는 200N/㎟를 크게 상회하고 소형의 부재에서 채취 한 코어라도 200N/㎟의 압축 강도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든 분야에서 재료의 성능 향상은 그 이용 영역을 확대한다.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향상은 구조물에 힘이 집중된 부분 에 이용하면 큰 효과를 발휘하고 새로운 공간을 만들 수 있다. 200N/㎟의 초 고강도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 는 콘크리트의 4∼5 배를 초과한 압축 강도를 갖고 있다. 이 특성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것 이 가능하다. 1) 초 고층화·대 스팬화에 의하여 고축력을 받는 기둥에 적용한 RC조 오피스빌딩의 초 고층화. 2) 하층 계 기둥의 단면 치수를 통상의 초고층 건물과 동일한 정도로 억제한 300m급의 철근 콘크리트구조 주택 실현. 3) PC(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와의 조합에 의하여 보의 단면 치수를 통상의 대 스판 건물과 동일한 정도로 억제하고 층계고의 증대를 억제한 대 스판 물류창고의 실현. 4) 초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대 스판 구조와 면진을 조합하여 우수한 면진 성능이 있고 평면 계획에 무리가 생기지 않는 면진 건물의 실현.
3
SUNILR&D-0811-(2) New Research Paper ● 플라이애시의 활성도지수 평가에 관한 기초적 연구
● 플라이애시의 활성도지수 평가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서론. 최근 국내의 건설환경은 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산업폐기물이나 부산물을 각종 건설재료로 활용하는 방안이 다각도로 검토되고 있다. 즉, 플라이애시나 고로슬래그 미분말, 그리고 석회석 미분말 등의 각종 콘크리 트용 혼화재료는 콘크리트의 각종 성능을 크게 개선 시킬뿐 만 아니라 산업부산물을 재활용한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유용 한 재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KS 에서는 콘크리트용 각종 혼화재료의 품질이 일정수준 이상이 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중 플라이 애시의 활성도 지수는 실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강도에 매우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됨에도 불구하고, 단지 플라이애시 자체의 품질관리용으로만 활용되고 있다. 즉, 현행 플라이애시의 활성도 지수 평가방법은 시멘트에 대하여 플라이애시를 일정량 치환한 시험 모르타르와 플라이애시를 치환하지 않은 기준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비 만으로 평가하도록 규정되어 있는데, 이는 시멘트량이 감소되어 강도가 낮아지는 효과와 플라이애시를 혼합 함으로서 공극 충전효과나 포졸란 반응에 기인하여 오히려 강도가 증진되는 특성 등이 상호 복합되어 평가되기 때문에, 실제 플라이애시 자체가 모르타르나 콘크리 트의 강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럽표준화협회(이하 CEN이라 칭함)에서는 플라이애시를 전체 시멘트량에 대하여 치환하지 않고, 추 가하는 방식으로 활성도 지수를 평가하는 방안 (method1~4)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는 국내의 평가방법에 비해 시멘트량 이 감소하게 되는 것에 기인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강도 감소 특성을 배제하고, 플라이애시 자체가 모르타르나 콘크리 트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시가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강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콘크리트 의 배합설계 단계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단계 연구로서 KS, 그리고 BC EN 206-1(2000)에서 제시하고 있는 활성도지수 평가방법 (method 2)을 복합하여 플라이애시의 활성도지수를 평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이론적 고찰. KS L 5405 (2004)에서 제시하고 있는 플라이애시의 활성도 지수 평가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기준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에 대한 시험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서, 단지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사 용하기 위한 플라이애시 자체의 품질특성만을 고려하고 있다. 즉, 플라이애시의 활성도 지수 관련 국내 품질규준을 보면 플라이애시 1종의 경우는 재령 28일에 90% 이상, 재령 91일에는 100%이상을 요구하고 있고, 플라이애시 2종의 경우는 각 각 80%와 90% 이상의 강도 비를 요구하고 있다. KS L 5405의 부속서 1 (플라이애시의 모르타르에 의한 플로값 비 및 활성도 지수의 시험방법)에서 제안하고 있는 표준적인 모르타르의 배합조건 (주문진 표준사의 경우)과 산출방법을 각 각 정리하면 아래 표 1 및 식 (1)과 같다. C2 A = × 100 · · · · · · · · · · 식(1) C1 여기서, A : 활성도 지수(%) C1 : 각 재령에서의 기준 모르타르 시험체 6개의 압축강도의 평균 값(MPa) C2 : 각 재령에서의 시험 모르타르 시험체 6개의 압축강도의 평균 값(MPa) 모르타르의 종류 시멘트(g) 시 료(g) 표준모래(g) 물(g) 기존 모르타르 510±2 1,250±5 247±1 시험 모르타르 382.5±1.5 127.5±0.5 표 1. KS L 5405의 부속서1(모르타르의 배합)
4
SUNILR&D-0811-(3) New Research Paper
