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2018년도 1학기(03.08) 과수원 수형관리실습(16-1) (orientation) 담당교수 서병선.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  2018년도 1학기(03.08) 과수원 수형관리실습(16-1) (orientation) 담당교수 서병선."— Presentation transcript:

1 2018년도 1학기(03.08) 과수원 수형관리실습(16-1) (orientation) 담당교수 서병선

2

3

4 학습목표  과수 나무는 심어서 과일이 열리기까지 적어도 5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는데 어린 나무가
 과수 나무는 심어서 과일이 열리기까지 적어도 5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는데 어린 나무가 다 클 때까지 수형구성 과 관리 방법은 매년 달라져야 한다.  과수수형관리 실습 과목은 해마다 품질이 좋은 과일을 안정적으로 다수확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면서 학습한다.  그러나 우선은 이론을 충분히 학습하여 원리를 이해한 뒤에 과수현장에서 현장실습을 통하여 이론과 실제 상황을 비교 해 나가도록 한다.  또한 수형관리에 필요한 정지전정 관련 도구의 종류와 사용법을 익히고 독농가 농장견학을 통하여 과수의 수령별 전정 실습을 실시한다.  본 교과에서는 과종별 수형구성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축적하여 졸업 후 창업초기 시행착오를 줄이고 경영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5

6 수업 계획서 교과목번 교과목구분 전공선택 교과명 과수원수형 관리실습 수강대상 과수학과1 담당교수 서병선 수강인원 39
수업 계획서  교과목번 교과목구분 전공선택 교과명 과수원수형 관리실습 수강대상 과수학과1 담당교수 서병선 수강인원 39 학점/시수 강의시간 2시간/주 강의실 실습동107 평가방법 필기고사 50%, 실습 및 과제물 30% 출석 20% 과제물 5월 29일까지 제출(선배농장의 수형구성에 대한 사례 ) 교과서 및 참고서 ① 주 교과서 : 과수 수체관리 이론과 실제. 최동근 ② 참고서 : 과수정지. 전정.김정호외, 오성출판사 ③ 과수 전정생리, 고광출. 서원

7 <주별 강의 내용> 주 항목 내용 현장실습(견학) 1 오리엔테이션 1. 우리나라 과수 수형의 변천
개화전 병해충 방제 2 Ⅰ. 서론 2. 나무의 생육, 생장 특성 결실지 및 화아 정지 3 3. 전정의 기초 지식 발아, 개화 발육상 관찰 4 Ⅱ. 정지 전정결실관리 1. 전정과 광 환경 및 생장과 관계 과수원 초생관리 5 2. 전정과 영양 생장과의 관계 적뢰 실습 6 3. 전정과 생식생장과의 관계 적화 실습 7 4. 전정과 호르몬의 변화양상. (중간고사) 8 5. 여름전정 적심전정 실습 9 6. 뿌리전정과 관리 적과 실습 10 Ⅲ. 수형만들기 1. 사과나무 정지, 전정과수의 영양생리 밀식형 과수 측지유인 실습 11 2. 배, 복숭아 나무 정지, 전정 관목형 과수 여름전정 12 3. 포도,감,감귤나무 정지, 전정 덩굴성 과수 신초전정 13 4. 자두,매실,살구나무 정지, 전정 교목형 과수 여름전정 14 Ⅳ.전정도구 및 수형관리 설정 1.전정도구와 안전사용 안전사용 실습 15 2.과정별 수형별 관리 시방서 과종별 수형목표 설정 설계 16 Ⅴ. 종합정리 종합정리 및 기말고사

8 세상에서 가장 비싼 사과는?

