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중국 문화의 이해 중국의 56개 민족.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중국 문화의 이해 중국의 56개 민족."— Presentation transcript:

1 중국 문화의 이해 중국의 56개 민족

2 Ⅰ. 중국의 소수민족 92%의 한족과 8%의 소수민족이 살고 있는 다민족 , 다언어 국가 중국
현재 중국의 5개 자치구, 30개 자치주, 124개 자치현에 소수민족들이 거주하고 있다 중국의 소수민족들은 60여 종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어떤 민족은 거주지에 따라 몇 종의 언어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3 Ⅰ. 중국의 소수민족 (1998년 중국인구연감 자료) (단위 : 명) 인구순위 소수민족명 인 구 주요분포지역 1 장족(壯族)
15,555,820 광서, 운남, 광동 2 만 주 족 9,846,776 요녕, 길림, 흑룡강, 하북, 북경, 내몽고 3 회 족 8,612,001 영하, 감숙, 신장, 청해, 하남, 하북, 산동 등 4 묘 족 7,383,622 귀주, 호남, 호북, 운남, 광서, 사천, 해남 5 위구르족 7,207,024 신강 6 이 족 6,578,524 사천, 운남, 귀주 7 토 가 족 5,725,049 호남, 호북 8 몽 고 족 4,802,407 내몽고, 신장, 요녕, 길림, 흑룡강, 감숙, 청해 9 장족(藏族) 4,593,072 서장 13 조 선 족 1,923,361 길림, 흑룡강, 요녕 총계 90,567,944

4 Ⅱ. 중국의 소수민족의 특징과 역할 ① 인구증가율의 증가 1964년 - 전체인구의 5.78%
1982년 - 6.7%, 1990년 이후 - 8% 초과 같은 기간의 중국 전체 인구증가율과 한족의 인구증가율에 비해 약 50% 높은 수치 원인 - 소수민족정책의 암흑기였던 ‘문화대혁명’ 이후 중국이 새로운 민족평등 정책을 실시하기 시작하면서 자기의 민족성을 숨기며 지내오던 많은 이들이 원래의 민족성을 회복, 또한 한족에게는 ‘1가구 1자녀’의 원칙을 고수하나 소수민족에게는 이러한 원칙을 적용하지 않아 한족에 비해 더 높은 인구증가 추세를 보임

5 Ⅱ. 중국의 소수민족의 특징과 역할 ② 소수민족의 지역분포 특징 중국 전역의 약 63.7%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소수민족
중국의 소수민족은 대잡거(大雜居)와 소취거(小聚居)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중국 전역에 상호 연관하여(대잡거) 거주하는 여러 민족이 작은 규모로 따로 모여 살고 있음(소취거)을 의미한다. 또한 소수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은 대개 고원, 산맥, 평원, 삼림지대로 자원과 광물이 풍부한 경우가 많으나 중국의 변경지대에 위치하고 있어서 개발이 늦어져 경제와 문화적으로 낙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6

7 Ⅱ. 중국의 소수민족의 특징과 역할 ③ 중국내 소수민족의 역할
중국의 소수민족은 각각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오래전부터 중국이라는 영토에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한 이래 2000여년의 세월동안 분열과 통합이 교차하는 과정에서 몽고족, 만주족 등 여러 소수민족이 중국의 통일과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 근대에는 서구열강들의 침략에 반대하는 투쟁에 있어 많은 소수민족들이 큰 활약을 하기도 하였다.

8 Ⅲ.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전개과정과 민족정책 1. 하나의 중국 정책
1949년 ‘단 하나의 중국(只有一個中國)’이라는 통일 정책 시행 정권의 안정과 영토의 안정을 꾀하기 위하여 국내적으로는 분열의 소지가 많은 소수민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 1982년 제정한 헌법 제4조 “중화 인민공화국의 각 민족은 일률로 평등하다.” “그 어떤 민족에 대한 기시와 압박도 금지한다”고 규정 현재 중국에서 실시하는 민족 구역 자치 정책은 중국 민족 문제 해결의 기본 정책으로 중국의 민족 평등과 민족 단결의 징표라고 할 수 있다.

9 Ⅲ.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전개과정과 민족정책 2. 소수민족 정책의 변화 과정 시 대 내 용 비 고 중화연방공화국시대
시  대 내  용 비  고 중화연방공화국시대 (1922 ∼ 1936) ‘몽고, 티베트, 신강에 자치를 실시하여 민주 자치연방을 실시한다’ 선언 중화연방공화국 표방 제 2차 전국대표회의( ) 소수민족의 분리, 연방의 권리 제시 중국공산당 제 6차 대회( ) 완전분립권과 자유연합권 인정 중국소비에트 구역회의( ) 완전자유권 승인 소비에트 제 1차 전국회의 ( ) 민족자결권 승인 분리 독립권 인정 소비에트 제 2차 전국회의 ( ) 자치구시대 (1936 ∼ 1959) 민족의 자치는 허용하나 민족의 분리는 불가 연안정권수립 이후(1936)