한편, CEN에서는 그림 1과 식 (2)에서와 같이 각종 혼화재료의 활성도지수를 고려하여 적정의 강도수준을 만족하는 물-시멘트비를 도출하도록 하는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총 4종류의 활성도지수 산출 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그 내용 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ωφ ω = ·· ·· ·· ·· ·· 식(2) (1+ κ · φ) 여기서, ω : 혼화재료를 혼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ω𝛗 와 동일 한 강도를 발휘하는 물-시멘트비 ωφ: 혼화재료를 혼합했을 때의 물-시멘트비 κ : 활성도지수 φ : 시멘트에 대한 혼화재료의 비율 1. 모르타르법(method 1, mortar)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와 물-시멘트비와의 상호관계를 이용하여 혼화재료의 적정 첨가량 및 활성도지수를 구하는 것으로서, 굵은 골재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두 지점간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구하는 방법이다. 즉, 평가방법은 간편하나, 신뢰할 수 있는 강도의 범위가 두 지점 내에서만 유효하게 된다는 점, 그리고 콘크리트 단계에서 중요한 영향요인인 굵은골재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 는다는 등의 특징이 있다. 2. 직선회귀법(method 2, linear relationship) 직선회귀법은 본 연구에서 검토한 활성도지수 평가 방법으로서 먼저, 시멘트 량을 일정하게 하고, 여기에 각종 혼화재료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혼합한 후, 각 각의 목표 플로우를 만족하는 적정의 물-시멘트비와 이때의 압축강도를 1차 회 기분석하여 계수 값과 활성지수를 구하는 방법이다. 즉, 직선회귀법은 모르타르 법과는 달리 시멘트나 혼화재료, 그리고 잔골재의 종류 및 사용량 등 다양한 변 수를 대상으로 활성지수를 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모르타르법에 비해 다소 유리 하나, 이 또한 모르타르법과 마찬가지로 배합조건에서 혼화재료의 사용량이나 물-시멘트비가 일정범위 이상 또는 이하의 범위에서만 신뢰성 측면에서 유효하 게 되는 특징이 있다. (그림 2(a) 참조) 3. 상호관계법(method 3, reciprocal relationship) 상호관계법은 앞에서 언급한 모르타르 법이나 직선회귀법과 같이 두 지점간 을 1차 회귀분석하여 평가한다는 측면에서는 유사한 개념이나, 모르타르가 아닌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한다는 측면에서 유효하다. 즉, 굵은골재의 특성이 반영된 다는 점과 결합재 형태의 혼화재료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물-결합재비가 동일하게 되는 조건에서만 평가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림 2(b)에서와 같이 물-결합재비의 역수[1/(W/B)]와 압축강도간 의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것으로 제안하고 있다. 그림 1. 활성도지수(k) 결정을 위한 기본 개념도 (a) 직선회귀법(linear relationship) (b) 상호관계법(reciprocal relationship) (c) 동일 유동성 기준법 (equal workability) 그림 2. CEN에서 제안하는 혼화재료의 활성도지수 결정방법
5
SUNILR&D-0811-(4) New Research Paper 4. 동일 유동성 기준법
이는 화학혼화제인 감수제를 이용하여 동일 유동성을 갖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물-시멘트비와의 상호관계를 분석 하고, 이를 바탕으로 활성도지수를 도출하는 방법이다. 즉, 기준콘크리트에서 시멘트량은 각각 200kg/㎥ , 300kg/㎥ , 400kg/㎥ 을 대상으로 하고, 여기에 물-결합재비와 혼화재료의 종류 및 혼입량을 변화시켜 쌍곡선 (hyperbolic)이나 직선회귀 (linear)중 1가지 방법을 선택하여 분석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높은 콘크리트일수록 활성 도지수가 낮게 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림 2(c) 참조) ■ 실험계획 및 방법 1. 실험계획 본 연구의 실험요인 및 수준은 표 2와 같다. 먼저, 기준 모르타르의 배합비는 KS L 5405 (플라이애시)의 단위수량비 및 압축강도비 시험방법에 따라 정하였으며, 플라이애시의 혼입율 변화에 따른 모르타르의 물-시멘트비는 기준 모르타 르의 물-시멘트비에서 측정된 플로우 (170±10㎜)값 그리고, 기준 모르타르의 물-시멘트비에 대하여 0.1정도를 상·향 조정한 모르타르의 플로우 (230±10㎜)값을 만족하는 2개 수준으로 하였다. 한편, 플라이애시의 혼입량은 플라이애시를 혼입하지 않은 기준 모르타르와 시멘트 중량에 대하여 각각 5%,15%,25% 를 혼입하는 총 4개 수준으로 하는 등 총 8배치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평가항목으로는 모르타르의 플로 우와 재령 7일, 28일의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활성도지수를 구하는 것으로 계획하 였다. 2. 사용재료 본 실험에 사용한 각종 사용재료(시멘트, 플라이애시)의 물리적 성질은 표 3~4와 같다. 즉, 시멘트는 국내 H사의 1종 포틀랜트 시멘트를, 플라이애시는 밀도 2.29의 보령산을 사용하였으며, 잔골재는 주문진산 표준사(KS L 5100)11)를 사 용하였다. 실 험 요 인 실 험 수 준 배합비(C:S) 1 1 : 2.45 물-시멘트비 2 * 기준 모르타르의 플로우를 만족하는 경우 * 기준 모르타르의 물-시멘트비에 0.1씩을 상향 조정 한 물-시멘트비의 플로우를 만족하는 경우 플라이애시 첨가율(%) 4 0, 5, 15, 25 평가항목 3 * 플로우, 압축강도(7일, 28일), 활성지수 표 2. 실험요인 및 수준 밀도 (g/㎥) 분말도 (㎠/g) 안정도 (%) 강열 감량 응결시간(h:m) 압축강도(MPa) 초결 종결 3일 7일 28일 3.15 3,200 0.05 0.7 3:50 6:10 19.5 29.3 39.7 밀도 (g/㎥) 비표 면적 (㎠/g) 단위 수량비 (%) 강열 감량 습분(%) SIO2 2.29 3,520 100 2.59 0.20 53.0 표 3. 시멘트의 물리적 성질 표 4. 플라이애시의 물리·화학적 성질
6
그림 3. 플라이애시 혼입율 변화에 따른 W/C와 W/B의 특성