9 주요 용어해설 용어 다른표현/한자 용어해설 가지 비틀기 捻枝(염지)
식물체의 강한 가지나 도장지의 기부를 비틀어 유인하는 것을 말하며 꽃눈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 개식장해 改植 障害 작물재배지에 동일작물을 다시 심을때 발생하는 피해 갱신전정 更新剪定 생리적으로 노쇠한 개체를 젊은 상태로 재생장시키기 위해 하는 전정 겨드랑이 꽃눈 腋芽(액아) 가지의 선단에 생기는 눈을 정아라고하며 정아보다 아래쪽에 생기는 눈을 액아라고 함. 곁가지 側枝(측지) 곁눈이 싹터서 생장한 가지로서 끝눈(頂芽)으로 부터 생장하는 원가지에 대응한 말 과대지 果臺枝(과대지) 가지에 열매가 달렸던 가지 과실솎기 摘果(적과) 나무의 세력에 비하여 너무 많이 달린 열매를 일찍 솎아내는 일 과형지수 L/D ratio 과실의 모양이나 형태를 지수로 나타낸 것. 예를 들면 과폭에 대한 과장, 즉 장폭비를 나타낸 것을 말함. 과일의 세로((L)와 가로(D)의 비율 교목성 喬木性 높이가 8m를 넘는 나무 끝눈 頂芽(정아) 생장을 계속하고 있는 활동적인 상태의 줄기나 가지 끝 부분에 생기는 눈 기근 氣根 뿌리가 땅속에 있지 않고 공기중에 삐어져 나와 기능을 수행하는 뿌리 기부 우세성 基部 優勢性 나무의 기부/뿌리 부위의 세력이 강하게 자라는 특성 기지현상 忌地現象 동일한 포장에 같은 작물을 계속 재배하는 경우 현저한 생육장해가 나타나는 현상 꽃눈 花芽(화아) 자라서 꽃이 될 눈 꽃봉오리 솎기 摘蕾(적뢰) 과실나무나 채소 따위에 꽃봉오리가 너무 많이 달렸을 때, 이를 솎아 조절하는 일 꽃솎기 摘花(적화)

10

11 용어 다른표현/한자 용어해설 나지 裸地 과대지,결실지가 없는 벌거벗은 가지 단과지 短果枝 길이 10cm 이하의 열매를 맺는 가지 덧원가지 副主枝(부주지) 주간으로 부터 분지된 가장 굵은 가지를 주지(主枝)라 하며 이 주지에서 분지된 두번째로 굵은 가지를 부주지라고 함 덧가지 副梢(부초) 영양생장이 왕성한 신초의 곁눈이 그 해에 가지로 자란 것으로서 신초에 측지가 발달한 것 동기전정 冬期剪定 겨울철 가지치기 명거배수 明渠排水 지표면에 도랑을 파서 하는 배수 (반) 暗渠排水 방추형 紡錘形 물레의 가락 비슷한 모양. 곧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꼴의 모양 (細長紡錘形 細側枝紡錘形) 새가지 新梢(신초) 당년에 자라난 가지를 신초 또는 새 가지 수관 樹冠 나무의 가지와 잎이 달려 있는 부분으로 그 모양은 수종이니 수령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띤다. 수분수 受粉樹 자가불화합성(自家不和合性)인 경우에 화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섞어 심는 나무. 수세 樹勢 나무 자람새의 정도 순지르기 摘心(적심) 생육중인 작물의 줄기 또는 가지의 선단 생장점을 잘라주어 분지수를 늘이거나 생육을 촉진하는 방법 숨은눈 潛芽(잠아) 충실하게 발달하지 못하였거나 발아할 수 있는 조건이 되지 못하여 봄에 발아하지 않고 있는 눈 C/N율 식물체 속에 함유하는 탄소대 질소의 비율 아상 芽傷 휴먼타파나 생장촉진 등을 위하여 식물의 눈에 상처를 주는 것. 열과 裂果 성숙기에 과피가 터지면서 과실이 갈라지는 현상

12

13 용어 다른표현/한자 용어해설 열매가지 結果枝 과수에서 꽃눈[花芽]이 붙어 개화결실(開花結實)하는 가지 엽면시비 葉面施肥 작물은 뿌리에서 뿐만 아니라 엽면에서도 비료성분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필요할 경우 비료를 용액(溶液)의 상태로 잎에 뿌려주는 것 웃자람 가지 徒長枝 자라는 가지 가운데 질소질 비료의 과다 등으로 특히 세력이 왕성하여 지나치게 자란 가지 원가지 主枝 원줄기에 붙어 있는 굵은 가지. 원줄기 主幹 보통 식재 당년에 자란 곧은 가지 를 원줄기라함. 원줄기에서 갈라져 나온 가지를 곁줄기(側枝)라 함. 유인 誘引 가지등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작업 왜화재배 矮化栽培 나무의 키를 작게키워 가꾸는 방식 (왜성사과) 이중 접목묘 二重 接木苗 대목을 실생 +왜성대목 으로 2단접목을 한 묘(반)自根苗(자근묘) 일소과 日燒果 고온이나 강한 햇빛에 의하여 사과의 껍질이 피해를 입음 적과제 摘果劑 과실나무에서 쓸모없는 과실을 따 낼 때 사용하는 약제. 적화제 摘花劑 과실나무에서 꽃을 따 낼 때 사용하는 약제 점적관수 點滴灌水 가는 구멍이 뚫린 관을 땅속에 약간 묻거나 땅 위로 늘여서 작물 포기마다 물방울 형태로 물을 주는 방식 정지전정 整枝剪定 과수에서 수형(樹形)을 만들기 위해서도 가지를 자르는데 이 경우는 정지(整枝:가지고르기)라고 하며, 가지를 솎아주거나 잘라내는 경우를 전정(剪定)이라 함 정부우세성 頂部 優勢性 하나의 가지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눈에서 발생한 가지가 세력이 제일 강하게 자란다. 조피증상 粗皮症狀 과수의 수피가 까칠까칠한 증상으로 사과는 망간의 과잉 흡수에 의해 발생

