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조기설정과 시간적 범위 천 선행 머리말 조기설정의 기준 조기와 전기의 분리‐초기양상ⅰ‐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조기설정과 시간적 범위 천 선행 머리말 조기설정의 기준 조기와 전기의 분리‐초기양상ⅰ‐"— Presentation transcript:

1 조기설정과 시간적 범위 천 선행 머리말 조기설정의 기준 조기와 전기의 분리‐초기양상ⅰ‐
돌대문토기와 가락동식토기와의 관계‐초기양상ⅲ‐ 조기의 상한‐초기양상ⅱ‐ 실연대상의 검토 맺음말

2 머리말 ○ 조기의 설정과정:돌대문토기의 연구와 동일한 맥락 ○ 의문점
・ 1970년대 황석리유적, 1980년대 미사리유적의 조사 ・ 돌대문토기는 시간적 위치   전기말(이홍종1987, 윤세영・이홍종1994)   조기(최종택1994, 이상길1999, 안재호2000, 김재윤2003, 천선행2005) ・ 그 외의 이행기적요소에 대한 조기설정의 가능성 제시                      (배진성2003, 宮本一夫2003) ○ 의문점 ① 조기와 전기의 분리 기준은? ② 돌대문토기문화 단독기의 한반도 남부 적용이 가능한가? ③ 조기의 상한과 하한은? ④ 조기의 내용은 무엇이가? ⑤ 전후시기의 집단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 1.조기설정의 기준 ○ 시기구분의 기준:무문토기문화에 준하는 각 유물형태의 조합 ○ 무문토기시대의 초기양상
ⅰ 돌대문토기 단독기 ⅱ 즐문토기내의 무문토기적 요소의 등장 ⅲ 무문토기내의 즐문토기적 요소의 잔존 

4 2.조기와 전기의 분리‐초기양상ⅰ‐ ○ 한강유역 :유물형태 조합차 ① 미사리유적 : 신석기시대적 요소
○ 한강유역 :유물형태 조합차 ・ 주거지의 형태 : 방형 내지 장방형 ・ 노지형태 : 원형의 석상위석식, 토광위석식(강돌이용). ・ 토기구성 : 심발, 호, 천발이 세트. 적색마연토기가 공반되지 않는다. ・ 석기조성 : 석도, 석부, 석촉, 지석이 중심. 석검은 공반되지 않는다.           장방형석도, 편인석부(방형), 삼각만입촉이 조합. ① 미사리유적 : 신석기시대적 요소 ② 외삼포리유적과 철정리유적 : 토기의 공반상, 위석식노지의 출토양상으로 볼 때, ⇒돌대문토기와 공렬토기의 출현은 시간적 선후관계로 판단.

5

6 ○ 남강유역 ・ 적색마연토기 ・ 위석식노기의 형태와 토기의 공반양상 ⇒ 돌대문토기와 전기무문토기의 출현은                      시간적 선후관계로 판단. *돌대문토기문화 단독기를 조기로 설정가능. *조기를 남부전역에 적용할 수 없다. *신석기시대후・말기→무문토기시대 조기→전기로의                    일률적 변화도 상정할 수 없다.

7

8 3.돌대문토기와 가락동식토기와의 관계 ‐초기양상ⅲ‐ ○ 전기무문토기문화의 등장과 확산:급격성, 단절성(김장석2002)
               ‐초기양상ⅲ‐ ○ 전기무문토기문화의 등장과 확산:급격성, 단절성(김장석2002) ○ 남강유역의 변화상 ○ 가락동식토기문화 내의 획기는 불명확 ⇒ 가락동식토기문화의 출현은 전기 ○ 상촌리유적, 금천리7호주거지: ・ 기본적으로 무문토기에 준하는 구성 ・ 하나의 단계로 설정하기 어렵다고 판단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로의 이행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기는 하지만, 시기적으로는 전기이후에 포함

9 4.조기의 상한‐초기양상ⅱ‐ ○ 연대결정의 한 기준 ①무각목돌대문토기 ②신석기시대 말기의 새로운 요소
⇒신석기시대 후・만기에 집중 ○ 남부지방 이중구연토기의 세분  :이중구연토기의 구연부형태와 문양의 형태와 시문범위 3단계(봉계리단계, 수가리단계, 율리단계)로 세분가능.