SUNILR&D-0811-(5) New Research Paper 3. 시험방법 시험방법으로 먼저, 모르타르의 혼합은 KS L )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플로는 KS L ), 압축강도는 KS L 5105에 의거 표준적인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한편, 플라 이애시의 활성도지수는 CEN Committee TC104 SC1에서 제안하고 있는 “Determination of k-values for additions (Method 2)”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는데, 즉 시멘트량은 일 정하게 하고, 여기에 플라이애시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혼 입한 후, 각각의 목표 플로우를 만족하는 적정의 물-시멘트 비를 구하였다. 그리고 재령 7일과 28일에서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는데, 이때 평가된 강도는 1차 회기분석을 통하여 계수를 도출하고, 아래의 식(3)을 이용하여 활성도지수를 구하였다. ω · b K = [ ] · · · · · · · 식(3) a0 – (af – bf · ω) φ 여기서, ω : 플라이애시를 첨가한 모르타르의 물-시멘 트비 φ : fly-ash/cement a0, b0, af, bf : 물-시멘트비와 압축강도의 상호관계를 1차 회기분석하여 구한 값 ( , ) ■ 시험결과 및 분석. 1. 유동특성. 모르타르의 배합 및 시험결과는 표 5, 6 및 그림 3과 같 다. 전반적으로 플라이애시의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목표 유동성을 만족하기 위한 물-시멘트비도 함께 증가하는 것 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플라이 애시를 사용함에 있어, 시멘트 중량에 대해 치환하지 않고, 추가하는 방식으로 혼입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물-결합재비는 플라이애시 첨가 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이는 목표 유동성을 만족하기 위해 증가된 배합수와 함께 혼입된 플 라이애시가 모르타르의 유동성 향상에 일정부분 기여하게 되는 특성이 복합되어 나타난 결과로 분석된다. 한편,플라 이애시의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물-시멘트비와 물-결합재 비간의 차이가 크게되는 반면 플라이애시의 혼입율이 감소 할수록 그 차이가 점차로 적게 되 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평가방법(method2)의 경우 신뢰성 있는 활성도지수를 구하기 위한 최소의 혼 목 표플 로우 (㎜) 플라이애시 첨가율 (%) W/C W/B 단위용적질량(㎏/㎥) W C F/A S 170±10 0.48 247 510 1250 5 0.49 0.47 251 25.5 15 0.50 0.43 255 76.5 25 0.52 0.42 265 127.5 230±10 0.58 296 0.60 0.57 305 0.61 0.53 210 0.62 215 표 5. 모르타르의 배합 목표 플로우 (㎜) 플라이애시 첨가율 (%) 시 험 결 과 플로우(㎜) 압축강도(MPa) 7일 28일 170±10 175 24.5 36.2 5 173 28.2 42.4 15 28.4 42 25 174 28.6 41.5 230±10 232 19.1 29.4 230 19.3 33.6 228 20.0 32.5 225 22.1 34.2 표 6. 모르타르의 시험결과 그림 3. 플라이애시 혼입율 변화에 따른 W/C와 W/B의 특성
7
그림 4. 플라이애시 혼입율과 배합수 증가율과의 상호관계 그림 5. 플라이애시 혼입율과 강도 감소율과의 상호관계
SUNILR&D-0811-(6) New Research Paper 화재료 사용량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본 연구범위에서 최소 플라이애시 혼입율은 약 10% 이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림 4는 플라이애시 혼입율과 목표 유동성을 만족하기 위한 배합수 증가율간에 상호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분 석결과, 기본 모르타르의 목표 플로인 170 에서 플로를 230 로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가장 높은 배합수 증가율을 갖는 플라이애시 혼입율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연구범위에서는 플라이애시 혼입율 11%까지는 플라이애시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배합수 증가율도 비례하 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플라이애시 혼입율이 11% 이상인 15%와 25%의 경우는 플라이애시 혼입율이 5%인 경우에 비해 오히려 배합수 증가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지 배합수 만으로 플라이애시를 혼입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향상시킴에 있어 플라 이애시의 품질특성에 따라 배합수가 최대가 되는 플라이애시 혼입율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즉, 플라이애 시의 경우 미세입자이고, 구상의 입자형상을 갖기 때문에 공극 충전 및 볼베이링 효과에 기인하여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의 유동성 향상에 유리하다는 기존연구결과와 다소 상이한 결과인 것이다. 본 연구범위에서는 플라이애시 혼입율이 약 11%정도인 경우에서 배합수 증가율이 최고가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때의 모르타르 플로우를 170 에서 230 로 증가시키기 위한 배합수의 증가율은 약 22.0%정도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2. 강도특성 그림 5는 그림 4와 동일한 요령으로 플라이애시의 혼입 율 변화에 따른 강도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즉, 굳지않은 상태에서 기본 모르타르의 목표 플로우인 170㎜ 를 230㎜ 플라이애시 혼입율이 압축강도 측면에서는 가장 적게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배합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모 르타르의 경우가 강도감소율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7일 재령의 경우가 28일 재령에 비해 더욱 현저한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감안하여 볼 때, 플라이애시 를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에 사용함에 있어 그의 사용량에 관계없이 반드시 향상된 품질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플라이애시의 종류나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배합조건, 그리고 목표성능 등에 따라 적정의 사용량을 결정하는 것이 우선되어져야 한다는 점, 그리고 굳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 유 동성을 만족하기 위한 단위수량의 변화특성과 압축강도 사이에 밀접한 관계5)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범위에서는 재령에 따른 구분 없이, 플라이애시 혼입율이 약 12%정도인 경우의 강도감소율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때의 강도감소율은 재령 7일에 31.9%, 그리고 재령 28일에는 약 22.5%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3. 