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2차 CEO 특강 10년뒤 뭘 먹고 살 것인가? 2004. 5. 11 현 명 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2차 CEO 특강 10년뒤 뭘 먹고 살 것인가? 2004. 5. 11 현 명 관."—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2차 CEO 특강 10년뒤 뭘 먹고 살 것인가? 현 명 관

2 목 차 1. 한국경제의 현주소 2. 경제번영과 위기의 원인 3. 새로운 Paradigm의 등장 4.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 5. 구체적 실천방안

3 1. 韓國經濟의 現住所

4 1) 우리경제의 위상 ; 역사상 최대의 번성기(세계 10위권)
1. 韓國經濟의 現住所 1) 우리경제의 위상 ; 역사상 최대의 번성기(세계 10위권) 국내총생산(GDP) 4,766억 달러 세계 12위 (51) 수 출 액 1,625억 달러 세계 12위 (86) 수 입 액 1,521억 달러 세계 14위 (86) 세계 1위 (22) 세계 3위 (30) 세계 3위 (53) 세계 4위 (84) 세계 5위 (66) 682만 CGT 599억 달러 55명 (100명당) 세계 6위 (41) 1,214억 달러 4,539 만톤 315만대 외환보유 조강생산 선박건조 자 동 차 생 산 전자제품 생 산 인 터 넷 이용자수 ※ 2002년 기준, ( )는 비교국가수 임

5 1. 韓國經濟의 現住所 1) 우리경제의 위상 ; 우월해진 對中 관계 主從관계에서 수교이후 對中 교역동향 최대 교역국으로
• 누적무역흑자 488억 달러 • 對중국 투자 약 80억 달러 • 줄 잇는 중국지도자 방한 • 韓流 열풍 등

6 1. 韓國經濟의 現住所 2) 최근의 경제상황 ; 경제개발 이후 최대 위기 • 2003년 성장(3.1%)
80년(-2.1%), 98년(-6.7%) 이래 최악 • 국가채무(165조원) 1인당 345만원(03년 32조원 증가) • 가계부채(448조원) 가구당 2,926만원 • 신용불량자(382만명) 경제활동인구 6명중 1명이 신용불량 • 청년실업자(44만명) 젊은이 11명중 1명이 실업자

7 1. 韓國經濟의 現住所 2) 최근의 경제상황 ; 어두운 터널로 진입 저성장 국면 진입(성장률) 7.6% (90-96)
4.4% (97-03) 성장동력 고갈(잠재성장률) 7.0% (90-95) 5.4% (96-03) 1인당 국민소득(그림) 1인당 GDP 36,209 31,300 26,496 23,697 20,887 12,646 미 국 일 본 영 국 홍 콩 싱가폴 한 국 미국, 일본, 영국, 홍콩, 싱가폴 2만$ 한국 1만$ 5천$ 7.7% 성장 4.4% 성장 1985년 1996년 2003년 ※ 2002년 기준(한국은 2003년)

8 10년간(94-04) 아시아 국가들의 IMD 국가경쟁력 순위 변화
1. 韓國經濟의 現住所 10년간(94-04) 아시아 국가들의 IMD 국가경쟁력 순위 변화

9 ; ; 1. 韓國經濟의 現住所 2) 최근의 경제상황 ; 10년뒤 뭘 먹고 사나 현재 우리는 뭘 먹고 사나? 부문별 성장기여도
6.4% 현재 우리는 뭘 먹고 사나? 부문별 성장기여도 (2003년) 3.1% 0.5% 0.2% ; -0.4% -3.6% 성장률 소 비 투자 수출 수입 기타 총수출중 주요품목 구 성 비 반도체 자동차 무선통신기기 컴퓨터 ; 35.9% 37.3% 26.4% 1997년 93-97년 93-97년

