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기생충학 (1강) - 기생충학 총론편-.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기생충학 (1강) - 기생충학 총론편-."— Presentation transcript:

1 기생충학 (1강) - 기생충학 총론편-

2 1. 인체 기생충학의 분야 기생충학(Parasitology)이란
어원 : 그리스어로 para = 곁(side) / sitos=먹는 것(eat)의 복합어 기생충(Parasite)과 숙주(host)와의 여러 가지 생활관계를 연구하는 자연과학 기생생활을 하는 기생체 가운데 동물성기생체(animal parasite)를 연구하는 학문 인체 기생충학 (Human parasitology) 인체에 기생하여 인체 질병의 병원체로서 또는 매개체로 작용 하는 것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분야 범위 ㄱ)원충학(Protozoology): 단세포단위(single cell-like unit)로 된 원생동물인 원충류(protozoa)에 대한 학문 ,가장 원시적인 진핵생물(eukaryote) 근족충류(Rhizopoda), 편모충류(Mastigophora), 포자충류(Sporozoa), 섬모충류(Ciliata) ㄴ)윤충학(Helminthology): 조직과 기관이 발달한 후생동물(metazoa)인 윤충류(helminth)에 대한 학문 선충류(Namatodes: roundworms), 흡충류(Trematodes: distoma), 조충류(Cestodes: tapeworms) ㄷ)절지동물학(Arthropodology): 절지동물(arthropoda)을 연구하는 학문, 곤충만 대상으로 하는 경우 곤충학(Entomology)

3 기생충학의 연구 내용 ㄱ) 기생충의 동물학적 분류와 명명 – 이명법에 의한 분류 ㄴ) 지리적분포 및 형태 ㄷ) 생활사(Life cycle) ㄹ) 병원성과 임상증상 ㅁ) 진단, 치료 및 예방 등

4 2. 기생충의 명명법 기생충의 명명법 기생충의 명명은 1758년 Linnaeus가 확립한 이명명법의 원칙에 준한다.
세분사항은 국제동물학 명명법(International Code of Zoological Nomenclature)에 따라서 정한다. 학 명 (Sientific name) : 이명명법 (二命名法, binomial nomenclature) 속명(Generic name) + 종명(Species name) + 명명자 + 명명년도 속명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종명의 첫글자는 소문자로, 명명자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명명자는 표기하지 않아도 된다. 이태릭체를 사용 - 다른 문자와의 구별을 위해 학명의 생략 - 속명의 대문자만 남기고 마침표를 찍은 다음 종명을 쓴다. 예 : 사람 - Homo sapiens Linne 과명(Family name) - 속명 어근에 : “-idea” 기생충 질환명- 속명 어근에” : -iasis, -iosis” 속 명(Common name) 세계 공통이나 나라에 따라 자국 내의 통용을 위해서 각국학회가 정한 그 나라의 명칭을 말한다.

5 학 명 : Ascaris lumbricodes Linenaeus, 1758 학명의 생략 : A. lumbricodes
회충의 예 학 명 : Ascaris lumbricodes Linenaeus, 1758 학명의 생략 : A. lumbricodes 속 명 : 회충 (우리나라), roundworm (미국) 과 명 : Ascaridae 질 환 : Ascariasis (요충 학 명 : Enterobius vermicularis ) 학명의 생략 : E. vermicularis 속 명 : 요충 (우리나라), pinworm (미국) 기생충 질환 명명법 속명+ -iasis 회충증 Ascaris -> Ascariasis -iosis 간흡충증 Clonorchis ->Clonorchiasis 톡소포자충증 Toxoplasma->Toxoplasmosis 학명을 쓸때 이태릭체로 표시 하기가 곤란한 경우에서 학명 밑에 밑줄을 그어서 표시한다. 학명을 타자 또는 손으로 쓸때에는 이태릭체로 표시하기가 곤란한 경우에서 학명 밑에 밑줄을 그어서 표시하면됩니다.

6 3. 기생충과 숙주의 정의 및 분류 기생충(Parasite)과 숙주(Host)의 정의
기생충의 분류 숙주의 기생부위에 따라 : 외부기생충(숙주의 체표 또는 몸밖에 기생) 내부기생충(숙주의 몸안에 기생) 숙주체내의 기생기간에 따라 : 일시적기생충, 정류성기생충 숙주의 병원성의 유무에 따라 : 병원성기생충, 비병원성기생충 숙주(host)의 종류 중간숙주(intermediate host) - 유충기나 무성생식기를 경과는 숙주 제 1중간숙주(1st intermediate host) 제 2중간숙주(2nd intermediate host) 종숙주(final host) - 성충기나 유성생식기를 경과하는 숙주

7 4. 기생충과 숙주와의 상호관계 기생충 감염의 정의
기생충의 숙주침입에 대하여 병원성 또는 비병원성 생물체가 다른 생물체의 체외, 체내에 정착에 성공한 것 기생충의 감염경로 입(mouth) : 회충, 요충, 편충, 구충 등 피부(skin) : 구충의 유충, 주혈흡충 등 혈액(Blood) : 말라리아, 사상충, 파동편모충 등 모체감염(tansplacental infection) : 말라리아, 톡소포자충 등 비뇨생식기 : 트리코모나스 등 기타

8 기생충 감염의 영향 영양물질의 손실 기계적 장애 조직의 파괴 자극이나 염증 미생물 침입의 조장 숙주의 allegy성 반응 등 기생충 감염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직접적영향 : 높은 감염률로 많은 사람들이 질병의 고통을 받으며, 심한 경우 사망률이 높은 종류도 있다 간접적영향 다른 질병의 발생을 조장, 촉진 영양장애로 성장과 발육을 지연 질병으로 인한 작업시간의 단축, 기술 습득의 미숙, 의료비 지출의 증가 등

9 5. 생물체의 각종 생활양식 기생생활(Parasiteism)
한 생물체가 다른 생물체의 체내 또는 체표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서식하면서 영양물을 탈취하는 생활양식 기거생활(Commensalism) 편리공생 이라 하기도 하며 한 생명체의 경우 생존에 필요한 공간이나 먹이를 얻지만 다른 생명체는 이익도 불이익도 받지 않는다(예: 소라게와 말미잘) 공생생활(Symbiosis) 서로 다른 종의 생물이 일정하게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협조, 의존함으로써 상대방 생물이 없이는 생존 할 수 없는 것을 말함(예: 흰개미와 장내편모충류인 Trichonympha)

10 6. 기생충의 감염상태 1. 세계 여러 나라의 기생충증 감염상태
WHO 에서는 표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5가지외에 나병을 추가하여 6대 열대질환이다라고 말합니다. 6대 열대질환중에서도 5가지가 기생충병에 속하지요??

11 2. 년도별 우리나라의 기생충증 감염률

12 3. 우리나라 기생충 감염 비율(2004년도 3.7%중)


Download ppt "기생충학 (1강) - 기생충학 총론편-."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