활성도 지수. 그림 6은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활성도지수를 구하기 위하여 플라이애시 혼입율 변화에 따른 물-시멘트비 와 재령 28일의 압축강도간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표 7은 플라이애시의 활성도지수 평가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평가결과, 물-시멘트비가 낮을수록, 그리고 플라이애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활성도지수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 는데, 이러한 결과는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에 플라이애시를 사용함에 있어 플라이애시의 활성도지수를 평가하는 방법뿐 그림 4. 플라이애시 혼입율과 배합수 증가율과의 상호관계 그림 5. 플라이애시 혼입율과 강도 감소율과의 상호관계
8
그림 6. 플라이애시 혼입율 변화에 따른 활성도지수 평가결과 그림 7. 플라이애시 활성도지수 평가결과(28일 재령)
SUNILR&D-0811-(7) New Research Paper 만 아니라 활성도지수를 고려할 수 있는 적정의 물-시멘트 비 범위와 플라이애시 사용량이 존재8)한다는 것을 의미하 는 것이다. 즉, 평가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로, 플라이애시 혼입율이 5%이고, 물-시멘트비가 0.6~0.7 범위인 경우, 그리고 플라이애시 혼입율이 각각 15%와 25%이면서, 물- 시멘트비가 0.6 이하인 경우의 활성도지수는 1.0 이상을 상 회하는 것으로 평가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플라이애시의 사용량이 적고, 물-시멘트비가 일 정수준 이하일 경우에는 플라이애시를 사용함에 따른 강도 증진효과 보다는 모르타르의 배합조건에서 물-시멘트비가 낮아짐에 기인한 강도증진 효과가 더욱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범위에서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시 활 성도지수를 고려할 수 있는 물-시멘트비 범위와 플라이애 시 사용량은 각각 0.6% 이하와 15% 이상인 것으로 평가되 었다. 이상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활용할 목적으로 플라이 애시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굳지 않은 상태 특성 및 활성도 지수를 검토한 결과, 플라이애시의 특성 및 배합조건 등에 따라 적용 가능한 플라이애시의 사용량이나 물-시멘트 범 위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그의 사용량 변화에 따른 활성도지수도 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연구결과는 CEN에서 제안하고 있는 여러가지의 활성도지수 평가방법 중 직선회귀법 (method 2)만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서, 콘크리 트단계에 활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다양한 평가방법에 대한 심도 있는 추가연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기존 국내의 평가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추가연구도 따라야 할 것 으로 판단된다. ■ 결론 플라이애시가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강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활 용할 목적으로 플라이애시의 활성지수 평가방안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르타르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배합수 증가율이 가장 크게 되는 플라이애시 혼입율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연구범위에서는 플라이애시 혼입율이 약 11%정도인 경우에서 배합수 증가율이 최고가 되는 것으 로 분석되었으며, 이때의 모르타르 플로를 170 에서 230 로 증가시키기 위한 배합수의 증가율은 약 22.0% 정도인 것 으로 평가되었다. (2) 배합수 증가율이 가장 크게 되는 플라이애시 혼입율의 경우 압축강도가 가장 적게 증가하였다. 즉, 본 연구범위에서 는 재령에 따른 구분 없이, 플라이애시 혼입율 약 12% 정도에서 강도감소율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때의 강도감소율은 재령 7일에 31.9%, 그리고 재령 28일에는 약 22.5%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3) 플라이애시의 활성도지수는 물-시멘트비가 낮을수록, 그리고 플라이애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플라이애시의 품질특성 및 배합조건 등에 따라 적용 가능한 플라이애시의 사용량이나 물-시멘트 범 위 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실험과정에 나타난 일부의 결과에서 플라이애시의 활 성도지수가 1.0 이상을 상회하는 것으로 평가됨으로서, 현 수준 의 실용화에는 많은 어려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방법에 대한 심도 있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그림 6. 플라이애시 혼입율 변화에 따른 활성도지수 평가결과 W/C F/A 혼입율(%) 0.60 0.65 0.70 5 - 15 0.8132 0.4674 0.1954 25 0.8531 0.7145 0.6018 그림 7. 플라이애시 활성도지수 평가결과(28일 재령)
9
SUNILR&D-0811-(8) Technical Tips ● 반발경도법에 의한 강도 추정. ■ 시험 진행과정 및 데이터.
