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극 교육.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극 교육."— Presentation transcript:

1 극 교육

2 무대 위 / 무대 뒤–시몬느 드 보부아르 배우 / 관객-20세기 실험극단들 시작 / 끝-아리스토텔레스
인생은 연극이다? 무대 위 / 무대 뒤–시몬느 드 보부아르 배우 / 관객-20세기 실험극단들 시작 / 끝-아리스토텔레스

3 극과 극 교육 연극,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행동(말)하는 것을 본다’
Drama, Theater의 어원: ‘행동’, ‘보다’ 종합예술 학생: 잠재적 관객 매체적 특성을 살려 교육해야 함 학생 스스로 좋은 극을 선별하여 감상하게 미적 안목과 삶에 대한 통찰력 기를 수 있도록 교육

4 연극 교육의 내용과 방법

5 연극 교육의 요소 내용적 측면: 이야기(플롯, mythos), 인물(ethos), 주제(dianoia)
형식적 측면: 시각적 장치(opsis), 음악과 음향(melopoia), 어법 또는 문체(lexis) 관객은 이야기를 파악하면서 인물의 특성이나 심리를 따라가고 주제에 이름. 무대장치, 조명, 의상, 분장, 소품과 같은 시각적 장치, 지배적 이미지와 분위기를 형성하는 음향 인물의 독특한 말투나 대화 방식

6 이근삼 <원고지> 현대인의 권태와 소외 증상? 교수, 교수처, 장남, 장녀 등 가족 구성원 위치 전도
일관성 없이 연결된 에피소드: 부조리한 상황 원고지 무대장치, 원고지 의상, 장녀의 과장된 의상과 분장, 방 배치, 시끄러운 음악, 인물들의 말투와 목소리, 대화 스타일

7 서양 연극의 역사와 종류 고대 그리스 연극 로마 연극 중세극 근대극: 코메디아 델라르테, 신고전주의극, 세익스피어 연극
현대극: 사실주의 연극, 표현주의연극, 잔혹극, 서사극, 부조리극 등

8 고대 그리스 연극 원형극장 확성기 높은 신발 가면 코러스 디오니소스 극장

9

10 영화 속 그리스 비극의 모습 우디 앨런 <마이티 아프로디테> 중

11 샤를 프랑수와 잘라베르 <오이디푸스와 안티고네>
샤를 프랑수와 잘라베르 <오이디푸스와 안티고네>

12 고대 비극 비극은 ‘평균 이상 인물의 모방’ 희극은 ‘평균 이하 인물의 모방’
비극은 우월한 영웅이 단 하나의 결정적 결함 혹은 무지라는 죄 아닌 죄(harmatia)에 의해 파멸되는 이야기 삼일치의 원칙: 시간의 일치, 장소의 일치, 사건의 일치 이 결말에서 관객은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카타르시스: 영웅의 파멸에서 느끼는 공포와 연민의 감정

13 로마 연극 교훈을 담은 도덕극 공연 로마시대 야외 극장, 음악당

14 중세 연극 포교의 수단 예배극, 신비극, 기적극 -> 세속적 교훈 연극 엘체의 신비극 등

15 르네상스 이후 근대극 인간의 존엄을 강조하는 연극 16세기 초 이탈리아
단순한 줄거리에 즉흥적 대사로 이루어진 코메디아 델라르테(commedia dell’arte)가 성행 16세기 말에는 셰익스피어 4대 비극: 구성과 캐릭터 면에서 뛰어난 연극이 창작.공연 17세기 프랑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기초한 신고전주의 연극이 절대왕정의 분위기와 함께 강화 신고전주의 연극의 경직된 형식은 비판되면서 낭만주의 연극 운동으로 이어짐.

16 코메디아 델라르테 (commedia dell’arte)
광대, 익살꾼, 재간둥이 / 현학적 지식인 / 용감한 척, 비속한 군인 / 귀족 / 멍청한 하인 (commedia dell’arte)

17 세익스피어 4대 비극 <햄릿>1601 - 복수 <오델로>1604 – 질투
<리어왕> 진실 <맥베드>1605 – 아이러니 인간성과 삶에 대한 통찰

18 존 에버렛 밀레이가 [햄릿]에서 영감을 받아 그린 작품 [오필리아](1852).

