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문학의 성격 [3] 문학의 갈래 05 상춘곡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1. 문학의 성격 [3] 문학의 갈래 05 상춘곡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Presentation transcript:

1 1. 문학의 성격 [3] 문학의 갈래 05 상춘곡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가사(歌辭) 갈래 정리

3 조선조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창작되어 주로 사대부에 널리 유행했던, 산문적 내용에 운문적 형식을 가진 장편의 노래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가사의 개념 조선조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창작되어 주로 사대부에 널리 유행했던, 산문적 내용에 운문적 형식을 가진 장편의 노래 운율 3∙4조 또는 4·4조의 운율이 있는 정형시 가사의 끝과 시조의 종장은 동일함(3∙5·4·3) 발생 경기체가의 쇠퇴와 더불어 확산되고 있던 산문 정신의 영향으로 발생 전개 정극인의 〈상춘곡〉→정철→박인로→개화 가사

4 유교적 이념에 근거한 연군, 자연 찬미의 서정적 가사가 주류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가사의 특징 운문에서 산문으로 넘어가는 과도적 형태 조선 전기 유교적 이념에 근거한 연군, 자연 찬미의 서정적 가사가 주류 조선 후기 실학 사상에 근거한 생활에서 소재를 구한 서사적 가사가 주류

5 문학사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당대의 여러 가지 긴 형식의 노래 양식이 두루 작용했다. 경기체가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가사의 발생 문학사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당대의 여러 가지 긴 형식의 노래 양식이 두루 작용했다. 경기체가 경기체가의 연의 구분이 없어지며 생겼다고 보는 견해 시조의 장형화 시조의 종장과 유사한 점을 보아 시조가 길어졌다고 보는 견해 악장 악장의 장 구분이 없어지면서 생겼다고 보는 견해 민요 긴 형식의 민요가 기반이 되었다는 견해 불교 노래 불교 노래가 모태가 되었다는 견해

6 ‘서왕가’, ‘도덕가’: 독자에게 교훈을 전달한다. 은일 가사, 기행 가사, 유배 가사 : 자신의 생각을 표현한다.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역사적 단계 15~16세기 17~19세기 19세기 후반 조선 전기 가사 조선 후기 가사 개화기 가사 전기 가사 ‘서왕가’, ‘도덕가’: 독자에게 교훈을 전달한다. 은일 가사, 기행 가사, 유배 가사 : 자신의 생각을 표현한다. 후기 작자층의 확대, 제재의 변화, 표현 방식의 다양화, 대상을 보는 시각의 다변화, 풍자적이고 회화적인 작품으로 변모하는 경향을 보인다.

7 ’가사(歌詞)’와 ‘가사(歌辭)’라는 두 가지 명칭 조선 전기에 지어진 100행 내외의 것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장편의 것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가사의 명칭 ’가사(歌詞)’와 ‘가사(歌辭)’라는 두 가지 명칭 가사(歌詞) 가사(歌辭) 조선 전기에 지어진 100행 내외의 것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장편의 것 그러나 보통 구별하지 않으며, 그 중 가사(歌辭) 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8 일반적으로 우리말로 표기. 한자로 표기하는 경우, 어미나 조사만을 향찰로 표기하기도 한다.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가사의 표기 일반적으로 우리말로 표기. 한자로 표기하는 경우, 어미나 조사만을 향찰로 표기하기도 한다. 가창 - 가창된 가사를 ‘가창 가사’, 그 외의 가사는 ‘음영 가사’라고 한다. 초기의 가사는 가창되었으나, 그 관행은 오래 가 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가사는 고전 시가 양 식 중 음악과 분리되어 향유된 유일한 양식임을 알 수 있다.

9 시조와 가사는 조선 시대 시가 문학을 대표하는데, 수사 방법에 있어서 우리 민족의 호흡에 자연스럽 게 일치함.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시조와 가사 시조와 가사는 조선 시대 시가 문학을 대표하는데, 수사 방법에 있어서 우리 민족의 호흡에 자연스럽 게 일치함. 시조 간결·소박한 것을 즐기는 유학자들의 서정성을 표현하는 데 알맞은 형태를 지님. 가사 현실적이고 설복적인 유교 이념이나 신비롭고 교훈적인 불교 이념을 표현하는 데 알맞은 형태를 지님.

