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역사는 왜 공부하는가? 한국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역사는 왜 공부하는가? 한국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Presentation transcript:

1 역사는 왜 공부하는가? 한국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제2주차

2 순 서 역사와 사관(史觀) 한국사학의 전개 한국사의 시대구분 한국사 공부의 유의점 한국사의 쟁점들

3 역사란 무엇인가 역사의 정의 Historia(이야기), 史(中+手; 기록) 과거에 일어난 사실 또는 과거에 일어난 사실에 대한 기록 과거의 사실은 방대하고, 단편적인 기록에 불과 -> 객관적으로 일어났던 사실을 직접 보고 인식할 수 없음 역사가들이 과거의 사실들을 인과관계를 사용해서 재구성한 것, 즉 역사서술을 ‘역사’라고 부름

4 역사의 변화 역사서술, 역사서가 과거의 사실에 대한 진실인가? 역사가에 따라 다양한 관점과 인식 존재.
역사서술, 역사서가 과거의 사실에 대한 진실인가? 역사가에 따라 다양한 관점과 인식 존재. 보는 사람, 시기에 따라 변화 역사의 변화 외적요인 : 사료의 발굴, 새로운 해석 익산 미륵사지 사리함 발굴 – 선화공주설화 내적요인 : 역사인식(사관)의 차이 박정희시대를 보는 눈

5 역사는 왜 공부하는가 역사의 효용성/ 현재성 과거의 수많은 경험들을 앎으로써 우리의 지식을 확장시켜주는 효용성.
역사를 통해 현재의 삶의 질을 높여준다는 교훈성 국제금융위기 : 신용평가회사에서 역사적으로 국제금융위기를 분석 -> 회복하는데 평균 54개월 소요

6 역사를 정의할 때 역사에 대한 명구들 역사의 현실적 유용성과 현재적 의미 강조 과거와 현재와의 대화 정치의 거울
E.H.Carr 정치의 거울 龜鑑 모든 역사는 현대사 크로체 역사의 현실적 유용성과 현재적 의미 강조

7 역사학의 방법 과거와 현재를 연결시키는 방법 역사철학적 방법 실증적 방법 역사철학적 방법 vs. 실증적 방법
현재의 목적성과 가치관 중시한 채 과거 해석 사관(역사의식)을 중시 실증적 방법 과거의 사실을 중시하고 현재를 이해 가치 중립과 실사구시의 실증적 분석방법 중요시

8 역사철학적 역사학의 특징 역사의 전환기에 지배적 학풍 실천성과 목적성을 강하게 띰
사관의 형태로 제시되는 역사해석방법이 대개 법칙성 간단명료, 이론이 정연, 실천적 지침으로 수용 용이 역사적 사실 단순화, 주관적이고 아전인수격 해석과 왜곡 폐단 슈펭글러의 생태문화사관, 헤르더의 민족문화사관 -> 히틀러의 나찌즘과 인종주의 마르크스의 유물사관 -> 스탈린주의 특수성을 지나치게 보편화하여 일반화시킴 중세 봉건제도 -> 동양, 한국 등과 다름

9 실증적 사학의 특징 사관을 절대적, 신성불가침한 것으로 보지 않음
개별적 사실들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통해 경험적, 귀납적 역사의 보편성과 일반성 탐구 역사학의 독립과 전문성 제고에 크게 기여 19세기 초 독일의 역사가 랑케(Ranke) 근대역사학의 아버지 과거를 있는 그대로 wie es eigentlich gewesen 역사를 위한 역사

10 전통 역사학의 전개 한국의 고대사학 고대~통일신라시대까지의 사학 왕실 계보와 군왕의 치적을 연대기적으로 서술
특징 : 정치적 목적에서 서술 고구려 留記, 新集 백제 書記, 百濟記, 百濟新撰 신라 國史 등 형식 기전체 형식 중 本紀의 체제 통일신라시대 고승전 등 傳의 체제로 확대

11 전통 한국사학의 전개 중세사학의 발전(고려~조선후기) 고려~조선초 유교사학의 발달
형식 : 기전체가 지배적. 편년체, 강목체, 기사본말체 등 다양 특징 사학은 經學의 응용 -> 도덕적 교훈이 목적 無徵不信, 不言怪力亂神 등 합리주의 사실 서술과 평가의 엄격한 구분 목적에 따른 서술체제 활용 고려 김부식 삼국사기, 일연 삼국유사, 이승휴 제왕운기 조선 삼국사략, 삼국사절요,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12 전통 한국사학의 전개 중세사학의 발전(고려~조선후기) 조선후기 전쟁과 정치적 격변으로 인한 사회의식의 변화를 반영 특징
현실적 난국 타개를 위한 역사 연구 : 전쟁으로 과거 강역에 대한 역사 지리 연구 민족의식의 생성 ; 공동체의식에 기초한 타 공동체와의 차별화(일본, 중국 등) 고증적 학풍의 생성 ; 문헌고증학 역사학자 배출 안정복 동사강목, 한치윤 해동역사, 이긍익 연려실기술, 유득공 발해고

