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장 듣기 교육론 개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1장 듣기 교육론 개괄."— Presentation transcript:

1 1장 듣기 교육론 개괄

2 의사소통 의사소통이란 정보를 교환하고 유통하는 과정이다.
언어의 사용 여부에 따라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구분된다. 언어를 이용한 의사소통 표현 행위 + 이해 행위

3 언어를 이용한 의사소통 표현 행위(능동적, 생산적)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 말하기(매개체-음성), 쓰기(매개체-문자)
이해 행위(수동적, 수용적) 상대방의 의사를 받아들임 듣기(매개체-음성), 읽기(매개체-문자)

4 언어를 이용한 의사소통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네 가지 기술의 통합적인 교육의 중요성 강조 언어의 기본적인 목표
= 의사소통 능력 함양 ▶구어 중심 말하기, 듣기 교육 강조

5 언어를 이용한 의사소통 실제 의사소통에서는 음성 언어 사용이 더 많음
지금까지 듣기는 말하기, 읽기, 쓰기의 보조적인 기능으로 인식되었음 의사소통교수법 등장, 듣기의 중요성 부각

6 1. 듣기(listening)의 정의 음성 언어인 말로 이루어지는 구어 의사소통 상황에서 청자의 말을 이해하는 행위를 말한다.
듣기(listening)와 들리기(hearing)는 다르다. 들리기는 물리적인 소리를 듣는 것이다. 듣기는 의미 듣기, 경청하기 등이다. 듣기는 구어 의사소통 상황에서 청자가 화자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의 합 음성 언어를 이해하는 의사소통 영역

7 2. 듣기의 특성 1) 듣기는 의미 협상을 통한 능동적인 언어 기능이다. 2) 듣기는 일정한 침묵의 기간이 필요하다. 3) 듣기 능력의 향상은 잉여 정보를 분리해 내는 능력과 관계가 있다. 4) 음성의 일시성 때문에 듣기는 청자가 주도적으로 듣기 행위를 조정할 수 없고, 반복 학습을 할 수도 없다.

8 3. 듣기의 기능 Brown(1994),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듣기 기능 소리 식별하기
2) 강세, 리듬, 억양의 형태와 의미 인지하기 → ex) 어디 가? - 인사, 진짜로 묻는 것 3) 약화된 단어(준말 ex)난, 담에)를 듣고 인지하기 4) 단어 경계(띄어쓰기)를 알고, 어순의 형태와 의미 인지하기 5) 다양하게 들려오는 말을 분석 처리하기

9 3. 듣기의 기능 6) 휴지(#), 오류, 교정과 같은 실행 변수를 포함한 말을 듣고 분석 처리하기 7) 문법 체계 인식하기 8) 문장의 주성분과 부성분을 구별하기 (잉여 정보, 핵심 정보) 9) 여러 다른 문법 형태로 표현된 의미를 인지하기 10) 담화 법칙 인지하기 (문장 표현, 한 개의 덩어리) 담화>문장

10 3. 듣기의 기능 11) 대화를 듣고 상황, 참여자 및 목표에 따른 의사소통 기능 인지하기 12) 대화를 듣고 주 요소, 보조 요소, 신.구 정보, 일반화 및 예시 등의 관계를 인지하기 13) 문자적 의미와 추론적 의미 구별하기 14) 말을 듣고 표정 및 제스처 등 신체 언어로 반응하기 (비언어 교육, 문화적 사회적 특징) 15) 듣기 전략을 개발하고 사용하기

11 4. 듣기 교육 음성 언어로 이루어진 텍스트를 자신의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이해하고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히 반응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 전통적으로 듣기 교육은 텍스트의 내용을 수용하는 수동적인 활동으로 인식해 왔으나 1980년대 이후 의사소통 중심 언어 교수의 관점에서는 청자가 자신에게 들리는 모든 정보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목적과 기대를 갖고 필요한 의미를 음성 텍스트로부터 재구성하는 능동적인 의사소통 활동으로 인식한다. 한국어 듣기 교육의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에 있다. 주어진 텍스트를 이해하고, 청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산출하고 적절한 반응을 하는 것까지를 듣기 교육의 목표에 포함한다.