10 1. 韓國經濟의 現住所 언제까지 이것으로 먹고 살 수 있나?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나? 반도체 DRAM 미국 일본 한국 중국
(몇 년후?) 조선 유럽 일본 철강 미국 유럽 일본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나? 신성장 동력의 창출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품목의 발굴과 육성) • 어떤 전략 : 선택과 집중 • 어떤 전술 : 나만의 방식 • 어떤 무기 : 투자 다국적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 (그들은 뒷짐지고 있는 바보가 아님)

11 1. 韓國經濟의 現住所 그런데 우리의 현주소는? 기업투자 증가율 (600대기업) 설비투자율 (설비투자/GDP) 세계일류상품
31% 감소 1/5 18.2% 14.5% 10.8% 3.6% 93-97년 99-04년 97년 03년 세계일류상품 (시장점유율 1위) 미국 954개 중국 753개 일본 318개 한국 82개(94년) 한국 53개(03년) ※ 10년 사이 35% 감소, 중국의 1/14

12 2. 經濟繁榮과 危機의 原因

13 2. 經濟繁榮과 危機의 原因 1) 번영의 원인 ;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채택 사유재산제도 시장경제제도 1인당 국민소득 주인의식
1970년 ⇒ 년 체 코(90) 696 4,567 주인의식 경쟁의식 유 고(92) 620 1,550 헝가리(89) 536 4,072 폴란드(89) 500 3,043 루마니아(91) 500 1,573 더 열심히 일하려는 動因 쿠 바(미전환) 490 1,189 한 국 252 10,124 ※ ( )는 체제전환 연도임

14 1) 번영의 원인 ; 같은 자본주의 국가를 추월한 경쟁력
2. 經濟繁榮과 危機의 原因 1) 번영의 원인 ; 같은 자본주의 국가를 추월한 경쟁력 • 잘 살아 보자는 열의, 잘 살수 있다는 자신감과 공감대 • 강력한 리더십과 이를 뒷받침 하는 유능한 관료 체제 • 높은 교육열로 인해 축적된 양질의 노동력 • 일본이라는 좋은 벤치마킹 대상

15 2) 위기의 원인 ; 과거 성공요인이 발전의 저해요인으로
2. 經濟繁榮과 危機의 原因 2) 위기의 원인 ; 과거 성공요인이 발전의 저해요인으로 성공에 대한 자만심으로 과거에 집착하고 안주 기득권을 포기하지 못하고, 개혁에는 무관심 • 잘 살아 보자는 열의 • 창조적 파괴(개혁)의 지연 • 리더십, 유능한 관료체제 • 타율적 경제체제와 관료주의 • 양질의 노동력 • 값싼 노동력에 의존하는 경영 • 일본이라는 좋은 선생 • 모방경영, 모방기술 체질화

16 2) 위기의 원인 ; 외환위기는 경쟁력을 상실한 결과
2. 經濟繁榮과 危機의 原因 2) 위기의 원인 ; 외환위기는 경쟁력을 상실한 결과 IMF 이후 기업실적 호전의 이유 환경변화 대응 미숙 경영개혁 실천 미흡 환율상승 1997년 연평균 805원/$ ⇒ 2003년 연평균 1,193원/$ 국가경쟁력의 상실 금리하락 1997년말 회사채 수익률 13.4% ⇒ 2003년말 5.4% 기업경쟁력의 상실

17 3. 새로운 Paradigm의 登場

18 1) IMF이후 새로운 패러다임 ; Global Standard
3. 새로운 Paradigm의 登場 1) IMF이후 새로운 패러다임 ; Global Standard • 배당, 주가 중시 • 단기 경영실적 치중(ROE, 당기순이익) • 소액주주 보호 주주 중시 경영 재무건전성 중시 경영 • Cash Flow, 부채비율 중시 경영의 투명성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공시제도 강화 • 증권집단소송제도 도입 • 그룹차원의 자원동원 제약 • 상호 지급보증 금지 • 출자총액제한, 내부거래조사 강화 그룹차원 경영활동 규제