10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정극인의 생애와 작품 세계

11 1. 정극인의 생애 1401년 광주(廣州) 두모포리 출신으로 진사 곤 (坤)의 아들로 출생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1. 정극인의 생애 1401년 광주(廣州) 두모포리 출신으로 진사 곤 (坤)의 아들로 출생 1429년(세종 11년) 생원에 합격하고 여러 번 과 거에 응시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437년 세종이 흥천사(興天寺)를 중건하기 위 하여 토목공사를 일으키자 태학생(太學生)을 이끌 고, 그 부당함을 항소하다가 왕의 진노를 사 북도 (北道)로 귀양을 갔다.

12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정극인의 생애 귀양에서 풀려나 태인으로 돌아가 초사(草舍)를 짓고 ‘불우헌’이라 명명, 자호 또한 이를 사용하였 다. 불우헌 앞 비수천(泌水川)주변에 송죽을 심고 밭을 갈아 양성을 힘쓰면서 향리자제를 모아 가르 치고, 향약계축(鄕約契軸)을 만들어 풍교(風敎)에 힘썼다. ※ 참고 정극인은 원래 광주(廣州)두모포리 태생인데, 처가가 태인인 까닭으로 이곳에 머물게 되었다.

13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정극인의 생애 1451년(문종 1년) 일민천거(逸民薦擧)의 은전 으로 광흥창부승(廣興倉副丞)이 되어 은일(隱逸) 6품(六品)을 받았고, 이어 인수부승(仁壽府丞)을 지냈다. 1453년(단종 1년) 한성판관 성순조(成順祖)의 역권(力勸)으로 전시(殿試)에 응시, 급제하여 김수 령방(金壽寧榜) 정언(正言)에 이르렀다.

14 1455년 단종이 세조에게 선위하자 전주부교수 참진사(全州府敎授參賑事)로 있다가 그 직을 사임 하고 태인으로 돌아갔다.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정극인의 생애 1455년 단종이 세조에게 선위하자 전주부교수 참진사(全州府敎授參賑事)로 있다가 그 직을 사임 하고 태인으로 돌아갔다. 그 해 12월 조정에서 인순부승록(仁順府丞錄)으 로서 좌익원종공권(佐翼原從功券) 4등을 내렸다. 이로부터 다시 출사하여 약 10년간, 네 번의 성균 관주부, 두 번의 종학박사(宗學博士)를 지내고, 사 헌부감찰 및 통례문통찬(通禮門通贊) 등을 역임하 였다.

15 1470년(성종 1년) 치사, 귀향하여 후진 양성에 힘썼다.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정극인의 생애 1470년(성종 1년) 치사, 귀향하여 후진 양성에 힘썼다. 1472년 영달을 구하지 않고 향리 자제를 교회 (敎誨)한 공으로 3품산관(三品散官)의 은영(恩榮) 이 내리자 이에 감격, ‘불우헌가(不憂軒歌)’와 ‘불 우헌곡(不憂軒曲)’을 지어 이를 송축하였다. 1481년 선비로서의 지개와 풍도를 고수하며 안 빈낙도(安貧樂道)하면서 81세로 죽었다.

16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정극인의 문학적 재능 정극인은 문학에도 특출한 재능을 보여 최초의 가사 작품으로 알려진 ‘상춘곡’과 단가(短歌) ‘불우헌가’, 한림별곡체(翰林別曲體)의 ‘불우헌곡’ 등을 지어 한국 시가사에 공헌하였다. 정극인 선생 가사비▶

17 79구 4음보의 정형 가사. 최초의 가사로 알려져 있는 작품으로 정극인의 시문집인 “불우헌집”에 실려있다.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정극인의 문학적 재능 ‘상춘곡(賞春曲)’ 79구 4음보의 정형 가사. 최초의 가사로 알려져 있는 작품으로 정극인의 시문집인 “불우헌집”에 실려있다. 봄을 맞아 자연 속에서 안 빈낙도하는 양반 사대부의 삶이 유려한 문체 속에 생 생하게 살아있다. ▲ 정극인, ‘상춘곡’

