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부분 표상(이미지)의 분열과 통합.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부분 표상(이미지)의 분열과 통합."— Presentation transcript:

1 부분 표상(이미지)의 분열과 통합

2

3 오토 컨버그 - 1928년 오스트리아 출생 - 캔사스의 메닝거 클리닉에서 정신의학 훈련 받음 - 뉴욕을 중심으로 임상활동을 함
- 대상관계의 내면화에 대한 수준을 정교화시킴 - 특히 경계선 성격장애에 대한 이론을 확립시킴

4 자기-대상(양극표상)으로 구성되는 내면화
자기-대상(양극표상)으로 구성되는 내면화 자기의 기원이 되는 내면화는 자기표상과 대상표상이라는 양극표상(bipolar representation) 으로 이루어짐. 양극표상은 지속적인 관계에서 아이가 세계를 인식하는 방법에 영향을 주고,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를 예측하게 돕는 하나의 틀(자기-대상 의 상호작용)이 됨. 성장하면서 자기-대상의 내면화된 체계는 정동적 색채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하게 됨

5 내면화의 유형 내사(introjection) : 가장 원시적 형태의 내면화 - 환경과 상호작용의 기억 흔적의 덩어리로 구성
-기억 흔적의 덩어리 : 대상 이미지, 자기 이미지, 정동적 색채로 구성됨 - 대상 이미지와 자기이미지는 분화, 재융합, 재분화를 거치면서 자아의 경계를 형성하게 됨 - 지각과 기억을 통합하고 조직화시킴

6 내면화의 유형 동일시(identification) : 보다 높은 수준의 내사 -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역할과 기능을 익히게
되며 진행됨(생후 첫 두 해 동안 발달). - 유아는 동일시를 통하여 사회적 역할을 배우고 차츰 재연하게 됨 - 어머니의 행동을 모방하는 아동의 행동은 동일시 모체가 형성되었음을 알려줌

7 내면화의 유형 자아정체성(ego-identity) : 가장 높은 수준의 내사 - 자아의 종합 기능하에 내사와 동일시가 조직됨.
- 다양한 자기-대상 교류에서 나온 동일시들이 하나의 주된 성격 조직으로 통합됨. - 자기(self)의 형성 : 자아정체성을 유지, 행동안내, 관계유지, 중심적이고 지배적인 힘으로써 작용. 자아정체성은 자기에게 일관성을 부여함. - 내적 세계에서 받아들인 양극 표상을 모두 반영하고 수용하게 됨

8 발달과 병리 내부 대상관계가 원초아, 자아, 초자아의 구조로 발달해가며, 그 발달이 고착되면 병리적이 됨.
1단계 : 자기와 대상표상 사이의 미분화에 따른 공생관계가 형성되지 못해 자폐 소지 발생됨 2단계 : 유쾌한 경험이 만들어내는 좋은 자기 표상 과 대상표상과 좌절의 경험이 만들어내는 나쁜 자기표상과 대상표상의 분열(나쁜 대상표상의 공격성을 견디지 못하게 되면서, 나쁜 자기표상을 수용하지 못하게 됨).

9 발달과 병리 3단계 : 좋은 자기표상과 나쁜 자기표상이 통합되고, 좋은 대상표상과 나쁜 대상표상이 통합
3단계 : 좋은 자기표상과 나쁜 자기표상이 통합되고, 좋은 대상표상과 나쁜 대상표상이 통합 되어 전체 대상 표상이 형성되어야 함. 통합되지 못하고 분열되면 편집증적이고 충동적 인격이 됨. 4단계 : 불안과 죄책감을 일으키는 내재된 대상관계가 더 이상 분열되지 않고 억압되면서, 원본능으로 분화됨. 한편 초자아가 공고해지면서 자아정체성의 일부가 됨.

10 발달과 병리 5단계 : 초자아가 공고화되면서, 자아와의 구분이 줄어들면서, 초자아가 인격안으로 통합됨.
5단계 : 초자아가 공고화되면서, 자아와의 구분이 줄어들면서, 초자아가 인격안으로 통합됨. 이 과정일 원만히 진행되면 세상과의 관계에서 통합된 자기임지와 대상이미지가 형성됨. - 자신의 부정적인 면과 타인의 부정적인 면을 수용하고, 견디게 됨.

11 경계선 성격장애 진단기준 (DSM-Ⅳ) 1) 실제적 또는 가상적 유기를 피하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
2) 극단적 이상화와 평가절하가 불안정하고 강렬하게 반복 3) 자아상이나 자기 지각의 불안정성이 심하고 지속됨 4) 자신에게 손상 주는 충동성이 적어도 2영역에서 나타남 (예:낭비, 무모한성관계, 물질남영, 무모한 운전, 폭식 등) 5) 반복적 자살행동, 자살시늉, 자살위협 또는 자해행동 6) 현저한 기분변화에 따른 정서의 불안정성 7) 만성적인 공허감 8) 부적절하고 심한 분노를 느끼거나 조절하기 어려움 (잦은 울화통, 지속적 분노, 잦은 육체 싸움) 9) 스트레스 관련된 망상적 사고나 심한 해리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남

12 경계선 성격장애 좋은 자기 이미지 및 대상 이미지를 나쁜 자기 이미지 및 대상 이미지를 통합하는 3단계의 발달 과제를 성취하지
못한 결과로 나타남. 구조화된 자아를 형성하지 못한 채, 분열을 중심으로 투사, 투사적 동일시, 내사를 보임 특징 - 약한 자아 : 자아가 불안과 충동을 관리하지 못함. - 분열기제의 사용 : 원시적 이상화, 부인, 평가절하, 전능성 - 부분적 자기 이미지와 부분적 대상 이미지로 분열됨.

13 컨버그가 말하는 심리 건강 살아가면서 자기표상과 대상표상에 대하여 각각 유쾌 하거나 불쾌한 경험은 피할 수 없다.
- 중요한 것은 유쾌한 경험과 불쾌한 경험을 모두 나의 것으 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유아는 아직 그럴 심리적 힘이 없기 때문에 부모의 태도를 내면화하게 된다. 따라서 공감적인 부모의 태도가 유아가 유쾌하고 불쾌한 경험을 모두 받아 들이도록 돕는다. - 심리적으로 성숙하고 건강한 사람은 자신과 대상의 모든 면을 정직하게 받아들여서, 전체적으로 이해한다. 비록 그 과정이 아플 수 있지만 말이다.


Download ppt "부분 표상(이미지)의 분열과 통합."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