10

11 4.조기의 상한‐초기양상ⅱ‐ ○ 연대결정의 한 기준 ①무각목돌대문토기 ②신석기시대 말기의 새로운 요소
⇒신석기시대 후・만기에 집중 ○ 남부지방 이중구연토기의 세분  :이중구연토기의 구연부형태와 문양의 형태와 시문범위 ①무각목돌대문토기:수가리단계 ②신석기시대 말기의 새로운 요소:수가리단계 ⇒・이행기에 새로운 요소들의 유입이 활발해지는 상황적 맥락에서 무문토기시대 돌대문토기가 등장. ・수가리단계를 최대 상한으로 조기와 시기적으로 병행한다고 볼 수 있다.

12 5.실연대상의 검토 송죽리3호 상촌리(동의대) 4330B.P 4290±30B.P. 봉계리식토기 이중구연토기의 출현 봉계리 9호
오진리주거지 갈머리 53호적석 Ⅲ기 9호적석 1호적석 4호적석 4060±150B.P. 3480±100B.P. 4050±40B.P. 3840±40B.P. 3760±80B.P. 3650±40B.P. 이중구연토기 (수가리단계・ 율리단계) 수가리1층 율리패총 3040±80B.P. 3290±70B.P. 3580±75B.P. 3230±30B.P. 3180±60B.P. 3030±50B.P. 3010±50B.P. 옥방5지구 D-2호 상촌리2호 상촌리10호 돌대문토기 단독기 무문토기시대 전기 2850±60B.P. 2830±60B.P. 2,930±50B.P. 2820±60 B.P. 2860±70 B.P. 3210±70 B.P. 2980±70 B.P. 2920±70 B.P. 2620±100 B.P. 2930±50 B.P. 2900±50 B.P. 3110±130 B.P. 2910±130 B.P. 2830±140 B.P. 어은1지구 삼거리 9호 용산동1호 흔암리12호 용정동Ⅰ-1호 용정동Ⅱ-1호 현화리 유적

13 이중구연토기 (수가리단계・ 율리단계) 수가리1층 율리패총 3040±80B.P. 3290±70B.P. 3580±75B.P. 3230±30B.P. 3180±60B.P. 3030±50B.P. 3010±50B.P. 옥방5지구 D-2호 상촌리2호 상촌리10호 돌대문토기 단독기 어은1지구 삼거리 9호 용산동1호 흔암리12호 용정동Ⅰ-1호 용정동Ⅱ-1호 현화리 유적

14 송죽리3호 상촌리(동의대) 4330B.P 4290±30B.P. 봉계리식토기 이중구연토기의 출현 봉계리 9호 오진리주거지
갈머리 53호적석 Ⅲ기 9호적석 1호적석 4호적석 4060±150B.P. 3480±100B.P. 4050±40B.P. 3840±40B.P. 3760±80B.P. 3650±40B.P. 이중구연토기 (수가리단계・ 율리단계) 수가리1층 율리패총 3040±80B.P. 3290±70B.P. 3580±75B.P. 3230±30B.P. 3180±60B.P. 3030±50B.P. 3010±50B.P. 옥방5지구 D-2호 상촌리2호 상촌리10호 돌대문토기 단독기 무문토기시대 전기 2850±60B.P. 2830±60B.P. 2,930±50B.P. 2820±60 B.P. 2860±70 B.P. 3210±70 B.P. 2980±70 B.P. 2920±70 B.P. 2620±100 B.P. 2930±50 B.P. 2900±50 B.P. 3110±130 B.P. 2910±130 B.P. 2830±140 B.P. 어은1지구 삼거리 9호 용산동1호 흔암리12호 용정동Ⅰ-1호 용정동Ⅱ-1호 현화리 유적

15 ○돌대문토기문화 단독기 즐문토기와의 공존 ○전기무문토기 또한 돌대문토기문화 단독기의 연대차 ⇒돌대문토기문화 단독기를 연대적으로도 전기와 분리가능 상한은 3200 B.P.를 전후한 시기 하한은 전기무문토기가 출현하는 2900 B.P.를 전후한 시기

16 맺음말


Download ppt "조기설정과 시간적 범위 천 선행 머리말 조기설정의 기준 조기와 전기의 분리‐초기양상ⅰ‐"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