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주제4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주제4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Presentation transcript:

1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주제4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2 4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학습 목표 흥선 대원군의 통치 체제 재정비 노력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주제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학습 목표 흥선 대원군의 통치 체제 재정비 노력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 나타난 근대 지향적 변화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 등장한 실학에 대해 살펴보고, 이 시기 서민 문화가 발달하고 민중 의식이 성장하였음을 설명할 수 있다.

3 4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미리보기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주제 세도가 축출, 서원 정비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미리보기 세도가 축출, 서원 정비 통치 체제 재정비 경복궁 중건 호포제, 사창제 실시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병인박해 제너럴 셔먼호 사건 오페르트 도굴 사건 통상 수교 거부 병인양요 병인양요, 신미양요 신미양요 척화비 건립

4 4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내용 정리 흥선 대원군, 통치 체제를 재정비하다 1
주제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내용 정리 흥선 대원군, 통치 체제를 재정비하다  1 흥선 대원군 집권 무렵의 국내외 정세 ① 대내적: 세도 정치와 삼정의 문란 ② 대외적: 서양 세력의 접근, 중국 및 일본의 문호 개방, 러시아의 연해주 진출 (2)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① 왕권 강화 정책: 세도가 축출,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 비변사 축 소(→ 의정부, 삼군부 기능 부활), 대전회통․육전조례 편찬, 서 원 정리, 경복궁 중건(원납전 강제 징수, 당백전 남발 → 양반과 농민 불만 고조) 당백전

5 4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② 민생 안정 정책: 삼정 문란 시정 ③ 개혁의 한계: 전통 체제 내에서의 개혁 주제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② 민생 안정 정책: 삼정 문란 시정 ③ 개혁의 한계: 전통 체제 내에서의 개혁 전정 은결 색출, 양전 사업 실시, 지방관과 토호의 토지 겸병 금지 군정 호포제 실시 → 양반들의 불만 초래 환곡 사창제로 개편 → 농민의 부담 경감 호포제 실시에 따른 군포 부담층의 변화

6 4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활동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책의 목적과 그 한계점은? _ 교과서 116쪽 주제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활동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책의 목적과 그 한계점은? _ 교과서 116쪽

7 자료 1과 같은 정치 개혁을 단행한 이유를 서술해 보자.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4 주제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1 자료 1과 같은 정치 개혁을 단행한 이유를 서술해 보자. 2 자료 2에 나타난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책에 대해 농민과 양반이 어떠한 반응을 보였을지 아래 삽화의 말풍선을 채워보자. 3 흥선 대원군의 경복궁 중건에 대해 양반과 상민층은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 그 이유를 자료 3을 통해 유추해 보자. 4 흥선 대원군이 위와 같은 개혁 정치를 추구한 사회적 배경, 목적, 그 한계점을 종합해서 정리해 보자.

8 자료 1과 같은 정치 개혁을 단행한 이유를 서술해 보자.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4 주제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활동 풀이 교과서 116쪽 1 자료 1과 같은 정치 개혁을 단행한 이유를 서술해 보자. 예시답안 흥선 대원군이 집권하기 직전까지 세도 정치기가 이어지며 매관매직이 성행하는 등 정치 기강이 문란해지고, 왕권은 세도가에 눌려 약화되었다. 이에 흥선 대원군은 세도가를 누르고 왕권을 강화시킬 필요성을 느꼈다.

9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4 주제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2 자료 2에 나타난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책에 대해 농민과 양반이 어떠한 반응을 보였을지 아래 삽화의 말풍선을 채워보자. 예시답안 양반: 조상 대대로 양반에게는 군포를 징수하지 않는 것이 양반에 대한 예우였다. 이제 와서 양반에게도 군포를 징수하겠다고 한다면 그것은 양반과 상민을 동등하게 취급하겠다는 것이 아니겠는가? 농민: 양반도 국가의 백성이다. 나라가 있어야 양반도 있는 것 아니겠는가. 따라서 나라를 지키기 위한 군역의 부담을 양반도 함께 나누어져야 한다.

