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요실금.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요실금."— Presentation transcript:

1 요실금

2 요실금이란? 요실금이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오줌이 새는 배뇨이상으로서 사회적 활동 또는 위생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국제요실금학회에서 정의를 내리고 있다. 요실금의 발생빈도는 우리나라의 경우 중년기 여성인구의 30% 정도에서 요실금을 호소하며, 노인층에서의 발생빈도는 더욱 높다.

3 요실금은 종양이나 기타 소모성 질환같이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지만 요실금으로 인한 불편함과 수치심, 이로 인한 사회활동의 제약으로 점차 고립되어 가고 정신적인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과거에는 수술 외에는 뚜렷한 치료방법이 없었으나, 최근 새로운 약물과 치료기기들의 발달로 점점 여성요실금의 치료에 적극적인 추세다. 요실금 증상을 가진 여성의 대부분이 효과적인 치료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치심이나 정보의 부족 등으로 적절한 비뇨기과적인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4 요실금의 종류 순수한 복압성 요실금은 그리 많지 않으며,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경우가 약 절반 정도이다.

5 1. 복압성 요실금(Stress Incontinence
1) 긴장성 요실금이라고도 하며, 웃거나 재채기 뜀뛰기 등 복압이 증가하는 행동을 했을 때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새는 이상으로, 심하면 걷거나 앉아 있는 상태에서도 소변이 나오게 되며, 이 때 방광기능은 정상이다. 골반근육층이 약해지면 요도나 방광경부가 아래로 처지게 되어 요도로 전달되는 복압의 정도가 높지 앟게 되어 소변이 새는 것이다.

6 2) 원인 - 질식분만이 가장 중요한 유발요인이며, 여성 요실금 중에서 가장 발생빈도가 높다
2) 원인 - 질식분만이 가장 중요한 유발요인이며, 여성 요실금 중에서 가장 발생빈도가 높다. - 출산시 태아의 머리에 의해 골반근육이나 그만, 인대층이 파열되면 방광경부와 요도가 후하방으로 처지게 되거나, 나이가 들면서 여성호르몬의 감소, 비만 등으로 점차 골반근육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7 3) 진성(genuine) 복압성 요실금 - 방광경부나 요도가 정상보다 아래로 많이 처지게 되는 요도의 과다이동에 의한 요실금

8 4) 내인성 요도기능저하 (Intrinsic sphincter deficiency, ISD) - 요도의 잠금장치(조리개)기능의 저하에 의한 복압성 요실금. - 일반적으로 난산에 의해 태아의 머리가 산도에 위치한 음부신경이나 골반근육에 손상을 주어 점차 요도 괄약근의 위축 및 기능저하가 나타남으로 인해 발생한다.

9 5) 기타 복압성 요실금 - 선천적으로 요도가 짧거나, 이전에 요실금수술이 실패하였을 때, - 근치적 자궁적출술이나 근치적 직장절제술 후에 음부신경이 손상을 받거나, - 뇌척수막류같은 신경인성방광 등에서도 ISD가 나타난다.

10 여성의 요실금 진단 1. 증상 - 소변의 누출 : 기침, 웃거나, 뛰거나, 에어로빅, 무거운 짐들 때.                      걷거나, 앉았다가 일어설 때,                      소변을 오래 참았을 때 - 설문지, 배뇨일지 2. 과거력 청취 - 신경계 병력, 산과 병력, 부인과 병력, 복용 약물 3. 이학적 검사 - 패드검사, 복압검사, 내진 - 방광요도경검사 - 요역동학검사 4. 방사선학적 검사 5. 골반근력 검사 - EMG

11 여성의 요실금 치료 요실금의 치료는 크게 약물이나 골반운동, 전기자극과 같은 보존적 치료와 수술치료로 구분할 수있다. 또한 치료의 선택에 있어서 절박성 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의 구분이 진단시 매우 중요하다. 진단에 따라 요실금의 치료방법이 다르다. 복압성 요실금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수술이지만 요실금 증상이 심하지 않거나 비교적 젊은 여성에게는 골반근육운동이나 전기자극을 이용한 바이오피드백 요법도 효과적이다. 반면에 절박성 요실금은 수술보다는 약물투여와 방광훈련이 주된 치료가 된다.

12 [비수술적 치료] - 약물치료 - 골반근육훈련 (요도와 질 근육 훈련) - 질 내 삽입 기구 - 전기자극치료 - 바이오피드백 요법 [수술적 치료] - 하복부를 통한 수술 - 질을 통한 수술 - 복강경 수술

13 1.비수술적 치료 1. 약물요법 항콜린성 약물, 호르몬제제 등을 이용하며, 주로 복압성 요실금의 초기, 절박성 요실금의 주된 치료.

14 - 출산이나 호르몬 부족등의 원인으로 약해져 쳐진 골반근육의 신축성 회복 및 질의 탄력 회복이 주요 목적이다
- 출산이나 호르몬 부족등의 원인으로 약해져 쳐진 골반근육의 신축성 회복 및 질의 탄력 회복이 주요 목적이다. - 골반근육의 수축력이 단계를 거치면서 강화된다. 동시에 질의 탄력성이 높아진다. - 운동의 요점은 항문과 질을 수축하면서 아랫배에는 힘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똑바로 누워 무릎을 세우고 손을 배 위에 놓는다. 하복부에 힘을 주지 않고 항문과 질을 수축시킨다. 1에서 5까지 세었다가 서서히 힘을 뺀다. 이 동작을 5회 반복 시행한다 다리를 뻗은 채로 똑바로 누워 손을 배 위에 얹고 1번과 같은 동작을 시행한다.

15 3. 똑바로 누워 무릎을 세운다. 골반근육을 수축한 후 허리를 될 수 있는 한 높이 쳐든다
3. 똑바로 누워 무릎을 세운다. 골반근육을 수축한 후 허리를 될 수 있는 한 높이 쳐든다. 어깨, 등, 엉덩이의 순서로 바닥에 내리면서 힘을 뺀다. 이를 5회 반복 시행한다 다리를 어깨 폭만큼 벌리고 서서 두 손을 테이블 위에 놓는다. 항문과 질을 수축시킨 후 1에서 5까지 세다가 힘을 뺀다. 이를 5회 반복.

16 3. 전기자극치료 골반근육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인위적인 근육의 수축을 일으킨다
3. 전기자극치료 골반근육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인위적인 근육의 수축을 일으킨다. 그로 인해 여성들로 하여금 골반근육을 알게 하고 바르게 골반저근 운동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17


Download ppt "요실금."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