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교육사회학 진규하 주종인.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교육사회학 진규하 주종인."— Presentation transcript:

1 교육사회학 진규하 주종인

2 교육사회학의 연구영역 (1)교육적 사회학 ① 실천지향적 교육사회학이라고도 하는데 교육사회학 발달의 초기에 나타난 것으로, 교육학자들이 교육체제에 사회학의 원리를 적용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② 실제적 교육문제와 관련을 갖거나 논리적 연결을 갖고 있는 사회학 및 사회심리적 지식에 관계하는 연구영역이다. (2) 교육의 사회학 ① 학문지향적 교육사회학이라고도 하며, 사회학자들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교육체제의 사회학적 과정을 분석, 연구하려고 한다. ② 교육적 현상과 교육체제의 사회학적인 면을 조사, 연구하는 영역이다. ③ 기능주의 교육사회학, 갈등주의 교육사회학, 신교육사회학으로 구분된다.

3 교육적 사회학 (1)의의 ① 교육사회학 발달의 초기인 년대까지는 사회학의 이론, 원리 등을 교육문제해결을 위하여 응용하는 단계였다. ② 이 당시의 교육사회학은 실천지향적이고, 가치규범지향적이며 기술적인 접근이 주류를 형성하였다. (2)성격 ① 교육사회학 발달 초기에는 주로 교육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사회학의 이론을 교육에 실천하고자 하는 응용사회학적 측면의 연구와 철학적으로 교육과 사회를 연구하는 교육사회학적 측면의 연구가 있었다. ② 수잘로나 스미스는 응용사회학적인 측면에 나토르프, 위드, 꽁트, 듀이 등이 교육사회철학적 측면에 서있었는데, 이 둘을 합하여 흔히 교육적 사회학이라 부른다.

4 교육적 사회학 (3)발달 ① 1908년 미국의 수잘로 교수가 콜롬비아 대학에서 교육사회학 강좌를 개설하여 최초로 강의한 이래 교육사회학이 하나의 학문으로 정립되기 시작하였다. ② 수잘로는 교육사회학을 하나의 학문으로 정립시키고, 교육사회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교육이 과학적 연구에 필요한 과목을 교육사, 교육철학, 교육사회학, 학교위생학 등으로 규정하면서 교육사회학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③ 스미스는 1909년 캔자스 주립 사범대학에서 교유사회학 강의를 시작하였으며, 1917년에는 최초의 교육사회학 저서인 <교육사회학의 개론>을 저술하여 교재로 활용하였다. ④ 페인은 1910년 헤리스 사범대학에서 교육사회학 강의를 시작하였음 1920년에는 페인의 주도로 미국 교육사회학회가 조직되었고, 1923년 1931년 사이에 3권의 학회지가 발간되었다.

5 교육의 사회학 (1)의의 ① 교육사회학 발달 초기에는 사회학에서 연구된 이론, 원리, 지식 등을 교육문제해결을 위하여 응용하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② 2차대전 이후부터는 교육현장을 중심을 교육의 사회학적 현상을 연구하는 순수과학적 교육사회학으로 발전하였으며, 1970년 이후에는 교육내부의 과정에 관심을 갖는 신교육사회학이 탄생하였다. ③ 교육의 사회학은 사회학 지향적인 순수학문으로서의 교육사회학으로 교육사회학을 하나의 경험과학으로 발전시키려하며, 가치중립적인 입장에서 교육을 연구하고자 하는 것으로 주로 사회학자들의 연구가 이에 해당된다.

