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비교문학 양혜경 교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비교문학 양혜경 교수."— Presentation transcript:

1 비교문학 양혜경 교수

2 Ⅰ. 비교문학의 정의

3 비교문학 Ⅰ. 비교문학의 정의 1 명칭과 개념 아놀드(Mathews Arnold)
“그 어디에서나 연관성과 예증은 있게 마련이다. 어느 한 사건이나 문학도 다른 사건이나 문학과의 관계를 배제하고서는 제대로 이해되지 않는다.” 인간을 둘러싼 모든 사물은 서로 비교되는 데서 질적, 또는 양적인 실체가 파악될 수 있음 그러나 비교 자체내에 어떤 일정한 규칙이나 원리가 있는 것이 아니며 때와 장소에 따라 비교의 대상이나 방법이 달라지기 마련임 비교문학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그 자체 속에 어떤 고착된 방법이나 원리가 있다고는 할 수가 없음 다만 문학작품을 분석하는 방법상의 유용한 기술로서 비교 가능

4 비교문학 Ⅰ. 비교문학의 정의 명칭과 개념 1 1 비교문학의 용어
웰렉(Rene Wellek) 「비교문학의 명칭과 특질)」의 서두에서 ‘비교문학(Comparative literature)’이라는 용어는 많은 논란이 거듭되어 왔고, 서로 다르게 혹은 경우에 따라서는 잘못 해석되어 왔음을 지적 ‘Comparative’와 ‘Literature’라는 두 개의 단어가 개별적으로 제기하는 문제는 없지만, 이들의 결합에 의해 표상되는 의미는 논란의 여지가 많음 쿠퍼(Lane Cooper) ‘비교문학’을 거부하고 ‘문학의 비교연구’라고하며 ‘비교문학’은 의미도 구문도 형성 못하는 엉터리 용어 차라리 ‘비교감자’나 ‘비교옥수수껍질’이란 말도 용인되어야 할 것을 역설함

5 비교문학 Ⅰ. 비교문학의 정의 1 명칭과 개념 비교문학의 용어
방 띠이겜(Paul Van Tieghem) 비교문학』(1931)에 보면, ‘비교문학’ · ‘비교근대문학’ · ‘제국문학의 비교사’ · ‘문학비교사’ 등으로 나타남 ‘Comparee’의 기원을 방 띠이겜은 문헌학이나 해부학, 그리고 생리학과 거의 동시에, 또는 같은 사상의 영향을 받아 문학사에 도입되었다고 말함 ‘비교’라는 용어를 문학작품과 그 밖의 해부학과 생리학과 언어학에 적용함으로써 빚어지는 차이점에 대하여 비교문학에서 ‘비교’라는 용어는 일체의 미적 가치를 척결하고 역사적 가치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됨 나아가서 영향과 차용 등을 발견함과 동시에, 한 작품으로 설명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필요한 출발점에 지나지 않는다고 함

6 비교문학 Ⅰ. 비교문학의 정의 1 명칭과 개념 비교문학의 개념
바이스슈타인(Ulrich Weisstein) “비교문학의 본질적인 과제는 문학연구의 특수 분야인 비교문학의 명칭과 그 목표를 정의하는 것”이라 하고, 전통적인 프랑스 학파의 협의의 개념과 미국 학파의 폭넓은 개념과의 중간적 입장을 취함 “내가 이 중간적 입장을 선택하는 것은 비교문학이라는 학문이 성숙기에 도달하기까지에는 아직 요원하고, 그리고 이 학문에 구속을 가할 필요를 느끼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방대한 자료에 관해 체계적인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언제나 소량이 대량보다 더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7 비교문학 Ⅰ. 비교문학의 정의 1 명칭과 개념 비교문학의 개념 프랑스 학파의 까레(Jean Marie Carre)
1951년에 간행된 귀아르(Marius Francois Guyard)의 『비교문학』의 머리말에서 “비교문학은 단순히 문학의 비교가 아니고, 문학사의 한 분야이며, ‘일반문학’이 아니다”라는 세 가지 명제로서 비교문학의 영역을 이렇게 한정하여 정의 근본의도는, 웰렉(Rene Wellek)을 중심으로 한 미국의 비교문학자들이 주장하고 있었던 ‘일반문학’을 의식한 때문 세 가지 명제 중에서 특히 문학사의 한 분야로서 비교문학의 영역을 한정하여 “비교문학은 문학사의 한 분야이다. 즉 그것은 국제간의 정신적 관계, 바이런과 푸시낀, 괴테와 카알라일, 월터 스코트와 알프레드 드 뷔니 사이의 관계, 또는 서로 다른 국민문학에 속하는 작품이나 영감, 그리고 그 생활까지도 포함하여 그들 상호간의 사실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국제간의 문학적 영향관계를 바탕으로 그 인과관계를 강조한 까레의 태도는 귀아르에 이르러 보다 경직성을 보임 방 띠이겜이나 까레와 마찬가지로, 귀아르도 비교문학의 영역을 문학사에 국한하여 문학이론이나 비평의 도입을 배제하고, 역사적인 면을 보다 강조하고 있음을 볼 수 있음