19 3. 새로운 Paradigm의 登場 2)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영향 ; 그 폐해 자유화, 세계화 Global Standard
그 의미는 ? • 强者, 기득권자의 논리(Global Standard = American Standard) - 세계적 다국적 기업(세계시장을 장악한 기득권자)의 방법과 논리를 그대로 따르라 그 논리를 따르면 ? 그들을 이기려면? 영원한 추종자로 전락 우리만의 방법 他人이 상상치 못하는 방법

20 2)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영향 (예: 출자총액제한제도)
3. 새로운 Paradigm의 登場 2)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영향 (예: 출자총액제한제도) 魔의 자산 5조원대 규제 <포춘지 글로벌 500대 기업> • 기업수(97년 ⇒ 03년) - 한국 : 13개 ⇒ 13개 - 미국 : 162개 ⇒ 192개 - 중국 : 3개 ⇒ 11개 • 1사당 자산총액(03년 기준) - 미국 : 841억 달러 - 일본 : 917억 달러 - 한국 : 373억 달러 (500대 기업중 4개 이상 배출한 15개국중 가장 낮은 수준)

21 2)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영향 (예: 저조한 투자) 기업순익이 부채상환에만 쓰여질 뿐, 투자로 연결되지 않는 문제
3. 새로운 Paradigm의 登場 2)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영향 (예: 저조한 투자) 기업순익이 부채상환에만 쓰여질 뿐, 투자로 연결되지 않는 문제 한국 미국 일본 6.3% 106% 당기순이익 증가율 ※ 한국, 미국은 2002년, 일본은 2001년 기준 3.5% 167% 0.1% 163% 부채비율

22 4. 競爭力 强化를 위한 課題

23 4. 競爭力 强化를 위한 課題 1) 일반론적 방향 ; 경쟁력의 본질은 차별화 • Only or More
• 경쟁력의 본질은 남이 갖지 않은 것을 갖는 것(차별화) - 가장 한국적인 것이 경쟁력 • Global Standard(필요조건) + 차별화(충분조건) - IMF이후에는 차별화는 없어지고 Global Standard만 남음 (새로운 패러다임의 폐해) • 한국적 경영원칙, 한국적 경영방향을 모색, 정착시켜야

24 4. 競爭力 强化를 위한 課題 2) 중장기적 과제 ; 선택과 집중의 원리
• 우리 경쟁상대는 자산, 경험, 노하우, 마케팅 등 모든 면에서 우리보다 앞선 글로벌 자이언트 기업 • 이들을 이기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 필요 - 비교적 적은 Input으로 큰 Output 창출이 가능한 품목 집중 • 제2의 반도체, 제2의 LCD, 제2의 철강 등 차세대 전략품목에 우리가 가진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는 전략적 Approach - 이미 세계적 경쟁력을 가진 품목의 경쟁력 향유기간을 연장 - 기술적 인프라와 경쟁력을 구비한 신성장동력 육성 (IT, BT, 유전자칩, 디지털TV 등)

25 4. 競爭力 强化를 위한 課題 2) 중장기적 과제 ; 사람이 경쟁력이다
• 소프트웨어 : 주인의식, 도전정신, 창의성, 책임의식 • 하드웨어 : 전문지식이 풍부하고 능력 있는 인재 • 차세대 전략상품과 관련된 글로벌 고급인력을 양성, 유치 - 교육제도의 개선 • 세계적으로 가장 우수한 인재와 우리와의 갭을 알고, 글로벌 차원에서 고급인력을 스카우트 - 글로벌 인재를 포용하는 용광로 문화, 임금, 연구시설 등

26 4. 競爭力 强化를 위한 課題 2) 중장기적 과제 ; 혁신의 연속 2) 중장기적 과제 ; 국제적 산업협력
• 개혁은 과거와 현재의 부정, 상식의 파괴에서 출발 • 융성할 때 긴장하고 노력하지 않으면 쇠락의 길 뿐 2) 중장기적 과제 ; 국제적 산업협력 • 韓中日 동북아 경제협력체제 구축이 절실 • 최소투입, 최대산출을 위해서는 잠재 경쟁자와 협력하는 것