6 교육의 사회학 (2)성격 ① 당시에는 사회 평등 구현의 수단으로서 교육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여 학교교육 기회의 분배와 계층이동에 미치는 교육이 영향을 높이 평가하였다. 따라서 교육기회 확대를 위한 각종 제도적 대안 마련에 초점을 두었다. ② 교육기회균등의 확대를 위한 각종 제도적인 장치들이 실패하자, 보상교육의 실시 등을 통하여 교육의 기회균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7 교육의 사회학 (3)발달 ① 1950년대까지는 주로 뒤르켐이나 파슨즈의 이론을 주축으로 한 기능주의 접근 이론이 주축을 이루었으며, 1960년에는 인간자본론, 근대화 이론 등이 출현하여 교육과 경제발전, 국가발전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②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신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으로 재생산이론, 저항이론 등이 갈등적 접근이 교육사회학의 기능론과 대립하면서 새로운 이론으로 각광받기 시작하였다. ③ 1970년대 중반부터 기존의 교육사회학은 실증주의와 객관주의에 치우친다는 비판이 고조되면서 새로운 교육사회학인 신교육사회학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신교육사회학은 유럽의 지식사회학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미국의 교육과정사회학의 연구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8 교육사회학의 연구동향 1900년대-1940년대 1950년대~ 교육학자에 의한 연구 교육학에 중점을 둔 연구 교육문제의 해결
실천과학적(규범과학) 가치지향 사회학자의 의한 연구 사회학에 중점을 둔 연구 교육현상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경험과학 가치중립 ① 교육적 사회학은 연구학자의 성향이 다양하고 연구주제가 다양하기 때문에 정리하는 학자들의 입장이 다양하다. ② 주로 사용한 학문이 교육학이냐 사회학이냐는 문제, 그리고 교육문제해결, 사회문재해결 등 다양하게 주장된다.

9 교육사회학의 패러다임 3가지 ▷ 패러다임(paradigm)이란?
⑴ 어떤 학문의 성격을 체계적으로 접근, 분석, 논의하는 준거로 사용되어지며, 어떤 현상(문제)을 보고, 파악하는 시각이나 사고의 틀이다. ⑵ Thomas Kuhn은 과학의 발달사를 검토한 후 과학은 특정 기간 동안 그 탐구의 문제뿐만 아니라 신념 등에서 유사한 유형을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렇게 일정한 과학자 공동체를 지배하는 일련의 사유 유형을 그는 패러다임이라고 하였다.

10 기능론적 패러다임 ⑴ 생물학적 유기체의 여러 부분들이 각각 다른 생존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⑵ 유기체의 일례로 인체는 기관지, 소화기, 사지 등 여러 기관(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의 기능이 있고, 그 각각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함으로써 인체의 생존, 건강 유지 및 활동을 보장하게 된다. 이들은 서로 상호의존적이며, 한 요소의 변화는 다른 요소 및 전체에 변화를 초래한다. ⑶ 유기체와 마찬가지로 사회도 각각 다른 여러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요소들은 전체의 존속을 위하여 각각 필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⑷ 사회를 각기 다른, 질적으로 우열의 차이는 없고 기능상의 차이만 있을 뿐인 여러 부문들의 집합으로 본다. ⇒ 역할분화와 사회적 연대의식(social solidarity), 차별적 보상의 원리

11 기능론적 패러다임 ⑸ 기능이론의 주요개념 : 구조와 기능, 역할, 부분의 전체에 대한 공헌, 안정성, 합의(consensus) 등 그러나 유사성과 합의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이해관계, 가치 신념의 차이를 무시한다. ⑹ 사회체제의 세 가지 속성 ① 한 체제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을 기능상으로 상호의존적이다. ② 한 체제의 구성요소들은 그 체제의 계속적 작용을 적극적으로 공헌한다. ③ 한 체제는 다른 체제에 영향을 주며, 이 체제들은 한층 높은 수준의 체제, 즉 상위체제의 하위체제이기도 하다. ▷ 사회체제 : 사회를 구성하는 각 요소가 일정한 형태의 질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뜻한다. 각 요소들이 상호간 작용․반작용을 하면서 일정한 균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적인 상호의존 상태를 가리킨다.

12 기능론적 패러다임의 문제점 ① 존재하는 모든 사회조직을 기능적인 것으로 본다. ② 보수적이다.
③ 목적론에 빠져 있다. 행위는 목적 지향적인 것으로 생각한다(T. Parsons). ④ 실증적이지 못하다. ⑤ 변화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⑥ 구조나 성격과 같은 기본변수를 소홀히 취급한다. ⑦ 권력투쟁, 갈등 ․ 일탈행동 등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⑧ 사회적 이념, 목표, 규범 등의 보편성과 합의성을 과장한다.