1. 반발경도법에 의한 비파괴시험 진행 과정은 [그림 3.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험전 테스트 엔빌을 사용하여 장비를 보정하였으며, [그림 3.2]와 같이 해당 부재에 대한 면처리 를 실시하였음. 2. 이후 [그림 3.3]과 같이 사전에 준비된 격자틀을 이용하 여 타격부위에 3cm 간격의 격자 20점(4× 5)을 표시하였으며, [그림 3.4]와 같이 슈미트해머를 이용하여 각 격자의 중심점 에 타격을 실시하였음. 이 때, 골재 노출 부위 등의 이상 부위 를 체크하여 이상 부위가 있을 경우 추가 중심점에 대하여 타 격을 실시하였음. 3.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해당 부재에 대하여 2회의 시험을 실시하여 <표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데이터를 확보 하였으며, 확보된 데이터 중 평균값에서 ± 20%를 벗어나는 값은 버리고 <표 3.2>와 같이 재평균하여 데이터를 산출하였 음 . ※ <표 3.2>는 <표 3.1>의 값에서 평균값의 ± 20% 범위를 벗어나는 데이터를 버린 것으로, 측정결과 ± 20% 범위를 벗어나는 값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20개 타격경도 값을 다 사용하기로 함. ■ 콘크리트 강도 추정식. 1. 콘크리트 모의 구조체의 해당 개소에서 산출한 반발도 데이터(R0)를 적용하여 콘크리트 강도를 추정하기 위한 추정식은 아래와 같은 일본재료학회 표준식과 동경건축재료시험소 추정식을 사용하여 평균값을 적용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음. ▶ 일본 재료학회의 표준식 : Fc(kgf/cm2) = R0 ▶ 동경 건축재료 시험소 추정식 : Fc(kgf/cm2) = 10R 2. 상기 2식은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고, 슈미트해머 장비의 적용식과도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어느 것을 사용해도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범위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당 팀에서는 두 식의 평균값을 적용하였음. 그림 3.1 테스트 엔빌에 의한 장비 보정 그림 3.2 그라인더에 의한 면처리 장면 그림 3.3 시험면의 격자 표시 장면 그림 3.4 반발경도 측정 장면 시험횟수 측 정 값 평 균 값 1 54 52 53 52.75 20% 기준 10.55 (42.2~63.3) 57 49 55 2 50 52.60 20% 기준 10.52 (42.08~63.12) 51 48 3 53.65 20% 기준 10.73 (42.92~64.38) 56 시험횟수 측 정 값 평 균 값 1 54 52 53 52.75 57 49 55 2 50 52.60 51 48 3 53.65 56 표 3.1 반발경도법에 의해 취득한 원 데이터 표 3.2 오차 데이터처리 후 취득한 데이터
10
반발경도법에 의한 콘크리트 추정 강도(kgf/cm2) - 평균
SUNILR&D-0811-(9) Technical Tips 3. 한편, 재령 28일 이후의 압축강도 추정시 표면경도가 높게 측정되므로, <표 3.3>과 같은 재령계수에 의해 보정을 하여 압축강도를 추정하였음 . ■ 콘크리트 강도 추정 결과. 상기와 같은 시험진행 및 데이터 취득 과정을 거쳐 해당 부재의 반발경도법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추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냈음. 재랭 (일)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보정 계수 1.90 1.84 1.78 1.72 1.67 1.61 1.55 1.19 1.45 1.40 1.36 1.32 1.23 1.25 1.22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2 34 36 1.18 1.15 1.12 1.10 1.08 1.06 1.04 1.02 1.01 1.00 0.99 0.98 0.96 0.95 38 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0.94 0.93 0.92 0.91 0.90 0.89 0.87 0.86 0.85 68 70 72 74 76 78 80 82 84 86 88 90 100 125 150 0.81 0.84 0.83 0.82 0.80 0.78 0.76 0.74 175 200 250 300 400 500 750 1000 2000 3000 0.73 0.72 0.71 0.70 0.68 0.67 0.66 0.65 0.64 0.63 표 3.3 재령에 따른 보정계수 시험횟수 측 정 값 평균값 (R) 보정값 (ΔR) 기준경도 (P0) 타격각도 압축강도 (kgf/cm2) 재령계수 추정강도 1 54 52 53 0˚ 565 0.635 359 57 49 55 2 50 51 48 3 580 368 56 반발경도법에 의한 콘크리트 추정 강도(kgf/cm2) - 평균 362 표 3.4 반발경도법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 추정 결과
11
SUNILR&D-0811-(10) Special Page