19 사실주의 연극 19세기 중반 이후 잘 짜인 극 well made plot 도입부와 인과에 충실한 구성
입센 <인형의 집> 1879: 사실적인 무대를 배경으로 당대 노르웨이 사회에서 여성이 처한 억압적 상황을 일상적 언어로 잘 그린 작품. 사실성의 강화->연기: 러시아의 스타니슬랍스키의 메소드 연기(method acting)가 대표적인 예다. 메소드 연기란 배우가 극중 인물과 동일시하면서 자연스러운 연기를 하는 것

20 인형의 집 1934년 극예술연구회

21 20세기 연극의 다양화, 잔혹극 인간의 무의식을 강조한 초현실주의 연극 앙토냉 아르또Antonin Artaud

22

23

24 표현주의 연극: 사물을 왜곡시키거나 과장된 형상을 보여줌으로써 산업주의를 공격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 The dream play

25

26

27

28 서사극 연극에서 강조되는 감정이입이나 극적 몰입을 방해하는 기법. 화자 등장.
베르톨트 브레히트, The Caucasian Chalk Circle(코카서스 백묵원): 솔로몬럼 현명한 판관의 이야기를 담은 원나라의 《석필이야기》의 번역본을 1944년에 번안한 작품

29 코카서스 백묵원

30 연극 기법과 가치관 사실주의 연극은 연극이 삶을 재현할 수 있다고 믿음
표현주의 연극: 삶은 모호하고 불합리한 것이며 보이는 것이 진실은 아니라고 말한다 최근 연극들은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면서 특유의 세계관, 가치관을 드러낸다.

31 오태석의 실험극 태: 단종폐위, 사육신, 박팽년

32 이윤택의 연극 오구

33 한국의 연극 전통 연희로부터 시작 연극의 시초: 삼국시대의 ‘악(樂)’이나 ‘곡(曲)’, 고려와 조선의 ‘산대잡극’
18세기 이후 성행한 판소리, 19세기의 꼭두각시놀음이나 탈놀이 등은 좀 더 본격화된 한국 연극

34 근대극과 현대극 한국근대극은 서구양식의 근대극과 동일한 개념이다. 다만 작품의 내용과 표현방식이 한국적인 요소를 내포한다는 점에서 서구와 구별된다. 20세기 한국연극은 1960년을 기준으로 그 이전은 근대극시대로, 그 이후는 현대극시대로 구분된다. 한 세기 동안, 혼잡한 역사 속에서 매우 다양하고 다층적인 연극이 전개되었다. 근대극시대를 주도했던 연극은 리얼리즘이고 현대극시대를 주도했던 연극은 서사극과 전승연희의 패러디극이었다. (서연호)

35 전승연희와 신연극 한국의 전승연희는 실내극장이 아닌, 개방적인 장소에서 자유롭게
협률사에서는 전통배우들이 최초로 실내극장체제에 따라 공연 새 체제는 전승연희의 변화를 강요했고, 전통배우들은 무리한 변화를 시도 1907년 광무대에서는 판소리 <춘향가>가 새롭게 연출. 가창자 한 사람이 부르는 극가형식이 아니라, 여러 배우들이 출연하여 역할을 분담하고 사실적인 연기와 장치가 전개 1908년 원각사에서 공연된 <은세계>는 양민 한 사람이 악질적인 관리에게 억울하게 맞아 죽은 사건을 판소리 창극으로 공연. 전승연희와 구별하여 신연극.

36 신파극 일본에서 신파극을 수용 새로운 문화에 대한 욕구와 동경심이 크게 작용
식민지 지배를 위한 반민족적인 문화라는 배타적 갈등 가운데서, 일제 지배층의 비호와 지원 일제는 그들의 통치를 선진문화라는 명분으로 합리화시키고 피지배층의 의식을 일본인들과 동화시키기 위하여 한국의 전통문화를 탄압·금지 대중을 그르치는 사극(邪劇)이라 비판받기도 함

37 신극 기존의 신연극과 신파극에 비해서 근대극의 성격 리얼리즘 창조에 노력
일본 도쿄에서 유학하는 대학생들이 귀국하여 국내에서 벌린 실험극운동으로부터 시작 1920년-25년 극예술협회 국내에서 하고 있는 낡은 신파극을 비판하고 새로운 근대극을 연구하고 실현하자는 선각적인 목적에서 출발 김우진 이외에 조명희·홍해성·유춘섭·진장섭·고한승·조춘광·손봉원·김영팔·최승일 등 20여명이 참가

38 극예술협회 조명희(趙明熙)작의 <김영일의 사>, 홍난파작의 <최후의 악수>, 던세니(Dunsany,L.)작을 김우진이 번역한 <찬란한 문> 등이 공연. 김우진이 연출, 홍해성(洪海星)이 무대감독. 막간에 홍난파(洪蘭坡)와 한기주(韓琦柱)의 바이얼린 연주, 윤심덕(尹心德)의 독창. 신문사와 노동단체, 종교단체들이 후원했다. 40일 동안에 25개 지역을 순회하며 새로운 연극을 선보였고 실로 대단한 영향을 끼쳤다.

