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 16 장 배 당 정 책.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 16 장 배 당 정 책."—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16 장 배 당 정 책

2 Contents 16.1 배당정책의 의의 16.2 완전자본시장과 배당이론 16.3 시장의 불완전성과 배당정책 16.4
배당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현실적인 요인들 16.5 자사주매입과 주식배당 16.6 우리나라 기업들의 배당성향

3 제 16 장 배당정책 학습목표 배당정책이란? 배당정책은 기업가치에 영향을 줄까?
배당이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 요인과 (-) 요인은? 자사주매입의 효과는? 주식배당이란?

4 16. 1 배당정책의 의의 배당정책이란? 배당정책(dividend policy) :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에게 줄 배당금과 회사에 남겨둘 유보이익으로 나누는 결정 유보이익(retained earnings) : 기업의 미래투자를 위하여 필요한 기업내적인 자금의 원천 배당(dividend) : 주주가 제공한 자본을 사용한 대가 주당배당금(dividend per share) : 주식 1주당 배당금액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 : 1주당 배당금을 주식가격으로 나눈값 배당성향(dividend payout ratio) : 당해 연도 순이익 중에서 배당금액이 차지하는 비율. 즉, 주당배당금액을 액면가로 나눈 값

5 <표 16-1> 우리나라의 배당지급 절차와 시기
배당의 유형 현금배당(cash dividend) 주식배당(stock dividend) 청산배당(liquidating dividend) 배당금지급절차 <표 16-1> 우리나라의 배당지급 절차와 시기 12월말 결산법인 6월말 결산법인 미국의 경우 배당락일 12월 마지막 거래일 바로 전 거래일 6월 29일 배당기준일 2일 전 배당기준일 12월 31일 6월 30일 분기말일 배당공시일 이사회 결의일 또는 주주총회일 이사회 결의일 배당지급일 발표일 이후 1개월 이내 배당기준일 후 2~3주

6 16. 2 완전자본시장과 배당이론 900 원 800 원 700 원 1,000 원 200 원 배당전 주가 배 당 배당후 주가 <MM의 배당무관련 이론> “완전자본시장하에서는 배당정책은 기업가치와 관계가 없다.”

7 예시자료 새로운 배당정책의 대안 현재시점에 1.1억원 배당 대안 A 내년시점에 0.99억원 배당 현재시점에 0.9억원 배당
갑돌기업은 자기자본만으로 구성되어있고 이익은 모두 현금배당한다. 이 기업의 현금흐름(이익)은 현재시점(시점 0)에 1억 원, 1년 후 시점(시점1)에 1.1억 원이며, 현재 시장이자율 10%로 예금 및 차입이 가능하다. 주주들은 올해에 1억 원, 내년에 1.1억 원을 소비하기를 희망한다고 하자. 이러한 상황에서 갑돌기업의 주주들이 가질 수 있는 총가치는 다음과 같다. 주주의 부(기업가치) = 미래배당의 현가 = 1억 원 + (1.1억 원/1.1) = 2억 원 예시자료 새로운 배당정책의 대안 대안 A 현재시점에 1.1억원 배당 내년시점에 0.99억원 배당 대안 B 현재시점에 0.9억원 배당 내년시점에 1.21억원 배당

8 · <그림 16-1> 배당정책과 주주의 부 시점 0 1.21 억 1.1억 0.99억 시점 1 대안 B
0.9억 1억 1.1억 <그림 16-1> 배당정책과 주주의 부 현재의 배당정책 대안 A

9 대안 A가 선택된 경우 주주의 부 주주의 부 대안 B가 선택된 경우 주주의 부 세금과 거래비용이 없는 상황에서 주주는 배당으로 현금을 지급받거나 이익을 유보하여 주식가격을 상승시켜 자본이득(capital gain)을 얻거나 마찬가지이다. 기업은 영업이익보다 많은 금액을 배당으로 지급하더라도 외부자금조달이 가능하므로 배당정책은 기업의 투자결정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자금조달이 가능하고 세금과 거래비용이 없다면 기업가치는 배당과 무관하다.

10 16. 3 시장의 불완전성과 배당정책 배 당 이익분배 투자자들의 정보욕구 충족 정보비대칭

11 배당이 기업가치를 떨어뜨리도록 작용하는 요인들
거래비용 세금 배당소득세(income tax) 자본이득세(capital gain tax) 배당이 기업가치를 높이도록 작용하는 요인들 대리비용 특권적 소비(perquisite consumption) 태업(negligence) 배당의 정보효과 미래 불확실성의 제거 현재수입의 선호

12 현실적인 요인들 16. 4 배당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배당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당기순이익 기업의 유동성 새로운 투자기회 부채상환의무 기업의 지배권 기타 요인 배당의 고객효과(clientele effect of dividend) 주주들이 각기 자신의 특정한 선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배당성향을 가진 주식에 투자하는 것 주주들의 선호도에 따라 주식투자가 이루어진 경우 특정기업이 배당정책을 바꾼다고 해서 그 기업의 주가가 올라가지 않는다.