● 친환경 · 고성능 지오폴리머 콘크리트( Geoplymer concrete) 1. 배경 2004년 10월 3일 국제 에너지기구(IAE)가 공개한 ‘세계 주요에너지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2년 한해 동안 선진국들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된 반면 한국이 배출한 온실가스, 즉 이산화탄소는 모두 4억 5155만t 으로 국가별로는 세계 아홉 번 째이다. 현재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결합재로 사용하고 있다. 포틀랜드 시멘트는 제조과정에서 대기 중에 많은 양의 이산환탄소를 배출한다. 전세계적으로 포틀랜드 시멘트의 제조량은 해마다 3%씩 증가하고 있다. 포틀랜드 시멘트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135만 톤에 이르며 대기 중에 배출되는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를 차지한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친환경을 지향하는 미래 산업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이산환탄소의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과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재료의 개발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최근 몇 년에 걸쳐 친환경적인 콘크리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2. 지오폴리머 콘크리트 지오폴리머 콘크리트(Geopolymer Concrete)는 결합재로서 포틀랜드 시멘트를 필요로하지 않는 새로운 개념의 ‘신재료’이다.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Si와 Al이 풍부한 플라이애시와 같은 무기물이 알칼리성의 액체에 의해 활성화되어 결합재로서 작용하게 된다. 지오폴리머(Geopolymer)에서 중합과정은 고알칼리 상태에서 Al-Si 광물에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서 중합체의 Si-O-Al-O 결합을 구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지오폴리머(Geopolymer)의 화학적 구성은 제올라이트(zeolites)와 유사하지만 비결정질의 미세구조를 보인다는 점에서 다르다. 지오폴리머 재료의 구조모델은 여전히 연구 중에 있기 때문에 지오폴리머가 응결, 경화되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에서는 시멘트 페이스트 대신에 지오폴리머를 결합재로 사용한다. 지오폴리머 페이스트가 굵은골재와 잔골재 그리고 비반응성 물질을 결합하여 지오폴리머 콘크리트를 형성한다. 제조과정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제조과정와 동일하다.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마찬가지로 골재가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며 질량으로 환산하면 약 75~80%이다. 플라이애시 내의 Si와 Al은 수산화나트륨과 규산화나트륨 용액의 화합물에 의해 활성화되어 결합재로 작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알칼리성 활성화제로는 수산화나트륨(또는 수산화칼슘)과 규산화나트륨(또는 규산화칼륨)의 화합물이 사용되며, 열이 가해질 경우 지오폴리머 생성 화학반응이 가속화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지오폴리머 콘크리트는 고온에서 양생을 실시한다. 3.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의 특성 ■ 압축강도는 보통강도에서 고강도에 이르기까지 다양 ■ 장기거동 특성을 살펴보면 지오폴리머 콘크리트는 낮은 양의 크리프와 매우작은 값의 건조수축량을 보임 ■ 내황산염성과 염해저항성에 대해서도 우수 ■ 낮은 투수성와 높은 내구성
12
표 1. 포틀랜드 시멘트와 지오폴리머 시멘트의 비교
SUNILR&D-0811-(11) Special Page 4. 맺음말 지오폴리머 콘크리트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고성능 콘크리트로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개념에 부합하는 콘크리트이다. 지오폴리머 콘크리트는 활성물질과 활성화제의 화학적 성분에 따라 내화․내열 섬유복합체, 밀폐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또한 낮은 투수성을 가지므로 유독성, 방사성 폐기물의 차단제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높은 내구성으로 해안구조물이나 산성 환경 하의 구조물 등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 출처 : Hardjito D et al., Geopolymer Concrete : Turn Waste Into Environmentally Friendly Concret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cent Trends in Concrete Technology and Structures (INCONTEST), Coimbatore , Indea, 2003 포틀랜드 시멘트 지오폴리머 시멘트 고 강 도 단기간에 고강도 산, 바닷물에 민감 산, 바닷물에 영향이 거의 없음 공극에 의해 철근의 부식이 많음 공극에 의해 철근의 부식이 적음 동결유해 저항성이 낮음 동결융해 저항성 높음 내구성이 불량 내구성이 좋음 CO2 발생량이 많음 CO2 발생량이 적음 증명된 기존 기술 증명되지 않은 새로운 기술 표 1. 포틀랜드 시멘트와 지오폴리머 시멘트의 비교
13
SUNILR&D-0811-(12) Change & Innovation ● 신바람 난 직원들이 조직 혁신에 불을 당긴다.