13 갈등론적 패러다임 ⑴ 사회관계의 본질을 집단간의 갈등으로 파악하고, 그 갈등의 결과로 일어나는 변화에 관심을 집중한다.
⑵ Karl Marx 이론 ː 갈등이론 → 계급간의 갈등 - 마르크스( )는 갈등의 사회구조적 원인의 분석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마르크스에 있어서 갈등의 원천은 재화의 분배와 불평등한 분배에 내재하는 이익의 갈등에 있다. ⑶ Max Weber적 갈등이론 : 지위경쟁이론 → 지위집단간의 경쟁

14 갈등론적 패러다임 사회계급과 사회변동론 ⑴ 마르크스는 근대사회의 변화, 특히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 분석에 집중하였다. ① 자본(공장, 기계, 막대한 양의 돈)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이 지배계급을 형성한다. ② 이론적 실천을 강조 : 사상과 행동은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 ③ 마르크스적 분석의 기본단위는 사회계급이다. ④ 사회계급은 생산수단(생산도구, 기계설비, 원료 등)에 대한 그의 관계에 의해서 결정된다. ⑤ 자본가계급과 무산계급간의 계급갈등이 사회변화를 일으킨다. ⑥ 계급갈등은 이 두 계급간의 모순된 이해관계에 의해서 발생한다.

15 갈등론적 패러다임 ⑵ 마르크스가 이런 시각에서 역사가 변증법적으로 발전해 가는 단계로 분석한 것이 원시 공산사회 → 고대 노예사회 → 중세 봉건사회 → 자본주의사회 → 공산주의사회이다. ① 역사적 유물론(materialist conception of history) : 마르크스에 따르면, 사회변동은 경제적 영향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촉진된다. 경제적 영향은 역사 발전의 원동력을 제공하는 계급간의 갈등과 연관되어 있다. ② 지금까지의 모든 인간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인 것이다. ⑶ 노동자들의 계급의식은 노동자들로 하여금, 자본주의 체제를 붕괴시키고 그것을 공산주의 사회로 대체시키려는 행동, 특히 혁명적 행동을 실천할 것으로 마르크스는 믿었다.

16 갈등론적 패러다임 2) 소외론 ⑴ 인간이 인간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노동이다. 의미 있는 노동은 자연세계와 조화를 이루는 노동이다. ⑵ 그러나 산업 자본주의에 있어서 인간은 노동할 때 자연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과 협동적으로 노동할 수 없게 되었다. 자연과 다른 사람들과의 이중적인 분리는 매우 심한 소외(alienation)현상을 일으키게 되었다. ⑶ 노동자들은 그들이 존재하고 있는 체제를 수용할 수도 있다. 그들은 그 체제를 믿고, 갈구하고, 지지할 수도 있다. 이것을 마르크스는 허위의식(false consciousness)이라고 불렀다.

17 갈등론적 패러다임 3) 의식과 이데올로기의 문제
⑴ 마르크스는 이데올로기를 인간사회에 대한 허위의식인 추상적인 생각, 즉 허위의식으로 보았다. 그것은 순진한 환상이나 꿈일 수도 있다. 참된 의식(true consciousness)은 역사성과 과학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허위의식과 같은 사회적 사상은 이데올로기(개인들의 의식과 존재의 불일치에 관한 표현)로 생각되고 있다. 소수의 지배자들은 그럴듯한 논리로서 민중들의 사고를 지배하고 그들의 의식세계까지도 지배한다. 그 결과, 민중들은 그들의 실제 존재 모습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소수 지배층이 제시한 환상적․허위적 논리, 즉 지배 이데올로기에 따라 인식하게 된다. ⑵ 이데올로기의 허위성을 깨닫고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존재조건과 의식과의 관계를 일치시키려는 움직임을 의식화라고 한다. 의식화는 흔히 대항 이데올로기(counter ideology)의 성격을 가지며, 비판적 세계관이며 사회의 모순과 갈등을 폭로하는 경향이 있다.