10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4 주제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3 흥선 대원군의 경복궁 중건에 대해 양반과 상민층은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 그 이유를 자료 3을 통해 유추해 보자. 예시답안 흥선 대원군은 실추된 왕실의 위엄을 회복하기 위하여 경복궁을 중건하려 하였다. 그러나 경복궁 중건은 막대한 재정이 드는 공사였기 때문에 원납전을 강제로 징수하고 당백전을 남발하기도 하여 경제적 혼란을 초래하였다. 또한 목재를 구하기 위하여 양반들의 묘지림을 벌목하고, 많은 백성들을 토목 공사에 강제로 동원하여 양반과 백성들의 원성을 사기도 하였다.

11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4 주제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4 흥선 대원군이 위와 같은 개혁 정치를 추구한 사회적 배경, 목적, 그 한계점을 종합해서 정리해 보자. 예시답안 사회적 배경: 삼정의 문란으로 농민들의 생활이 궁핍해져 국가 재정이 압박을 받고 있었으며, 사회에 대한 농민들의 불만이 극에 달하여 전국적인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개혁의 목적: 전통적인 통치 체제의 재확립으로 국가 기강 확립, 민생 안정, 백성에 대한 양반층의 억압과 수탈을 금지하고자 하였다. 개혁의 한계점: 조선 왕조의 통치 체제를 유지하려는 데 목적을 둔 체제 내의 개혁이었다.

12 4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내용 정리 흥선 대원군, 통상 수교를 거부하다 2
주제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내용 정리 흥선 대원군, 통상 수교를 거부하다 2 서양 세력의 침투: 프랑스 선교사의 포교 활동, 서양 상품의 유입, 열강의 베이징 함락(1860) → 천주교 금지, 서양 상품의 유입 금지 여론 고조 (2) 병인박해(1866): 프랑스를 통하여 러시아를 견제하려던 흥선 대원군의 계획 실패 → 프랑스의 통상 수교 거부, 천주교 탄압(프랑스 선교사와 천주교도 처형) (3) 서양 열강의 통상 요구: 제너럴 셔먼호 사건(1866), 오페르트 도굴 사건(1868) → 대원군의 배외 정책 심화 천주교 순교지 해미읍성(충남 서산)

13 4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3 병인양요(1866) (2) 신미양요(1871)
주제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3 병인양요(1866) ① 구실: 병인박해 때의 자국 선교사 처형 ② 전개: 프랑스 침략 → 프랑스군의 강화도 점령 → 문수산성 (한성근), 정족산성(양헌수)에서 격퇴 (2) 신미양요(1871) ① 구실: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구실로 통상 요구 ② 전개: 미국의 강화도 침입 → 광성보와 갑곶 전투(어재연)에 서 격퇴 (3) 결과: 척화비 건립, 서양과의 수교 거부 의지 과시 → 문호 개방과 근대화 지연 척화비

14 4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확인 학습 1 흥선 대원군이 왕권 강화를 상징하기 위해 중건한 건물은? 경복궁 2
주제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확인 학습 1 흥선 대원군이 왕권 강화를 상징하기 위해 중건한 건물은? 경복궁 2 다음 중 흥선 대원군의 체제 정비 내용을 모두 고르시오. ㄱ, ㄷ, ㅁ, ㅂ ㄱ. 호포제 ㄴ. 균역법 ㄷ. 서원 정리 ㄹ. 비변사 강화 ㅁ. “대전회통” 편찬 ㅂ. 세도 가문 축출 3 통상 수교를 요구하며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의 묘를 도굴한 사람은? 오페르트 4 다음을 관련 있는 것끼리 연결하시오. ① 병인양요 ㄱ. 제너럴 셔먼호 구실, 어재연의 항전 ② 신미양요 ㄴ. 병인박해 구실, 외규장각 문서 약탈 5 흥선 대원군이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알리기 위해 세운 비석은? 척화비

15 Ⅳ단원 주제1 ‘서구 열강의 침략과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에 대해 수업합니다.


Download ppt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주제4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