미국 롱아일랜드에 위치한 라이트 솔루션(Rite-Solutions)은 2000년 짐 라보이(Jim Lavoie)와 그의 친구 조 마리노(Joe Marino)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들은 대기업의 고위직까지 역임하면서 피라미드식 조직 구조와 규율에 얽매인 문화에 대해 같은 회의와 좌절감을 느꼈다. 경직된 조직이 아닌 유연하고 역동적인 기업을 하고 싶은 마음, 라이트 솔루션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2000년 창업 이후 ‘라이트 솔루션’은 5년 만에 직원 수 150명, 연 수익 2000만 달러 이상의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하지만 라보이는 이런 성공에 안주할 수 없었다. 조직이 커지고 사업이 번창할수록 조직이 쉽게 나태해 질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조직의 혁신성과 창의성을 유지시켜줄 비법을 찾던 라보이는 2004년 가을 우연히 듣게 된 증권가 뉴스에서 ‘주식 시장’의 시스템에 주목했다. ■ 위험, 보상, 재미를 다 주는 ‘아이디어 주식시장’을 열다 라보이는 주식시장이 ‘재미있게 스스로 발전하는 원리’를 기업 안으로 옮겨와야겠다고 생각했다. 주식시장은 누구나 투자할 수 있다. 위험을 감수해야 하지만 충분한 보상이 뒤따른다는 재미도 있다. 그래서 투자자들은 조금이라도 더 정확히 상품을 평가하고 가치를 예측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이렇게 발생하는 자금의 동향과 투자자들의 반응은 주식시장에 참여한 기업에게 성장의 강한 동기가 되고 자금의 흐름을 통해 시장의 변화를 읽을 수 있게 되기도 한다. 이런 점에 착안해서 만든 것이 바로 ‘아이디어 주식시장’이었다. 라이트 솔루션의 아이디어 주식시장은 세 개의 시장으로 분류된다. 첫째 완전히 새로운 비즈니스와 기술 등과 관련한 위험한 아이디어들의 시장인 ‘스파즈닥(Spazdaq)’, 둘째, 기존의 비즈니스와 유사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의 시장인 ‘바우 존스(Bow Jones)’, 그리고 운영 과정상의 편리함이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단기적 개선책 시장인 ‘세이빙 본즈(Savings Bonds)’가 있다. 그 외의 운영 원칙들도 실제 주식시장의 체계를 거의 따 왔다.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트 솔루션의 주식시장은 웹(web)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사진2 참조) 누구나 실시간으로 해당 아이디어(상품)의 정보를 열람 할 수 있으며, 손쉬운 매매가 가능하다. 둘째, 상품 개발자가 되고자 하는 직원은 누구나 사업계획서와 같은 ‘아이디어 구상 안(Expect Us)’를 마련하고, 주식을 발행한다. 주식의 발행 가격은 주당 10달러 이며, 주식 발행에 대해서는 상사의 승인 절차 없이 전적으로 개인의 결정에 따른다. 이렇게 상장된 아이디어 상품은 실제 주식시장에서의 상장기업(IPO)과 같은 방식으로 거래된다. 아이디어 제공자는 기업 가의 역할을 맡는다. 셋째, 이들은 자신의 아이디어가 실행되도록 하 기 위해, 시장에서의 매력도를 높이기 위해 함께 일할 동료를 모집한 다. 이를 위해 아이디어 제공자는 ‘단기 계획안(Budge-It)’을 작성한다. 지원자가 반나절 이상을 넘기지 않고 해낼 수 있는 작은 단위의 과업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아이디어의 가치를 인정한 사람은 이 계획안에 따라 참여하며 아이디어를 실제로 실행해 나갈 수 있다. 넷째, 직접 참여가 아니더라도 모든 직원들은 1만 달러씩 가상의 돈을 지급받고, 어디든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다. 경영자나 소수 간부들이 평가하기보다는 폭넓은 소
14
SUNILR&D-0811-(13) Change & Innovation
비자, 시장의 의견을 반영한다는 의미이다. 다섯째, 직원 누구나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다. 긍정, 부정의 의견이나 개선안을 해당 상품의 웹 게시판에 올릴 수 있고, 질문도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토론은 투자자들에게 아이디어 가치 평가의 근거가 되기도 하며, 아이디어 개발자에게는 발전적인 조언이 된다. ■ 신선한 아이디어들을 주식처럼 거래하고 평가 이어지는 평가 과정도 실제 주식시장과 흡사하다. 아이디어 주식시장의 자금은 결국 많은 지원자들의 지원을 받으며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아이디어(기업)에 쏠리게 된다. 시간이 흐를수록 그 결과는 자연스럽고 극명하게 시장에서 보여지는 것이다. 그리고 매주 라이트 솔루션의 전문가가 아이디어 진행 및 실행률을 바탕으로 주식의 가치를 재평가 한다. 실제 시장의 애널리스트와 비슷한 역할이다. 여러 분석과 관찰을 토대로 그 추세가 지속적이면 톱(top)20에 들게 되고, 톱20에 든 아이디어 중 최종 선택이 이루어진다. 최종 선택된 아이디어는 경영자가 주관하며 기업 차원의 투자자금이 투입되어 실행이 구체화된다. 이 단계에 이르면 기업은 최초에 아이디어를 제안한 사람과 각 과정의 공로자에게 공정한 보상을 한다. 일부 상장은 하였으나 시장의 호응이 없어 리스트에서 삭제되고 마는 주식에 대해서도 그들의 참여와 도전에 걸맞은 평가를 하고 인사고과에 긍정적으로 반영하도록 한다. 기업 간에서 혁신과도 같았던 ‘아이디어 주식시장’이 가져온 경영 성과는 매우 놀라웠다. 도입 초기 13개월간 30여 명의 참가자들이 44개의 아이디어를 주식시장에 상장했다. 이는 라이트 솔루션의 혁신 제품에 실제적으로 반영되었으며, 신규 사업 성장의 50%에 해당되는 것이었다. ■ 재미, 투명성, 보상이 직원들을 신나게 한다. 