8 비교문학 Ⅰ. 비교문학의 정의 1 명칭과 개념 비교문학의 개념 웰렉
비교문학은 모든 문학작품과 문학체험의 통합의식과 함께 국제적 시야로부터 모든 문학을 연구하는 것 이러한 개념에서는 (물로 나 자신도 포함하여) 비교문학은 언어적, 종족적, 정치적 경계에서 독립한 문학연구와 동일한 것이 됨 비교문학은 하나의 방법으로만 국한하지 말고, 비교와 똑같은 중요성으로, 기술, 특성묘사, 해석, 서술, 설명, 평가 등이 그 방법으로 사용되어야 함 어떤 비교도 실질적인 역사적 관계로 제한할 수는 없음 최근 언어학에 관하여 문학자들이 얻은 체험에 따라 독서의 증거로부터 발견할 수 있는 영향관계나, 유사성과 마찬가지로 역사적인 연관성이 없는 언어나 장르와 같은 현상의 비교에도 많은 가치가 주어져야 할 것 비교문학은 역사적 접근방법만을 유일한 것으로 생각해서도 안 되고, 보편적 문학사라는 원대한 이상을 실현하는 국제적 시야에서 인위적인 제한을 해소하고 국민문학과 일반문학, 문학사와 문학비평을 함께 포괄하는 보다 폭넓은 문학연구로 지향해갈 때, 비교문학은 활성화될 수 있음

9 비교문학 Ⅰ. 비교문학의 정의 명칭과 개념 1 2 비교문학의 개념 레마크(Henry H. H. Remak)
비교문학이란 한 특정한 나라의 국경을 넘어서는 문학의 연구이며, 동시에 한편으로는 지식과 신념의 다른 영역, 예컨대 예술(회화 ․ 조각 ․ 건축 ․ 음악), 철학, 역사, 사회과학(정치학 ․ 경제학 ․ 사회학), 과학, 종교 등 제 분야의 관계의 연구 비교문학이 영향문학이 아니라는 것을 잊은 것처럼 생각하고 있는데, 문학적 영향관계를 전제하지 않더라도 현저히 비교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말 속에는, 영향의 인과관계를 추구한 프랑스 학자들이 전통적인 방법을 전적으로 배제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함 한동안 서로 대립적인 입장을 취해 왔던 프랑스와 미국의 비교문학은, 오늘날 그들의 융합점을 찾아 접근되어 가고 있음 ‘사실관계’, 곧 영향의 인과관계를 중요시하고 엄밀한 역사적 방법을 도입한 프랑스 비교문학자와 ‘대비연구’를 바탕으로 구조주의, 형식주의, 뉴 크리티시즘이라는 반역사적 새로운 비평방법을 도입한 미국의 비교문학자들은 평화적 공존의 상태에서 서로 협력하고 있음

10 비교문학 2. 문학간의 현상관계 Ⅰ. 비교문학의 정의 2 문학간의 현상관계
서로 다른 나라 사이의 문학작품에 대한 연구가 되고 있는 비교문학과, 그에 대응하는 국민문학과 세계문학으로서 불리는 일련의 ‘현상관계’를 정의 완벽을 기하기 위하여 방 띠이겜에 의해 비교문학적 의미를 부여받은 ‘일반문학’을 부가할 필요성을 바이스슈타인은 강조함 사실 비교문학의 본질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려면, 국민문학 내지 일반문학 등 일련의 현상관계와 그 방법론적인 차이의 고찰이 있어야만 함