18 권 1에는 시(詩), 권 2에는 문(文)과 가곡(歌曲)이 수록되었다.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정극인의 문학적 재능 “불우헌집(不憂軒集)” 저자가 죽은 지 300년 후인 1786년(정조 10)에 후손 효목(孝穆)이 수집 간행한 것을 1969년 정씨서륜당(丁氏敍倫堂)에서 중간(重刊)하였다. 권 1에는 시(詩), 권 2에는 문(文)과 가곡(歌曲)이 수록되었다. ▲ “불우헌집”

19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정극인의 문학적 재능 ‘불우헌가(不憂軒歌)’ 조선 성종 때 정극인이 지은 변형 속요. 그가 고향 태인(泰仁)에 돌아가 후진을 가르칠 때 성종이 이 를 가상히 여겨 벼슬을 내리자 이에 감동하여 지 었다고 한다. 형식은 단가체를 취했으며, 내용은 그의 영화와 임금의 은혜가 지중함을 읊은 것이다.

20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정극인의 문학적 재능 ‘불우헌곡(不憂軒曲)’ 단가(短歌)인 ‘불우헌가(不憂軒歌)’와 같은 동기에 서 지은 장가(長歌)로서, 모두 6장으로 되어 있다. 세조가 단종을 폐위하자 벼슬을 버리고 향리인 태 인(泰仁)에서 후진 양성에 힘썼는데, 성종 임금이 그 공을 인정하여 삼품교관(三品敎官)의 벼슬을 내리자 성은에 감동하여 지은 작품이다.

21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1. 문학의 성격 [3] 문학의 갈래 05 상춘곡 소단원 정리

22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학습 목표 ‘상춘곡’은 정극인의 대표작으로 강호 한정(江湖閑情)을 읊은 가사이다. 봄의 아름다운 경치를 완상하는 화자의 풍류와 안빈낙도(安貧樂道)를 추구하는 삶의 태도 및 표현 방식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23 제재 연구 갈래 : 서정 가사, 양반 가사, 정격 가사 성격 : 묘사적, 예찬적, 서정적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제재 연구 갈래 : 서정 가사, 양반 가사, 정격 가사 성격 : 묘사적, 예찬적, 서정적 운율 : 3‧4조(4‧4조)의 4음보 연속체 제재 : 봄의 경치 감상 주제 : 봄의 완상(玩賞)과 안빈낙도(安貧樂道)

24 창작은 15세기에 지어졌으나, 상춘곡 원문 표기는 “불우헌집”이 간행된 18세기 표기임.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제재 연구 특징 설의, 대구, 직유 등 다양한 수사법이 사용됨. 고사의 인용이 많음. 창작은 15세기에 지어졌으나, 상춘곡 원문 표기는 “불우헌집”이 간행된 18세기 표기임. 봄을 완상하고 인생을 즐기는 낙천적인 내용임. 좁은 공간에서 점점 넓은 공간으로 나아가는 공간 확장의 전개 방식을 보임.

25 글쓴이 소개 정극인(1401~1481) 조선 전기의 문인. 호는 불우헌(不憂軒).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글쓴이 소개 정극인(1401~1481) 조선 전기의 문인. 호는 불우헌(不憂軒). 단종이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서 후진 양성에 힘썼다. 영달을 구하지 않고 향리 자제를 교회(敎誨)한 공으로 3품산관(三品散官)을 받고, 이에 감격하 여 ‘불우헌가 不憂軒歌’와 ‘불우헌곡 不憂軒曲’ 을 지어 송축하였다.

26 핵심 강의 ‘상춘곡’의 내용 구성 서사 자연에 묻혀 사는 즐거움 본사1 봄의 아름다운 경치 본사2 봄의 흥취 본사3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상춘곡’의 내용 구성 서사 자연에 묻혀 사는 즐거움 본사1 봄의 아름다운 경치 본사2 봄의 흥취 본사3 산수 구경 권유 본사4 술과 풍류(취흥) 본사5 산봉우리에서 조망한 봄의 풍경 결사 안빈낙도(安貧樂道)

27 작품의 의미 구조 공간 홍진(紅塵) 산림(山林) 인물 분네 - 속인(俗人) 나-풍월 주인(風月主人) 생활 부귀공명(富貴功名)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작품의 의미 구조 공간 홍진(紅塵) 산림(山林) 인물 분네 - 속인(俗人) 나-풍월 주인(風月主人) 생활 부귀공명(富貴功名) (다툼, 욕망) 안빈낙도(安貧樂道) (지락(至樂))