12 4. 듣기 교육 4) 듣기 수업은 듣기 전(pre-listening), 듣기 중(while-listening), 듣기 후(post-listening)의 단계로 구별하여 진행되어야 효과적이다. - 듣기 전 단계에서는 듣기 목적에 따라 들을 내용을 예측 - 듣기 중 단계에서는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에 집중하여 목적에 부합하는 듣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 - 듣기 후 단계에서는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반응하게 함

13 4. 듣기 교육 5) 듣기 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 듣기, 과정 중심 듣기, 실제 과제 수행 능력 배양을 위한 듣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학습자 중심 듣기 교육: 학습자의 요구와 흥미에 부합하는 듣기 과제를 제시, 듣기에 대한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 - 과정 중심 듣기 교육: 실생활에서의 이해 처리 차원을 고려하여 듣기 수업을 ‘듣기 전→듣기 중 →듣기 후’와 같이 단계적으로 구성하는 것, 실제 듣기 과제 수행 과정에서의 문제와 이에 대한 전략을 경험, 실생활 듣기에서 겪게 되는 문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름

14 4. 듣기 교육 5) 듣기 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 듣기, 과정 중심 듣기, 실제 과제 수행 능력 배양을 위한 듣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실제 과제 수행 능력 배양 듣기 교육 *교실에서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듣기 과제가 실제적이어야 함 *실세계에서 존재할 법한 듣기 텍스트를 활용해서 이루어지는 유목적적이고 유의미한 듣기 활동 필요 *실제적 듣기 과제=실제적인 자료와 실제적인 활동 * 2000년대 후반 이후, 듣기 교육에서는 실제 과제 수행 능력의 배양을 표방, 듣기 자료의 실제성을 특히 강조

15 5. 듣기 교육의 중요성 1) 실생활 의사소통에서 듣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교육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 (듣기 45%, 말하기 30%, 읽기 16%, 쓰기 9%) 2) 표현 기능인 말하기는 이해 기능인 듣기 기능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청취가 가능해진 다음에야 발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듣기가 불가능하면 의사소통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3) 듣기 이해 수업을 통해 문법적 구성 요소를 익힐 수 있고, 의사소통 담화 속에서 새로운 어휘를 맥락화 시킬 수 있으므로 듣기 교육은 제2언어 능력 신장에 필수적이다.

16 5. 듣기 교육의 중요성 4) 듣기를 위한 말은 일시적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반복 학습할 수 없다. 따라서 수업 현장에서 교사의 지도아래 적절한 자료를 이용하여 듣기 능력을 신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5) 듣기는 말하기, 읽기, 쓰기 등 타 언어 영역으로 전이 효과가 크다.

17 6. 듣기 처리 과정 인지 심리학적 정보 처리 과정 하향식(top-down) 과정 상향식(bottom-up) 과정
상호작용적(interactive) 과정

18 6. 듣기 처리 과정 하향식(top-down) 과정
담화가 발생하는 상황이나 문맥, 화제에 대한 청자의 배경 지식 또는 스키마(schema, 선험 지식, 배경 지식, 사전 지식)를 이용하여 듣기 의미를 파악하는 과정 청자는 담화가 시작됨과 동시에 내재된 지식을 이용하여 화자의 의도된 의미를 미리 예상해서 파악할 수 있다. 청자는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언어적 특징뿐 아니라 전반적인 문맥, 배경 지식을 사용하는 과정 중심 생각 이해하기, 추론하기, 실마리 찾기, 화자의 의도 파악하기, 주변 환경 활용하기

19 6. 듣기 처리 과정 2) 상향식(bottom-up) 과정
청자가 음소에서 단어로, 다시 구와 절, 문장으로 지각의 범주를 상향시키는 과정 특정 단어에 대한 청취 여부, 선다형, 진위형의 내용 이해 문제, 제목 맞추기 3) 상호작용적(interactive) 과정 하향식 과정과 상향식 과정은 동시에 작용하며, 유창한 청취 이해력은 서로 상호 보완하는 데 달려 있다.

20 6. 듣기 처리 과정 - 화자와 청자의 역할을 고려한 관점 1) 상호 듣기(reciprocal listening) 방식
2명 이상의 화자와 청자가 서로 역할을 교대로 바꾸어 가면서 양방향 의사소통의 구두 상호작용에 참여 2) 비상호 듣기(non-reciprocal listening) 방식 대중 연설이나 엿듣는 대화, 안내 방송, 대중 매체, 녹음된 메시지, 강의나 설교, 각종 공연 등과 같이 화자의 말을 듣되 상호작용할 수 없는 방식 3) 독백형 듣기 방식 계획을 세우거나 과거의 담화 내용을 상기할 때와 같은 상황에서 자기 자신에게 이야기하고 들음으로써 언어를 내부적으로 재창조하는 방식

21 6. 듣기 처리 과정 - 언어 기능적 관점 1) 업무 처리적(transactional listening) 듣기
새로운 정보를 흡수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는 목적의 듣기 지시, 묘사, 안내 방송, 뉴스, 강의 듣기 등 메시지의 정확성이 중요, 화자는 자신의 메시지가 명확한지 알기 위한 확인 2) 상호작용적(interactional listening) 듣기 호의적인 사회적 관계 유지가 목표 인사, 소개, 농담, 칭찬, 교사와 학생 간의 교실 대화 등 상대방에 대한 관심과 친절, 존경 등이 중시된다.


Download ppt "1장 듣기 교육론 개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