13 근대 식민사학의 전개 식민주의 사학 지리적 결정론 – 작은 반도에 위치. 대륙이나 섬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음
정체성론 – 스스로 사회발전 불가능 (논농사, 지방분권적 봉건제도가 없었기 때문) 당파성론 – 선천적으로 당파적 민족성 (당쟁) 모방적 문화 – 문화의 독창성이 없음 (유교, 불교 등 외래종교)

14 근대 한국사학의 유형 민족주의 사학 유물사관 실증사학 한국사의 발전을 민족의 정신 측면에서 설명 혼과 정신이 강하면 발전
경제적인 지배-피지배층의 대립과 투쟁 일정한 사회발전 공식으로 역사파악 실증사학 선입견을 배제 객관적인 사실을 정확하게 인식

15 민족주의사학의 발현 개화기 일제침략성의 노정으로 반일민족주의화 신채호의 독사신론에서 기초 대표적 역사가 정신의 강조
신채호 ; 무정부주의를 수용한 민중적 민주주의 (조선사연구초, 조선상고사) 안확 ; 한국사에 분류사체계 적용 (조선정치사) 정신의 강조 안재홍 (민족정기), 문일평(朝鮮心), 정인보(얼), 신채호(낭가사상), 박은식(혼)

16 유물사관의 태동 일제에 대항하는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공산주의 혁명 주장
세계사 발전법칙, 아시아적 생산양식론 등 이론을 교조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사의 구체적 파악에 소홀 대표적 학자 이북만, 이청원, 김광진 백남운 (조선사회경제사, 조선봉건사회경제사)

17 실증사학의 전개 가치중립의 태도 견지. 문헌 고증에 치중하는 역사가들 존재 역사연구 영역의 확대, 역사연구방법 세련화에 기여
1934년 설립된 진단학회를 중심으로 활동 일부 연구자들은 일본 식민주의 사학의 영향 대표적 학자 이병도, 김상기, 이상백, 신석호

18 근대 한국사학의 특징 민족주의 사학 유물사관 실증사학 민족의 독립운동을 정신적으로 뒷받침 추상적이고 관념적, 국수주의 경향
전통사회의 개혁 정당화 서양사 이론을 적용. 한국사 실제 외면 실증사학 한국사학을 독립된 학문으로 정립 개별적 사실에 천착. 전체 흐름 소홀

19 해방이후 현대 한국사학 신민족주의 사학 유물사관의 전개 실증사학의 발전
안재홍, 손진태(조선민족사개론, 국사개요)에 의해 제창. 많은 학자들의 동의 초계급적 민족통일, 계급평등 유물사관의 전개 해방정국에서 새롭게 전개 백남운(조선민족의 진로), 김석형, 박시형, 전석담 등 실증사학의 발전 진단학회 중심 : 이병도(조선사대관) 등 경성대학 등 주요 대학 강단에서 이후 한국사학 주도

20 역사에서의 시대구분 인간사회의 특성 시대구분의 필요성
시대와 지역을 초월해 인간 생활의 모습을 보유; 공통적 이상(자유, 평화, 행복 등) -> 보편적 가치 그러나 환경요인으로 인해 다양한 문화의 모습이 전개 -> 특수성 보편성과 특수성을 균형있게 파악해야 함 시대구분의 필요성 각 시대의 특성을 포괄적,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수단

21 전통적인 시대구분법 3시대구분법 : 고대, 중세, 근대 (르네상스 이후 근대 휴머니스트
경제발전단계설 : 야만-방목-농업-농공-농공상, 자연경제-화폐경제-신용경제, 가내경제-도시경제-국민경제, 전통사회-도약준비기-도약기-성숙기-고도소비단계(19세기 경제학자) 순환론적 시대구분법 : 생성-성장-붕괴-해체 (슈펭글러, 토인비) 사회구성체론적 시대구분법 : 원시공동체-노예제-봉건제-자본주의-사회주의 (맑스주의자의 사적 유물론)

22 한국사의 시대구분 삼분법 : 시간의 원근에 따라 고대, 중세, 근대
사회 : 사회구성의 특징에 따라 원시사회, 부족사회, 귀족사회 등 왕조사 :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지배세력 : 중앙집권적 귀족국가, 전제왕권, 호족의 시대, 문벌귀족, 신진사대부 등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면 어느 방법을 취해도 됨

