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Ζακχαῖος Βλαχόπουλος Modified 5년 전
1
Morphological Typology -From Word to Paradigm- Gregory Stump & Raphael A. Finkel
2016년 4월 6일 수요일 이찬영
2
ideas of paradigm-based analysis
스도쿠 퍼즐 처음에 몇 개의 칸에 숫자들이 할당되어 있음. 이 숫자들은 다른 칸들에 대응되는 숫자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 주어진 숫자들의 상대적 위치 및 규칙을 이용 하여 다른 칸들을 채워 나감. The Bombe(독일군 암호 체계 에니그마 (Enigma) 해독 기계) 천문학적인 경우의 수를 대폭 줄일 수 있었던 요인은 ‘유추가 가능한 값의 제거‘ S&F: ‘증류(distillation)’
3
ideas of paradigm-based analysis
인도-유럽어를 기반으로 한 서구 전통문법에서 굴절 패러다임의 형태 를 알아낼 때에도, 스도쿠 퍼즐과 마찬가지로 몇몇 주요 어형과 그에 대 한 정보(주요형, principal parts)를 이용함. 예) 라틴어 동사 대부분의 주요형: 1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 1인칭 단수 완료 직설법, 목적분사(supine), 부정사(infinitive) CAPERE capiō, cēpī, captus, capere 주요형에 기반한 패러다임 분석은 전통적으로 교육 분야에서 주로 사용 되어 왔음. 이 책에서는 주요형 개념의 이론적 의의를 강조하면서 한 언어 내에서 의 굴절 패러다임 간 복잡성 정도의 차이와 언어 간 차이에 대해 관심 을 가짐. 또한 주요형을 일종의 ‘정보’로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패러다임 내의 다른 어형들을 추론할 수 있는 확률을 측정하는 과정에 중점을 둠.
4
ideas of paradigm-based analysis
각 언어들의 ‘함축적 확실성’은 어떠한 모습으로 다른가? 또한 한 언어의 굴절 부류들은 어떻게 다른가? 단어형의 예측가능성(predictability)와 예측성(predictiveness)을 가 능케 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양상은 언어별로, 또는 한 언어의 굴절 부류별로 어떻게 다른가? 한 어휘소의 단어형들에 대한 예측성의 정도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 한 패러다임 내의 칸(cell)들 사이의 함축적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 는가? 이러한 표상은 굴절 형태론의 이론적 논의에서 어떠한 함의 를 가지는가? 이러한 요인들이 굴절 부류 체계의 복잡성을 어떻게 개념화·계량화 하는가?
5
주요형(principal parts) 어휘소 L의 패러다임은 L에 대응되는 칸들의 완전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패러다임 내에서의 칸은 어휘소 정보와, 그 어휘소가 굴절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통사적 속성 세트(morphosyntactic property set, MPS)로 구성된다. 주요형(principal parts): 어휘소 L의 실현된 패러다임 내의 칸들 중에서 다른 모든 칸들을 확실하게 추론해 줄 수 있는 일련의 칸들. 어떤 패러다임의 ‘도면(plat)’ 상에서 주요형과 그 주요형에 의해 추론된 다른 칸(들)은 ‘함축적 관계’를 가진다. ρ, σ, τ : 형태통사적 속성 세트(morphosyntactic property set, MPS) Ⅰ, Ⅱ, Ⅲ, Ⅳ : 굴절 부류(inflectional class, IC) a-h: 주요형 실현된 단어형과 MPS가 대응되어 있는 칸.
6
1. 정적 분석 틀(static scheme) 전통적 주요형 분석에서 채택해 온 틀.
같은 부류의 MPS가 모든 IC에 대한 optimal principal parts를 결정함. 각 IC에서의 주요형은 반드시 충분하면서(adequate) 최소(minimal)여야 함. system F의 경우, 한 어휘소에 대해 세 개의 정적(static) 주요형 모두를 명 세해 주어야 함.
7
2. 적응적 분석 틀(adaptive scheme)
첫 번째 주요형은 고정되어 있지만, 그 구현체(exponence) n은 (n+1)번째 주요형 에 의해 실현된 MPS를 결정함. 근원적 속성 세트(root property set): 어휘소의 첫 번째 주요형을 식별함(→ρ). ρ의 구현체가 a인 경우: 다른 구현체들을 명백하게 식별해 주기 때문에 완료. ρ의 구현체가 c인 경우: MPS σ가 두 번째 주요형을 식별함. 적응적 분석 틀에서는, 각 IC의 주요형 개수가 상이할 수 있으며, 주요형이 복수 인 경우에는 위계구조가 존재함.
8
3. 동적 분석 틀(dynamic scheme)
각 IC는 오로지 하나의 주요형만을 가지며, 각 주요형들로부터 IC를 추론할 수 있음. 적응적 틀에서는 항상 근원적 속성을 가져야 했지만, 여기에서는 그 러한 요구 조건이 없음. 최적 주요형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분석 틀. 대신에 동적 틀에서는 정적·적응적 틀에서는 명세될 필요가 없었던 ‘어휘소의 주요형 세트’가 외현적으로 명세되어야 함(Table 1.12).
9
어떤 주어진 굴절 부류 체계에 대한 주요형 분석은 단 하나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
Ngiti의 동사 활용 체계를 컴퓨터 프로그램(PPA)로 분석해 본 결 과, 정적 분석 틀에 의하여 모든 굴절 부류가 분석되는 것은 아 니며 이는 다른 분석 틀 역시 마찬가지. 그런데 이처럼 분석 틀을 구분하면, 다양한 양상의 주요형 체계 들을 일정한 기준에 의해 분류할 수 있음.
10
주요형 유형 분류 기준 어떠한 어휘소의 IC 구성원을 확인하기 위해 몇 개의 주요형 이 필요한가?
Kwerba: 1인칭 복수 또는 2인칭 복수만 주요형으로 존재해도 충분함.
11
주요형 유형 분류 기준 어떠한 어휘소의 IC 구성원을 확인하기 위해 몇 개의 주요형 이 필요한가?
Koasati: 3A.KA, 3A.KI, 3A.KO 세 부류에서는 2인칭 단수에 더해 1인칭 단수가 주요형으로 있어야 함.
12
주요형 유형 분류 기준 패러다임 내의 칸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몇 개의 동적(dynamic) 주요형이 필요한가?
전체 주요형(cell predictor) 개수에 대한 동적 주요형 개수의 상대적 비율
13
주요형 유형 분류 기준 패러다임의 칸들이 정적 주요형을 얼마나 선호하는가?
어떤 언어의 활용 양상은 굴절 부류 간의 증류(distillation) 정도가 높 아서 단일한 주요형으로 수렴해 가는 모습을 띤다. 형태통사적으로 집중되어 있다(morphosyntactically focused) 한편 어떤 언어에서는 굴절 부류 사이에서 정적 주요형에 의해 일어 나는 증류가 제약적이지 않은 모습을 띤다. 형태통사적으로 집중되어 있지 않다(morphosyntactically unfocused) 기준1,2와 마찬가지로 수치화할 수 있도록 ‘형태통사적 집중도’를 산 출함.
14
활용 체계의 유형 분류 이를 바탕으로 하여 11장(the complexity of inflection-class systems)에서는 ‘절대적(absolute) 복잡성’과 ‘상대적(relative) 복 잡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접근법에서 굴절 부류 체계의 복잡 성을 ‘비용(cost)’의 관점으로 다룸.
Similar presentations