14

15 용어 다른표현/한자 용어해설 초생재배 草生栽培 과수원 같은 곳에서 깨끗이 김을 매주는 대신에 목초, 녹비 등을 나무밑에 가꾸는 재배법. 토양 침식방지, 제초노력절감, 지력증진, 수분보존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 T/R율 Top/root ratio 식물의 지상부 생장량에 대한 뿌리의 생장량 비율 표층시비 表層施肥 논·밭의 표면에 비료를 주는 것 피복배배 被覆栽培 땅을 피복(비닐,부직포,볏집등)하여 관리하는 방법 하기전정 夏期剪定 여름철에 실시하는 가지치기 작업 해거리 隔年結實 한 해를 거름. 또는 그런 간격 가을거름 秋肥 가을에 주는 비료 밑거름 基肥 웃거름[追肥]에 대응하는 말로작물을 파종 ·이앙(移秧) 및 이식하기 전에 시용하는 비료 웃거름 追肥 작물의 생육 도중에 주는 비료 대목노출 臺木露出 땅 위로 노출되는 왜성대목의 길이로 .보통의 경우 20cm 정도 열간거리 列間距離 식물 재배 시 줄을 맞추어 배치할 때 줄과 줄 사이의 간격 주간거리 株間距離 나무와 나무 사이의 간격 재식거리 栽植距離 농작물을 심을 때에 농작물 사이의 거리. 포기 사이의 거리, 이랑 사이의 거리 지주 支柱 사과나무가 쓰러지지 아니하도록 버티어 괴는 기둥 성과기 盛果期 묘목을 정식하여 유목기, 전환기를 거쳐 과일 생산을 하는 시기로서 매년 같은 양의 수확이 계속되어 경제적 재배가 가능한 기간

16

17 1. 우리나라 과수 전정 역사와 변천 о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 농사가 있었지만 현재까지 전해 오는 문헌 중에 전정에 관한 것은 없음. о 홍만선(1676~1704)의 산림경제의 종수편 수과수항에 정월에 과수의 밑둥치에서 어지럽게 돋아 나오는 작은 가지를 잘라 내면 그 곳에 기력이 분산되지 않고 과실을 크게 한다라는 말로 오늘날의 전정의 방법과 효과에 관하여 기술하였고, о 종리항에 배나무가 늙어서 결실이 되지 않을 때 두꺼운 껍질을 벗기면 열매가 많이 열린다라는 말로 환상박피의 효과에 관해 기술하였다. о 이러한 내용들은 그 후 발간된 중보 산림경제(1766), 교사신서(1771), 해동농서(1799), 농정회요(1830) 등에 인용되었을 뿐 보다 발전된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 о 근대 정지전정 기술은 1906년 서울 뚝섬에 권업모범장 설치를 계기로 일본으로부터 도입되었다 (丁과 陳, 1993)

18

19 년대까지의 정지·전정 о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널리 실시되고 있는 과수의 정지·전정 기술은 1906년 뚝섬에 권업모범장이 설치되어 외국으로부터 각종 과수가 도입된 이후 점차로 발달된 것이다.(韓國園藝發達史 編纂委員會, 1980) о 1934년부터 정지·전정에 관한 시험연구가 실시되었는데, 사과에서는 Winesap의 간장을 4자(1.2m)로 하였을 때 발육상태, 수량, 과실의 크기가 가장 좋았고, о 배에서는 장십랑 품종을 장, 중, 단초전정 처리하였을 때, 장초전정구가 수량이 많고 대과률이 높았고 숙기가 다소 빨랐다고 하였다. о 서양배의 간장 시험에서 저간장구(30~70cm)가 고간장구(120~150cm)에 비하여 과실이 크고 수량이 많았다. о 포도 ‘Muscat Hamburg’의 전정시험에서 장초전정이 단초전정보다 과방이 크고 수량이 월등히 많았고, 간장 시험에서 6자(1.8m)구가 1.5자, 3자구보다 평균 과방중, 수량 등이 많았다고 보고하였다. о 金(1938)이 저술한 조선과수재배법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소개되어 있다.