13 배당의 안정성 Lintner 의 미국 기업들의 배당정책에 관한 실증연구 안정배당정책(dividend smoothing)
목표배당(target dividend) Lintner 의 미국 기업들의 배당정책에 관한 실증연구 기업들은 장기목표배당성향을 설정하여 이익의 일정비율을 배당으로 지급한다. 경영자들은 배당금의 절대액보다는 전년도에 비해 얼마나 늘거나 줄었는가를 보여주는 배당금의 변화액을 더 중요시한다. 기업들은 배당금을 갑자기 늘리거나 줄이려고 하지 않고 그 변화를 완만하게 하려고 한다. 배당의 안정성이 정말로 주식가격을 높일 수 있는 것일까?

14 <그림 16-2> 월터시계회사의 안정배당정책
주당이익 배당금 1990 1960 1965 1970 1975 1980 1985 연도 3 2 1 4 달러

15 16. 5 자사주매입과 주식배당 자사주매입 자사주매입의 의의와 방법 <매입 방법>
자사주매입(stock repurchases)은 현금배당을 지급하는 대신 배당을 할 현금으로 자사주식을 매입하는 것 발행된 주식수를 줄임으로써 후에 주주들에게 더 많은 주당이익과 배당을 가져오게 할 수 있다. <매입 방법> 시장에서 직접매입(open-market repurchase) 공개매수(tender offer) 특정 주주의 보유주식을 매입(targeted repurchase)

16 <표 16-2> 현금배당을 하는 경우와 자사주매입을 하는 경우의 주주의 부
자사주매입의 효과 현금배당과 비교할 때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현금배당에 비해 주주의 부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질까? 천지기업이 유보이익 3,000만원을 배당하려 한다 하자. 현재 발행주식수는 30만주이며 주가는 1,000원이다. 주당 100원의 현금배당을 하는 경우와 주당 1,000원에 3,000주를 자사주매입하는 경우 주주의 부는 어떻게 될까? <표 16-2> 현금배당을 하는 경우와 자사주매입을 하는 경우의 주주의 부 현금배당을 하는 경우 자사주매입을 하는 경우 주식매입금액 3,000주×1,000원 = 3,000,000원 현금배당액 100원×3,000주 = 300,000원 보유주식수 3,000주 2,700주 보유주식의 가치 3,000주×900원 = 2,700,000원 2,700주×1,000원 = 2,700,000원 주주의 부 3,000,000원

17 주식배당 자사주매입을 하는 현실적인 이유들 주식배당의 의의 배당소득세율이 자본이득세율에 비해 더 높은 경우
안정적인 현금배당수준을 유지 일시적인 투자수단 주식배당 주식배당의 의의 주식배당(stock dividends)이란 보통주 소유주에게 배당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대신에 주식으로 지급하는 것 신주를 발행함으로써 행해짐 주식배당 후 기업의 총자기자본은 불변, 발행주식수만 증가 주주의 부는 불변

18 기업의 입장에서의 주식배당 주주의 입장에서의 주식배당 주식배당의 정보효과 (장점)
기업의 현금유출을 막고 사내에 유보하기 위해서 자본을 영구화하기 위해서 거래가 용이하도록 주가를 조정하기 위해서 (단점) 신주발행에 따른 발행비용 현금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주식배당정책이 더 많은 현금유출을 가져올 가능성 일반투자자의 불신을 초래하여 주가하락 위험 주주의 입장에서의 주식배당 주식배당의 정보효과

19 16. 6 우리나라 기업들의 배당성향 <표 16-3> 국가별 제조업의 배당성향 (단위 : %) 2004 2005
2006 2007 2008 한 국 17.71 19.04 19.22 21.63 17.23 미 국 41.1 42.7 34.7 40.2 63.3 일 본 42.6 61.0 65.3 52.9 자료 :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 2005, 2006, 2007, 2008, 2009 일본 재무성 홈페이지 ( 일본의 경우 2008년 배당성향을 경상이익(ordinary profits) 대비 현금배당의 비율

20 <표 16-4> 우리나라의 산업별 배당성향
(단위 : %) 2004 2005 2006 2007 2008 어 업 7.85 17.42 34.59 18.44 9.17 광 업 13.47 8.08 11.50 9.51 15.45 제조업 17.71 19.04 19.22 21.63 17.23 전기ㆍ가스업 30.49 33.88 33.25 35.31 41.64 건설업 11.48 8.92 10.29 9.60 6.38 도ㆍ소매업 17.84 11.75 15.57 17.51 11.62 운수업 6.39 13.08 15.53 19.75 7.78 통신업 45.85 40.19 32.28 36.36 23.98 부동산 및 임대업 27.45 8.35 20.62 29.96 사업서비스업 23.63 17.25 13.75 15.07 15.06 오락ㆍ문화 및 운동관련산업 18.88 12.52 21.42 27.52 자료 :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 2005, 2006, 2007, 2008, 2009

21 제 16 장 배당정책 중요용어 현금배당 배당정책 (cash dividend) (dividend policy) 주식배당
(stock dividends) 안정배당정책 (dividend smoothing) 유보이익 (retained earnings) 배당정책 (dividend policy) 자사주매입 (stock repurchases) 배당의 정보효과 (dividend signaling) 배당성향 (dividend payout ratio) 배당의 고객효과 (clientele effect of dividend)


Download ppt "제 16 장 배 당 정 책."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