39

40 김영일의 사 신극 최초 공연 도쿄에서 고학하는 유학생 김영일의 수난을 현실 그대로 다룬 작품
김영일은 모친의 급환(急患) 소식을 받고 귀국여비를 마련하기 위해 재력이 있는 친구를 찾아갔으나 거절 당하고, 오히려 그와 사소한 시비 끝에 불온 학생으로 몰려 구류처분을 받게 되며, 석방 후 폐렴이 악화되어 죽는다. 공연 도중에 한 배우가 '과거에는 자유가 있었지만 지금은 자유가 없다'고 말해 일본 경찰에 구류되는 사건도 발생했다. 배우들은 김영일의 수난을 민족적인 수난에 비유하여 표현함으로써 관객들의 감동을 자아내게 하였다.

41 김우진( ) 최초의 신극 작가 1925년 <이영녀>: 매음녀의 생활을 사회적인 상황과 밀접하게 그린 여성문제극이다. 이영녀의 생활은 작가가 살았던 목포항의 실제 서민을 모델로 한 것이다. 그녀에게는 남편이 있었지만 가족의 생계비와 아이의 학비를 마련할 수 없어서 과감하게 자신의 몸을 파는 길로 나서게 된 것이다. 이 작품은 근대적인 여성과 매음을 다룬 점에서 버나드 쇼의 <워렌부인의 직업>과 비교할 만하다. 1926년 <난파>: 자신의 가정사를 소재로 한 표현주의를 처음으로 실험

42 1930년대 극예술연구회 모체는 극영동호회(劇映同好會): 1931년 6월, 홍해성·윤백남(尹白南)·서항석(徐恒錫)이 중심이 되어 연극영화전람회를 개최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조직한 단체 '극예술에 대한 일반의 이해를 넓히고 기성극단의 사도(邪道)의 흐름을 구제하는 동시에 나아가서는 진정한 의미의 우리 신극을 수립하려는 목적'으로 조직 1931년 7월에 발족되어 1938년 3월에 일제에 의해 해체 김진섭(金晋燮, 독문학)·유치진(柳致眞, 영문학)·이헌구(李軒求, 불문학)·이하윤(李河潤, 영문학)·장기제(張起悌, 영문학)·정인섭(鄭寅燮, 영문학)·조희순(曺喜淳, 독문학)·최정우(崔珽宇, 영문학)·함대훈(咸大勳, 노문학) 등 도 참가

43 유치진 1933년 2월 극연에서 <토막>을 공연하여 극작활동을 시작: 식민지치하의 토막민(土幕民)의 가난하고 고뇌에 찬 삶을 다룸. <토막>에 이어 1933년 11월에 공연된 <버드나무 선 동리풍경>과 1935년 1월에 발표된 <소>(1937,2, <풍년기>로 개제 공연)를 가리켜 '농촌극 삼부작'이라 이를 수 있다.

44 토막

45 함세덕 <산허구리> <무의도 기행> <동승>

46 광복 이후 친일적인 연극에 대한 반성, 식민지적 잔재의 청산, 새 시대에 부합되는 창작이라는 명분
좌익과 우익, 혹은 중도파로 갈리어 극심한 이념 대립과 혼미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에서 공연 1948년 김영수의 <혈맥>: 광복 이후 변화된 현실과 인간상 풍자 1949년 오영진의 <살아있는 이중생각하>: 친일행각에 대한 반성 없이 오히려 반민족적인 만행을 서슴치 않고 저지르는 기회주의자 이중생(李重生)의 생태를 적나라하게 파헤치고, 그의 불가피한 자살을 그린 희비극. 위장 자살극이 필연적인 죽음이 될 수밖에 없는 시대성을 풍자.

