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국어 배경지식 넓히기 (문법 –문장론] 인천해송고등학교.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국어 배경지식 넓히기 (문법 –문장론] 인천해송고등학교."—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어 배경지식 넓히기 (문법 –문장론] 인천해송고등학교

2 (1) 음성: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하여 나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이고 물리적인 소리. 말의 뜻을 구별해 주지 못한다.(비변별적)
제 4장 음 운 (음운론) 1. 음성과 음운  (1) 음성: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하여 나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이고 물리적인 소리.            말의 뜻을 구별해 주지 못한다.(비변별적)  (2) 음운: 머릿 속에 기억되는 추상적이고 심리적이고 관념적인 소리.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단위.(변별적) 2. 국어의 음운  (1) 모음     ① 단모음         ② 이중 모음 :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처음과 나중이 달라지모음 (2) 자음     * 모든 모음은 다 유성음임.

3 (1) 소리의 길이는 의미를 분별하는 구실을 한다. (2) 긴소리와 짧은소리는 서로 뜻을 달리 한다.
제 4장 음 운 (음운론) 3. 소리의 길이   (1) 소리의 길이는 의미를 분별하는 구실을 한다.   (2) 긴소리와 짧은소리는 서로 뜻을 달리 한다.       (4) 중세 국어의 상성은 오늘날 장음으로 변했다.       따라서 오늘날의 장음은 중세에는 상성이었다. 4. 음절 : 가장 작은 발음의 단위. (의미 단위가 아님)  ※ 음절의 구조    ① 모음 단독                 예) 이, 어,    ② 모음 + 자음              예) 알, 악    ③ 자음 + 모음              예) 도, 묘, 배    ④ 자음 + 모음 + 자음      예) 각, 밭, 넋

4 (1) 두음 법칙 : 단어의 첫소리에 ‘ㄹ’회피. ‘ㅣ’나 ‘ㅣ’선행모음 앞에서 ‘ㄴ’회피,
5. 음운의 변동  (1) 두음 법칙 : 단어의 첫소리에 ‘ㄹ’회피. ‘ㅣ’나 ‘ㅣ’선행모음 앞에서 ‘ㄴ’회피,     둘 이상의 자음(어두 자음군) 회피      예) 로인>노인, 녀자>여자, >뜻 (2) 음절의 끝소리 규칙 : 끝소리는 ‘ㄱ,ㄴ,ㄷ,ㄹ,ㅁ,ㅂ,ㅇ’의 7개 자음뿐이다.     이 밖의 자음이 오면, 이 일곱 자음 중의 하나로 바뀐다.     예) 잎[입], 낮[낟], 낯[낟], 낫[낟], 낚시[낙시], 밖[박] (3) 자음 동화 : 자음 충돌에 의해 소리가 바뀜     예) 밥물[밤물], 집는[짐는], 값만[갑만→감만], 남루[남누], 종로[종노] (4) 구개음화 : ‘ㄷ,ㅌ’이 ‘ㅣ’나 반모음 ‘ㅣ’ 앞에서 구개음‘ㅈ,ㅊ’으로 발음.     예) 굳이[구지], 해돋이[해도지], 붙이다[부치다] (5) 모음동화     ① 어미[에미], 고기[괴기], 아지랑이[아지랭이] →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음.     ② 아주 굳어진 것들은 표준어로 인정하기도 한다.        예) 새끼, 재미, 멋쟁이, 채비, 내리다, 새기다, 가난뱅이, 올챙이

5 (6) 모음조화 :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림.
 (6) 모음조화 :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림.        15C에는 엄격했으나, 임진왜란 이후 혼란해지다가 ‘․’(아래 아)의 소멸로 파괴된다.         단 현대 국어에서는                 ㉠ 용언의 어간 + 어미 (잡+아,먹+어)                 ㉡ 과거 시제 선어말어미 (았/었)                 ㉢ 의성 부사와 의태 부사에서 뚜렷이 나타난다.    (7) 음운의 축약과 탈락    ① 축약 : 두 형태소가 만나 한 음운 또는 한 음절로 되는 현상.              예) 좋다[조타], 잡히다[자피다](자음축약), 사이→새, 가지어→가져(모음축약)    ② 탈락 : 앞뒤 음절의 모음이 서로 만날 때 한 음절이 탈락한다.      예) 간난→가난, 목과→모과(동음 생략), 딸님→따님, 서었다→섰다, 가아→가  (8) 된소리 되기(경음화) : 두개의 안울림소리가 만나면 뒷소리가 된소리로 발음.            예) 입고[입꼬], 앞길[압길→압낄], 먹자[먹짜], 젖소[젇쏘]

6 예) 밤길[밤낄], 길가[길까], 봄비[봄삐], 촛불[초뿔](사이시옷 표기),
 (9) 사잇소리 현상 :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합성 명사를 이룰 때 앞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예사소리                       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이다.     예) 밤길[밤낄], 길가[길까], 봄비[봄삐], 촛불[초뿔](사이시옷 표기),         이+몸(잇몸)[인몸], 코+날(콧날)[콘날],  논일[논닐], 아래+이(아랫니)[아랜니]     ☞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단어)           예) 방법(方法), 效果(효과), 高架(고가), 간단(簡單)   (10) 활음조 : 유포니 현상. 발음이 불편한 것을 발음하기에 편리하도록 특정음을 바꾸거나                첨가      예) 한나산>한라산,   곤난>곤란,   허낙>허락,   안음>아름,   대노(大怒)>대로         희노애락(喜怒哀樂)>희로애락,  지이산>지리산,   마양>마냥, 폐염>폐렴 (11) 어감(語感)의 분화 : 뜻은 변하지 않고, 단어의 어감만을 다르게 하는 일로 주로 의성                          부사와 의태부사에서 나타난다.    예) 살랑살랑:설렁설렁, 촐촐:철철, 감감하다<깜깜하다<캄캄하다

7

8 교육의 가장 귀중한 효과는 당신이 좋아하든 좋아하지 않든 당신이 해야 할 때에 당신으로 하여금 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헉슬리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국어 배경지식 넓히기 (문법 –문장론] 인천해송고등학교."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