28 ‘상춘곡’의 표현상 특징 대유법 산림(山林). 풍월 주인(風月主人). 청풍 명월(淸風明月). 대구법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상춘곡’의 표현상 특징 대유법 산림(山林). 풍월 주인(風月主人). 청풍 명월(淸風明月). 대구법 도화 행화(桃花杏花) 석양리(夕陽裏)에 퓌여 잇고. 녹양 방초(綠楊芳草) 세우 중(細雨中)에 프르도다. 의인법 칼로 아 낸가, 붓으로 그려 낸가. 청풍 명월(淸風明月) 외(外)예 엇던 벗이 잇올고.

29 ㅓ오니 도화(桃花)ㅣ로다. 무릉(武陵)이 갓갑도다.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상징법 ㅓ오니 도화(桃花)ㅣ로다. 무릉(武陵)이 갓갑도다. 직유법 연하 일휘(煙霞日輝) 금수(錦繡)를 재폇듯. 설의법 청풍 명월(淸風明月) 외(外)예 엇던 벗이 잇올고.

30 이 작품에 나타난 화자의 주된 정서는 무엇인지 말해 보자.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1-[3] 문학의 갈래 1. ‘상춘곡’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이 작품에 나타난 화자의 주된 정서는 무엇인지 말해 보자. 예시 답| 이 작품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정서는 봄을 맞아 아름다운 봄 경치를 즐기는 흥취(興趣)와 자연에 동화된 삶의 한가로움이다.

31 (2) 이 작품에서는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어떤 표현법을 활용하였는지 알아보자.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이 작품에서는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어떤 표현법을 활용하였는지 알아보자. (3) 이 작품을 공간의 변화에 따라 네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의 내용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 | 설의법, 대구법, 직유법, 의인법 예시 답 | ① 수간모옥(數間茅屋): 앞에는 시내가 흐르고, 소나무와 대나무가 집을 둘러싸고 있다. 새 봄이 돌아오니 저녁 햇빛 속에서 복숭아꽃과 살구꽃이 아름답게 피어나고, 푸른 버드나무와 향기로운 풀이 가랑비 속에서 더욱 푸르게 빛난다.

32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주변 숲에서는 새들이 봄 기운을 이기지 못한 채 아양을 부리는 듯 울고 있고, 시적 화자 역시 봄의 흥취를 이기지 못해 한가롭게 거닐며 시를 읊고 있다. ② 정자: 화자는 정자 위에 앉아 보고, 천천히 거닐며 시를 나직히 읊조리다 이웃들을 향해 들에 나가 답청(踏靑)하고 산나물을 캐고 낚시질하면서 봄을 즐기자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갓 발효한 술을 걸러 수를 세어가면서 봄의 흥취를 맘껏 즐기자고 말한다.

33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③ 시냇가: 화자는 술을 메고 시냇가에 나가 술을 마시며 시냇물을 굽어본다. 그때 시냇물에 복숭아꽃잎이 떠내려 온다. 화자는 취흥(醉興)에 겨워 냇물 저 편 들이 무릉도원이라고 생각한다. ④ 산봉우리: 화자는 산봉우리에 오른다. 그리고 구름 속에 앉아 산 밑을 조망해 본다. 수많은 촌락들이 여기저기 벌여 있다. 또한 안개와 노을, 빛나는 햇살이 비단을 펼친 듯 아름다우며, 들판 전체가 봄빛 넘쳐흐르고 있다.