18 갈등론적 패러다임 4) 네오마르크시즘의 학문적 배경
⑴ 네오마르크시즘의 변증법적 비판이론은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신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정통파 마르크스주의자들의 명제 중 일부를 포기(또는 수정)하고, 마르크스이론의 비판적 기능을 확장하려는 노력을 하는 학자들이다. 이들의 이론을 네오마르크스시즘이라고 부른다. ⑵ 마르크스적 그리고 신 마르크스적 교육이론은 모두 본질적으로 구조적 분석이다. 마르크스적 교육이론은 교육과 경제구조와의 관계에 집중한다. 신 마르크스적 교육이론은 교육과 경제구조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교육과 지식에 대한 분석을 보다 깊이 있게 하는데 공헌하였다. 신 마르크스적 교육이론과 관련된 일체의 지배관계를 분석해내려 한다.

19 해석학적 패러다임 ⑴ 해석학(hermeneutics)은 그리스어의「해석하다」즉, 제우스의 의지를 지상의 인간들에게 해석해 주기 위하여 올림포스 산에서 내려온 사자인 ‘Hermes'에서 유래한 것이다. - 그후 기독교 신학자들이 성경을 해석할 때 이 기법을 계승․발전시켰다. ⑵ 사물을 이해한다는 것은 바로 그것을 해석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우리가 무엇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것의 의미 혹은 의의를 파악하는 것이며, 무엇을 해석한다는 것은 어떤 관점이나 상황에 비추어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터득하는 것이다. 이해하거나 해석하는 사람은 이미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지식 또는 이해방식(前理解)에 근거하여 자신의 마음의 눈으로 대상에 접근한다. 이러한 과정을 W. Dilthey는 '이해'이라고 하였으며, 특히 인간과학의 참된 방법이라고 하였다.

20 해석학적 패러다임 ⑶ 인간의 현상에 대해 자연과학적 법칙의 탐구를 지양하고 이해론적 접근을 하려는 이유는 인간이 나타내는 현상을 자연물이 나타내는 현상과는 다른 것으로 파악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상징을 사용할 줄 아는 동물이며, 주체적인 의사결정을 할 줄 알며, 그의 모든 행동에는 이러한 상징성과 주체성이 표현되어 있다. 우리가 인간행동을 이해한다고 할 때, 그 대상은 의미 구성체로서의 인간행동과 그 산물인 것이다. ⑷ 인간의 행위, 제도, 혹은 산물은 내면적 삶의 표현이므로 그것을 관찰하는 것보다 해석하는 것이 바로 그것을 이해하는 옳은 방법이라고 여긴 것이다.

21 해석적 접근의 공통된 특징 ① 내부자 관점(insider's point of view)의 강조 : 연구자는 행위자(참여자)들과 같은 방식으로 관찰하고 해석하며, 그로부터 특정한 유형이나 규칙성을 찾으려 한다. ② 총체주의(holistic approach) : 관심 대상 사태가 처한 복합한 상황 중에서 몇몇 요소들을 발췌하여 분석적으로 탐구하기보다는, 문제 상황을 전체적으로 인식하고 탐구한다. ③ 맥락화(conceptualization) : 모든 자료는 그 자료가 수집된 환경의 맥락 속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22 상징적 상호작용이론의 특징 ① 개인의 자아의식 형성은 사회에서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며, 각 개인은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다양한 상황에서 접하는 타인의 눈을 통하여 자신을 알게 된다. ② 우리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의미를 이해하고, 사회적으로 주어진 의미를 중심으로 우리의 생활을 조직하게 된다. ③ 사회관계는 상호작용 관계에 있는 쌍방이 각각 자신의 행동에 대하여 상대방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예견하고, 상호 용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황을 정의하여, 쌍방이 수용할 수 있는 행동의 한계를 설정해 준다. ⑤ 사회는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봄으로써 사회를 정태적인, 불변하는 구조적 측면을 중시하는 기능이론과는 달리, 사회의 과정적 측면을 강조한다.

23 교육사회학 패러다임의 비교 규범적 패러다임(기능․갈등이론) 해석적 패러다임(신교육사회학) ∙교육과 사회에 대한 거시적 접근
∙자연과학의 연역적 접근 ∙양적 연구에 의한 이론 형성 ∙자연과학적 법칙에 의한 교육 및 사회현상 연구 ∙교육의 내적과정에 대한 미시적 연구 ∙귀납적 접근과 사고 ∙질적 연구에 의한 해석적 기술에 치중 ∙사회적 현상과 관계에 대한 변증법적 연구


Download ppt "교육사회학 진규하 주종인."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