11 비교문학 Ⅰ. 비교문학의 정의 2 문학간의 현상관계 국민문학
국민문학은 한 국민의 성격과 생활, 그리고 역사와 긴밀한 연관성을 맺고 있음 서구에서 국민문학의 형성은 르네상스 이래, 18세기 말의 낭만주의 문학운동과 함께 시작되어, 그것이 19세기에 이르러 역사학과 언어학의 급격한 발달로 국민성의 관념을 기조로 하고, 국민별의 작품군과 작가군을 시대별로 구분하여 연구 바로 국민문학사의 방법으로 1880년경 독일에서 시작되어 프랑스, 영국, 미국 및 그 밖의 나라로 전파되어 갔다고 함 그러나 그 때에 국민문학사의 방법만으로 국민문학 전반을 해결하기에는, 서구문학 상호간의 관계가 너무나도 복잡하고 긴밀하게 얽혀져 있음 그리하여 서구 제국에서는 국민문학 연구와 병행하여 외국문학 연구도 하나의 학문으로 발전하게 됨

12 비교문학 Ⅰ. 비교문학의 정의 문학간의 현상관계 2 2 방 띠이겜의 비교문학의 정의
두 가지 요소의 ‘二元的’ 관계로 보고, 진정한 비교문학이란 통상적으로 단 두 가지 요소간의 ‘二元的’ 관계를 연구 요소는 작품일 수도 있고, 작가일 수도 있으며, 작품이나 사람의 집단일 수도 있는 것으로, 이러한 관계란, 또 예술작품의 실질 혹은 내용에 관련된 것이기도 함 이러한 발신자와 수신자간의 이원적 관계에 대한 실증은 그 자체에 있어서는 퍽 흥미롭고 어떤 것이 출발점이고, 어떤 것이 특별한 도달점인가 하는 것을 더욱 분명히 우리에게 인식시켜줌 비교문학의 영역을 개별의 작가나 작품, 작가군이나 작품군 또는 그 총체적인 문학의 어떤 것이든 간에 발신자와 수신자의 ‘二元的’ 관계로 한정시켜 정의함

13 비교문학 Ⅰ. 비교문학의 정의 문학간의 현상관계 2 2 방 띠이겜의 비교문학의 특성
일반문학은 실질적으로 우리가 지시했던 의미의 명칭인 여러 나라의 국민문학과는 구별되며 문학 자체의 미학상 혹은 심리학상의 연구로서, 문학의 사적인 발전과는 무관함 충분히 넓고 큰 국제적인 관점에서 가장 짧은 기간 내에서 가장 제한된 문제를 연구할 수 있는데 공간적 확대와 지리상의 확장이라 할 수 있는, 바로 이것이 일반문학의 특성이 됨 이러한 관계란, 또 예술작품의 실질 혹은 내용에 관련된 것이기도 함 문학간의 상호의존적인 형태이든, 단순한 유사성에 의한 것이든 간에 여러 종류의 문학이 지니는 공통성을 연구하는 것이 비교문학과 다른 점

14 비교문학 Ⅰ. 비교문학의 정의 문학간의 현상관계 2 2 방 띠이겜의 일반문학과 비교문학
일반문학은 비교문학과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두 가지 다 국제문학의 범주에 있는 것 그러나 일반문학은 비교문학의 연장이면서도 동시에 다른 목적을 가진 것 한마디로 일반문학은 수개의 다른 문학간의 공통적인 사실을 조사하여 그들 상호간의 의존관계를 연구하는 것으로 방 띠이겜은 규정함 비교문학이 ‘실증적 영향’을 바탕으로 하지 않는 유사성이나 공통성을 배제하고 있는데 반하여, 일반문학은 그런 영향관계가 없는 문학간의 비교를 인정

15 비교문학 Ⅰ. 비교문학의 정의 2 문학간의 현상관계 세계문학 그 어디에서도 그것을 체계적으로 논의하지는 않음
‘Weltliteratur’의 이념은 여러 나라의 국민이 그 정신상의 독자성과 財寶의 문학에 의한 교류를 의미함 괴테는 각 국민문학을 집성하고 종합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님 세계를 통일된 하나의 ‘정신적 유기체’로 보고, 이 통일된 정신적 유기체를 바탕으로 한 문학을 의미 괴테 그 자신이 의도하고 있었던 바의 ‘Weltliteratur’는 범세계적인 것은 물론 아니었으나 당시의 유럽대륙으로 그 범주를 국한했기 때문에, 실지로는 서구문학의 한계선을 넘지 못하고 있음


Download ppt "비교문학 양혜경 교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