20 - 정지의 종류를 자연형과 인공형 정지법으로 나누고, 자연형으로 개심형, 원추형, 원두형, 인공형으로
배상형, 인공원추형, 방추형, 평덕식, 평면형(코돈, 팔메트, U자형) 등을 소개하였다. - 또한 전정 방법과 작업을 하계전정과 동계전정으로 나누고 하계전정에는 눈따기, 순지르기, 가지 꺾기, 가지비틀어 휘기, 가지 주무르기, 환상박피, 잎따기 등의 여러 가지 방법, 동계전정에는 자름 전정, 솎음전정, 유인, 아상 및 종상 , 단근 작업 등에 관한 요령을 소개하였다. о 이상의 내용으로 보아 1930년대에 이미 기본적인 정지·전정의 의의 및 목적, 작업의 효과와 요령이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о 일제하의 과수재배는 대부분 일본인들에 의하여 이루어졌고 해방 후 재배기술과 농용자재의 부족, 6.25사변 후 방치된 과수원의 황폐 등으로 1950년대는 과수재배의 기술적 공백기였다. о 1950년대 말 미국 미네소타대학 교환 교수로 다녀온 李台現의 미국식 과수재배 소개, 金聲遠과 李光然의 과수 기술 개발 연구, 金命午, 朴道秉, 李容夏 등의 교육적 공헌은 한국 과수 기술 개발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о 李台現은 변칙주간형과 개심자연형 정지를 역설하였고, 金聲遠은 거목, 소식주의와 갱신전정을 주장하였다

21 년대 이후의 정지·전정 о 李光然이 1960년대 원예시험장 과수과장으로 재직하였던 동안 사과의 전정시험이 실시되었는데, о 변칙주간형이 개심형이나 절충식 반주간형보다 수량이 많다고 보고하였으며, 플라스틱 관을 이용한 주지의 분지각도 조절시험, 약전정시의 주지 유인에 관한 시험 등이 실시되었다. о 李台現의 우리나라 주요 과수재배 및 정지전정법 실태조사연구(李, 1972)에서 사과는 변칙주간형, 배는 배상형과 자연개심형, 복숭아는 개심자연형, 포도는 덕식으로 재배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о 1970년대에 사과나무의 왜화재배, 1980년대에 배, 1990년대에 복숭아나무의 Y자 수형이 보급되어 밀식재배가 보편화되기 시작하였다.

22 3. 사과 왜성대목의 도입과 왜화재배 о 1960년 워싱턴주립대학으로부터 尹勒煥이 사과 왜성대목 M9을 처음 도입했다. о 그 후 1963년 李光然, 金鍾天 등이 영국 이스트몰링(East Malling)연구소에서 다수의 M.계와 MM.계 대목을 도입하였으며, о 1965년에는 원예시험장 고문관인 Gattoni가 왜성대목에 접목한 사과 묘목을 도입하여 시험 재배를 실시하였다. о 그러나 우리나라 사과나무 왜화재배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金聲遠이 1970년 구미 각국의 왜성사과 재배현황을 시찰하고 돌아와 왜성 사과 보급을 적극적으로 권장했기 때문이다. о 왜성대목에 접목한 묘목은 과수의 생장을 지속적으로 왜화시키고 조기 다수확과 기계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과나무 재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о 왜성사과나무는 일반 사과나무 수형에 비하여 매우 작고, 재배관리에 따라 원추형, 주상형, 방추형 등 여러 가지 모양으로 기르고 있다(韓國園藝發達史 編纂委員會, 1980).

23

24

25

26 다음주에는. 과수나무의 생육, 생장 특성에 관한 강의와 사과나무 정지,전정 실습을 할 계획입니다. 건강한 모습으로 다시 만나요


Download ppt "  2018년도 1학기(03.08) 과수원 수형관리실습(16-1) (orientation) 담당교수 서병선."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