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14장 학교사회 복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14장 학교사회 복지."—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14장 학교사회 복지

2 Contents 1. 학 교 사 회 복지의 개념 2. 학 교 사 회 복지의 발달 3. 학 교 사 회 복지의 대상과 역할
1. 학 교 사 회 복지의 개념 2. 학 교 사 회 복지의 발달 3. 학 교 사 회 복지의 대상과 역할 4. 학교사회복지의 실천모델과 과정

3 1. 학교사회 복지의 개념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학교부적응학생들의 학업성취 능력을 향상시키고 환경에 적응하
학교사회복지의 실시가 가져다 주는 이익 학교부적응학생들의 학업성취 능력을 향상시키고 환경에 적응하 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학교, 가정, 지역사회환경과 관련하여 유용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지원 체계망을 형성하여 학생문제에 대해 전문적 인 접근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교생활의 질을 높이고 학업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함 ① 학교사회 복지사의 자질 향상 및 발전 ② 서비스대상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음 ③ 학교사회복지의 체계적 양성 ④ 전문지식 및 기술 확립으로 학교사회복지의 효과성 증대 ⑤ 관련 전문직과의 협조체계 구축으로 서비스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 ⑥ 학교사회복지 관련정책에 대한 대표성 확립

4 1.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학교사회복지의 정의 협의 광의 특정 학생 개개인의 부적응에 대한 예방적 ㆍ 치료적 활동
<표 14-1> 보조금의 유형 1.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학교사회복지의 정의 협의 광의 특정 학생 개개인의 부적응에 대한 예방적 ㆍ 치료적 활동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모든 학생과 환경체계, 체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전문적인 원조활동을 포괄 기타 학자들의 정의 코스틴 학교가 학생 개개인의 지적ㆍ사회적ㆍ정서적 욕구와 문제해결에 관심을 갖도록 도와주며 학생들이 학교에서 공평한 교육기회와 성취감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학교현장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 실천의 분야 프리만 교육제도의 일차적 사명을 고양하기 위한 필수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학교에서 학생들의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예방적개입을 요하는 학생들과 가족가운데 표적집단을 확인하는 실천분야 앤더슨 사회적ㆍ정서적문제를 가진 개별학생을 도와주기 위해서 손상된 사회적 기능의 회복, 지역사회자원의 활용, 사회적 역기능을 예방하는 것 학교사회복지는 학생 개개인의 잠재력과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고, 이들 학생의 학업성취를 증진시켜 모든 학생들이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 육시키는 학교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도와주는 사회복지실천의 한 분야

5 1.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학교사회복지의 목적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잠재력과 능력을 최대한 계발할 수
<표 14-1> 보조금의 유형 1.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학교사회복지의 목적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잠재력과 능력을 최대한 계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모든 학생이 미래의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적의 교육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 구체적인 목표 ① 학교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지원하는 것 ② 전문적인 상담과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③ 궁극적인 학생복지의 실현 ④ 학교가 전임교육의 목적달성 지원

6 2. 학교사회복지의 발달 방문교사 시기 (1900~1930) 전문화 시기 (1940~1970) 통합적서비스 시기
(1980~현재) ㆍ1906~1907 -뉴욕, 보스턴, 하트퍼트 등 세도시에서 시작 (학교사회 복지의 모체) ※ 사회복지사의 가정방문 ㆍ1920년대 - 개인특성에 부합된 학업계획 설정 - 상황에 적합한 개별화 교육 ㆍ1923-전국적인 사회복지사업 전개 ㆍ1929-방문교사를 사회복지 6대 전문분야로 인정 ㆍ1940년대 방문교사 ⇒ 학교사회복지사로 개정 ㆍ1945 방문교사협회 ⇒ 학교사회복지사 협회로 개칭 ㆍ1948 학교사회복지의 표준화 제시 ㆍ1950년대 중반~1960년대 전반 집단사회사업 활용 시작 ㆍ1960년대 후반 학교사회복지 전문분야로 기반 구축 ㆍ1970년대 심리치료적인 상담서비스 제공 ㆍ1980년대 교육개혁과 학부모들의 개입 ㆍ학교-지역사회-가족간의 파트너 쉽 형성 ㆍ다양한 종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ㆍ1995, 학교운영위원회 시행 ㆍ2003 교육복지 5개년 계획 수립시행 ※ 청소년지원센터, 상담실 운영