27 4. 競爭力 强化를 위한 課題 3) 단기적 현안과제 ; 일자리 창출 • 일자리 창출의 중요성
- Job Sharing이 아니라 Job Creating - 최대의 복지, 최대의 사회 안전판 - 현안 경제문제(신불자, 가계부채, 소비부진 등) 해결의 Key • 일자리는 누가 창출하나? - 정부, 지자체, 공기업도 하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企業 - 창업, 새로운 사업장 신설, 새로운 Line신설, 새로운 품목 진출 등 다양한 형태로 일자리 창출 • 기업이 고용을 창출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투자확대

28 4. 競爭力 强化를 위한 課題 • 어떻게 기업투자를 유도하나?
- 우리나라 투자의 80%를 차지하는 10대그룹, 그 중 80%를 차지하는 5대그룹의 투자를 유인 • 돈이 없어 투자를 못하는 것이 아닌가? - 2003년 순익 : 상장사 19조원(삼성전자 8조, 현대차 5조) - 2003년 순부채비율 : 삼성전자 -25%, 현대차 -5% • 무엇이 투자를 가로막고 있는가? - 기업내부 : 수익성에 대한 확신 부족, 기업가정신 퇴조 - 기업외부 : 반기업적 정서, 핵심규제, 노사불안 •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제안 - 투자촉진 : 규제완화, 노사평화선언, 전략품목 지원확대 - 서비스, 문화산업 등 고용창출 효과가 큰 산업의 육성

29 5. 具體的 實踐方案

30 5. 具體的 實踐方案 1) 새로운 도약의 목표와 전략 우리의 목표는 • 10년 안에 국민소득 2만 달러의 선진국 진입
해야 할 일은 • 연평균 7%대 지속적 성장(성장해야 분배도 달성) 그사이 선진국은 • 제자리에 머물러 있지만 않을 것 그러면 우리는 • 선진국보다 2-3배의 노력과 높은 성장이 필요 그러기 위해서는 • 우리의 강점분야에 선택과 집중 • 선진국이 갖지 않은 것을 집중 발굴, 육성

31 5. 具體的 實踐方案 2) 정부가 할 일 • 기업이 신나게 일할 의욕 고취 - 엘리트 의식, 관료주의는 버리고, 규제는 풀어야
• 기업이 차세대 성장산업을 발굴, 육성하도록 유도 - 5년후, 10년후 우리나라가 먹고 살 전략산업은? • 창의와 도전정신을 가진 글로벌 인재의 육성 - 농경시대는 토지, 산업시대는 자본, 지금은 인재

32 5. 具體的 實踐方案 3) 기업이 할 일 • Downsizing이 아닌 진정한 구조개혁 실시
- 5년후, 10년후 우리기업이 먹고 살 전략품목은? 기업 • 주인의식을 심어 주는 기업문화, 기업풍토 조성 - 종업원이 신명 나는 일자리를 만들어야 • 글로벌 우수인력의 양성과 스카우트 - 미래 전략품목 육성과 연계한 인재를 키워야

33 5. 具體的 實踐方案 4) 개인이 할 일 • 자본주의, 시장경제원리를 중요한 가치관으로 인식
- 민주주의의 평등은 상대적 평등, 기회의 평등 개인 • 투철한 문제의식과 주인의식 - 나의 경쟁력은 내가 속한 회사, 단체의 경쟁력 • 글로벌 차원의 전문지식 습득과 실천 - 선택과 집중의 논리는 개인에게도 적용 • 건강에 대한 꾸준한 투자


Download ppt "제2차 CEO 특강 10년뒤 뭘 먹고 살 것인가? 2004. 5. 11 현 명 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