23 한국사 공부에 유의할 점 문화적 흐름에 대한 이해 역사발전에 대한 이해 固有한 것은 있는가? 고유문화는?
교류의 특성에 대한 이해 :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정치 : 정부기구, 과거제도 등 문화 : 유교, 불교 등 역사발전에 대한 이해 발전이란 무엇인가? 원시평등사회 -> 초기국가 왕족 -> 삼국시대 중앙귀족 -> 고려시대 -> 문벌귀족 -> 조선시대 양반 지배층의 확대. 자유, 권리의 확대과정

24 한국사의 쟁점 한국의 국가형성 : 성읍국가 vs. 소국 고려시대의 특성 : 귀족사회 vs. 관료사회 발해는 한국사인가?
조선 양반사회의 개방성, 폐쇄성? 조선 당쟁과 붕당 동학농민운동? 동학혁명? 동학란? 갑오농민전쟁?

25 한국의 국가형성 국가란? 성읍국가론 소국론 국민, 주권, 영토 – 현대적 국가 역사상의 국가를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을까?
사료상에 등장하는 성읍을 국가로 파악 청동기시대 – 권력의 발생 (지석묘의 축조 등) 소국론에서는 이시기를 酋長, 君長시대로 파악 소국론 사료상의 소국들 존재(삼국지 위지 동이전) 철기시대 – 군신관계, 조직화의 발생 건국설화 - 立邦設都

26 고려사회의 특성 사회의 특성을 보는 시각 귀족사회 vs. 관료사회 귀족제설 관료제설 과거보다 蔭敍제도 중시
문벌의 형성과 이들의 관계 진출 관료제설 과거제도 중시 이전시기까지 등장하지 않았던 세력의 등장

27 발해사는 한국사인가? 발해사의 한국사 귀속여부 결정 조건 발해사는 한국사 발해사는 요동사 발해사는 한국사도 중국사도 된다
발해유민이 고려로 유입 신라와 발해는 한 뿌리라는 의식-남북국시대 발해사는 요동사 국가나 민족의 역사가 아닌 역사공동체의 개념 발해사는 한국사도 중국사도 된다 발해가 한국사에도 중국사에도 영향을 끼침 중국 동북공정 프로젝트와 관련

28 조선 양반사회의 특성 조선시대의 성격 결정요인 조선시대는 개방적 사회 조선시대는 폐쇄적 사회 개방적 vs. 폐쇄적
신분간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경국대전의 규정 ; 양민과 노비 조선시대는 폐쇄적 사회 실제로는 신분 격차 해소 불가 문과 응시 등 현실적으로 양반을 제외하고는 불가능

29 조선 당쟁을 보는 시각 당쟁은 분란만 야기한 것이었나? 당쟁 붕당 당쟁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한 입장 차이
일제 식민주의 사학의 잔재 당파성에서 원인 – 사회발전이 정체 붕당 현대의 정당정치에 비교되는 정치적 활동 다양한 정치적 견해와 이에 따른 정책의 결정이 사회발전에 긍정적 역할

30 동학을 보는 시각 ‘동학’에 대한 개념 정의 문제 동학란 동학농민운동 동학혁명 갑오농민전쟁
전통적 입장 위정자의 입장에서 본 견해 동학농민운동 농민이 주체가 된 반외세, 반봉건 운동 동학혁명 적극적인 정치적 혁명 활동이었음을 강조 갑오농민전쟁 중립적 입장을 표명한 견해 현대사에 있어서 “광주”와 유사한 해석의 문제 폭동, 광주민중항쟁, 광주민주화운동 등

31 화랑세기 논쟁 화랑세기 필사본에 대한 견해의 차이 화랑세기 위작설 화랑세기 진본설
통일신라 김대문의 화랑세기를 일제시대 박창화가 필사 1989년 조선후기 필사로 보이는 필사본 발견 화랑세기 위작설 화랑세기는 소설이다 근친혼, 도덕적 문제, 조선후기 용어의 사용, 인명 등 상당수가 여타 사료에 나오지 않는다는 점 등 화랑세기 진본설 월성의 구지(溝池) 존재(1990년 월성해자 발굴), 포석사(飽石祠)의 존재(1999년 포석 명문 기와 발견),근친혼, 동성애 등은 당시에 통용될 수 있는 사회적 환경 신라시대 향가(풍랑가)의 수록 삼국사기, 삼국유사에도 있는 사실을 기록 역사를 현재의 잣대로 보는가, 과거의 잣대로 보는가 하는 문제와 직결


Download ppt "역사는 왜 공부하는가? 한국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