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상춘곡-정극인.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상춘곡-정극인."— Presentation transcript:

1 상춘곡-정극인

2 ① 고려 속요 또는, 경기체가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는 설
가사의 개념 고려말에서 조선초에 걸쳐 발생한 문학의 한 형식으로 4음보 율격의 장편연속체로 된 시가. '가사'(歌詞)라고도 표기했으나 지금은 '가사'(歌辭)로 표기. 가사의 기원설   가사의 발생에 대해서는 크게 고려말 발생설과 조선초 발생설이 있다. 고려말 발생설의 근거는 고려말 나옹화상(懶翁和尙:1320~76)이 지었다는 〈서왕가 西往歌〉인데, 국문이 없을 때 창작되어 후대의 문헌에 실린 것이므로 나옹의 작품인지 의심. 조선초 발생설의 근거는 정극인(鄭克仁:1401~81)의 만년작인 〈상춘곡 賞春曲〉. 그러나 이 작품 역시 후대의 문헌에 정착되었으므로 정극인의 작품인지 의심스럽다. 두 설이 모두 의심스럽기는 하나, 많은 가사작품이 승려들에 의해 만들어졌고, 불경의 부록으로 나와 전파되었으며, 〈상춘곡〉보다 앞선 가사의 존재 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할 수는 없다는 점 등에서 고려말 발생설이 좀더 설득력을 갖는다. ① 고려 속요 또는, 경기체가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는 설 ② 4음보의 연속체 교술 민요가 기록문학으로 정착되면서 이루어졌다는 설 ③ '용비어천가'나 '월인천강지곡' 등의 악장에 보이는 시형이 그 기원이라는 설 가사의 특징 ① 서정성: 내면적인 심리나 정서, 자연을 보고 느끼는 감동 등을 노래함 ② 서사성: 기행 가사와 같이 이야기 구조를 가진 가사가 많았다. ③ 교술성: 교훈적인 내용을 담은 작품이 많아 가사를 교술 시가로 분류하기도 한다.

3 가사의 형식 한 음보는 대개 3·4음절이며, 행수는 제한이 없다
가사의 형식   한 음보는 대개 3·4음절이며, 행수는 제한이 없다. 사대부가사와 같은 정통가사는 마지막 행이 시조의 종장처럼 3·5·4·3으로 되어 있다. ① 3.4 또는 4.4조의 4음보 연속체(10구체 향가 낙구와 시조의 종장 첫구 그리고 정격 가사 종구에 영탄적 특징이 남아 있어 '향가 - 시조 - 가사'에 전통적 형식이 담겨 있다고 한다. 하지만 조선 후기 평민 가사는 '종구'가 없는 '변격 가사'임) ② 정격가사의 경우 마지막 행은 시조의 종장과 일치( 의 음수율) ③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 흔히 운문의 형식에 산문의 내용을 실었다고 말함. 가사의 향유층   주요 작가층은 사대부계층이며, 장르 자체가 지닌 폭넓은 개방성 덕분에 양반가(兩班家)의 부녀자, 승려, 중·서민(中·庶民) 등 기술(記述) 능력을 갖춘 모든 계층이 참여했던 관습적 문학양식이다.

4 * 본사 [2-4] : 춘경(春景)과 춘흥(春興) * 결사 [5] : 안빈낙도
◆ 연대: 상춘곡의 창작 연대는 확실히 알 수는 없다. 단지 정극인이 만년에 고향인 태안으로 물러가 후배를 교육하던 성종 때에 지었으리라 추정할 뿐이다. ◆ 갈래: 서정가사, 정격가사, 양반가사 ◆ 성격: 서정적, 예찬적, 묘사적 ◆ 문체: 운문체, 가사체 ◆ 구성 * 서사[1] : 은일지사의 풍류생활과 그 기상 * 본사 [2-4] : 춘경(春景)과 춘흥(春興) * 결사 [5] : 안빈낙도 ◆ 주제: 봄 경치의 완상(玩賞)과 안빈낙도(安貧樂道) ◆ 형식: 3・4(4・4)조. 전 79구의 연속체로 된 가사 문학

5 * 39행 79구 4음보(단, 제12행은 6음보)의 정형 가사로 4음보 연속체 율문의 형태로 이루어짐.
표현상의 특징 * 39행 79구 4음보(단, 제12행은 6음보)의 정형 가사로 4음보 연속체 율문의 형태로 이루어짐. * 설의법, 의인법, 대구법, 직유법 등의 여러 표현기교를 사용하고, 고사를 많이 인용하면서 작품 전체를 유려하게 이끌고 있다. * 화자의 시선이 이동함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고 있으며, 시선은 공간의 이동을 따라 변화되고 있다. 공간이 이동할수록 좁은 공간에서 점점 넓은 공간으로(수간모옥 → 정자 → 시냇가 → 봉두)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 표기법은 창작 당대(15세기)의 것이 아니고, 후손에 의해 <불우헌집>이 간행된 18세기의 음운과 어법에 따르고 있다. * 주객 전도된 표현 → 공명이나 부귀와 같은 세속적인 욕망을 멀리하고자 하는 화자의 태도를 드러냄.

6 ① 상춘곡- 송순의 면앙정가 - 정철의 성산별곡으로 이어지는 강호가도의 시풍 형성 ② 조선 시대 사대부 가사의 첫 작품
◆ 작가의 자연관: 이 작품의 화자는 속세를 떠나 자연 속에 동화된 삶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자연은 속세와 대립되는 공간이면서, 완상과 친화의 대상이 되는 공간이다. 화자는 봄의 경치가 아름다움을 예찬하면서 물아일체의 경지에 이르러 취흥에 젖고, 자연을 무릉도원으로 여기면서 안빈낙도하는 삶을 추구하고 있다. ◆ 의의 ① 상춘곡- 송순의 면앙정가 - 정철의 성산별곡으로 이어지는 강호가도의 시풍 형성 ② 조선 시대 사대부 가사의 첫 작품 ③ 산림 처사로서의 생활을 은일 가사의 첫 작품으로 사림파 문학의 계기를 마련한 작품이다. ◆ 출전: 불우헌집(정조 10년 1786년) ◆ 표기: 창작 당시(성종)의 기록이 아니라, 조선 정조(1786) 때 그의 후손 정효목이 기록한 것이다.

7 산이 날 에워싸고 씨나 뿌리며 살아라 한다. 밭이나 갈며 살아라 한다. 어느 짧은 산자락에 집을 모아 아들 낳고 딸을 낳고
어느 짧은 산자락에 집을 모아 아들 낳고 딸을 낳고 흙담 안팎에 호박 심고 들찔레처럼 살아라 한다. 쑥대밭처럼 살아라 한다. 그믐달처럼 사위어지는 짐승 그믐달처럼 살아라 한다. -박목월, '산이 날 에워싸고'    전통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두 작품의 관계 → '산이 날 에워싸고'는 자연과 더불어 사는 것을 지향하는 자연친화적인 특질이 드러나 있다. '상춘곡'과 마찬가지로 세속적인 욕망에서 벗어나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살고 싶은 마음을 노래한 작품을 우리의 전통 문학에서 쉽게 살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 민족은 자연을 순응하며 조화롭게 살아가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해 왔으며, 문학에서 이러한 전통이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ownload ppt "상춘곡-정극인."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