47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48 1950년대 연극의 변화 리얼리즘에 대하여 수정과 절충을 시도 : 이용찬의 <가족>(1958,4)·유치진의 <한강은 흐른다>(1958,9)·차범석의 <불모지>(1958,7)·임희재의 <꽃잎을 먹고 사는 기관차>(1956,7) 다양한 방법의 수용을 통한 대중극의 질적 향상: 하유상의 <딸들 자유연애를 구가하다>(1957,11)·오영진의 <맹진사댁 경사>(1952,8)·유치진의 <나도 인간이 되련다>(1953,12)·차범석의 <공상 도시>(1958,3) 새로운 실험과 부조리극: 오상원의 <이상>(1956,2)과 <잔상>(1956,9)·오학영의 <닭의 의미>(1957,11)와 <꽃과 십자가>(1958,8)·전창근의 <40 계단>(1953,7)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작품들은 특히 전쟁의 상처와 전후의 실존적 고뇌를 주제

49 1960년대 탈사실주의적인 경향이 점증 시대정신과 함께 대학에서 연극활동을 한 젊은 연극인들이 대거 새로운 동인제극단(同人制劇團)을 결성하고 나섰으며, 그들은 기존 미학에 대한 반성과 실험적인 저항을 보이기 시작 이근삼의 <원고지>(1960,1)·신명순의 <전하>(1962,5)·김의경의 <신병후보생>(1962,6) 서사극과 실험극은 기존의 리얼리리즘에도 성숙을 가져옴: 차범석의 <산불>(1962,12)·이용찬의 <피는 밤에도 자지 않는다>(1960,10)·천승세의 <만선>(1964,7)·구상의 <수치>(1965,3)·이재현의 <바꼬지>(1965,6) 등은 성과로 지적된다. 또한 풍자극의 성과도 주목할 만하다. 오영진의 <해녀 뭍에 오르다>(1967,4)·이근삼의 <국물 있사옵니다>(1966,5)·신명순의 <신생공화국>(1965,6)·박조열의 <토끼와 포수>(1965,9) 부조리극(不條理劇)의 성과로는 오태석의 <환절기>(1968,5)·이재현의 <십층>(1969,12)·하경자의 <비행장 옆 자선병원>(1965,1)·윤대성의 <출발>(1967,4) 등

50 1970년대 형식의 개방적인 확대와 주제의 다층적인 심화 현상이 두드러진 시기로서 20세기 연극사에서 가장 활발한 창작 활동이 이루어졌다. 연극의 양적 팽창은 소재의 다양화 현상과 맞물리면서, 빈약한 희곡적 자산을 건실하게 축적하는 성과를 거뒀다. 민족극이라는 명칭의 정치극운동 리얼리즘의 대표작으로는 윤대성의 〈출세기〉(1974,10)·노경식의 〈달집〉(1971,9)·윤조병의 〈참새와 기관차〉(1977,10)·이재현의 〈포로들〉(1972,5) 등

51 70년대 최인훈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1970,11)·<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1976,11)·<달아 달아 밝은 달아>(1979,9) 등에서는 전통적인 온달설화·장수설화·심청설화가 소재로 차용되었고, 설화가 현실적 삶의 원형으로서 새롭게 해석되고 제의로 창조되어 충격을 주었다.

52 70년대 풍자극 풍자극으로는 오영진의 〈허생전〉(1970,11)·이일룡의 〈손달씨의 하루〉(1970,9)·이근삼의 〈아벨만의 재판〉(1977,9)·유보상의 〈이혼 파티〉(1977,11)·이어령의 〈기적을 파는 백화점〉(1976,12) 등을 들 수 있다. 이 작품들은 근대화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살아가는 소시민, 군부정권하의 보이지 않은 폭력과 공포 분위기, 재일동포의 정신적 방황, 전통적인 가족의 해체 등과 같은 사회문제를 신랄하게 풍자했다.

53 교육연극 교육이 목적 연극은 수단 연극을 통해 문학적 감수성뿐만 아니라 언어능력, 사회성, 자존감, 관찰력 등도 신장시킬 수 있다는 전제 T.I.E.(Theater in Education): 교사나 전문극단이 연극 만들기에 직접 개입해서 완성시킨 작품을 관객에게 공연하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연극 D.I.E.(Drama in Education):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서 즉흥적으로 연극을 만드는 과정을 더 중시하는 연극


Download ppt "극 교육."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