34 (4) 이 작품에서 화자가 지향하는 삶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삶을 표현하는 시어를 각가 찾아보고, 그 뜻을 말해 보자.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4) 이 작품에서 화자가 지향하는 삶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삶을 표현하는 시어를 각가 찾아보고, 그 뜻을 말해 보자. 예시 답 | ㆍ화자가 지향하는 삶: 단표 누항(簞瓢陋巷) – ‘표주박 한 바가지에 담긴 밥과 물, 누추한 거리’ 라는 뜻으로, 소박한 음식을 먹고 누추한 집에 살면서도 물질적 삶에 집착하지 않고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청빈한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화자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35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ㆍ화자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삶: 공명(功名), 부귀(富貴) - 공명(功名)은 나라에 공을 세워 자신의 이름을 널리 드러낸다는 뜻으로 쓰이는 말이며, 부귀(富貴)는 경제적 부(富)와 높은 지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화자는 이러한 세속적 욕망에는 뜻이 없다는 생각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36 2. ‘상춘곡’은 우리 문학사 속에서 나타났다 사라진 갈래인 가사이다. 가사의 특징을 생각하면서 다음 활동을 해 보자.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상춘곡’은 우리 문학사 속에서 나타났다 사라진 갈래인 가사이다. 가사의 특징을 생각하면서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다음 설명을 참고하여, 이 작품에 나타난 가사 갈래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지적해 보자. 운문적 형식: 산문적 내용: 3·4(4·4)조를 바탕으로 한 4음보의 연속체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 속에 살면서 봄을 맞아 느끼는 화자의 흥취(興趣)와 한가로움의 정서, 자연을 벗 삼아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청빈한 삶을 살려는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37 • 시구: ‘아모타, 백년 행락(百年行樂)이 이만 엇지리’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이 작품에서 시조의 종장과 같은 형식을 보여 주는 시구를 찾고, 이와 같은 공통점이 나타나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 • 시구: ‘아모타, 백년 행락(百年行樂)이 이만 엇지리’ • 이유: ① 우리 문학사에서 향가와 시조, 그리고 가사는 향가의 낙구 첫머리와 시조의 종장 첫 구, 그리고 가사의 끝문장 첫 구에서 공통적으로 감탄사를 사용하였는데, 이 작품에서도 ‘아모타’라는 감탄사를 사용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이 세……

38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양식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는 학계의 주장이 있는데, 이를 인정할 경우 시조와 ‘상춘곡’ 마지막 행의 형식이 서로 일치하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근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② 가사가 3∙4(4∙4)조를 바탕으로 한 4음보의 연속체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시조 형식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는 학계의 주장이 있는데, 이를 인정할 경우 시조와 ‘상춘곡’ 마지막 행의 형식이 일치하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근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9 (3) 오늘날 ‘상춘곡’과 같은 가사 갈래는 더 이상 창작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토의해 보자.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3) 오늘날 ‘상춘곡’과 같은 가사 갈래는 더 이상 창작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토의해 보자. 예시 답 | 많은 개화기 가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가사는 개화기 시기에 이르기까지 줄곧 창작되었다. 그러나 개화기부터 이루어지게 된 근대 교육, 1910~1920년대의 신문학의 확산, 그리고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표현의 억압 등으로 말미암아 가사의 창작이 급격하게 위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40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3. (가)와 (나)는 우리 문학사 속에서 나타났다가 사라진 갈래인 향가와 가전체에 속하는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을 읽고, 향가와 가전체의 내용 및 형식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41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향가 가전체 내용상 특징 향가는 높고 아름다운 공덕 찬양, 주술적인 진언을 통한 축사(逐邪) , 미래에 대한 기원, 극락왕생을 비는 불교 신앙, 군신(君臣) 간의 의리, 벗과 동기 간의 우애 등 그 내용이 다양하다. 가전체는 ‘계세징인(戒世懲人)’, 즉 ‘세상 사람을 경계하고 징벌함.’을 목적으로 창작되었다. 이는 의인체 형식이라는 간접적이고 우화적인 방법과 함께 강한 풍자성과 비판 의식, 그리고 교훈적 목적을 수반하였다.

42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향가 가전체 형식상특징 향가의 형식에는 4구체, 8구체, 10구체가 있다. 그중 가장 정제된 형식인 10구체는 8구에 낙구 2구가 결합된 형태이다. 그리고 낙구 첫머리에는 ‘아으(阿也, 阿邪, 阿耶) 등의 감탄사를 상투적으로 배치하였다. 가전체는 사물을 역사적 인물로 의인화하여 전기(傳記) 형식으로 서술하였으며, 어려운 중국 고사를 비롯하여 현학적인 문장을 많이 사용하였다.


Download ppt "1. 문학의 성격 [3] 문학의 갈래 05 상춘곡 갈래 정리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