7 3. 학교사회복지의 대상과 사회복지사 역할 대상 요보호학생이나 학교부적응 학생에서 최근엔 모든 학생에게까지 확대 적용 초창기
생태학적인 관점에서의 대상 ① 대인관계에 문제를 보이는 학생 ② 심리ㆍ정신적인 문제를 지닌 학생 ③ 학교규칙을 위반하는 학생 ④ 가정환경적인 문제를 갖고 있는 학생 ⑤ 부모가 아동양육에 문제를 보이는 학생 ⑥ 학습부진이 나타나는 학생 ⑦ 반사회적 행동을 하는 학생 ⑧ 장애인 학생

8 3. 학교사회복지의 대상과 사회복지사 역할 역할 학생의 정확한 정보수집을 통하여 학생에 대한 체계적인 사정, 심리치료 제공
결손가정을 위한 심리치료와 경제적 원조 제공 서비스 교직원, 학부모들에게 학생문제에 대한 원인과 예방차원의 교육 학교의 교육목적 홍보, 지역사회 욕구 학교에 전달 타전문직과 협력하여 학교행정이나 교육정책이 학생을 위한 최선의 결정이 되도롭 협조

9 4. 학교사회복지의 실천모델과 과정 실천모델 전통적 임상모델 학교변화 모델 지역사회 학교모델 ㆍ앤더슨, 가장많이 사용
ㆍ문제가 있는 개별학생에 초점 ㆍ학생, 가족의 사회적ㆍ 정서적인 특성 관심 ㆍ학생의 행동수정, 부모의 특성 변화를 개입 ㆍ개별사회방법 사용 ㆍ지지자ㆍ자문가 역할 ㆍ보워, 빈터&사리, 윗테스 ㆍ학교의 역기능적 규범과 조건에 초점 ㆍ학생 행동의 문제되는 제도변화 (제도적 변화모델) ㆍ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신뢰성 확보 ㆍ대변자, 협상자, 자문가, 중재자 역할 ㆍ지역사회 조건, 문화차이에 대한 이해 부족이 학생의 문제라고 인식 ㆍ차별대우, 취약학생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개발 ㆍ중재자, 대변자, 원외원조자 역할 수행 사회적 상호작용 모델 학교-지역사회-학생관계모델 학교연계 통합서비스 모델 ㆍ상호교류의 종류와 질에 관심 ㆍ대상체계의 조정에 초점 ㆍ체계간의 역기능적 상호작용 유형에 변화 ㆍ중재자, 자문가, 기능자 역할 수행 ㆍ아담스-코스틴 ㆍ학생집단의 사회적 행동이 학교의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에 기인 ㆍ학생의 상황에 초점 ㆍ학생집단의 효과적인 학습기회 지원 ㆍ학교중심 서비스 ㆍ학생, 가족들의 통합적인 서비스 체계 ㆍ교육의 목적과 연계된 통합 서비스 교육성과 달성 기능 우선 ㆍ사례관리자 역할 수행

10 4. 학교사회복지의 실천모델과 과정 실천과정 초기과정 사정과정 평가, 종결과정 수행과정 ㆍ자료수집과정 ㆍ-학교, 지역사회
-욕구와자원, 관계 ㆍ상호관계 분석 ㆍ사회복지사가 Ct에 대해 미치는 영향 분석 ㆍ사회복지실천을 위한 문제 진술과정 평가, 종결과정 수행과정 ㆍCt 서비스전달체계 구상 ㆍ중재전략 수립, 계획, 실행하는 일련의 수행과정 ㆍ평가 ㆍ종결 모든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 활동

11 Thank You !


Download ppt "제14장 학교사회 복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