10 Ⅲ.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전개과정과 민족정책 2. 소수민족 정책의 변화 과정 시 대 내 용 티베트 폭동 ~ 문화대혁명 직전
시  대 내  용 티베트 폭동 ~ 문화대혁명 직전 (1959 ∼ 1966) “민족문제의 본질은 계급 문제” 민족과 민족 지역에 대해 대대적인 통일 정책 실시 반란 민족에대해 무력으로 진압, 행정 단위를 개별 민족지역으로 확대 정리 문화대혁명 시기 (1966 ∼ 1976) 민족 자치제의 폐지 민족 차이를 부정하고 강압적인 민족 동화 추진 개혁개방(1978~) 민족자치제의 회복기 등소평 실권 장악 이후 소수민족지역의 자치권 보장이라는 유화적 정책 실행

11 Ⅲ.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전개과정과 민족정책 3. 민족구역자치제도 민족구역 자치법
각 소수민족이 구역자치를 실시하며 자치기관을 설립하고 자치권을 행사하는 것 각 민족은 자치 지역의 자치 기관은 민족 자치를 실행하는 소수민족의 인원을 위주로 구성하여 그 지역에 살고 있는 다른 민족은 적당한 대표자를 갖는다. 자치 기관은 그 지역의 소수민족 속에서 통용되는 한 종류 혹은 여러 종류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여 별도의 권한을 갖는다. 자치 권한을 행사할 때는 민족의 특징과 풍속 습관을 충분히 고려한다. 자치 기관은 권한을 행사할 때는 그 지역 민족의 특징에 의거하여 자치 조례와 법률, 규정을 제정한다. 자치기관은 민족 자치구의 재정권을 행사할 때는 다른 동급의 정부보다 많은 권력을 지닌다

12 Ⅲ.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전개과정과 민족정책 3. 민족구역자치제도 문화, 종교, 언어 정책
소수민족은 자기의 언어 문자를 사용하고 발전시킬 자유가 있다. 문자가 없는 민족에게는 문자를 만들어 주고 문자를 완비하지 못한 민족에게는 점차 문자를 충실히 하도록 도와준다 종교, 신앙의 자유를 주는 동시에 종교와 정치, 사법과의 분리원칙, 종교와 교육과의 분리원칙을 지킬 것을 요구

13 Ⅲ.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전개과정과 민족정책 3. 민족구역자치제도 교육 정책(간부 양성) 시 대 내 용 1949 ~1953
시  대 내  용 1949 ~1953 정치간부에 역점을 두고 부차적으로 전문간부와 기술 간부 양성 1955 ~ 1966 민족간부에게 계급 교육을 시행, 철저한 사상교육으로 공산주의화 1966 ~1978 소수민족 간부가 권력 투쟁의 상황에서 지방 민족주의를 호소하다 대숙청 당함 1978 ∼ 현재 ‘4개 현대화 건설에 필요한 공산주의로 각성된 소수민족 정치간부와 전문기술을 양성하여 소수민족지구의 사회주의 현대화에 봉사하도록 해야 한다’는 원칙 아래 교육

14 Ⅲ.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전개과정과 민족정책 3. 민족구역자치제도 교육 정책
소수민족 교육 경비 증가, 숙식비 국가 부담하는 소수민족 중학교와 초등학교를 늘려 교통이 불편한 곳에 분산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소수민족의 교육 문제 해결 북경대, 청화대 등 여러 대학에서 소수민족예과 혹은 민족반을 설치하여 대입 점수 선에 근접한 소수민족 수험생을 뽑아 1년 동안 보습시키고 직접 관계된 대학교로 보낸다.

15 Ⅲ.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전개과정과 민족정책 3. 민족구역자치제도 대표권의 보장 정책
전국 인구의 1/14을 차지하는 소수민족이 인민대표면에서 1/7의 비율 차지 인구가 특히 적은 민족도 적어도 한 명의 대표는 있도록 해야 한다

16 Ⅲ.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전개과정과 민족정책 3. 민족구역자치제도 소수민족 우대 정책
소수민족의 경제 문화 발전을 위해서 국가의 지원과 소수민족의 자력갱생을 결합시키는 방침으로 국가에서 재정, 인력 등 도움 인구 정책 특혜 종교 허용 자치권 부여

17 Ⅳ. 중국 민족 문제의 딜레마 1. 새로운 형태의 민족문제
개혁정책의 불완전성과 민족사업의 침체성으로 인해 소수민족 우대정책이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음 삼림과 목장 등의 분쟁으로 인한 민족사이의 충돌 발생 민주정치체제가 아직 정비되지 않아 소수민족권리에 대한 보장제도 불완전

18 Ⅳ. 중국 민족 문제의 딜레마 2. 중국의 민족관계 현황 민족 평등이 진일보한 반면 민족간의 사실상의 불평등은 지속
민족단결의 큰 추세와 민족주의 사상의 성장 병존 민족간의 상호 협력 및 발전과 민족간의 경쟁 증대 병존 민족간 공동발전 추세와 민족간 발전 차이가 확대되는 추세 병존 민족간의 교류 증가와 민족의식과 민족적 응집력이 확대되는 현상 병존

19 Ⅳ. 중국 민족 문제의 딜레마 중국에서의 소수민족정책은 ‘보존과 개발’ 그리고 ‘다양성과 동화’ 등의 딜레마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 중국정부는 과도한 동화정책을 피하면서 소수민족의 다양성을 어느 정도 인정하고 존속시키려고 하지만, 경제발전에 따른 소수민족의 시장화의 경향은 휠씬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다. 이는 다양성을 확보하기보다는 한족중심의 경제에 흡수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Download ppt "중국 문화의 이해 중국의 56개 민족."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