과연 라이트 솔루션의 주식시장 제도의 성공 요인은 무엇일까? 우리는 라보이의 창업 이념과 제도의 특성에서 세 가지 핵심 요인을 찾을 수 있다. 첫째, 익숙하고 쉽고 재미있다는 것이다. 사람이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한다. 만약 내용을 이해하고 숙지하고 익숙해지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면, 그것은 또 다른 업무가 될 뿐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라이트 솔루션의 주식시장은 이미 너무나 익숙한 경제환경을 기업화하여 제도 적응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였다. 또 실질적 손실은 없되 자유로운 참여와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재미를 강조했다. 둘째, 투명하게 열린 과정이다. 라보이가 느꼈던 바와 같이 실제로 직원들이 새로운 도전에 좌절하는 것은 조직의 여러 벽에 부딪히는 것부터 시작된다. 수많은 절차를 거치다 보면 아이디어 제공자도 지치고, 상관의 의견에 의해 본래의 취지가 왜곡되기 쉽다. 최고 경영자까지 가는 시간은 길어지는 반면 그에 비해 아이디어의 발전은 오히려 더디다. 주식시장 제도는 그런 조직의 구조적 한계를 없애주었다. 말단 직원조차도 최고 경영자에게 자신의 이름과 능력을 직접 뽐낼 수 있다. 의욕적인 아이디어를 위한 가장 적합한 동료를 효과적으로 찾아주며, 가치 있는 아이디어를 선별해내고 실현시키는 지름길을 뚫어준다. 마지막으로 공정하고 너그러운 보상이다. 직원들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만들려면 동기부여가 중요하다. 도전 자체를 인정받고, 성과에 대해 뚜렷한 보상을 기대할 수 있다면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라이트 솔루션이 아이디어 제안자가 직접 끝까지 참여하도록 하고 아이디어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해주는 것은 ‘주인의식’이라는 매우 중요한 심리적 보상을 준다. 더불어 수익에 대해 이미 공개된 지분을 보장해 주는 물리적 보상도 참여를 유인하는 강력한 요인이다.
15
SUNILR&D-0811-(14) Change & Innovation
■ 혁신을 불붙게 하는 재미와 참여. 이처럼 재미와 참여를 강조하여 혁신을 주도하는 제도들이 많이 등장 하고 있다. 웅진코웨이의 ‘몸짱클럽’은 직원 참여형 업무혁신제도의 대 표적인 예이다. 사회 트렌드를 업무에 응용해서 불필요한 업무를 체지방 으로, 의미 있는 업무는 근육으로 해석한다. 가장 멋진 몸매를 갖추게 된 몸짱 부서와 직원에게 해외연수 보상을 한다. (사진 2 참조) 또한 웅진은 ‘제안의 바다’라는 ‘상상 오션(ocean)’ 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요즘 인터 넷 세대에 익숙한 포인트 제도를 적용하여, 최초 아이디어에 대해 새우 (1마리당 100원)를 지급한다. 직원들은 새우를 모을수록 선원-갑판장-선장의 계급을 받고, 새우가 1만개 모이면 돌고래(1마리당 100만원)가 지급된다. 돌고래를 잡으면 해외연수를 갈 수 있고, 매월 상상왕을 선정하여 명패와 함께 상상의자 라는 간부급이나 사용함직한 고급 의자를 받는다. 경영자가 제도를 만들 때 전사 차원의 ‘참여’는 물론 ‘재미’도 있어야 한다는 생각의 전환이 직 원들의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사진 3 참조) ■ 결국은 사람이다. 기업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면서 기업간 ‘차별화’가 최대 과제로 떠올랐다. 어떻게 차별화 할 것인가? 그 해답은 사람이다. 과거 기업의 자산은 토지, 자본, 노동(사람)을 의미했다. 토지나 돈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활용만이 가능한 반면, ‘노동’ 즉 기업의 세 번째 자산, ‘조직원’은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자산이다. 단 A를 넣으면 B가 나오는 단순한 생산성으로 측정되는 사람이 아니라, 이들의 뇌가 움직일 때 얻어지는 ‘창의, 혁신, 변화’ 등으로 측정되는 사람이다. 혹자는 뛰어난 경영자만 있으면 된다고 생각할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훌륭한 경영자들의 지식과 경험도 한정적이다. 하지만 기업의 50명, 혹은 1000명의 직원들이 아이디어를 내고 적극적으로 참여한다고 생각해보자. 각기 다른 상상력과 경험들과 그 시너지 효과까지 고려하면 그보다 훨씬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근래 경영의 화두는 바로 여기에 있다. 조직원의 머리를 활용하는 법을 찾는 것이다. 이것은 경영자가 행동의 지침을 내리고 조직원은 좋든 싫든 억지로 따라가도록 만드는 것과 확연히 다르다. ‘직원이 얼마나 자발적이고 열성적인 마음으로 임하도록 하느냐?’가 성패의 중요한 요인이다. 모든 기업 제도의 수행자는 ‘직원’이며 이들의 참여가 제도를 완성하기 때문이다. 경영자들은 목표를 위해 과정을 잊기 쉽다. 한 기업의 성과를 주도하는 입장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시행착오로 버려지는 제도의 낭비를 막기 위해 경영 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과정, 즉 수행자인 ‘직원’의 입장으로 생각하는 태도부터 가져야 한다. 전 직원의 열렬한 지지만이 기업의 제도를 성공으로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 출 처 : 세계경영 연구원의 글로벌 스탠다드 리뷰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